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0639B1 - 광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광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639B1
KR100300639B1 KR1019980030087A KR19980030087A KR100300639B1 KR 100300639 B1 KR100300639 B1 KR 100300639B1 KR 1019980030087 A KR1019980030087 A KR 1019980030087A KR 19980030087 A KR19980030087 A KR 19980030087A KR 100300639 B1 KR100300639 B1 KR 100300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it
recording medium
track
optical recording
trac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카즈 미야모토
히로후미 스케다
모토야스 데라오
히로유키 미네무라
데츠오 안도
Original Assignee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708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64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3009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6493B2/ja
Application filed by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사토 도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63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1Preparing a master, e.g. exposing photoresist, electrofor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11B7/24088Pits for storing more than two values, i.e. multi-valued recording for data or prep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광스폿 직경보다 작은 트랙폭을 갖는 고밀도의 광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스폿이 홈 또는 랜드를 추적하게 하는 경우, 트랙킹 에러(트랙킹 오프셋)이 증가하여 트랙피치를 좁게 하는 고밀도 기록의 실행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복수의 트랙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피트부를 갖고, 프리피트부는 트랙방향으로 분할되고, 복수의 트랙의 트랙끼리의 경계선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프리피트부를 갖고, 제1 및 제2 프리피트부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2트랙피치로 배치된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를 갖고, 또한 제1 프리피트부의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와 제2 프리피트부의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는 반경방향으로 1트랙분 어긋나서 배치되고, 제1 프리피트부와 제2 프리피트부 사이에 트랙방향 길이가 기록방식으로 결정되는 최단마크길이 이상, 최대마크길이 이하인 갭부를 갖는 광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광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판을 단순한 마스터링장치로 제조할 수 있고, 복사도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어 저렴하고 고밀도인 광기록매체를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재생장치{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광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스폿 직경보다 작은 트랙폭을 갖는 고밀도의 광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광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협트랙) 기록을 실행하는 매체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JA-A-6-176404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예에 따르면, 기판 상에 형성된 홈 및 홈사이부(랜드)와 홈 및 랜드의 양쪽과 관련되어 형성된 정보기록영역을 갖는 광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홈과 랜드의 경계의 가상연장선상에 프리피트(prepit)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홈의 중심선의 임의의 특정 위치의 한쪽에만 프리피트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기록정보는 홈과 랜드의 양쪽에 형성되고, 프리피트는 기록영역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데이타의 전하를 가지며, 어드레스 데이타를 마련하도록 한쌍의 인접하는 홈과 랜드에서 하나의 프리피트가 공통으로 사용된다. 상기의 기술이 상변이기록매체 또는 광자기 기록매체에 적용되는 경우, 광스폿내에서 광간섭효과에 따른 인접하는 홈 또는 랜드 사이의 정보의 간섭(누화)를 방지할 수 있어 트랙의 협대화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프리피트영역에서는 광간섭효과로 부터 자유로워지고, 어드레스 데이타가 쌍으로 된 홈과 랜드에서 공통으로 되며, 누화를 감소시키도록 효과적으로 트랙 피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JP-A-6-176404의 예에 있어서, 프리피트영역의 배열이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한쪽에서 오프셋되어 광스폿이 홈 또는 랜드를 추적하게 하는 경우, 트랙킹 에러(트랙킹 오프셋)이 증가하여 트랙피치를 좁게하는 고밀도 기록의 실행을 곤란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홈과 랜드의 양쪽에 기록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어드레스 데이타의 효과적인 배치를 실행하고 실제 사용시 충분히 낮은 값 또는 레벨로 트랙킹 오프셋을 억제할 수 있는 광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광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단순한 마스터링과 용이한 리플리카 준비를 확실하게 하고 리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디코딩을 실행할 수 있는 고밀도의 광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광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1의 실시예의 확대부분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매체에서 재생된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광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2의 실시예의 확대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3의 실시예의 확대부분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4의 실시예의 확대부분평면도,
도 7은 도 6의 광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신호의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5의 실시예의 확대부분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5의 실시예에서 정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5의 실시예에서 프리피트와 홈 사이의 확대부분 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한 위치변위를 나타내는 확대부분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6의 실시예의 확대부분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된 코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상술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의 수단이 사용된다.
[1] 기록매체의 기판상에 홈과 랜드가 형성되고, 정보기록영역이 홈과 랜드의 양쪽과 관련하여 형성되며, 프리피트가 홈과 랜드 사이의 가상 연장선상에 배치된다.
프리피트의 배치는 다음의 조건 (a) - (c)를 동시에 만족한다.
