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5478B1 - 전송 신호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조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송 신호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조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478B1
KR100375478B1 KR10-2000-7013216A KR20007013216A KR100375478B1 KR 100375478 B1 KR100375478 B1 KR 100375478B1 KR 20007013216 A KR20007013216 A KR 20007013216A KR 100375478 B1 KR100375478 B1 KR 10037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modem
signal
transmission
combi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795A (ko
Inventor
마이클 리 올트만스
덕 덴흐 다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4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4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의 안테나 세트 없이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이송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모뎀 프레임(12, 14)에 의해 생성된 여러 캐리어 대역이나 채널과 관련되는 여러 세트들의 전송 신호(30)를 단일 세트의 조합 전송 신호(32)로 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출력 전력을 유지하면서 복수의 모뎀 프레임(102, 104)의 크로스 프레임 조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송 신호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조합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ROSS FRAME TRANSMIT COMBINING OF TRANSMIT SIGNALS}
무선 통신 시스템은 시스템의 대역폭으로 언급되는 유한양의 호출 트래픽을 지원하는 능력을 갖는다. 시스템의 가입자에 의해 만들어진 각 호출은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요구하게 된다. 가입자에 의해 만들어진 호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셀룰러 호출 트래픽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가입자는 필요에 따라 호출을 할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에, 가입자의 기대가 만족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특정 영역 내의 다수의 호출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트래픽 처리율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이하, 'CDMA'라 함) 기술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을 부가의 캐리어 대역이나 채널을 이용하여 증가시킬 수가 있다. 각 CDMA 채널이나 캐리어는 약 1.25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한다. 사용되고 있는 CDMA 채널의 갯수를 증가시키는 데에 부가의 장비 이용을 필요로 할 때가 있다.그러나 소비자나 공간의 요건으로 인해 부가의 장비의 이용을 지원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현재 하나의 모뎀 프레임은 네 개 까지의 CDMA 채널의 지원을 제공한다. 더 많은 개수의 CDMA 채널을 지원하기 위해서 제2 모뎀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불행히도 제2 세트의 안테나를 설비하여 제2 모뎀 프레임을 지원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부가의 안테나 세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부가의 모뎀 프레임을 시스템에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크로스 모뎀 프레임 조합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가의 안테나 세트 없이도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이송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복수의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전송 신호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들을 조합하기 위한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에 이용되는 제1 모뎀 프레임의 조합기 회로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부분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에 이용되는 부가의 모뎀 프레임의 조합기 회로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부분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조합기 회로에 사용되는 조합기 소자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회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조합기 회로에 사용되는 임피던스 소자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회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들을 조합하기 위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제1 모뎀 프레임의 조합기 회로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부분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부가의 모뎀 프레임의 조합기 회로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부분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들을 단일의 안테나 세트에 라우팅하도록 단일의 조합 전송 신호 세트로 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또한 출력 전력 레벨이 높은 전송 신호를 유지하도록 일체화되는 부가의 모뎀 프레임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단일의 안테나 세트를 사용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 프레임으로부터의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들을 조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복수의 모뎀 프레임 각각에서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모뎀 프레임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하나의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에 이 방법은 복수의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전송 신호의 세트들 각각으로부터의 대응 전송 신호를 단일의 조합 전송 신호 세트로 조합하는 단계, 및 이 조합된 단일의 전송 신호 세트를 단일의 안테나 세트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더욱이 메시지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하나의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모뎀 프레임,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부가의 대응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가의 모뎀 프레임, 및 단일의 안테나 세트를 포함하여,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들을 조합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1 모뎀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부가의 모뎀 프레임에 결합된 조합기 회로 및 이 하나 이상의 부가의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전송 신호 세트들로부터의 전송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단일의 안테나 세트를 포함하고, 이들을 제1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전송 신호 중 적어도 일부와 조합하여, 이 조합된 전송 신호를 단일의 안테나 세트로 라우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들을 조합하기 위한 시스템(10)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제1 모뎀 프레임(12) 및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모뎀 프레임은 네 개 까지의 CDMA 캐리어나 채널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모뎀 프레임(12) 및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은 각각 입력(16 및 18)에서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송 데이터 세트를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모뎀 프레임(12 및 14) 각각에서 메시지와 시그널링 데이터가 채널 카드의 뱅크(20)에 의해 수신되며, 이는 적당한 주파수에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데이터를 적당히 포맷하고 변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모뎀 프레임(12 및 14) 각각의 채널 카드 뱅크(20)는 병렬로 동작하는 두 개의 케이지, 제1케이지(22)와 제2 케이지(24)로 구성된다. 일단 변조되면, 각 모뎀 프레임(12 및 14)의 신호는 전송 신호의 세트를 생성하기 위해 각 조합기 회로(26 및 28)로 전달된다.
