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3978B1 -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978B1
KR100333978B1 KR10-1998-0063913A KR19980063913A KR100333978B1 KR 100333978 B1 KR100333978 B1 KR 100333978B1 KR 19980063913 A KR19980063913 A KR 19980063913A KR 100333978 B1 KR100333978 B1 KR 10033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pattern
layer
forming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142A (ko
Inventor
박운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978B1/ko
Priority to TW088108643A priority patent/TW413949B/zh
Priority to US09/418,476 priority patent/US6531392B2/en
Priority to CNB991248171A priority patent/CN1165970C/zh
Priority to JP35368099A priority patent/JP4801828B2/ja
Publication of KR2000004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142A/ko
Priority to US10/288,440 priority patent/US664993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9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6/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 H10D86/02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using masks, e.g. half-tone mas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마스크 수를 줄이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화면 표시부와 주변부를 포함하는 기판 위에 화면 표시부의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과 주변부의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고,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및 실리사이드층을 연속 증착한 다음 그 위에 양성의 감광막을 도포한다. 화면 표시부의 투과율과 주변부의 투과율이 다른 하나 이상의 마스크를 통하여 감광막에 빛을 조사한 후 현상하여 두께가 다른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화면 표시부의 감광막 패턴은 두께가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주변부의 감광막 패턴은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없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건식 식각 방법으로 사용하여, 주변부에서는 감광막이 없는 부분, 즉 게이트 패드 위의 실리사이드층,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함과 동시에, 화면 표시부에서는 감광막이 두꺼운 부분, 즉 반도체 패턴이 형성될 부분의 보호막은 남겨두고 나머지 부분의 얇은 감광막과 그 하부의 실리사이드층 및 반도체층을 제거한다. ITO층과 도전체층을 연속하여 적층하고 패터닝한 후, 드러난 실리사이드층을 제거한다. 보호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 패드, 데이터 패드 및 화소 전극을 드러낸 다음, 드러난 부분의 가장 상부 도전체층을 제거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두 장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이 기판 중 하나 또는 양쪽 각각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두 종류의 전극이 형성되어 이들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도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주사 신호에 따라 화상 신호를 제어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두 장의 기판중에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이에 의하여 제어되는 화소 전극, 박막 트랜지스터에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그리고 이 배선과 외부의 구동 회로를 연결하는 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 전극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통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또는 마주 보는 다른 기판에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박막을 성막하고 사진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제조하는데, 사진 식각 회수가 그 제조 비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최근 주로 이용되고 있는 제조 방법에서의 사진 식각 회수는 5회이다.
종래 기술의 한 예로서, A TFT Manufactured by 4 Masks Process with New Photolithography (Chang Wook Han 등, Proceedings of The 18th International Display Research Conference Asia Display 98, p. 1109-1112, 1998. 9.28-10.1)(이하 "아시아 디스플레이"라 함)에 그리드(grid) 형태의 패턴이 새겨진 마스크를 포함하는 4 장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패드를 비롯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전체에 대한 공정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전체를 어떠한 방법으로 몇 개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지에 대하여 알 수 없다. 또한, 화소에 인가된 전압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하여 유지 축전기를 형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유지 축전기는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으로 만들어진 유지 용량 전극과 보호막 위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중첩시켜 만든다. 그런데, 여기에서 유지 용량 전극은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및 보호막으로 덮여 있으며 화소 전극은 하부의 게이트 절연막 없이 직접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소 전극을 유지 용량 전극과 중첩시키기 위해서는 화소 전극을 기판 바로 위에서부터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및 보호막으로 이루어진 삼층막 위에 바로 올려야 한다. 