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05B1 -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2405B1 KR100362405B1 KR1020000061294A KR20000061294A KR100362405B1 KR 100362405 B1 KR100362405 B1 KR 100362405B1 KR 1020000061294 A KR1020000061294 A KR 1020000061294A KR 20000061294 A KR20000061294 A KR 20000061294A KR 100362405 B1 KR100362405 B1 KR 1003624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net hood
- bonnet
- push
- hood
- rod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시에 보행자의 머리에 대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는 차량의 전방에서 다른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와; 본네트 후드의 후방에 위치되어, 본네트 후드의 전방 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보다 높이 들려지도록 본네트를 상방으로 밀도록 차체에 설치되는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과; 상기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을 미작동 위치에서 록킹하며, 상기 센서의 충돌 감지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본네트 푸쉬 수단을 작동시키는 록킹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네트 후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추행중에 보행자와 부딪혔을 때, 보행자의 머리에 대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충격을 흡수하여 보다 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등이 장착되는 기관실의 상부에는 기관실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본네트 후드가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네트 후드는 평상시에는 록킹 장치에 의해 록킹된 상태로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엔진과 같이 엔진룸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위하여 본네트 후드의 개방이 필요할 때는 운전석에 위치한 개방 버튼 또는 레버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본네트 후드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도 1은 폐쇄된 상태에서의 종래의 자동차 본네트 후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네트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 본네트 후드(100)는 다수의 패널들로 만들어지며, 차체의 엔진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101)에서 차체에 연결된다. 힌지(101)는 대략 40㎜의 높이를 가지며, 힌지(101)는 본네트 후드(100)가 개방될 때 본네트 후드(100)가 숏건(102, shot gun)과 함께 볼트에 의하여 차체의 셔라우드 패널에 설치된다.
한편, 자동차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충돌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량의 70%는 차체가 흡수하며, 대략 20%의 충격량은 숏건(102)에 의해서 흡수되며, 나머지 충격량은 다른 휠 하우스와 같은 부분에 의해 흡수된다. 이러한 숏건(102)은 또한 자동차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차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한편 우천시에 빗물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여 레인 레일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숏건(102)은 또한 펜더가 설치될 때, 설치 기준 위치로서도 기능한다.
한편,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의 보행자 보호 NCAP 및 법규에는 보행자를 치었을 때, 보행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본네트 후드와 차체(보다 정확하게는 엔진 등과 같은 엔진룸에 제공되는 부품)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아동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대략 50㎜ 이상, 성인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대략 70㎜ 이상의 공간이 차체와 본네트 후드 사이에 제공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본네트 후드 구조에서는 힌지의 높이가 대략 40㎜이기 때문에, 그 이상의 공간을 확보할 수 없으며, 또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펜더 부분, 카울 부분 및 후드 힌지부를 변경하는 경우에, 후드와 펜더가 들뜨기 때문에 디자인과 운전자의 하방 시계가 확보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시에 보행자의 머리에 대한 충격을 완충할 수있는 구조를 가지는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폐쇄된 상태에서의 종래의 자동차 본네트 후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네트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에 의하여 본네트 후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 2 : 막대 부재
3 : 홈 4 : 압축 스프링
5 : 수용부 6 : 록킹 기구
7 : 모터 7a ; 축
8 : 기어 100 : 본네트 후드
102 : 숏건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차량의 전방에서 다른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와; 본네트 후드의 후방에 위치되어, 본네트 후드의 전방 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보다 높이 들려지도록 본네트를 상방으로 밀도록 차체에 설치되는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과; 상기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을 미작동 위치에서 록킹하며, 상기 센서의 충돌 감지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본네트 푸쉬 수단을 작동시키는 록킹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은 숏건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도록 펜더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며, 본네트 후드가 폐쇄된 위치에 상기 록킹 기구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 막대 부재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막대 부재를 상부로 가압하도록 상기 막대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기 록킹 기구는 상기 센서의 충돌 감지에 의하여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막대 부재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센서(1)에 의하여 작동되며, 이러한 센서(1)는 자동차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이를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1)는 에어백 작동용 센서와 동일한 종류의 센서이며, 또한 에어백 작동용 센서를 이용하여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은 본네트 후드(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본네트 후드(100)의 전방 부분, 자동차에 어린이가 치었을 때 어린이의 머리가 부딪힐 수 있는 부분이 50㎜, 중간 부분, 즉 성인이 자동차에 치었을 때 성인의 머리가 부딪힐 수 있는 부분이 70㎜의 범위에서 본네트를 상방으로 밀도록 차체에 설치되며, 이러한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은 숏건(102)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막대 부재(2)와, 막대 부재(2)를 상부로 가압하도록 막대 부재(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4)을 구비한다. 막대 부재(2)는 펜더에 형성되는 수용부(5)에 수용되며, 본네트 후드(100)가 폐쇄된 위치에 록킹 기구(6)가 결합되는 홈(3)이 형성된다. 압축 스프링(4)은 막대 부재(2)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막대 부재(2)의 하부에서 수용부(5)에 수용된다.