(a) 프리피트는 홈의 중심선의 가상연장선의 양쪽에 위치한다.
(b) 프리피트는 랜드의 중심선의 가상연장선의 양쪽에 위치한다.
(c) 프리피트는 홈의 중심선의 임의의 특정위치의 양쪽에 위치하지 않는다.
(d) 프리피트는 랜드의 임의의 특정위치의 양쪽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프리피트의 배열은 트랙킹 오프셋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가상연장선의 어느 한쪽에서 오프셋되지 않고, 재생된 스폿내에서 취해진 인접한 트랙 사이의 프리피트 정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임의의 특정위치의 양쪽에 프리피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고밀도의 협대역 트랙기록을 달성할 수 있다.
[2] 프리피트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때, 홈의 한쪽이 다른쪽과 구별되지 않거나 또는 랜드의 한쪽이 다른쪽과 구별되지 않으며, 홈 또는 랜드와 관련된 프리피트의 연속적인 적어도 2개의 배열은 주기적으로 2개의 배열마다 프리피트의 동일 배열을 마련하도록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3] 프리피트영역 내의 홈의 중심선의 양쪽상에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피트와 관련된 홈과 프리피트영역내의 홈의 중심선의 양쪽상에 배치된 피트와 관련되지 않은 인접 홈은 방사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이것을 통해 피트가 거의 재생되지 않으므로, 홈과 관련된 프리피트를 랜드와 관련된 것과 구별할 수 있어 정보기록재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동기정보와 어드레스 데이타의 어느 하나는 홈의 양쪽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진다.
[5] 동기정보와 어드레스 데이타의 어느 하나만 홈의 양쪽의 어느 한쪽에 배열된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동기정보와 어드레스 데이타의 양쪽은 홈의다른쪽에 배치된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것을 통해 어드레스 데이타는 정확한 동기하에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양쪽의 프리피트 사이의 위상마진이 신장될 수 있으므로, 기록매체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6] 프리피트와 홈은 70㎚이하인 동일 깊이를 갖는다. 깊이가 40㎚이상 6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홈과 랜드 사이에서 적절한 누화소거의 이점이 얻어질 뿐만아니라 우수한 트랙킹 서보신호를 얻을 수 있다. 기록매체의 형성 및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홈의 깊이를 70㎚이상으로 하면, 홈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홈 깊이가 약 50㎚일 때, 트랙킹 서보가 최소화 되며, 홈 깊이를 약 50±10㎚로 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홈과 랜드는 실질적으로 0.3㎛와 0.7㎛ 사이의 동일 폭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우수한 트랙킹과 고밀도 기록을 양립할 수 있다. 홈과 랜드의 폭이 0.3㎛보다 작으면, 하나의 광스폿 내에서 홈과 랜드의 양쪽이 제한되게 되며, 우수한 트랙킹 신호를 얻을 수 없다. 한편, 홈과 랜드의 폭이 0.7㎛를 초과하면, 효율적인 고밀도 기록을 실행할 수 없다.
[8] 프리피트의 최소의 크기는 홈과 랜드의 각각의 폭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직경이 0.25㎛ 내지 0.5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누화없는 우수한 프리피트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직경이 0.25㎛보다 작으면, 프리피트 신호가 극도로 감소하고, 직경이 0.55㎛를 초과하면,누화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리피트는 광스폿 주사방향에서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가상연장선의 양쪽에 배열된다. 따라서, 트랙킹 오프셋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오프셋이 감소되고,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임의의 특정위치의 양쪽에 프리피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재생된 스폿내에 인접하는 트랙 사이에서 프리피트 정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고밀도의 협대역 트랙기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트랙킹 오프셋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양쪽의 프리피트에서 나타나는 신호의 진폭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오프셋의 양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주사장치로 피드백 제어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오프셋을 억제할 수 있다.
홈과 랜드 사이의 경계의 가상연장선상의 프리피트 열이 인접한 가상 연장선상의 프리피트 열로 이동하는 경우, 홈과 프리피트영역 사이, 랜드와 프리피트영역 사이 및 프리피트영역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JP-A-6-176404는 이러한 갭을 고려하고 있지않다. 따라서, 갭이 없거나 갭이 매우 짧은 경우, 기판의 마스터링이 1빔 컷팅에 의해 처리되지 않고, 2빔 컷팅을 필요로 한다. 또한, 리플리카를 마련하는 동안, 주입을 스팁(steep)패턴에 적용해야 하므로 제조효율이 감소된다. 또한, 신호의 재생시, 트랙킹 오프셋과 재생된 스폿의 외란에 대한 허용오차가 감소되고 리드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의 수단이 사용된다.