생성된 각 전송 신호는 안테나 세트의 안테나들 중 하나에 라우트되는 신호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안테나 각각은 개별의 전송 섹터에 대응한다. 적어도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세트가 6개의 전송 섹터를 지원하도록 6개의 개별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전에는 각 모뎀 프레임에서 생성되는 전송 신호 세트는 그 자신의 개별의 안테나 세트로 라우트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세트의 안테나를 설비할 필요를 없애기 위해서, 특히 소비자와 공간 요건이 제2 세트를 설비하는 것을 어렵게 할 때에는, 단일의 전송 신호 세트를 형성하도록 전송 신호를 조합한다.
이것은 제1 실시예에서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의 조합기 회로(28)에 생성되는 전송 신호(30)의 세트를 제1 모뎀 프레임(12)의 조합기 회로(26)로 라우팅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제1 모뎀 프레임(12)의 조합기 회로(26)에서는, 동일한 섹터로 전파되는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두 개의 모뎀 프레임(12 및 14) 각각으로부터의 전송 신호가 조합되어 단일의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32)를 형성한다. 조합된 세트의 전송 신호가 조합기 회로(26)로부터 전력 증폭기 회로(34)에 라우팅되고, 이에 따라 최종 증폭된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36)가 대응하여 안테나 세트에 라우팅된다. 단일의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를 생성하여, 단일의 안테나 세트를 복수의 모뎀 프레임을 지원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나타낸 제1 모뎀 프레임(12)에 사용하기 위한 조합기 회로(26)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블럭도는 6개의 전송 섹터 중 두 개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 부분 블럭도이다. 다른 네 개의 전송 섹터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는 처음의 두 전송 섹터에 대해 나타낸 회로와 동일하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조합기 회로(26)는 채널 카드(20)의 각 케이지(22 및 24)로부터의 신호(38 및 40) 세트를 제1 모뎀 프레임(12)으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에서 특정 실시예는 6개의 신호가 채널 카드(20)의 각 케이지(22 및 24)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더 크거나 더 적은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전송 섹터의 개수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것이다.
제1 케이지(22)로부터의 제1 신호(42) 및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1 신호(44)가 조합기 소자(46)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지(22)로부터의 제2 신호(48)와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2 신호(50)가 조합기 소자(52)에 결합된다. 이 신호들은 각 조합기 소자(46 및 52)에 의해 합병되어, 제1 모뎀 프레임(12)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한다. 조합기 소자(46 및 52)에 의해 생성된 신호는 제2 세트의 조합기 소자(54 및 56)에 결합되어, 제1 모뎀 프레임(12)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 세트가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으로부터 수신되어 이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30) 세트와 결합될 수 있다.
조합기 소자(46 및 52)의 출력은 임피던스 소자(58 및 60)를 통해 제2 세트의 조합기 소자(54 및 56)에 결합된다. 임피던스 소자(58 및 60)는 전송 신호의 신호 경로 차이와 관련한 임피던스 차이를 보상하도록 설계된다. 임피던스 차이는 전송 신호(30) 세트를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으로부터 제1 모뎀 프레임(12)으로 라우팅하는 것과 관련되는 부가의 케이블링 및 커넥션에 의해 초래된다.