그러면, 단차가 심해져 단선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그리드 마스크로서 처리할 수 있는 영역이 한정되어 있어 광범위한 영역을 처리할 수 없거나, 설사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식각 깊이를 갖도록 처리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231,811호, 제5,618,643호, 제4,415,262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61-181130호 등에도 그리드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거나, 광마스크의 차단층 두께를 조절하여 투과율을 다르게 함으로써 형성된 감광막의 두께차를 이용하는 이온 주입 및 박막 식각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 또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을 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소자 및 배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치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로서, 도 2에서 하나의 화소와 패드들을 중심으로 확대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Ⅳ-Ⅳ' 선 및 Ⅴ-Ⅴ'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첫 단계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6b 및 6c는 각각 도 6a에서 Ⅵb-Ⅵb' 선 및 Ⅵc-Ⅵc'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6a 내지 6c 다음 단계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7b 및 7c는 각각 도 7a에서 Ⅶb-Ⅶb' 선 및 Ⅶc-Ⅶc'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a 및 8b, 도 9a 및 9b와 도 10은 각각 도 7a 내지 7c의 단계에서 사용되는 광마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a 및 11b는 각각 도 7a에서 Ⅶb-Ⅶb' 선 및 Ⅶc-Ⅶc'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b 및 도 7c 다음 단계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2a는 도 11a 내지 11b 다음 단계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2b 및 12c는 각각 도 12a에서 XⅡb-XⅡb' 선 및 XⅡc-XⅡc'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3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XⅣ-XⅣ' 선 및 XⅤ-XⅤ'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첫 단계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6b 및 16c는 각각 도 16a에서 XⅥb-XⅥb' 선 및 XⅥc-XⅥc'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a는 도 16a 내지 16c 다음 단계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7b 및 17c는 각각 도 17a에서 XⅦb-XⅦb' 선 및 XⅦc-XⅦc'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a는 도 17a 내지 17c 다음 단계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며,
도 18b 및 18c는 각각 도 17a에서 XⅧb-XⅧb' 선 및 XⅧc-XⅧc'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이트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창을 최소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박막과 함께 패터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표시부와 주변부를 포함하는 기판 위에 화면 표시부의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과 주변부의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 패턴 위에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접촉층 패턴을 형성한 후, 그 위에 화면 표시부의 데이터선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주변부의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한다. 채널 보호막 패턴을 형성하고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게이트 절연막 패턴 형성 단계에서 화면 표시부를 패터닝하기 위한 제1 광마스크와 제1 광마스크와 투과율이 다르며 주변부를 패터닝하기 제2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며,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접촉층 패턴 및 반도체층 패턴과 함께 한 번의 식각 공정으로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감광막은 양성 감광막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광마스크의 투과율은 제2 광마스크의 투과율의 20 % 내지 60 %인 것이 좋다.
제1 및 제2 광마스크는 각각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한 패턴층과 적어도 패턴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펠리클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광마스크의 투과율 차이는 상기 제1 및 제2 광마스크의 펠리클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마스크는 하나의 마스크를 이루며 이 때 이 마스크는 높이가 다른 두 개의 패턴층을 형성하여 투과율 차이를 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투과율 차이는 노광에 사용되는 광원의 분해능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슬릿이나 격자 모양의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표시부와 주변부를 포함하는 기판 위에 화면 표시부의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과 상기 주변부의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고, 게이트 배선 위에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및 접촉층을 적층한다. 접촉층 위에 감광막을 도포한 후, 화면 표시부를 패터닝하기 위한 제1 광마스크와 제1 마스크와 투과율이 다르며 주변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감광막을 노광하고, 감광막을 현상하여 두께가 다른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 한 번의 식각 공정을 통하여 화면 표시부의 접촉층 및 그 하부의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1차 접촉층 패턴 및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주변부의접촉층, 반도체층 및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창을 형성한다. 제1 도전체층 및 제2 도전체층을 연속하여 적층한 후, 그 하부의 1차 접촉층 패턴과 함께 사진 식각하여 상층막 및 하층막의 이중막으로 이루어지며 화면 표시부의 데이터선, 소스 및 드레인 전극, 화소 전극과 주변부의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과 그 하부의 2차 접촉층 패턴을 형성한다. 그 위에 보호 절연막을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 패드와 데이터 패드 및 화소 전극을 드러낸 후, 마지막으로 게이트 패드와 데이터 패드 및 화소 전극의 상층막을 제거한다.
여기에서, 제1 도전체층은 ITO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층은 실리사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게이트 배선과 함께 화면 표시부의 공통 전극선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공통 전극 배선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접촉층을 연속하여 증착한 후, 앞과 동일한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화면 표시부의 1차 접촉층 패턴 및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주변부의 게이트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창을 형성한다. 도전체층을 적층하고 1차 접촉층 패턴과 함께 사진 식각하여 화면 표시부의 데이터선, 소스 및 드레인 전극, 화소 전극과 주변부의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과 그 하부의 2차 접촉층 패턴을 형성한 후, 보호 절연막을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 패드와 데이터 패드를 드러냄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완성된다.