[1] 기판상에 홈과 랜드가 형성되고, 프리피트가 홈과 랜드 사이의 가상연장선상에 배치된다. 특히, 프리피트가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연장의 양쪽에 배치되므로, 절단시 레이저빔의 광축을 이동해야 한다. 광축을 변경하기 위해 AOD(acoustic-optical deflector)가 사용된다. 그러나, 광축변경을 위한 신호를 전송한 후 AOD를 원하는 광축 위치로 이동하기 까지 시간이 걸리고, 변조된 레이저빔이 원래의 광축을 따라 조사될 때 피트는 기판 상에 비스듬이 형성된다. 따라서, 갭을 마련하도록 패턴이 랜드 또는 홈과 계속되는 프리피트 사이에서 포맷되지 않고, AOM(acoustic-optical modulator)은 레이저 조사와 피트 묘화를 방지하도록 갭에 대응하여 중단된다. 따라서, 기판을 간단한 절삭 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상의 좁은 영역에 다수의 불균일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리플리카의 마련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홈과 랜드 사이의 경계의 가상연장선상에 프리피트가 배열되는 배치에 있어서, 홈과 랜드 사이의 경계의 가상연장선의 한쪽의 프리피트열의 배치가 다른쪽 또는 반대의 프리피트열의 배치와 바뀌는 경우, 각각의 한쪽의 프리피트열의 하강 에지가 기판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정렬된다. 계속되는 피트 열은 원주 방향 또는 기록/재생 방향에서 이들 하강 에지 위치와 떨어져 있고, 계속되는 피트열의 하강 에지는 마찬가지로 서로 정렬된다. 형성된 갭이 기록 룰에 일치하는 경우, 편리하게 기판 전부가 포맷될 수 있고, 피트가 없는 부분이 기판상의 특정 영역에 수집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절단 및 리플리카 준비에 포함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3] 원래의 정보 피트만을 각각 갖는 방사상으로 인접한 피트는 방사 방향내의 하강 에지에서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운 피트를 부가하여 기록시 룰을 준수하면서 방사 방향에서 하강 에지의 정렬을 확보할 수 있다.
[4] 상기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피트 열의 배치의 이동에 있어서, 다른쪽의 배치에서 피트의 상승 에지가 방사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어 상기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절단 및 리플리카 준비에 포함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신호재생의 관점에서 동기신호가 피트열의 이동후 즉시 피트 정보에 할당되어 특정 위치에서의 채널 비트의 결정이 중요시 되는 것에 의해 상승 에지 위치의 허용오차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피트열의 이동 후의 바로 그 위치에서 중요한 데이타 예를 들어, 어드레스의 리드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1 (광기록매체)>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의 부분확대 평면도인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폭이 0.6㎛이고 깊이가 50㎚인 각각의 홈(84)와 폭이 0.6㎛인 각각의 랜드(85)는 교대로 매체의 방사 방향으로 배열되고 기록마크(81)이 2종류의 영역 상에 형성된다. 즉, 각각의 홈(84)와 랜드(85)가 기록영역으로서 기능한다. 프리피트(83)에는 임의의 홈이 형성되지 않지만, 랜드와 홈 사이의 경계의 연장상에 피트(82)가 배치된다. 각각의 피트는 0.35㎛의 폭과 50㎚의 깊이를 갖는다, 프리피트영역은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과 제2의 프리피트영역(832)으로 분할된다.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에 있어서, 피트(8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랜드(85)의 중심선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의 프리피트영역(832)에 있어서, 피트(8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랜드(85)의 중심선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광스폿(21)이 랜드(85)를 주사하는 경우, 항상 어느 한쪽의 피트만이 재생되어 인접하는 트랙 사이에서 누화가 발생될 염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프리피트의 형식으로 기록된 어드레스 데이타는 누화없이 충분하게 기록된다.
피트(82)가 방사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피트(82)가 트랙(홈 또는 랜드)의 양쪽상에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피트(82)에 의해 발생하는 트랙킹 서보신호의 영향을 소거할 수 가 있다. 따라서, 트랙킹 오프셋을 충분히 작게 억제할 수 가 있다.