제2 세트의 조합기 소자(54 및 56)는 전력 증폭기 회로에 결합된, 단일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32)를 형성하는 두 개의 조합 전송 신호(62 및 64)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서 나타낸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에 사용하기 위한 조합기 회로(28)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 부분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조합기 회로(26)와 유사하게, 조합기 회로(28)는 6개의 전송 섹터 중 두 개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 처리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조합기 회로(28)는 채널 카드(20)의 각 케이지(22 및 24)로부터의 신호(66 및 68) 세트를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으로부터 수신한다. 제1 케이지(22)로부터의 제1 신호(70) 및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1 신호(72)는 조합기 소자(74)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케이지(22)로부터의 제2 신호(76) 및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2 신호(78)는 조합기 소자(8)에 결합된다. 이 신호들은 각 조합기 소자(74 및 80)에 의해 합병되어,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30) 세트를 생성한다.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30) 세트가 제1 모뎀 프레임(12)의 조합기 회로(26)에 결합되고 여기에서 이들은 제1 모뎀 프레임(12)에 대응하는 신호 세트와 조합되어 단일의 조합 전송 신호 세트가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면 조합기 회로(26 및 28)에 사용되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조합기 소자에 대응하는 회로도(82)이다. 특히, 조합기 소자용 회로도(82)는 통상 윌켄슨(Wilkenson) 조합기로 언급되는 것을 나타내며, 등가의 전력을 갖는 입력부 IN1및 IN2에서 수신되는 두 개의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두 개의 입력 신호의 합과 등가인 전력을 갖는 출력 OUT에서 단일의 출력 신호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두 개의 입력 IN1과 IN2사이에는 조합기의 불균형으로 야기된 반사 전력을 흡수하는 데에 사용되는 선택적 저항기가 결합되어 있다. 저항기의 값은 입력과 출력의 특성 임피던스의 값의 두배이며, 비도전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력 및 출력과 관련되는 특정 임피던스는 50Ω이므로 저항기는 100Ω의 값을 갖는다.
입력 IN1및 IN2각각은 1/4 파장의 길이와 2의 제곱근으로 곱해진 입/출력과 관련된 특성 임피던스와 등가의 특성 임피던스, 또는 약 70.7Ω를 갖는 대응하는 일직선 도전체(86 및 88)를 거쳐 출력 OUT에 결합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합기 회로(26)에 사용되는 도 2에 나타낸 임피던스 소자에 대응하는 회로도(90)가 도시되어 있다. 회로도(90)는 저항기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입력 IN은 저항기(92)를 거쳐 출력 OUT에 결합되고, 입력 IN은 또한 저항기(94)를 거쳐 접지에 결합되고, 출력 OUT은 저항기(96)를 거쳐 접지되어 있다. 임피던스 소자는, 신호 경로 중에서 전송 신호가 하나의 모뎀 프레임으로부터 다른 것으로 라우팅되는 것과 관련되는 부가의 케이블 및 커넥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해 크게 초래되는 임피던스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 특정 신호 경로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레지스터 소자의 특정 값은 조합되는 신호 간의 신호 손실을 이퀄라이즈하는 데에 필요한 부가의 임피던스 양에 따라 좌우된다.
모두 6개의 섹터의 전송 신호를 단일의 모뎀 프레임과 관련되는 단일의 전력 증폭기 회로에 라우팅하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전력 증폭 회로가 캐리어 개수의 두배의 전송 신호에 전력 증폭을 제공하게 한다. 이것은 많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충분한 전력을 계속 제공하게 하지만, 몇몇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단일의 전력 증폭기 회로가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하는 데에 필요한 증폭 정도를 생성하는 데에는 불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가의 전력 증폭을 이용하는 부가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들을 조합하기 위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일반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오직 하나의 전력 증폭기 회로를 갖는 사이트 및 하나의 모뎀 프레임으로부터의 전송 신호와 등가이게 하도록, 일정 사이트의 전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 부가의 모뎀 프레임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조합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의 모뎀 프레임과 관련되는 부가의 전력 증폭기 회로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의 시스템(100)은 도 1에서 나타낸 시스템(10)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여기에서 동일한 소자에는 동일한 번호가 참조된다. 도 6에서 나타낸 시스템(100)은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전력 증폭기 회로(34), 및 제1 모뎀 프레임(102) 및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여러 조합기 회로(106 및 108)를 제공한다.