그러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게이트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창을 반도체층 및 그 위의 접촉층과 함께 패터닝하되, 화면 표시부에서는 반도체층 및 접촉층만을 패터닝하고 게이트 절연막을 남기고 게이트 패드부에서는 게이트 절연막을 완전히 제거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절연 기판에 동시에 여러 개의 액정 표시 장치용 패널 영역이 만든다. 예를 들면, 도 1에서와 같이, 유리 기판(1) 하나에 4 개의 액정 표시 장치용 패널 영역(110, 120, 130, 140)이 만들어지며, 만들어지는 패널이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인 경우, 패널 영역(110, 120, 130, 140)은 다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면 표시부(111, 121, 131, 141)와 주변부(112, 122, 132, 142)를 포함한다. 화면 표시부(111, 121, 131, 141)에는 주로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및 화소 전극 등이 행렬의 형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주변부(112, 122, 132, 142)에는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는 요소 즉, 패드와 기타 정전기 보호 회로 등이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때에는 통상 스테퍼(stepper) 노광기를 사용하며, 이 노광기를 사용할 때에는 화면 표시부(111, 121, 131, 141) 및주변부(112, 122, 132, 142)들을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구역 별로 동일한 마스크 또는 다른 광마스크를 사용하여 박막 위에 코팅된 감광막을 노광하고, 노광한 후 기판 전체를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을 만든 후, 하부의 박막을 식각함으로써 특정 박막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박막 패턴을 반복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스테퍼 노광기를 사용하지 않고 한 번에 노광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절연 기판에 하나의 액정 표시 패널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서 하나의 패널 영역에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선(1)으로 둘러싸인 화면 표시부에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3)와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63)과 게이트선(22) 및 데이터선(72)을 포함하는 배선 등이 형성되어 있다. 화면 표시부 바깥의 주변부에는 게이트선(22) 끝에 연결된 게이트 패드(24)와 데이터선(72) 끝에 연결된 데이터 패드(74)가 배치되어 있고,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소자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게이트선(22) 및 데이터선(72)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등전위로 만들기 위한 게이트선 단락대(shorting bar)(4) 및 데이터선 단락대(5)가 배치되어 있으며, 게이트선 단락대(4) 및 데이터선 단락대(5)는 단락대 연결부(6)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단락대(4, 5)는 나중에 제거되며, 이들을 제거할 때 기판을 절단하는 선이 도면 부호 2이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 부호 7은 접촉창으로서 게이트선 단락대(4) 및 데이터선 단락대(5)와 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을사이에 두고 있는 단락대 연결부(6)를 연결하기 위하여 절연막에 뚫려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서 화면 표시부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및 배선과 주변부의 패드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배치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Ⅳ-Ⅳ' 선과 Ⅴ-Ⅴ'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절연 기판(10) 위에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Al alloy), 몰리브덴(Mo) 또는 몰리브덴-텅스텐(MoW) 합금, 크롬(Cr), 탄탈륨(Ta) 등의 금속 또는 도전체로 만들어진 게이트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배선은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주사 신호선 또는 게이트선(22), 게이트선(22)의 끝에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주사 신호를 인가 받아 게이트선(22)으로 전달하는 게이트 패드(24) 및 게이트선(22)의 분지인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26)을 포함한다.
게이트 배선(22, 24, 26)은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중층이나 삼중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중층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한 층은 저항이 작은 물질로 형성하고 다른 층은 다른 물질과의 접촉 특성이 좋은 물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Cr/Al(또는 Al 합금)의 이중층 또는 Al/Mo의 이중층이 그 예이다.
게이트 배선(22, 24, 26) 위에는 질화규소(SiNx) 따위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30)이 형성되어 게이트 배선(22, 24, 26)을 덮고 있다.
게이트 절연막(30) 위에는 수소화 비정질 규소(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따위의 반도체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패턴(42, 48)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 패턴(42, 48) 위에는 실리사이드 따위로 이루어진 저항성 접촉층(ohmic contact layer) 패턴 또는 중간층 패턴(55, 56, 57, 5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반도체층 패턴(42, 48) 및 접촉층 패턴(55, 56, 57, 59)은 화면 표시부 내부에서는 게이트 전극(26)의 상부 등 게이트 배선(22, 24, 26)과 후술할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부에서는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단, 게이트 패드(24) 위의 접촉층 패턴(57), 반도체층 패턴(48) 및 게이트 절연막(30)에는 게이트 전극(26)을 드러내는 접촉창(31)이 뚫려 있다.
접촉층 패턴(55, 56, 57, 59) 위에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데이터층 패턴(62, 63, 64, 65, 66, 67)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는 Mo 또는 MoW 합금, Cr, Al 또는 Al 합금, Ta 따위의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데이터층 패턴(72, 74, 75, 76, 77)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배선은 먼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62, 72), 데이터선(62, 7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인가받는 데이터 패드(64, 74), 그리고 데이터선(62, 72)의 분지인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65, 75)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선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배선은 또한 데이터선부와 분리되어 있으며 게이트 전극(26)에 대하여 소스 전극(65, 75)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66, 76)과 드레인 전극(66, 76)과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63), 그리고 접촉창(31)을 통하여 게이트 패드(24) 바로 위에 형성되어 게이트 패드(24)를 덮는 보조 게이트 패드(67, 77)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데이터선(62, 72), 소스 전극(65, 75), 드레인 전극(66, 76)은 이중층으로되어 있고, 보조 게이트 패드(67, 77) 및 데이터 패드(64, 74)는 일부만 이중층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제1 데이터층 패턴(67, 64)의 단일층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소 전극(63)은 제1 데이터층 패턴(67, 64)의 단일층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화소 전극(63)은 게이트선(22)과 중첩되어 유지 축전기를 이룬다.