또, 예를 들어 랜드(85)를 재생하는 경우, 제2의 프리피트영역(832)에서 어드레스 데이타의 재생이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에서의 어드레스 데이타의 재생에 연속해서 실행된다. 따라서, 하나의 트랙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타를 마련하도록 정보가 배열되어 있는 하나의 영역내에서 2개의 영역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랜드의 어드레스(트랙 번호)와 홈의 어드레스가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즉,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831) 및 (832)내의 어드레스 데이타부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에 의해 랜드와 홈 사이의 구분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홈의 재생을 위해 제1의 프리피트영역에 배열된 프리피트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 데이타가 제2의 프리피트영역에 배열된 프리피트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 데이타와 동일하게 이루어 지지만, 랜드의 재생을 위해 제1의 프리피트영역에 배열된 프리피트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 데이타가 제2의 영역 내의 프리피트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 데이타와 다르게 이루어 진다.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 내의 프리피트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가 서로 다른 경우, 2개의 어드레스 사이를 상관관계로 설정해도 되고, 이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에러 정정 코드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기화 정보(VFO)(86)과 어드레스 데이타(87)을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의 각각에 배열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리피트영역이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으로 분할되었지만, 여러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분할의 수가 4개인 경우, 제1 및 제3의 프리피트영역 내의 피트가 홈의 한쪽에 배열되고, 제2 및 제4의 프리피트영역 내의 피트가 홈의 다른쪽에 배열되어도 좋다. 프리피트영역의 분할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의해 예를 들어 결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기록막으로서 상변이기록재(GeSbTe)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기록마크가 비정질 도메인의 형식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가 광기록/재생장치에 적용된 구성의 예를 제3도에 따라 설명한다. 장치에 있어서, 광원(31)로서는 6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와 조준렌즈가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프리즘 등의 빔 프로파일 형성기를 마련하여도 좋다. 반도체 레이저의 전력은 자동 광전력 제어기능을 갖는 광전력 제어기(71)에 의해 제어된다. 광원(31)에서 방사된 광빔(22)는 초점맞춤 광학계(32)의 수단에 의해 광자기기록매체(8)상에 초점맞춤된다. 초점맞춤 광학계(3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빔 스플리터도 구비하고 있다. 광기록매체(8)상에 광빔을 초점맞춤하는 대물렌즈는 0.6의 구경수를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광기록매체(8) 상의 광스폿(21)은 1.0㎛의 직경을 갖는다. 광스폿은 주사장치(6)의 수단에 의해 광기록매체(8)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주사장치(6)은 디스크 등의 광기록매체를 회전시키는 모터(62)와 자동초점제어 및 자동트랙킹의 기능을 갖는 자동위치 제어기를 구비한다. 자동위치 제어기(61)은 광검출장치(33)이 피드백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광스폿 위치를 검출하도록 광기록매체(8)에서의 반사빔(23)을 이용한다. 광스폿 위치는 홈으로 부터의 회절 광선의 전력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광검출장치(33)은 렌즈, 빔 스플리터와 여러개의 광검출기로 구성되며, 여러개의 광검출기의 출력신호는 재생신호와 서보신호를 생성하도록 연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광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프리피트 신호로서 도 2에서 (14)로 나타낸 신호가 생성된다. 이 신호는 어드레스 데이타를 디코드하도록 어드레스 검출장치에 입력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의 신호 타이밍이 검출되며, 타이밍 정보에 따라 제1의 프리피트영역과 제2의 프리피트영역의 진폭(평균 피크 대 피크 진폭)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진폭은 위치이동장치(주사장치)로 피드백되는 트랙킹 오프셋 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폭비교기의 수단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도 2에 있어서, 광스폿이 홈을 주사하는 경우, 광자기 재생신호(11)과 대응하는 프리피트 신호(14)(도면에서 상부)가 재생되고, 광스폿이 랜드를 주사하는 경우, 광자기 재생신호(12)와 대응하는 프리피트 신호(14)(도면에서 하부)가 재생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스폿이 약간 오프셋되므로,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에서의 프리피트 신호와 제2의 프리피트영역(832)에서의 피리피트 신호와의 진폭 차(13)이 발생한다. 이 진폭 차는 트랙킹 오프셋 양에 대응한다.
도 3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광스폿의 이탈 등 다양한 종류의 외부 외란이 고려되는 경우에도 트랙킹 오프셋을 ±0.03㎛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통상의 상태에서 광학적 이탈이 없으며, 트랙킹 오프셋은 ±0.015㎛이하 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프리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가상연장선의 양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트랙킹 오프셋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오프셋이 감소된다.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임의의 특정위치의 양쪽에 프리피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접한 트랙 사이에서의 프리피트 정보의 간섭이 재생된 스폿 내에서 발생하지 않아 고밀도의 협대역 트랙 재생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킹 오프셋이 발생하면, 양쪽에 위치한 프리피트의 신호 진폭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오프셋 양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장치로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피드백 제어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오프셋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홈과 랜드 사이의 식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가 있다.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오프셋을 실질적으로 충분히 작은 레벨(0.03㎛ 이하)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밀도의 협대역 트랙 기록시에도 어드레스 데이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오프셋을 피드백 제어로 즉시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매체는 동기정보 피트(861)-(864)가 홈(841),(842),(843),(844) 및 (845)의 중심선의 (도면에서 보았을 때)상측에 배치되고, 동기정보 피트(861) -(864)와 어드레스 데이타 피트(871)-(874)가 각각의 홈(84)의 중심선의 (도면에서 보았을 때)하측의 양쪽에 배치된 것만이 제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어드레스 데이타 피트(871)-(874)가 동기정보 피트(861)-(864)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랜드(85)의 경우에는 상측과 하측의 관계가 반전되어 있다.