도 6에서 나타낸 시스템(100)은, 시스템(10)이 제1 모뎀 프레임(12)에서 조합하기 위해 부가의 모뎀 프레임(14)에서 제1 모뎀 프레임(12)으로 라우트되는 모든 섹터와 관련되는 전송 신호를 제공하고, 시스템(100)이 전송 신호중 일부만을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으로부터 제1 모뎀 프레임(102)으로 라우트하고, 두 모뎀 프레임에서 전송 신호를 조합하기 위해서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신호에 대응하지 않는 제1 모뎀 프레임(102)의 나머지 전송 신호를 제1 모뎀 프레임(102)로부터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으로 라우트한다는 점에서 도 1에서 나타낸 시스템(10)과 기능적으로 다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모뎀 프레임(102)의 조합기 회로(106)는 짝수 번호의 전송 섹터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110)를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조합기 회로(108)에 라우트한다.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조합기 회로(108)는 홀수 번호의 전송 섹터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112)를 제1 모뎀 프레임(102)의 조합기 회로(106)에 라우트한다. 도 1에선 나타낸 시스템(10)과 양립되게, 단일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가 형성되지만,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의 절반이 모뎀 프레임(102 및 104)의 조합기 회로(106 및 108) 각각에 생성된다.
조합기 회로(106 및 108)로부터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114 및 116)가 각 모뎀 프레임(102 및 104) 각각에 위치된 각 전력 증폭기 회로(34)에 라우트되고, 최종 증폭된 조합 세트의 전송 세트(118 및 120)가 안테나 세트로 라우트된다.
도 7은 도 6에서 나타낸 제1 모뎀 프레임(102)에 사용되는 조합기 회로(106)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부분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조합기 회로(26)와 유사하게, 조합기 회로(106)는 채널 카드(20)의 각 케이지(22 및 24)로부터의 신호(38 및 40) 세트를 제1 모뎀 프레임(102)로부터 수신한다. 제1 케이지(22)로부터의 제1 신호(122) 및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1 신호(124)가 조합기 소자(126)에 결합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케이지(22)로부터 제2 신호(128) 및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2 신호(130)가 조합기 소자(132)에 결합된다. 이 신호들이 각 조합기 소자(126 및 132)에 의해 합병되어, 제1 모뎀 프레임(102)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한다. 섹터 3 내지 6의 신호도 유사하게 합병되지만 도시하지는 않았다.
홀수 번호의 섹터와 관련되는 조합기 소자(126)의 출력은 임피던스 소자(136)를 거쳐, 제2 세트의 조합기 소자(134)에 결합되어 제1 프레임(102)의 홀수 번호의 섹터의 전송 신호 세트가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으로부터 수신된 홀수 번호의 섹터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112) 세트와 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짝수의 번호의 섹터와 관련되는 조합기 소자(132)의 출력이 대안적으로는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에 라우트된다. 제1 모뎀 프레임(102)의 조합기 회로(106)에 형성된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114), 즉 홀수 번호의 섹터에 대한 조합 전송 신호(114)가 제1 모뎀 프레임(102)의 전력 증폭기 회로(34)에 라우트된다. 홀수 번호의 섹터의 최종 증폭 조합 전송 신호(118)는 다음에 단일의 안테나 세트로부터의 대응 안테나에 라우팅된다.
도 8은 도 6에서 나타낸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에 사용하기 위한 조합기 회로(108)의 더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부분 블럭도이다. 조합기 회로(108)는 거의 도 7에서 나타낸 조합기 회로(106)의 미러 이미지이고, 여기에서 부가의 모뎀프레임(104)의 홀수 번호의 섹터에 대응하는 신호와 관련되는 회로는 제1 모뎀 프레임(102)의 짝수 번호의 섹터와 관련되는 회로와 동일하고,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짝수 번호의 섹터에 대응하는 신호와 관련되는 회로는 제1 모뎀 프레임(102)의 홀수 번호의 섹터와 관련되는 회로와 동일하다.