제2 데이터층 패턴(72, 74, 75, 76, 77)도 게이트 배선(22, 24, 26)과 마찬가지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중층이나 삼중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중층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한 층은 저항이 작은 물질로 형성하고 다른 층은 다른 물질과의 접촉 특성이 좋은 물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층 패턴(55, 56, 57, 59)은 그 하부의 반도체층 패턴(42, 48)과 그 상부의 제1 데이터층 패턴(62, 63, 64, 65, 66, 67)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며, 반도체층 패턴(42, 48)과 제1 데이터층 패턴(62, 63, 64, 65, 66, 67)의 사이에만 존재한다.
제2 데이터층 패턴(72, 74, 75, 76, 77)과 데이터 배선으로 덮이지 않은 반도체층 패턴(42, 48)은 보호막(80)으로 덮여 있으며, 반도체층 패턴(42) 중에서 적어도 소스 전극(75)과 드레인 전극(76)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 부분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막(80)은 질화규소나 아크릴계 따위의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화소 전극(63)의 재료의 예로 투명한 ITO를 들었으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불투명한 도전 물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12c와 앞서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따위의 도전체층을 스퍼터링 따위의 방법으로 1,000 Å 내지 3,000 Å의 두께로 증착하고 첫째 마스크를 이용하여 건식 또는 습식 식각하여, 기판(10) 위에 게이트선(22), 게이트 패드(24) 및 게이트 전극(26)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한다.
다음,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30) 및 반도체층(40)을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각각 1,500 Å 내지 5,000 Å, 500 Å 내지 1,500 Å의 두께로 연속 증착한다. 이어 반도체층(40)과 반응하여 실리사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면 크롬 등의 내화성 금속을 스퍼터링 따위의 방법으로 증착하여 반도체층(40) 위에 300 Å 내지 600 Å의 두께의 실리사이드층(50)을 형성한 후, 남은 금속층을 제거한다. 제2 마스크를 사용하여 실리사이드층(50)과 반도체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 패턴(42, 48)과 그 위의 실리사이드 패턴(52, 58) 및 접촉창(31)을 형성한다(도 11a 및 11b 참고). 이때, 주변부(P)에서는 게이트 패드(24) 위의 실리사이드층(50), 반도체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을 제거하지만, 화면 표시부(D)에서는 반도체층 패턴(42, 48) 및 그 상부의 실리사이드 패턴(52, 58) 이외의 부분에서는 반도체층(40)과 실리사이드층(50)만을 제거하고 게이트 절연막(30)은 제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부분에 따라 두께가 다른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식각 마스크로 하여 하부의 막들을 건식 식각하는데, 이를 도 7b 내지 도 11b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실리사이드층(50) 위에 감광막(PR), 바람직하게는 양성의 감광막을 5,000 Å 내지 30,000 Å의 두께로 도포한 후, 제2 마스크(300, 410, 420)를 통하여 노광한다. 노광 후의 감광막(PR)은 도 7b 및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 표시부(D)와 주변부(P)가 다르다. 즉, 화면 표시부(D)의 감광막(PR) 중에서 빛에 노출된 부분(C)은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만이 빛에 반응하여 고분자가 분해되고 그 밑으로는 고분자가 그대로 남아 있으나, 주변부(P)의 감광막(PR)은 이와는 달리 빛에 노출된 부분(B)은 하부까지 모두 빛에 반응하여 고분자가 분해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화면 표시부(D)나 주변부(P)에서 빛에 노출되는 부분(C, B)은 실리사이드층(50)이 제거될 부분이다.