제1의 실시예와 다른 것은 본 실시예가 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상측 또는 하측에만 배열된 어드레스 데이타를 가지므로, 동일 어드레스 데이타가 랜드와 홈에 할당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4개로 분할된 프리피트영역(831)-(834)가 프리피트영역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지만, 프리피트영역이 항상 분할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 내의 동기 피트(861)은 저역 필터를 통과하는 신호의 알리아싱(aliasing)의 영향을 보상하는 것에 의해 제2 내지 제4의 프리피트의 영역 내의 동기피트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피트가 매체의 제조시 서로 0.5㎛이상 간격을 두게한다. 특히, 재생된 광 디스크 스폿의 직경인 약 1㎛의 거리 만큼 간격을 두게한다.
<실시예 3>
식별 마크(88)이 홈에서 랜드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3의 실시예를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과 제2의 실시예에서의 프리피트영역과 별도로 홈과 랜드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 마크(88)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에에 있어서, 한쌍의 피트(식별 마크)(88)는 홈(841),(843) 또는 (845)의 중심선의 (도면에서 보았을 때)상측과 하측 상에 배열 되지만, 홈(842) 또는 (844)에 대해서는 마련되지 않는다. 상기 식별 마크를 마련한 매체가 재생될 때, 도면에 있어서 광스폿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광스폿에 의해 식별 마크가 나타나면 "유"로 하는 경우와 식별 마크가 나타나지 않으면 "무"로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유,유"는 홈(841)을 위해 유지되고, "무,유"는 랜드(851)을 위해 유지되고, "무,무"는 홈(842)를 위해 유지되며,"유,무"는 랜드(852)를 위해 유지된다. 또한, "유,유"는 홈(843)을 위해 유지되고, "무,유"는 랜드(853)을 위해 유지되고, "무,무"는 홈(844)를 위해 유지되며,"유,무"는 랜드(854)를 위해 유지된다. 즉, "유,유"와 "무,무"중의 하나는 홈을 위해 유지되고, "무,유"와 유,무"는 랜드를 위해 유지된다. 따라서, 이것이 재생신호에 따라 홈과 랜드의 식별을 실행하도록 이용된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쌍의 식별 마크를 마련해도 바람직하며, 방사 방향에 직각인 매체의 정보 트랙 방향 또는 원주방향에서 쌍으로 된 피트가 수㎛ 이상 서로 거리를 두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의 프리피트영역과 식별 마크 영역이 원주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를 확대부분 평면도인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0.5㎛의 폭과 40㎚의 깊이를 각각 갖는 홈(84)와 0.5㎛의 폭을 각각 갖는 랜드(85)가 교대로 배치되고, 기록 마크(81)이 2종류의 영역 상에 형성된다. 즉, 각각의 랜드(85)와 홈(84)는 기록영역으로서 기능한다. 프리피트영역(83)에 있어서, 임의의 홈이 형성되지 않지만, 대략 원형인 피트(82)(각각 직경이 0.3㎛이고 깊이가 40㎚)가 랜드와 홈의 경계의 연장 상에 배치된다. 프리피트영역은 VFO(가변 주파수 발진)영역(833)과 어드레스 영역(834)으로 분할된다.
특히, VFO영역에서 피트(82)는 랜드(85)의 중심선의 상측 및 하측 상에 교대로 배치된다. 어드레스 영역에서 피트(82)는 VFO에서와 동일 주기에서 교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랜드 또는 홈의 중심선의 위치의 양쪽에 존재하는 피트는 없다.