특히, 도 1에서 나타낸 조합기 회로(28)와 유사한 조합기 회로(108)는 채널 카드(20)의 각 케이지(22 및 24)로부터의 하나의 신호(66 및 68) 세트를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으로부터 수신한다. 제1 케이지(22)로부터의 제1 신호(138) 및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1 신호(140)가 조합기 소자(142)에 결합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케이지(22)로부터의 제2 신호(144) 및 제2 케이지(24)로부터의 제2 신호(146)가 조합기 소자(148)에 결합된다. 이 신호들은 각 조합기 소자(142 및 148)에 의해 합병되어,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한다. 섹터 3 내지 6의 신호들이 유사하게 합병되지만 도시하지 않았다.
짝수 번호의 섹터와 관련되는 조합기 소자(148)의 출력은 부가 프레임(104)의 짝수 번호의 섹터의 전송 신호 세트가 제1 모뎀 프레임(102)으로부터 수신된 짝수 번호의 섹터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110) 세트와 조합될 수 있도록, 임피던스 소자(152)를 거쳐 제2 세트의 조합기 소자(150)에 결합된다. 홀수 번호의 섹터와 관련되는 조합기 소자(142)의 출력은 다르게 제1 모뎀 프레임(102)으로 라우트된다.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조합기 회로(108)에 형성된 조합 세트의 전송 신호(116), 즉 짝수 번호의 섹터의 조합 전송 신호(116)가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전력 증폭기 회로(34)에 라우트된다. 다음에 짝수 번호의 섹터의최종 증폭된 조합 전송 신호(120)가 단일의 안테나 세트로부터 대응 안테나에 라우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조합기 소자 및 임피던스 소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로(82 및 90)를 이용한다.
조합 전송 신호의 절반을 이들이 단일의 안테나 세트로 라우트되기 전에 증폭하기 위해 부가의 모뎀 프레임(104)의 부가의 전력 증폭기 회로(34)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출력 레벨이 단일의 전력 증폭기 회로를 이용하는 단일의 모뎀 프레임과 등가의 레벨로 유지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시스템은, 그 일부가 상술되었으며 나머지도 본 발명에 내재된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된 방법 및 시스템에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단일의 안테나 세트를 사용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 프레임으로부터의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를 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뎀 프레임 각각에서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모뎀 프레임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송 신호 세트 각각으로부터의 대응 전송 신호를 단일의 조합 전송 신호 세트로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 단계는 일부 전송 신호들의 신호 경로에 임피던스 엘리먼트를 삽입하여 상기 신호 경로의 특성 임피던스의 인히어런트 차(inherent difference)를 보상함으로써 조합될 상기 신호들 간의 신호 손실을 등화(equalizing)하는 단계를 포함함-; 및
    상기 단일의 조합 전송 신호 세트를 상기 단일의 안테나 세트로 라우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안테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섹터들 중 대응하는 섹터에 전송을 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전송 신호의 조합 단계는 동일한 섹터로 전송될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의 조합 전송 신호 세트를 라우팅하는 단계는 동일한 섹터로 전송될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조합 전송 신호 각각을 대응하는 안테나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를 상기 복수의 모뎀 프레임들 중 동일한 모뎀 프레임으로 라우팅하여 상기 동일한 모뎀 프레임 내의 상기 전송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모뎀 프레임에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특정 섹터로 전송될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는 모두 조합을 위해 동일한 모뎀 프레임으로 라우팅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방법.
  5.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를 조합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모뎀 프레임;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부가의 대응 전송 신호 세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가 모뎀 프레임; 및
    단일의 안테나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뎀 프레임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 모뎀 프레임과 상기 단일의 안테나 세트에 결합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전송 신호 세트들로부터 전송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이들을 상기 제1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전송 신호의 적어도 일부와 조합하여, 조합된 상기 전송 신호를 상기 단일의 안테나 세트로 라우팅하는 조합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기 회로는 전송 신호를 병합(merge)하는 조합 엘리먼트와, 전송 신호의 신호 경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전송 신호들이 조합되기 전에 전송 신호들 간의 신호 손실을 등화하는 임피던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 프레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 모뎀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전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채널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안테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각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섹터 중 대응하는 것으로 전송을 행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기 회로는 동일한 섹터로 전송될 메시지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조합한 다음 적당한 안테나로 라우팅을 행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 프레임의 상기 조합기 회로는, 모뎀 프레임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송 신호 세트들로부터 모든 전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을 상기 제1 모뎀 프레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송 신호와 조합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 모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모뎀 프레임, 상기 모든 다른 부가 모뎀 프레임 및 상기 단일의 안테나 세트에 결합되어, 특정 섹터로 전송될 메시지 및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전송 신호를 수신하고 조합하여 적당한 안테나로 라우팅을 행하는 조합기 회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신호 세트의 조합 시스템.