록킹 기구(6)는 상기된 바와 같이,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의 막대 부재(2)를 미작동 위치에서 록킹하는 것으로서, 센서(1)에 의한 충돌 감지에 의하여 작동되는 모터(7)를 포함하며, 모터(7)는 막대 부재(2)에 형성된 홈(3)에 결합되는 축(7a)을 구동한다. 축(7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7)의 축에 설치된 기어(8)와 결합되는 기어부가 외주에 형성되어, 모터(7)의 회전 운동은 이러한 기어 결합에 의하여 축(7a)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에 의하여 본네트 후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센서(1)에 의하여 자동차 전방에서 충돌이 감지되었을 때, 모터(7)는 센서(1)에 의하여 작동되고, 모터(7)의 작동에 의하여, 축(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부재(2)에 형성된 홈(3)으로부터 분리된다. 축(7a)이 홈(3)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막대 부재(2)는 하부에서 막대 부재(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4)의 압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막대 부재(2)의 탄성 돌출에 의하여, 막대 부재(2)의 상부에 연결되는 숏건(102)이 막대 부재(2)와 함께 상방으로 밀려진다. 본네트 후드(100)의 후방부가 숏건(102)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막대 부재(2)가 상기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4)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릴 때, 본네트 후드(100)의 후방 부분은 본네트 후드(100)의 전방에 제공되는 스트라이커(도시되지 않음)를 중심으로 막대 부재(2)가 돌출되는 양만큼 위쪽으로 선회된다.
이 때, 본네트 후드(100)의 전방 부분, 자동차에 어린이가 치었을 때 어린이의 머리가 부딪힐 수 있는 부분이 50㎜, 중간 부분, 즉 성인이 자동차에 치었을 때 성인의 머리가 부딪힐 수 있는 부분이 70㎜의 범위에 놓이게 된다. 본네트 후드(100)가 막대 부재(2)의 돌출로 인하여 상기된 바와 같은 범위로 들어올려짐으로써, 본네트 후드(100)가 들어올려진 양만큼 본네트 후드(100)의 아래에는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통상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디자인 자유도에 따른 형체가 유지되는 한편, 자동차의 전방에서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본네트 후드(100)가 막대 부재(2)의 돌출에 의하여 튀어 오름으로써, 보행자의 머리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공간이 본네트 후드(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에 의하면, 자동차의 전방에서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본네트 후드의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사고시에 보행자의 머리에 대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Claims (3)
- 차량의 전방에서 다른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와;본네트 후드의 후방에 위치되어, 본네트 후드의 전방 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보다 높이 들려지도록 본네트를 상방으로 밀도록 차체에 설치되는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과;상기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을 미작동 위치에서 록킹하며, 상기 센서의 충돌 감지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본네트 푸쉬 수단을 작동시키는 록킹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네트 후드 푸쉬 수단은 숏건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도록 펜더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며, 본네트 후드가 폐쇄된 위치에 상기 록킹 기구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 막대 부재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막대 부재를 상부로 가압하도록 상기 막대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기구는 상기 센서의 충돌 감지에 의하여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막대 부재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1294A KR100362405B1 (ko) | 2000-10-18 | 2000-10-18 |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
US09/917,816 US6571901B2 (en) | 2000-10-18 | 2001-07-31 | Hood raising mechanism of motor vehicle |
JP2001232816A JP4806826B2 (ja) | 2000-10-18 | 2001-07-31 | 自動車のフード押上装置 |
EP01118430A EP1199229B1 (en) | 2000-10-18 | 2001-07-31 | Hood raising mechanism of motor vehicle |
DE60120320T DE60120320T2 (de) | 2000-10-18 | 2001-07-31 | Mechanismus zum Anheben der Motorhaube eines Kraftfahrzeug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1294A KR100362405B1 (ko) | 2000-10-18 | 2000-10-18 |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0931A KR20020030931A (ko) | 2002-04-26 |
KR100362405B1 true KR100362405B1 (ko) | 2002-11-25 |
Family
ID=3664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1294A KR100362405B1 (ko) | 2000-10-18 | 2000-10-18 |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571901B2 (ko) |
EP (1) | EP1199229B1 (ko) |
JP (1) | JP4806826B2 (ko) |
KR (1) | KR100362405B1 (ko) |
DE (1) | DE60120320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73218B (en) * | 2001-03-13 | 2004-12-15 | Autoliv Dev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
US7159685B2 (en) * | 2001-03-13 | 2007-01-09 | Autoliv Development Ab |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
JP2003034227A (ja) * | 2001-05-17 | 2003-02-04 | Trw Automot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 自動車のフード用の駆動装置 |
KR100405541B1 (ko) * | 2001-05-18 | 2003-11-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후드 힌지구조 |