이를 위해서는 화면 표시부(D)에 사용하는 마스크(300)와 주변부(P)에 사용하는 마스크(410, 420)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300, 400)는 통상 기판(310, 410)과 그 위의 크롬 따위로 이루어진 불투명한 패턴층(320, 420), 그리고 패턴층(320, 420) 및 노출된 기판(310, 410)을 덮고 있는 펠리클(pellicle)(330, 430)로 이루어지는데, 화면 표시부(D)에 사용되는 마스크(300)의 펠리클(330)의 광 투과율이 주변부(P)에 사용되는 마스크(400)의 펠리클(430)의 광 투과율보다 낮도록 하는 것이다. 펠리클(330)의 투과율이 펠리클(430)의 투과율의 10 %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60 % 정도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표시부(D)의 마스크(300)에는 전면에 걸쳐 크롬층(350)을 약 100 Å 내지 300 Å의 두께로 남겨 투과율을 낮추고, 주변부(P)의 마스크(400)에는 이러한 크롬층을 남기지 않는 것이다. 이때, 화면 표시부(D)에 사용되는 마스크(300)의 펠리클(340)은 주변부(P)의 펠리클(430)과 동일한 투과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의 두 가지 방법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의 두 가지 예에서는 스테퍼를 사용한 분할 노광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화면 표시부(D)와 주변부(P)가 다른 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분할 노광하는 경우에는 이외에도 화면 표시부(D)와 주변부(P)의 노광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화면 표시부(D)와 주변부(P)를 분할 노광하지 않고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의 구조를 도 10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500)의 기판(510) 위에는 투과율 조절막(550)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과율 조절막(550) 위에 패턴층(520)이 형성되어 있다. 투과율 조절막(550)은 화면 표시부(D)에서는 패턴층(520) 하부뿐 아니라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주변부(P)에서는 패턴층(550)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결국 기판(510) 위에는 높이가 다른 두 개 이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셈이 된다.
물론, 주변부(P)에도 투과율 조절막을 둘 수 있으며, 이 경우 주변부(P)의 투과율 조절막의 투과율은 화면 표시부(P)의 투과율 조절막(550)의 투과율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투과율 조절막(550)을 가지는 광마스크(500)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기판(500) 위에 투과율 조절막(550)과, 이 투과율 조절막(550)과 식각비가 다른 패턴층(520)을 연속하여 적층한다. 전면에 걸쳐 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고 노광, 현상한 후 감광막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패턴층(520)을 식각한다. 남은 감광막을 제거한 후 다시 주변부(P)의 접촉창에 대응하는 위치의 투과율 조절막을 노출시키는 새로운 감광막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다음, 이를 식각 마스크로 하여 투과율 조절막(550)을 식각함으로써 광마스크(500)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광원의 분해능보다 작은 크기의 슬릿(slit)이나 격자 모양의 미세 패턴을 가지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런데, 감광막(PR) 중 하부에 반사율이 높은 금속층, 즉 게이트 배선(22, 24, 26)이 있는 부분은 반사된 빛으로 인하여 노광시 다른 부분보다 빛의 조사량이 많아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는 층을 두거나 착색된 감광막(PR)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감광막(PR)을 노광한 후, 현상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다른 감광막 패턴(PR)이 만들어진다. 즉, 게이트 패드(24) 일부 위에는 감광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게이트 패드(24)를 제외한 모든 주변부(P)와 화면 표시부(D)에서 반도체층 패턴이 형성될 부분의 실리사이드층(50)의 상부에는 두꺼운 감광막(A)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면 표시부(D)에서 기타 부분에는 얇은 감광막(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감광막(PR)의 얇은 부분의 두께는 최초 두께의 약 1/4 내지 1/7 수준 즉 350 Å 내지 10,000 Å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Å 내지 6,000 Å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 예를 들면, 감광막(PR)의 최초 두께는 25,000 Å 내지 30,000 Å으로 하고, 화면 표시부(D)의 투과율을 30 %로 하여 얇은 감광막의 두께가 3,000 Å 내지 5,000 Å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남기는 두께는 건식 식각의 공정 조건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공정 조건에 따라 마스크의 펠리클, 잔류 크롬층의 두께 또는 투과율 조절막의 투과율이나 노광시간 등을 조절하여야 한다.
이러한 얇은 두께의 감광막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감광막을 노광, 현상한 후 리플로우를 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 건식 식각 방법으로 감광막 패턴(PR) 및 그 하부의 막들, 즉 실리사이드층(50), 반도체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에 대한 식각을 진행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감광막 패턴(PR) 중 A 부분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어야 하고, B 부분 하부의 실리사이드층(50), 반도체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이 제거되어야 하며, C 부분 하부에서는 실리사이드층(50)과 반도체층(40)만을 제거하고 게이트 절연막(30)은 제거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감광막 패턴(PR)과 그 하부의 막들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건식 식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식 식각 방법을 사용하면, 도 11a 및 11b에 도시한 것처럼, 감광막이 없는 B 부분 하부의 실리사이드층(50), 반도체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의 3개층과 C 부분에서는 얇은 두께의 감광막, 실리사이드층(50) 및 반도체층(40)의 3개층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다. 이때 감광막 패턴(PR)의 A 부분도 어느 정도 두께까지 식각된다.
