KR100390542B1 -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0542B1 KR100390542B1 KR10-2001-0028229A KR20010028229A KR100390542B1 KR 100390542 B1 KR100390542 B1 KR 100390542B1 KR 20010028229 A KR20010028229 A KR 20010028229A KR 100390542 B1 KR100390542 B1 KR 1003905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guide rails
- movable mass
- control devic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2—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11—Balancing, e.g. counterbalancing to produce static bala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이나 노면 진동 등 외력에 의한 건물 기타 구조물의 수평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가동 질량체의 회전운동을 속박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진동 제어장치를 장착한 후에도 가동 질량체의 주기 조절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장착되는 주 제진부와; 상기 주 제진부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주 제진부 상부에 장착되는 가동 질량체와; 상기 가동 질량체의 움직임을 설정된 방향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과 상기 가동 질량체의 사이에 장착되는 보조 제진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층건물이나 관제탑등 바람이나 노면 진동에 의한 수평진동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물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켜주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 등과 같이 지상으로부터 높게 형성된 구조물은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구조물은 그 자체의 고유 진동수가 존재하여 상기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조물의 진동이 증폭되어 구조물의 내구성을 해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붕괴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의 외력에 의한 진동을 줄이는 것은 특히 고층화되고 있는 근래의 건물 기타 구조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러한 건물 기타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하는 수단으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제어장치(20)를 건물(10)의 옥상 등 상부에 설치하여 바람에 의한 건물(10)의 진동을 저감하였다.
도 2는 적층된 방진고무(24)에 의한 진동 제어장치(20)를 도시한 것이며, 그 구성은 베이스 플레이트(22), 적층고무(24), X축 방향 댐퍼(26), Y축 방향 댐퍼(28), 가동 질량체(30)로 이루어진다.
도 2의 구성에 의한 진동 제어장치(20)는 적층고무(24)에 놓여진 진동 저감을 위한 가동 질량체(30)가 수평면으로 움직이며, 진동을 상쇄시켜 건물(10)의 진동을 저감한다. 또한, 적층된 방진고무(24)간의 사이에 별도로 설치되는 X축 방향 댐퍼(26)와 Y축 방향 댐퍼(28)의 감쇠력에 의해 진동저감 효과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적층된 방진고무를 사용하는 진동 제어장치는 가동 질량체의 움직임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미소진동에는 효과가 있지만, 가동 질량체의 회전운동에 대한 속박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건물의 비틀림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형진동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단 설치되면 진동 제어장치의 진동상쇄 주기 조절이 곤란하므로 설치전 건물 기타 구조물의 진동에 관한 완벽한 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기술적 곤란성이 있다. 즉, 일단 설치된 후 진동 제어장치의 고유 진동수를 변화시키면서 가장바람직한 진동 제어장치의 고유 진동수를 발굴하여 세팅하는 튜닝작업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이나 노면 진동 등 외력에 의한 건물 기타 구조물의 수평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가동 질량체의 회전운동을 속박할 수 있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에 진동 제어장치를 장착한 후에도 가동 질량체의 주기 조절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장착되는 주 제진부와; 상기 주 제진부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주 제진부 상부에 장착되는 가동 질량체와; 상기 가동 질량체의 움직임을 설정된 방향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과 상기 가동 질량체의 사이에 장착되는 보조 제진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구조물에 설치되는 진동 제어장치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장치의 구성 요소간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장치(100)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장치(100)는 고층건물이나 관제탑등 바람이나 노면 진동에 의한 수평진동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물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켜주는 진동 제어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 주 제진부(120), 가동 질량체(130), 보조 제진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진(制震)이라 함은 진동을 억제한다는 의미와 진동을 감쇄시키는 의미로 사용됨에 유의해야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구조물의 옥상 등 구조물 상부의 수평면 자체로 구현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조물의 상부 바닥에 놓여지는 직육면체의 패널로 형성된다.
주 제진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면 중앙에 장착된다. 주 제진부(120)는 소정의 복원력을 갖고 외력에 의한 구조물의 움직임에 따라 가동 질량체(130)가 수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주 제진부(120)는 상면이 가동 질량체(130)와 연결되는 연결판(122)과, 연결판(122)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사이에 결합되는 적층부(124)로 구성한다.