또한, 어드레스 영역에 있어서, 특정 트랙에 대한 데이타는 인접 트랙에 대한 데이타에서 1피트 만큼 다르도록 부호화된다. 즉, 데이타는 그레이 코드의 형식을 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스폿(21)이 예를 들어, 랜드(85)를 주사할 때, 항상 어느 한쪽의 피트만 재생되어 인접 트랙 사이에서 누화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따라서, 피트에 분포된 어드레스 데이타는 누화없이 충분히 재생할 수 있다. 인접 트랙에 대한 피트(82)가 서로 인접하지 않으므로, 이것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피트(82)가 트랙(랜드 또는 홈)의 양쪽에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피트(82)에 의한 트랙킹 서보 신호의 영향을 소거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랙킹 오프셋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의 매체를 도 3의 장치로 재생하는 경우, 트랙 마다 다른 데이타부가 얻어질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신호가 프리피트영역(83)에서 생성되므로, 어드레스 데이타는 효율좋게 고밀도로 기록된다. 그레이 코드의 사용 결과, 어드레스가 트랙간 액세스의 경우에도 재생되므로 고속 액세스에 적합하다. 또한, 그레이 코드의 사용으로 누화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거의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트랙의 협역대화에도 적합하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매체를 확대부분 평면도인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0.7㎛의 폭과 70㎚의 깊이를 각각 갖는 홈(84)와 0.7㎛의 폭을 각각 갖는 랜드(85)가 방사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2종류의 영역은 기록 마크가 형성된 정보 트랙으로서 기능한다.
즉, 각각의 랜드(85)와 홈(84)는 기록영역으로서 기능한다. 프리피트영역(83)에 있어서, 임의의 홈이 형성되지 않지만, 피트(82)가 랜드와 홈의 경계의 연장 상에 배치된다. 프리피트영역은 약 1800개의 정보 트랙, 즉 900개의 홈에 걸쳐서 방사 방향으로 배열된 대역으로 분할된다.
이 대역은 30-60㎜의 반경을 갖는 디스크에서 전체 24 대역이 되도록 디스크 전부에 동심으로 배열된다. 특히, 각각의 대역에 있어서 1 회전시 검출될 프리피트의 수 즉, 섹터 수는 일정하고, 섹터 수는 내부 대역보다 외부 대역에서 크다.
각각의 섹터(41)의 구조의 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섹터(41)은 데이타 기록영역의 헤드에서 프리피트영역(83)을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피트영역은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과 제2의 프리피트영역(832)로 분할되어 있다.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에 있어서, 피트(82)는 랜드(85)의 중심선의 (도면에서 보았을 때)상측에 배열되고, 제2의 프리피트영역(832)에 있어서, 피트(82)는 랜드(85)의 중심선의 하측에 배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광스폿(21)이 랜드(85)를 주사하는 경우 항상 어느 한쪽의 피트만이 재생되어 인접 트랙 사이에서 누화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프리피트에 할당된 어드레스 데이타는 누화없이 재생될 수 있다. 프리피트로 나타내어지는 어드레스 데이타는 (채널 비트 길이가 0.2㎛)인 1-7 변조 코드의 형식으로 기록된다. 즉, 선형기록밀도가 0.3㎛/bit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홈과 프리피트영역 사이의 관계를 부분확대 단면 투시도인 도 10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갭영역(87)은 제1과 제2의 프리피트영역(831)과 (832) 사이에서 약 1.0㎛의 거리를 두고 마련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타가 1-7 기록에 따라 기록되므로, 갭 길이는 약 5채널 비트의 길이에 대응한다. 5채널 비트 길이는 최장 마크 길이(8채널 비트 길이)와 최단 마크 길이(2채널 비트 길이) 사이의 정확한 중간 길이이다. 따라서, 피트와 광스폿의 형식이 형상의 변경과 주사위치의 변경(서보 오프셋)에 영향을 받는 동안 피트의 형상 및 위치가 변경되어도 제1과 제2의 프리피트영역 사이의 갭영역은 최단 마크 길이와 최장 마크 길이 사이에 놓이는 길이를 갖게 기록되므로, 매우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마크가 최악의 경우에도 0.6㎛(3채널 비트 길이)로 억제되는 위치에서 전체 변경이 있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유효 길이(재생시)는 1-7 변조 코드의 룰과 정합되도록 최단 길이의 경우 2채널 비트이고 최장 길이의 경우 8채널이므로, 재생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검출 비트가 8채널 비트 길이보다 길면, 역으로 기록된 어드레스 마크 등의 특정 동기 패턴과 간섭하게 된다.