따라서, 한 번의 마스크 공정과 건식 식각 방법을 통하여 화면 표시부(D)에서는 실리사이드층(50)과 반도체층(40)만을 제거하여 실리사이드층 패턴(52, 58) 및 반도체층 패턴(42, 48)을 형성하고, 주변부(P)에서는 실리사이드층(50), 반도체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을 모두 제거하여 접촉창(3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남아 있는 A 부분의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400 Å 내지 500 Å 두께의 ITO층과 1,500 Å 내지 3,000 Å의 두께의 도전체층을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증착한다. 이어, 제3 마스크를 사용하여 도전체층, ITO층 및 그 아래의 실리사이드 패턴(52, 58)을 패터닝하여, 도 12a 내지 도 12c와 같은 구조의 데이터 배선과 그 하부의 접촉층 패턴(55, 56, 57, 59)을 형성한다. 이때, 데이터 배선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이어서, 두 층이 동일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화규소를 CVD 방법으로 증착하거나 유기 절연 물질을 스핀 코팅하여 3,000 Å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보호막(80)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한다. 이 때, 보호막(80)이 화소 전극(63), 보조 게이트 패드(67) 및 데이터 패드(64)의 상부층, 즉 제2 데이터층 패턴(76, 77, 74)의 일부가 드러내도록 패터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2 데이터층 패턴(76, 77, 74) 중 드러난 부분을 제거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패드(24)를 드러내는 접촉창(31)을 반도체층 패턴(42, 48) 및 그 위의 실리사이드 패턴(52, 58)과 함께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수를 줄인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화소 전극만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지금부터 설명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나타나 있으며, 도 13 내지 도 18c를 참고로 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3에서 XⅣ-XⅣ' 선과 XⅤ-XⅤ'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절연 기판(10) 위에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Al alloy), 몰리브덴(Mo) 또는 몰리브덴-텅스텐(MoW) 합금, 크롬(Cr), 탄탈륨(Ta) 등의 금속 또는 도전체로 만들어진 게이트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배선은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주사 신호선 또는 게이트선(22), 게이트선(22)의 끝에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주사 신호를 인가 받아 게이트선(22)으로 전달하는 게이트 패드(24) 및 게이트선(22)의 일부인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26)을 포함한다.
기판(10) 위에는 또한 게이트 배선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 배선은 게이트선(22)과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공통 전극선(27)과 공통 전극선(27)의 세로 방향 분지인 공통 전극(28)을 포함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통 전극선(27)의 끝에 형성되어 공통 전극 신호를 인가 받아 공통 전극선(27)으로 전달하는 공통 전극선 패드도 게이트 패드(24)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배선(22, 24, 26) 및 공통 전극 배선(27, 28) 위에는 질화규소(SiNx) 따위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30)이 형성되어 게이트 배선(22, 24, 26) 및 공통 전극 배선(27, 28)을 덮고 있다.
게이트 절연막(30) 위에는 수소화 비정질 규소 따위의 반도체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패턴(42, 44, 48)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 패턴(42, 44, 48) 위에는 인(P) 따위의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수소화 비정질 규소나 실리사이드 따위로 이루어진 저항성 접촉층 패턴 또는 중간층 패턴(54, 55, 56, 5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반도체층 패턴(42, 44, 48)은 화면 표시부 내부에서는 게이트 전극(26)의 상부 등 게이트 배선(22, 24, 26) 및 공통 전극 배선(27, 28)과 후술할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부에서는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단, 반도체층 패턴(48) 및 게이트 절연막(30)에는 게이트 전극(26)을 드러내는 접촉창(31)이 뚫려 있다.
접촉층 패턴(54, 55, 56, 59) 위에는 Mo 또는 MoW 합금, Cr, Al 또는 Al 합금, Ta 따위의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데이터 배선(72, 74, 75, 76, 77, 78, 79)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배선은 먼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72), 데이터선(7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인가받는 데이터 패드(74), 그리고 데이터선(72)의 분지인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75)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선부를 포함하며, 데이터선부(72, 74, 75)와 분리되어 있으며 게이트 전극(26)에 대하여 소스 전극(75)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76)을 포함한다. 데이터 배선은 또한, 드레인 전극(76)과 연결되어 있으며 공통 전극선(27)과 평행한 가로 방향의 화소 전극선(79)과 화소 전극선(79)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통 전극(28)과 평행한 화소 전극(78)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78)과 공통 전극(28)은 교대로 배치되어 전기장을 형성한다.
한편, 화소 전극(78)은 공통 전극선(27)과 중첩되어 유지 축전기를 이룰 수도 있다.
데이터 배선(72, 74, 75, 76, 77, 78, 79)도 게이트 배선(22, 24, 26) 및 공통 전극 배선(27, 28)과 마찬가지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중층이나 삼중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중층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한 층은 저항이 작은 물질로 형성하고 다른 층은 다른 물질과의 접촉 특성이 좋은 물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층 패턴(54, 55, 56, 59)은 그 하부의 반도체층 패턴(42, 44, 48)과 그 상부의 데이터 배선(72, 74, 75, 76, 77, 78, 79)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며, 반도체층 패턴(42, 44, 48)과 데이터 배선(72, 74, 75, 76, 77, 78, 79)의 사이에만 존재한다.