적층부(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22)의 하면 모서리부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고무가 적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적층된 고무의 탄성력은 가동 질량체(130)의 움직임에 대한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가동 질량체(130)는 주 제진부(120) 상부에 결합되어 주 제진부(120)에 의해 움직임게 되는 질량체이다.
가동 질량체(130)의 하중은 대부분이 주 제진부(120)에 작용한다.
보조 제진부(140)는 주 제진부(12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면에 장착되며, 가동 질량체(130)와 결합된 상태에서 가동 질량체(130)의 움직임을 속박하는 기능을 한다.
보조 제진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과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이라 함은 통상적인 레일과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지칭한다.
그리고,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과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이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과 상호 직교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이 도 3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이 도 3의 Y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모서리부에 각각 분할되어 위치되며, 주 제진부(120)의 전, 후측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갖고 상호 평행하게 장착된다.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은 도 3의 X축 방향으로 레일이 배치되며, 가동 질량체(130)가 수평면상에서 운동하게 되면 그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정하여 안내한다.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은 그 하부가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의 직교방향으로 각각 분할되어 위치되며, 그 상부는 가동 질량체(13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제진부(120)의 좌, 우측 Y축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가동 질량체(130)가 수평면상에서 운동하게 되면, 그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정하여 안내한다.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의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질량체(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132)에 각각 연결된다.
즉,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141~144)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가동 질량체(130)에 각각 하부와 상부가 연결되어 가동 질량체(130)의 일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이 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의 하부와 직교되도록 연결되어 한정된 방향으로 수평운동을 함으로써 가동 질량체(130)의 회전운동, 상하방향의 운동을 속박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141~144)의 연결구성에 따라 가동 질량체(130)의 수평면상 운동을 도 3에 도시된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2축 방향으로 분해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141, 142)이 제3, 제4 가이드레일(143, 144)에 연결되는 구성과, 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이 상기 가동 질량체(130)의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상세한 구성은 생략됨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보조 제진부(140)의 구성에 제1, 제2 주기 조절부(145~148), 제3, 제4 주기 조절부(149~15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제2 주기 조절부(145~148)는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의 사이에 X축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장착되는 제1, 제2 블록(145, 147)과, 제1, 제2 인장 코일 스프링(146, 148)으로 구성한다.
제1, 제2 블록(145, 147)은 바닥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 제2 인장 코일 스프링(146, 148)은 제1, 제2 블록(145, 147)과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사이에 각각 2개씩 장착되어 가동 질량체(130)의 X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절하며, 가동 질량체(130)의 X축 방향 주기 조절 및 회전운동 방향의 움직임을 설정된 장력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제2 인장 코일 스프링(146, 148)의 개수 또는 장력을 다르게 조절함에 따라 가동 질량체(130)의 X축 방향 주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3, 제4 주기 조절부(149~152)는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의 사이에 Y축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장착되어 가동 질량체(130)와 연결되는 제3, 제4 블록(149, 151)과, 제3, 제4 인장 코일 스프링(150, 152)으로 구성한다.