검출 비트가 2채널 비트 길이 보다 짧으면, 재생 광스폿의 해상도 이하이고 검출되지 않는 작은 마크로 된다. 따라서, 갭 길이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최장 마크 길이와 최단 마크 길이 사이의 중간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트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마크 위치에서의 변경을 1채널 비트 길이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정상적인 갭 길이는 3 내지 7채널 비트 길이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 목적을 위한 피트형성장치는 고가이다. 신호가 재생시의 트랙킹 오프셋에 기인하는 에러를 극복할 가능성이 높아야 하므로, 매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갭 길이가 정확하게 기록을 허용할 수 있는 최장 마크 길이와 최단 마크 길이 사이의 중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피트(82)는 트랙(홈 또는 랜드)의 중심선의 양쪽 상에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피트(82)에 의해 발생되는 트랙킹 서보 신호상의 영향을 소거할 수가 있다. 따라서, 트랙킹 오프셋을 충분히 작은 레벨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랜드(85)가 재생되는 경우 제2의 프리피트영역(832)에서 어드레스 데이타의 재생이 제1의 프리피트영역(831)에서의 어드레스 데이타의 재생에 연속해서 실행된다. 따라서, 하나의 트랙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타를 마련하도록 정보가 배열되어 있는 하나의 영역 내에 2개의 영역이 결합되는 경우,랜드의어드레스(트랙 번호)와 홈의 어드레스가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즉,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831)과 (832)내의 어드레스 데이타부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에 의해 랜드와 홈 사이의 식별을 확실하게 한다.
특히, 홈의 재생을 위해 제1의 프리피트영역 내에 배열된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지는 어드레스 데이타가 제2의 프리피트영역 내에 배열된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지는 데이타와 동일하게 되지만, 랜드의 재생을 위해 제1의 프리피트영역 내의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지는 어드레스 데이타는 제2의 영역 내의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지는 데이타와 다르게 되어있다.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 내의 프리피트에 의해 나타내지는 어드레스가 서로 다른 경우, 상관관계를 2개의 어드레스 사이로 설정해도 좋고, 이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에러정정코드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기정보VFO(86)와 어드레스 데이타(87) 양쪽이 제1과 제2의 프리피트영역의 각각에 배열되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리피트영역이 제1 및 제2의 프리피트영역의 2개로 분할되었지만, 여러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도 충분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의 수가 4개인 경우, 제1 및 제3의 프리피트영역 내의 피트가 홈의 한쪽에 배열되고, 제2 및 제4의 프리피트영역 내의 피트가 홈의 다른쪽에 배열되어도 좋다. 프리피트영역의 분할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결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기록막으로서 상변이기록재(GeSbTe)가 사용되었다. 따라서,기록마크가 비정질 도메인의 형식으로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매체에서 인접 트랙의 프리피트영역 사이의 위치적 변위량(963), 인접 트랙의 프리피트 사이의 위치적 변위량(961), 인접 트랙의 홈 사이의 위치적 변위량(962)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제 매체에 있어서, 피트 형성시 다양한 조건에 따라 때때로 인접 트랙의 피트 사이에서 위치적 변위가 발생한다. 위치적 변위량(961),(962)와 (963) 때문에 갭영역(86),(87)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된다.
상술한 위치적 변위량에 부가하여 재생시의 다양한 변동(이탈, 서보에러 등)도 재생신호의 재생신호의 위치적 변위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위치적 변위는 때때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갭 길이가 1-7변조 코드에 의거하여 최단 마크 길이와 최장 마크 길이 사이의 중간 길이로 설정되므로, ±0.6㎛의 위치적 변위량이 허용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광기록매체를 제1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장치로 재생할 수 있고, 광학적 이탈 등 다양한 외부의 외란을 고려하여도 트랙킹 오프셋을 ±0.3㎛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광학적 이탈이 없는 정상 상태하에서 ±0.015㎛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8의 실시예는 기록 변조 부호화로서 1-7변조 부호화를 사용하였지만, 이 실시예는 8-14변조(EFM)기록을 사용한다. 채널 비트 길이는 약 0.2㎛이다. 이 기록에 있어서, 최단 마크 길이는 3채널 비트 길이이고, 최장 마크 길이는 11채널비트 길이이다. 실제로 12채널 비트 이상의 길이를 갖는 마크도 유용하지만, 마크의 이러한 형태는 동기 패턴 등의 특별한 응용에 한정된다. 따라서, 데이타는 특정 패턴과 간섭될 가능성이 있는 패턴의 포함을 피해야 한다. 프리피트영역, 홈 및 랜드는 후술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8의 제5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열된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되고, 특히 각각의 홈과 각각의 랜드는 0.75㎛의 폭을 가지며, 각각의 홈과 각각의 프리피트는 0.075㎛의 깊이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피트영역과 홈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된다. 4개의 프리피트영역(831),(832),(833) 및 (834)는 하나의 섹터의 헤드에 할당된다. 각각의 피트영역에서 재생신호에 동기하는 VFO영역과 트랙 및 섹터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기록하는 어드레스 영역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피트의 개시위치 뿐만 아니라 종료위치도 거의 방사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되고, 갭영역(86)은 홈의 끝과 피트영역의 개시 사이에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갭영역(87), (88) 또는 (89)가 인접 프리피트영역 사이에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트의 개시위치와 선행 피트의 개시위치 사이의 위치적 변위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기술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위가 도 8의 제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갭영역(86)의 유효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방사 방향에서 프리피트영역(831), (832) 및 (833)의 최종 피트의 끝을 정렬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가적인 피트 패턴(110)이 사용된다. 이전 데이타에 따라 4개의 형식(a),(b),(c),(d)에서 선택된 부가적인 패턴이 사용된다. 