데이터 배선(72, 74, 75, 76, 77, 78, 79)과 데이터 배선으로 덮이지 않은 반도체층 패턴(42, 44, 48)은 보호막(80)으로 덮여 있으며, 게이트 패드(24) 및 데이터 패드(74)를 드러내는 접촉창(82, 83)을 가지고 있다. 보호막(80)은 반도체층패턴(42) 중에서 적어도 소스 전극(75)과 드레인 전극(76)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 부분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질화규소나 아크릴계 따위의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6a 내지 도 18c와 앞서의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6a 내지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따위의 도전체층을 스퍼터링 따위의 방법으로 1,000 Å 내지 3,000 Å의 두께로 증착하고 첫째 마스크를 이용하여 건식 또는 습식 식각하여, 기판(10) 위에 게이트선(22), 게이트 패드(24) 및 게이트 전극(26)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과 공통 전극선(27), 공통 전극선 패드(도시하지 않음) 및 공통 전극(28)을 포함하는 공통 전극 배선을 형성한다.
다음, 도 17a 및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30), 비정질 규소층(40) 및 도핑된 비정질 규소층(50)을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각각 1,500 Å 내지 5,000 Å, 500 Å 내지 1,500 Å, 300 Å 내지 600 Å의 두께로 연속 증착한다. 제2 마스크를 사용하여 도핑된 비정질 규소층(50)과 비정질 규소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 패턴(42, 44, 48)과 그 위의 도핑된 비정질 규소층 패턴(52, 54, 58) 및 접촉창(31)을 형성한다. 이때, 주변부(P)에서는 게이트 패드(24) 위의 도핑된 비정질 규소층(50), 비정질 규소층(40) 및 게이트 절연막(30)을 제거하지만, 화면 표시부(D)에서는 반도체층 패턴(42, 44, 48) 및 그 상부의 도핑된 비정질 규소층 패턴(52, 54, 58) 이외의 부분에서는 반도체층(40)과도핑된 비정질 규소층(50)만을 제거하고 게이트 절연막(30)은 제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사용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즉, 부분에 따라 두께가 다른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식각 마스크로 하여 하부의 막들을 건식 식각하며, 이러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할 때에는 부분에 따라 광 투과율이 다른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어 금속 따위의 도전체층을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1,500 Å 내지 3,000 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어, 제3 마스크를 사용하여 도전체층 및 그 아래의 도핑된 비정질 규소층 패턴(52, 54, 58)을 패터닝하여, 도 18a 내지 도 18c와 같은 구조의 데이터 배선(72, 74, 75, 76, 77, 78, 79)과 그 하부의 접촉층 패턴(54, 55, 56, 59)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화규소를 CVD 방법으로 증착하거나 유기 절연 물질을 스핀 코팅하여 3,000 Å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보호막(80)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하여, 게이트 패드(24), 공통 전극선 패드 및 데이터 패드(74)를 드러내는 접촉창(82, 83)을 형성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패드(24)를 드러내는 접촉창(31)을 반도체층 패턴(42, 44, 48) 및 그 위의 도핑된 비정질 규소층 패턴(52, 54, 58)과 함께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수를 줄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박막의 새로운 사진 식각 방법을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공정 수를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고 수율도 높여준다. 또한, 넓은 면적을 서로 다른 깊이로 식각하면서도 하나의 식각 깊이에 대해서는 균일한 식각 깊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화면 표시부와 주변부를 포함하는 기판 위에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에 위치한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배선 위에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 위에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 패턴 위에 접촉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촉층 패턴 위에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데이터선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에 위치한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채널 보호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 형성 단계에서 상기 화면 표시부를 패터닝하기 위한 제1 광마스크와 상기 제1 광마스크와 투과율이 다르며 상기 주변부를 패터닝하기 제2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상기 반도체층 패턴 및 상기 접촉층 패턴과 함께 한 번의 사진 공정으로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양성 감광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광마스크의 투과율은 상기 제2 광마스크의 투과율의 20 % 내지 60 %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광마스크는 각각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한 패턴층과 적어도 상기 패턴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펠리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광마스크의 투과율 차이는 상기 제1 및 제2 광마스크의 펠리클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광마스크는 하나의 마스크를 이루며 상기 마스크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턴층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제1 패턴층과 높이가 다른 제2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광마스크의 투과율 차이는 상기 제1 및 제2 패턴층의 높이차로 인하여 생기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광마스크의 투과율 차이는 상기 노광에 사용되는 광원의 분해능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슬릿이나 격자 모양의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조절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7. 화면 표시부와 주변부를 포함하는 기판 위에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조사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의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배선 위에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접촉층을 연속하여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접촉층 위에 감광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화면 표시부를 패터닝하기 위한 제1 광마스크와 상기 제1 마스크와 투과율이 다르며 상기 주변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막을 노광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을 현상하여 두께가 다른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한 번의 식각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의 상기 접촉층 및 그 하부의상기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1차 접촉층 패턴 및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주변부의 상기 접촉층, 상기 반도체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창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도전체층 및 제2 도전체층을 연속하여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층과 그 하부의 상기 1차 접촉층 패턴을 사진 식각하여 상층막 및 하층막의 이중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데이터선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에 위치한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과 그 하부의 2차 접촉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 절연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보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 및 상기 화소 전극을 드러내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게이트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 및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상층막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도전체층은 ITO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접촉층은 실리사이드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10. 화면 표시부와 주변부를 포함하는 기판 위에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에 위치한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화면 표시부의 공통 전극선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공통 전극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배선 및 공통 전극 배선 위에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접촉층을 연속하여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접촉층 위에 감광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화면 표시부를 패터닝하기 위한 제1 광마스크와 상기 제1 마스크와 투과율이 다르며 상기 주변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막을 노광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을 현상하여 두께가 다른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한 번의 식각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의 상기 접촉층 및 그 하부의 상기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1차 접촉층 패턴 및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주변부의 상기 접촉층, 상기 반도체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창을 형성하는 단계,