DE10247800A1 (de) * | 2002-10-14 | 2004-04-22 | Innotec Forschungs- Und Entwicklungs-Gmbh | Fussgängerschutz-Aktuator |
DE10252285A1 (de) * | 2002-11-06 | 2004-05-27 | Takata-Petri Ag | Scharnier zur Anbindung einer Klappe, insbesondere einer Motorhaube, an einem Fahrzeugkörper |
KR100489000B1 (ko) * | 2002-11-11 | 2005-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후드힌지 장치 |
GB2395693A (en) * | 2002-11-28 | 2004-06-02 | Autoliv Dev | A motor vehicle bonnet lifting device |
GB2400353A (en) * | 2003-04-09 | 2004-10-13 | Autoliv Dev | Pedestrian detecting system provided on a motor vehicle |
DE10343882B4 (de) * | 2003-09-23 | 2005-07-14 | Kirchhoff Gmbh & Co.Kg | Anordnung einer Frontklappe an einem Fahrzeug |
WO2005077719A1 (de) * | 2004-02-17 | 2005-08-25 | Kirchhoff Gmbh & Co. Kg | Anordnung einer frontklappe mit verstellhebel an einem fahrzeug |
US7192079B2 (en) * | 2004-03-26 | 2007-03-20 | Autoliv Asp, Inc. |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
US7303040B2 (en) * | 2004-05-18 | 2007-12-04 | Autolive Asp, Inc. | Active vehicle hood system and method |
FR2878212B1 (fr) * | 2004-11-22 | 2008-08-29 | Pyroalliance Sa | Systemes d'absorption mecaniques pour articulation active de capot |
KR101028454B1 (ko) * | 2004-12-14 | 2011-04-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후드 리프트 장치 |
US7232178B2 (en) * | 2005-02-10 | 2007-06-19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Vehicle hood assembly and method of elevating vehicle hood |
FR2886612B1 (fr) * | 2005-06-06 | 2007-10-12 | Renault Sas | Dispositif de commande de l'ouverture du capot d'un vehicule, notamment pour proteger la tete d'un pieton en cas de choc. |
CA2518682A1 (en) * | 2005-09-09 | 2007-03-09 | Multimatic Inc. | Pedestrian protection hood hinge |
DE102006008900A1 (de) * | 2006-02-27 | 2007-08-30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 Aktuator für eine aktive Haube |
US7845691B2 (en) * | 2006-04-05 | 2010-12-07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Collision safety system for use with a motor vehicle |
DE102006016177A1 (de) * | 2006-04-06 | 2007-10-1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 Fahrzeugkarosserie mit aktiver Haube |
US7597166B2 (en) * | 2006-04-20 | 2009-10-06 | Autoliv Asp, Inc. | Hinge device for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
US7413049B2 (en) * | 2006-10-18 | 2008-08-19 | Antolin Asp, Inc. | Pedestrian protection hood lifting systems |
US20080114516A1 (en) * | 2006-11-15 | 2008-05-15 | Jackson David M | Inflatable pusher |
KR100877855B1 (ko) * | 2006-12-13 | 2009-01-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액티브 후드 힌지 |
US7374008B1 (en) * | 2007-05-08 | 2008-05-20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Hood elevation system |
DE102007034556A1 (de) * | 2007-07-25 | 2009-01-29 | Audi Ag |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die Frontklappe eines Kraftfahrzeuges |
JP4601700B2 (ja) * | 2008-02-01 | 2010-12-22 | 豊田合成株式会社 | フード跳ね上げ装置 |
KR100921062B1 (ko) * | 2008-05-21 | 2009-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리프트 장치 |
CN101607546B (zh) * | 2008-06-20 | 2011-07-27 | 财团法人车辆研究测试中心 | 车辆碰撞安全防护装置 |
US7997375B2 (en) * | 2009-04-17 | 2011-08-16 | Tony Shaw | Vehicle hood apparatus |
US8700257B2 (en) * | 2010-05-13 | 2014-04-15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Control methodology of pedestrian kinematics using the active hood lift system |
US8579068B2 (en) | 2011-06-02 | 2013-11-1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Hood latch and striker system for pedestrian protection |
US8490735B2 (en) * | 2011-06-28 | 2013-07-23 | Ford Global Technologies | Vehicle hood structure for pedestrian body impact protection |
EP3431347B1 (en) * | 2011-12-06 | 2020-06-24 | Magna Closures Inc. | Components for active pedestrian safety mechanism |
KR101491298B1 (ko) * | 2013-08-20 | 2015-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
US9033092B1 (en) * | 2013-11-21 | 2015-05-1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front end structure providing pedestrian protection |
US9394888B2 (en) * | 2014-03-11 | 2016-07-19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System with damper-controlled switch for shape memory alloy actuator motion control |
CN107009999A (zh) * | 2017-04-13 | 2017-08-04 | 成都科力夫科技有限公司 | 在撞击时保护人体的引擎盖 |
JP7481172B2 (ja) * | 2020-06-11 | 2024-05-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フードの付勢装置 |
CN114059865B (zh) * | 2020-08-04 | 2023-05-16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用于车辆的发动机罩总成和车辆 |