제3, 제4 블록(149, 151)은 바닥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과 고정되지 않으며, 상면이 가동 질량체(130)의 하면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3, 제4 인장 코일 스프링(150, 152)은 제3, 제4 블록(149, 151)과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가동 질량체(130)의 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절하며, 가동 질량체(130)의 Y축 방향 주기 조절 및 회전운동 방향의 움직임을 설정된 장력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3, 제4 인장 코일 스프링(150, 152)의 개수 또는 장력을 다르게 조절함에 따라 가동 질량체(130)의 Y축 방향 주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보조 제진부(140)의 구성에 제1, 제2 완충부(153, 154)와 제3, 제4 완충부(155, 15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제2 완충부(153, 154)는 제1, 제2 주기 조절부(145~148)의 장착 방향에 인접되도록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사이에 장착되어 가동 질량체(130)의 X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댐퍼로 구성한다. 제1, 제2 완충부(153, 154)는 각각의 로드는 그 일단부가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의 일면과 각각 결합되며, 그 타단부는 원통형의 실린더에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3, 제4 완충부(155, 156)는 제3, 제4 주기 조절부(149, 150, 151, 152)의 장착 방향에 인접되도록 제3, 제4 가이드 레일(143, 144)사이에 장착되어 가동 질량체(130)의 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댐퍼로 구성한다. 제3, 제4 완충부(155, 156)의 구성은 상기 제1, 제2 완충부(153, 154)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실린더를 지지하는 별도의 프레임이 가동 질량체(13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풍하중 및 노면 진동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수평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진동 제어장치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과 레일로 이루어지는 진동 제어장치와 적층된 고무로 이루어지는 진동 제어장치를 병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진동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구조물에 비교적 적은 바람이나 미약한 노면 진동에 의한 수평진동이 작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면, 주 제진부(120)는 가동 질량체(13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서서히 움직이게 된다.
가동 질량체(130) 무게의 대부분은 적층된 고무로 이루어진 주 제진부(120)에 작용되어 보조 제진부(140)에 작용하는 하중은 작다. 따라서, 보조 제진부(14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141~144)의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미약한 진동, 즉 저가속도에서도 본 발명의 진동 제어장치(100)는 작동하게 된다.
이때 가동 질량체(130)의 회전방향 움직임은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141~144)의 연결구성에 따라 도 3과 도 4에 도시된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2축 방향으로 분해되며, 가동 질량체(130)의 수평방향 움직임은 주 제진부(120)의 적층고무(124)의 탄성과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145~152)의 고유 진동주기 내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교적 큰 진동이 구조물에 가해지면, 가동 질량체(130)는 주 제진부(12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서서히 큰 진폭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가동 질량체(130)의 회전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동 질량체(130)의 움직임도 종래 기술에서와 비교하면 크게 감소된다.
그 이유는 적층된 고무의 탄성이 가동 질량체(130)의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가동 질량체(130)의 진동을 상쇄시켜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함과 동시에 보조 제진부(14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141~144)을 통해 가동 질량체(130)의 회전운동을 수평방향으로 속박하고,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145~152)와 제1 내지 제4 완충부(153~156)의 반력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의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즉, 수평면상의 제1 내지 제4 가이드 레일(141~144)이 가동 질량체(130)의 회전운동 방향을 수평방향 운동으로 구속함으로써 가동 질량체(130)의 회전운동을 속박할 수 있으며, 보조 제진부(140)의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145~152)와 제1 내지 제4 완충부(153~156)의 구성으로 가동 질량체(130)의 수평방향 움직임도 완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제진부(140)의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145~152)와 제1 내지 제4 완충부(153~156)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145~152)와 제1 내지 제4 완충부(153~156)의 구성을 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주기 조절부의 인장 코일 스프링을 완충부의 로드에 끼워 장착하고, 실린더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인장 코일 스프링이 결합되는 블록을 공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레일을 설치함에 따라 가동 질량체의 회전방향 움직임을 수평방향으로 속박하여 구조물의 비틀림 진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정각도로 제1 내지 제4 레일이 형성됨으로써 복수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 질량체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 라인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를 설치하여 가동 질량체의 수평방향 움직임에 대한 주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교체 또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인장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여 주기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의 장착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완충부를 더 설치함에 따라 가동 질량체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주기 조절부와 제1 내지 제4 완충부의 구성으로 가동 질량체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상호 보완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제어장치에 있어서,상기 구조물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상기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장착되는 