    도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도전체층과 그 하부의 상기 1차 접촉층 패턴을 사진 식각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데이터선,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에 위치한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과 그 하부의 2차 접촉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 절연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보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를 드러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11. 화면 표시부와 주변부를 포함하는 기판 위에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에 위치한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배선 위에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 위에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 패턴 위에 접촉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촉층 패턴 위에 상기 화면 표시부에 위치한 데이터선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구동 소자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변부에 위치한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채널 보호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 형성 단계에서 상기 화면 표시부를 패터닝하기 위한 감광막 패턴의 두께와 상기 주변부를 패터닝하기 위한 감광막 패턴의 두께가 서로 다르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 상기 반도체층 패턴 및 상기 접촉층 패턴을 한 번의 사진 공정으로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998-0063913A 1998-12-12 1998-12-28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13A KR100333978B1 (ko) 1998-12-28 1998-12-28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TW088108643A TW413949B (en) 1998-12-12 1999-05-26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09/418,476 US6531392B2 (en) 1998-12-12 1999-10-15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using photolithography techniques
CNB991248171A CN1165970C (zh) 1998-12-12 1999-11-18 供液晶显示器用薄膜晶体管阵列面板及其制造方法
JP35368099A JP4801828B2 (ja) 1998-12-12 1999-12-13 液晶表示装置用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の製造方法
US10/288,440 US6649934B2 (en) 1998-12-12 2002-11-06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13A KR100333978B1 (ko) 1998-12-28 1998-12-28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142A KR20000047142A (ko) 2000-07-25
KR100333978B1 true KR100333978B1 (ko) 2003-06-02

Family

ID=1957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9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978B1 (ko) 1998-12-12 1998-12-28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94B1 (ko) 2006-05-15 2013-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855A (ko) * 2002-07-05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904268B1 (ko) * 2002-12-31 200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0483232C (zh) 2006-05-23 2009-04-2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tft lcd阵列基板结构及其制造方法
JP2008010440A (ja) * 2006-06-27 2008-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tftアレ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64836B (zh) * 2017-07-19 2020-04-1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顶栅型薄膜晶体管的制作方法及顶栅型薄膜晶体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0518A (ja) * 1987-10-14 1989-04-18 Hitachi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H06289589A (ja) * 1993-03-31 1994-10-18 Toppan Printing Co Ltd 位相シフト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そしてそれに用いるブラン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0518A (ja) * 1987-10-14 1989-04-18 Hitachi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H06289589A (ja) * 1993-03-31 1994-10-18 Toppan Printing Co Ltd 位相シフト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そしてそれに用いるブラン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94B1 (ko) 2006-05-15 2013-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142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1600B2 (ja) 液晶表示装置用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1828B2 (ja) 液晶表示装置用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の製造方法
JP2000164584A (ja) 薄膜の写真エッチング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用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の製造方法
JP2004531086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09925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광마스크
KR10054304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333978B1 (ko)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KR100560969B1 (ko) 액정표시장치용광마스크의제조방법
KR100508034B1 (ko) 박막의 사진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767357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55524A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315921B1 (ko)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KR100729767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63594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83519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623975B1 (ko) 박막의 사진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79674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590755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09710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601177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01167B1 (ko) 박막의사진식각방법및이를이용한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KR100783699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0816334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46439A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20328

Appeal identifier: 2001101003914

Request date: 2001113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1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4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2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11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