이를 통하여 마지막 피트의 하강 에지(99)는 이전 데이타와 관계없이 항상 동일 위치로 정렬할 수 있고, 갭길이와 피트길이를 변조코드에 의거하는 길이로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선행 프리피트영역(120)과 마지막 피트의 하강 에지 위치(99) 사이의 갭길이를 변조 부호화에 의거하는 최단 마크 길이와 최장 마크 길이 사이의 중간길이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5의 실시예와 같이 프리피트 형성과 재생시 마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변이기록재의 매체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이점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광자기기록막을 기록막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변조 코드를 2-7과 8/9부호화로서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EFM이 신장되는 다른 형식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랜드와 홈을 갖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기판을 단순한 마스터링 장치로 제조할 수 있고, 리플리카도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실질적으로 충분히 큰 매체제조 마진과 리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하고 고밀도인 광기록매체를 사용한 광재생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신설) 복수의 트랙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피트부를 갖고,
    상기 프리피트부는 트랙방향으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트랙의 트랙끼리의경계선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프리피트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피트부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2트랙피치로 배치된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프리피트부의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와 상기 제2 프리피트부의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는 반경방향으로 1트랙분 어긋나서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리피트부와 상기 제2 프리피트부 사이에 트랙방향 길이가 기록방식으로 결정되는 최단마크길이 이상, 최대마크길이 이하인 갭부를 갖는 광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 광스폿을 조사하는 조사수단;
    상기 광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수단;
    상기 광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해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
    상기 광기록매체의 상기 프리피트부로부터의 재생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스폿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재생장치.
  10. (신설) 복수의 트랙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피트부를 갖고,
    상기 프리피트부는 트랙방향으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트랙의 트랙끼리의 경계선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프리피트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피트부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2트랙피치로 배치된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프리피트부의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와 상기 제2 프리피트부의 어드레스 정보 프리피트는 반경방향으로 1트랙분 어긋나서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리피트부의 종단부의 피트의 종단이 반경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광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 광스폿을 조사하는 조사수단;
    상기 광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수단;
    상기 광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해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
    상기 광기록매체의 상기 프리피트부로부터의 재생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광스폿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재생장치.
KR1019980030087A 1995-10-19 1998-07-27 광재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00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70872A JP2826491B2 (ja) 1995-10-19 1995-10-19 光記録媒体
JP95-270872 1995-10-19
JP1995-300961 1995-11-20
JP7300961A JP2826493B2 (ja) 1995-11-20 1995-11-20 光記録媒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122A Division KR100293595B1 (ko) 1995-10-19 1997-12-23 광기록매체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639B1 true KR100300639B1 (ko) 2001-09-06

Family

ID=375273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8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3597B1 (ko) 1995-10-19 1996-10-15 광기록매체
KR10199700721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3595B1 (ko) 1995-10-19 1997-12-23 광기록매체및그의제조방법
KR10199800300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0639B1 (ko) 1995-10-19 1998-07-27 광재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8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3597B1 (ko) 1995-10-19 1996-10-15 광기록매체
KR10199700721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3595B1 (ko) 1995-10-19 1997-12-23 광기록매체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0293597B1 (ko)
TW (1) TW3086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849B1 (ko) * 1998-05-28 2002-03-21 윤종용 광기록매체
JP4136293B2 (ja) * 2000-08-10 2008-08-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記録媒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431A (ja) * 1992-08-07 1994-03-04 Ricoh Co Ltd 光ディスク
JPH06203411A (ja) * 1993-01-06 199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および記録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036A (ko) 1997-05-30
KR100293595B1 (ko) 2001-09-17
TW308689B (ko) 1997-06-21
KR100293597B1 (ko) 200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644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of prepi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300639B1 (ko) 광재생장치
KR100266950B1 (ko) 광디스크
US20050249084A1 (en) Optical reproducing method for optical medium with aligned prepit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807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19980727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