JP2024533293A (ja) * | 2021-09-13 | 2024-09-12 | テス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車両フードヒンジアセンブリ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10588A1 (de) * | 1970-03-06 | 1971-09-23 | Bruns, Fritz, Dr., 4500 Osnabrück | Vortriebseinrichtung für Schwimmer |
JPS49110432U (ko) * | 1973-01-19 | 1974-09-20 | ||
US4874199A (en) * | 1986-10-17 | 1989-10-17 | Mazda Motor Corporation | Power-driven cowl for an automotive vehicle |
JPH0481369A (ja) * | 1990-07-24 | 1992-03-16 | Honda Motor Co Ltd | 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
DE19721565B4 (de) * | 1996-05-31 | 2006-10-05 | Volkswagen Ag | Sicherheit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 zum Schutz von Fußgängern |
JPH09315266A (ja) * | 1996-05-31 | 1997-12-09 | Mitsubishi Motors Corp | 車両用フード装置 |
DE19712961B4 (de) * | 1997-03-27 | 2009-07-09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betreffend eine Einrichtung zum Anheben einer Frontklappe an einem Fahrzeug |
FR2772700B1 (fr) * | 1997-12-19 | 2000-02-04 | Peugeot | Procede de protection des pietons en cas de choc frontal avec un ve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
JP3671645B2 (ja) * | 1998-01-26 | 2005-07-1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フードのはね上げ制御装置 |
JP3471596B2 (ja) * | 1998-02-16 | 2003-12-02 | アスモ株式会社 | アクチュエータ |
JP3675209B2 (ja) * | 1999-01-14 | 2005-07-2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フード装置 |
DE19948881A1 (de) * | 1999-10-08 | 2001-04-19 | Edscha Ag | Fronthaubenanordnung |
JP3317441B2 (ja) * | 1999-07-19 | 2002-08-2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フード装置 |
US6293362B1 (en) * | 1999-07-09 | 2001-09-25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Vehicle hood apparatus |
DE59901999D1 (de) * | 1999-09-28 | 2002-08-14 | Ford Global Tech Inc | Hubkolben-Zylinder Einheit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zum Schutz von Fussgängern |
-
2000
- 2000-10-18 KR KR1020000061294A patent/KR1003624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
- 2001-07-31 US US09/917,816 patent/US657190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7-31 DE DE60120320T patent/DE60120320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7-31 EP EP01118430A patent/EP119922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7-31 JP JP2001232816A patent/JP480682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0931A (ko) | 2002-04-26 |
JP2002120761A (ja) | 2002-04-23 |
DE60120320T2 (de) | 2007-05-10 |
DE60120320D1 (de) | 2006-07-20 |
EP1199229A3 (en) | 2003-06-18 |
JP4806826B2 (ja) | 2011-11-02 |
EP1199229B1 (en) | 2006-06-07 |
EP1199229A2 (en) | 2002-04-24 |
US20020043418A1 (en) | 2002-04-18 |
US6571901B2 (en) | 2003-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2405B1 (ko) | 충격 완충용 자동차의 본네트 후드 푸쉬 기구 | |
JP5526004B2 (ja) |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 |
US7483777B2 (en) | Controller for collision object protection device | |
US6257657B1 (en) | Vehicular hood apparatus | |
GB2373218A (en) | A safety device for raising a vehicle bonne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 |
CN100337860C (zh) | 行人碰撞保护装置 | |
JP4107103B2 (ja) | リフトアップフード | |
JP4071154B2 (ja) | 自動車の衝撃力吸収装置 | |
KR100820209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엔진커버 고정 어셈블리 | |
KR100380374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 |
KR100368405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 |
KR100471472B1 (ko) |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장치 | |
KR100380363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 |
KR100376469B1 (ko) |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 |
KR100381088B1 (ko) |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 |
KR100376466B1 (ko) |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 |
KR100394960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 |
KR20080013615A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후드래치 지지 장치 | |
KR100380367B1 (ko) | 자동차용 후드로크의 충격 흡수장치 | |
KR100380366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 |
KR100657661B1 (ko) |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가드 장치 | |
KR100368406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 |
KR100368403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 |
KR100427765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카울판넬구조 | |
KR100376451B1 (ko) |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