KR10-2000-7013216A 1998-05-26 1999-03-19 전송 신호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조합 방법 및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375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84,832 US6034969A (en) 1998-05-26 1998-05-26 Method and system for cross frame transmit combining of transmit signals
US09/084,832 1998-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795A KR20010043795A (ko) 2001-05-25
KR100375478B1 true KR100375478B1 (ko) 2003-03-10

Family

ID=2218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2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5478B1 (ko) 1998-05-26 1999-03-19 전송 신호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조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34969A (ko)
EP (1) EP1082861A4 (ko)
JP (1) JP4450509B2 (ko)
KR (1) KR100375478B1 (ko)
BR (1) BR9910094A (ko)
WO (1) WO1999062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1812A1 (en) * 1999-12-20 2001-06-27 Nortel Matra Cellular Omni transmit and sectored receiv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015A1 (en) * 1995-05-24 1996-11-2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s for making a faster handover, and a cellular radio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801A (en) * 1989-09-05 1991-06-04 Motorola, Inc. Antenna switching system
US5754597A (en) * 1994-12-29 1998-05-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a digitized RF signal to a plurality of paths
CA2191098C (en) * 1995-04-03 2000-05-02 Alan Patrick Rottinghaus Multiple access up converter/modulator and method
KR20000050428A (ko) * 1999-01-08 2000-08-0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멀티-섹터 기지국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015A1 (en) * 1995-05-24 1996-11-2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s for making a faster handover, and a cellular radi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795A (ko) 2001-05-25
EP1082861A4 (en) 2004-07-21
EP1082861A1 (en) 2001-03-14
JP4450509B2 (ja) 2010-04-14
BR9910094A (pt) 2000-12-26
US6034969A (en) 2000-03-07
WO1999062279A1 (en) 1999-12-02
JP2002517145A (ja) 200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4385C (en) Optical node system for a ring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US6445472B1 (en) Optical fiber subscriber network
US7433594B2 (en) Node apparatus,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network, and system switching method
US7062173B2 (en) Optical devic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US7418204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providing simultaneously both broadcasting service and data service
JP2008546357A (ja) 実質的に閉鎖された環境内への無線カバレッジの提供
US7376355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5740289A (en) Optical arrangement for amplifying WDM signals
KR980700747A (ko) 디지탈 회로사용 무선채널에 부호분할 다중접속 신호를 발생 결합하는 변조 시스템(a practical means for digtal generation and combination of a multiplicity of coma/fdma signals)
US20040076434A1 (e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for RF and other analog signals
US6912339B2 (en) Optical interface devices having balanced amplification
KR100375478B1 (ko) 전송 신호의 크로스 프레임 전송 조합 방법 및 시스템
US20020118417A1 (en) Flexible optical add/drop architecture
US7006281B1 (en) Shared variable gain amplifier for WDM channel equalization
JP4036687B2 (ja) 複数のノード装置がリング状に接続された光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910003239B1 (ko) 통신 회로망
JPH10322313A (ja) 波長多重伝送装置
US6498665B1 (en) System for adding/dropp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signals
US20040218928A1 (e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m
JP2002300137A (ja) ハイブリッド光伝送システム
JP3137302B2 (ja) 2ルート分散収容方法
JP2000068944A (ja) 双方向光同軸伝送システム
JP2000004207A (ja) 時分割多重伝送方法及び装置
JPH03165131A (ja) 周波数多重化光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