주 제진부와;상기 주 제진부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주 제진부 상부에 장착되는 가동 질량체와;상기 가동 질량체의 움직임을 설정된 방향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과 상기 가동 질량체의 사이에 장착되는 보조 제진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진부는 설정된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고무가 적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진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주 제진부의 외측으로 평행 배치되는 제1,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진부는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과 직교되도록 상기 주 제진부의 외측으로 복수개 평행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부와 상기 가동 질량체의 하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3, 제4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진부는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상기 제3 가이드 레일 사이 및 제4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주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주기 조절부는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이 움직이는 방향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블록과,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제2 블록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인장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진부는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이 움직이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가이드 레일 사이 및 제4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3, 제4 주기 조절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주기 조절부는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이 움직이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3 가이드 레일 사이 및 제4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질량체에 형성되는 제3, 제4 블록과,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각의 제3, 제4 블록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3, 제4 인장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진부는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제2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진부는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이 움직이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제4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 질량체와 연결되는 제3, 제4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8229A KR100390542B1 (ko) | 2001-05-23 | 2001-05-23 |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8229A KR100390542B1 (ko) | 2001-05-23 | 2001-05-23 |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9537A KR20020089537A (ko) | 2002-11-29 |
KR100390542B1 true KR100390542B1 (ko) | 2003-07-07 |
Family
ID=2770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8229A KR100390542B1 (ko) | 2001-05-23 | 2001-05-23 |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9054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8124B1 (ko) * | 2003-08-21 | 2006-04-05 | (주)티이솔루션 | 진동 제어장치 |
KR102103472B1 (ko) * | 2019-09-24 | 2020-04-22 | 김석조 | 내진장치를 구비하는 내진 수배전반 |
KR102615089B1 (ko) * | 2023-06-29 | 2023-12-19 | 주식회사 동성이엔지앤디자인 | 모듈형 면진장치 |
KR20240060402A (ko) | 2022-10-26 | 2024-05-08 | 주식회사 늘품내진이앤씨 | 복합 진동 제어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69278B2 (ja) * | 2002-01-29 | 2007-01-17 | 浩 倉林 | 構造物制振装置 |
KR102128909B1 (ko) * | 2017-10-20 | 2020-07-08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능동형 면진장치 |
KR102699493B1 (ko) * | 2023-12-12 | 2024-08-27 | 주식회사 동성이엔지앤디자인 | 모듈형 면진장치 |
-
2001
- 2001-05-23 KR KR10-2001-0028229A patent/KR1003905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8124B1 (ko) * | 2003-08-21 | 2006-04-05 | (주)티이솔루션 | 진동 제어장치 |
KR102103472B1 (ko) * | 2019-09-24 | 2020-04-22 | 김석조 | 내진장치를 구비하는 내진 수배전반 |
KR20240060402A (ko) | 2022-10-26 | 2024-05-08 | 주식회사 늘품내진이앤씨 | 복합 진동 제어 시스템 |
KR102615089B1 (ko) * | 2023-06-29 | 2023-12-19 | 주식회사 동성이엔지앤디자인 | 모듈형 면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9537A (ko) | 2002-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982892B (zh) | 悬架 | |
KR20080037804A (ko) | 모듈형 동조질량감쇠기 | |
KR100390542B1 (ko) |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 |
JP3732314B2 (ja) | 制振装置 | |
KR102444015B1 (ko) | 방진 전기 안전제어반 | |
KR102149990B1 (ko) | 건축구조물용 2축 제진장치 | |
JP6480220B2 (ja) | 制振装置 | |
KR101393694B1 (ko) | 이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 |
JP2020012560A (ja) | 構造物用制振装置 | |
KR101393696B1 (ko) | 삼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 |
JP3835143B2 (ja) | 制振装置 | |
JP3835145B2 (ja) | 制振装置 | |
JP6502116B2 (ja) | 制振装置 | |
JPH03204369A (ja) | 車体曲げ振動防止装置 | |
JP2002286451A (ja) | ジャイロコンパス用防振緩衝装置 | |
KR100759110B1 (ko) | 플로워용 방진장치 | |
CN219012062U (zh) | 一种钢结构支撑件 | |
JP2002286088A (ja) | 制振装置 | |
JP4075515B2 (ja) | 防振支持具及び二重床支持構造 | |
JP3203374B2 (ja) | 二重床制振装置 | |
JP4953713B2 (ja) | 免震システム | |
JP2001182368A (ja) | 建築物用制振装置 | |
JP4503493B2 (ja) | 薄型制振装置及び制振システム | |
JP2903075B2 (ja) | 多自由度動吸振装置 | |
JP2939913B2 (ja) | 構造物の長周期動吸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