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839B1 -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Google Patents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30839B1 KR100330839B1 KR1020000010697A KR20000010697A KR100330839B1 KR 100330839 B1 KR100330839 B1 KR 100330839B1 KR 1020000010697 A KR1020000010697 A KR 1020000010697A KR 20000010697 A KR20000010697 A KR 20000010697A KR 100330839 B1 KR100330839 B1 KR 1003308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gree
- freedom
- connector
- coupling piece
- bea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90898 Desensitizer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586 desensit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4 computer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3개의 이동편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이동대와,상기 이동대의 중앙부 상면에 토오크 센서를 개재한 상태로 설치되는 조정축과,상기 이동대의 3개의 이동편 단부에 각각 그 일단이 1자유도 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3개의 수직봉과,한 쌍의 2절 링크로 이루어진 3개의 2자유도 기구부와,상기 3개의 수직봉 타단과 상기 3개의 2자유도 기구부의 상부링크들을 각각 연결하는 3자유도 핀 조인트와,상기 3개의 2자유도 기구부의 하부링크들과 각각 그 회전축이 연결되어 3개의 2자유도 기구부를 구동시키는 6개의 모터와,상기 6개의 모터가 소정간격을 두고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1자유도 핀 조인트는, 상기 3개의 수직봉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과, 선단에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 면에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이동대의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에 형성된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베어링의 내륜에 고정되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1자유도 핀 조인트는, 상기 3개의 수직봉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과, 선단에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 면에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이동대의 이동편과, 일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양측 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상기 이동편의 선단에 끼워지는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과 상기 이동편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끼워져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핀과. 상기 수직봉의 결합편에 설치된 제1베어링의 내륜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연결구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3자유도 핀 조인트는, 상기 2자유도 기구부의 상부링크들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및 제3베어링과, 상기 제2 및 제3 베어링의 내륜에 끼워지는 지지핀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4 및 제5베어링과,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에 끼워지며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3개의 수직봉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6베어링이 설치된 제3연결구와, 상기 제4베어링의 내륜과 상기 결합편의 관통공 및 제5베어링의 내륜에 끼워지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3개의 이동편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이동대와,상기 이동대의 중앙부 상면에 토오크 센서를 개재한 상태로 설치되는 조정축과,상기 이동대의 3개의 이동편 단부에 각각 그 일단이 1자유도 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3개의 수직봉과,상기 3개의 수직봉 타단과 3자유도 핀 조인트를 통해 그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3개의 링크와,상기 3개의 링크 타단과 그 회전축이 각각 연결되어 3개의 링크를 구동시키는 3개의 모터와,상기 3개의 모터가 소정간격을 두고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1자유도 핀 조인트는, 상기 3개의 수직봉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과, 선단에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 면에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이동대의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에 형성된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베어링의 내륜에 고정되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1자유도 핀 조인트는, 상기 3개의 수직봉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과, 선단에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 면에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이동대의 이동편과, 일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양측 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상기 연결편의 선단에 끼워지는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과 상기 이동편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끼워져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핀과. 상기 수직봉의 결합편에 설치된 제1베어링의 내륜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연결구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3자유도 핀 조인트는, 상기 3개의 링크 상측에 설치되는 제2베어링과, 상기 제2베어링의 내륜에 끼워지는 지지핀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4 및 제5베어링과,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에 끼워지며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3개의 수직봉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6베어링이 설치된 제3연결구와, 상기 제4베어링의 내륜과 상기 결합편의 관통공 및 제5베어링의 내륜에 끼워지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0697A KR100330839B1 (ko) | 2000-03-03 | 2000-03-03 |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0697A KR100330839B1 (ko) | 2000-03-03 | 2000-03-03 |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6798A KR20010086798A (ko) | 2001-09-15 |
KR100330839B1 true KR100330839B1 (ko) | 2002-04-01 |
Family
ID=1965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06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0839B1 (ko) | 2000-03-03 | 2000-03-03 |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3083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6867B1 (ko) * | 2009-01-21 | 2011-09-26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힘 피드백을 구현한 굴삭기 제어용 3자유도 병렬형 햅틱 조종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554B1 (ko) * | 2003-05-21 | 2005-08-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병렬형 햅틱 조이스틱 시스템 |
KR100951817B1 (ko) * | 2007-12-11 | 2010-04-0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병렬형 햅틱장치를 이용한 굴삭기 조종장치 |
CN107791236B (zh) * | 2016-08-29 | 2023-12-26 | 上海铼钠克数控科技有限公司 | 打磨机器人、机器人打磨的控制系统及方法 |
KR102159432B1 (ko) * | 2018-10-18 | 2020-09-23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로봇의 원격 제어를 위한 하이브리드 조이스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
CN109343711B (zh) * | 2018-10-23 | 2020-07-17 | 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移动式多元触觉融合反馈装置 |
-
2000
- 2000-03-03 KR KR1020000010697A patent/KR10033083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6867B1 (ko) * | 2009-01-21 | 2011-09-26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힘 피드백을 구현한 굴삭기 제어용 3자유도 병렬형 햅틱 조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6798A (ko) | 2001-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5533326A5 (ko) | ||
EP1876505B1 (en) | Haptic device gravity compensation | |
US5847528A (en) | Mechanism for control of position and orientation in three dimensions | |
JP4659098B2 (ja) | 3自由度を有する姿勢変更機構を備えたパラレルリンクロボット | |
US6339969B1 (en) | Three-degree-of-freedom parallel planar manipulator | |
US20060106369A1 (en) | Haptic interface for force reflection in manipulation tasks | |
JP4117949B2 (ja) | 6軸のフォース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力覚インタフェース装置 | |
JP5477737B2 (ja) | 自由運動シミュレータ装置 | |
US7339574B2 (en) | Haptic mouse interface system for providing force and tactile feedbacks to user's fingers and arm | |
EP3177375A1 (en) | Upp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 |
WO1993020982A1 (en) | Six degree of freedom motion device | |
JP5126892B2 (ja) | 多自由度の力覚提示マニピュレータ | |
KR100330839B1 (ko) | 병렬기구를 이용한 가상현실 대화용 역감제시장치 | |
JP4117954B2 (ja) | 4軸のフォース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力覚インタフェース装置 | |
KR20210076300A (ko) | 인간의 손가락을 모사하는 손가락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핸드 | |
JP2019090495A (ja) | 複数方向駆動装置、ロボット関節機構及び複数方向駆動方法 | |
Adelstein | A virtual environment system for the study of human arm tremor | |
EP1629949B1 (en) | Haptic interface device | |
WO2023169299A1 (zh) | 支链组件、并联操作臂、主操作手、操控台以及机器人 | |
CN101439515B (zh) | 平行四杆式结构解耦六维力反馈装置 | |
KR101603044B1 (ko) | 6자유도 메커니즘 햅틱장치 | |
JP2569277B2 (ja) | 空間3自由度の駆動装置 | |
JP2013107155A (ja) | 小型多自由度の力覚提示マニピュレータ | |
KR101021172B1 (ko) | 매달린 형태의 병렬기구구조 | |
EP1452949B1 (en) | Haptic interfac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2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3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