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998B1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9998B1 KR100249998B1 KR1019930000570A KR930000570A KR100249998B1 KR 100249998 B1 KR100249998 B1 KR 100249998B1 KR 1019930000570 A KR1019930000570 A KR 1019930000570A KR 930000570 A KR930000570 A KR 930000570A KR 100249998 B1 KR100249998 B1 KR 1002499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e
- lock
- shaft
- teeth
- ca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19—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end lock pre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목적) 프레임에 확실하게 결합하고, 리일샤프트의 회전을 확실하게 록크할 수가 있도록 하여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구성) 록크기어(13)가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제1캠구멍(13i)에 의하여 돌출축(19d)이 이동하고, 메인폴(19)이 B방향으로 회동하여서,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과 결합하는 톱니(20a)가 결정된다.
돌출축(21c)의 구멍(13m)을 따라서 단지 이동하기만 하는 까닭에 백업폴(22)은 회동하지 않는다.
또, 록크기어(13)가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과 톱니(20a)가 맞물리기 시작하여, 돌출축(21c)이 지름방향의 구멍(13k)을 따라서 이동한다.
백업폴(22)이 B방향으로 회동하여 백업폴(22)과 결합하는 톱니(2f)가 결정된다.
또 록크기어(13)의 B방향에의 상대회동으로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과, 톱니(20a), 백업폴(22)과, 톱니(2f)가 동시에 또한 완전하게 결합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며, 커버를 해체한 상태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좌측면도.
제3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며, 제2도에 있어서 Ⅲ-Ⅲ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며, 제3도에 있어서의 Ⅳ-Ⅳ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5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표시하며, 리테이너를 부착한 상태의 좌측면도.
제6도는 이 프레임의 우측면도.
제7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리일샤프트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리일샤프트를 표시하며,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제9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록크기어를 표시하며, (a)는 좌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ⅨB-ⅨB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10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관성체를 표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메인폴을 표시하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제12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내치기어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3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조인트핀과 백업폴과의 일체조립체를 표시하며, (a)는 좌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
제14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커버의 평면도.
제15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메인폴과 백업폴과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적으로 표시하고 그 중앙부분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7도는 이 실시예를 분해사시적으로 표시하며, 그 좌측부분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8도는 이 실시예를 분해사시적으로 표시하고, 그 우측부분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9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고 커버를 해체한 상태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좌측면도.
제20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고, 제19도에 있어서의 XX-XX 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1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고, 제20도에 있어서의 XXI-XXI선에 따르는 부분단면도.
제22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우측면도.
제23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좌측면도.
제24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리일샤프트의 정면도.
제25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리일샤프트의 우측면도.
제26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리일샤프트의 좌측면도.
제27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부시의 좌측면도.
제28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스프링케이스를 표시하며, (a)는 그 우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XXVIIIB-XXVIIIB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9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커버를 표시하며, (a)는 그 좌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XXIXB-XXIXF3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30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스프링핀을 표시하는 도면.
제31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록크기어 제1커버를 표시하는 좌측면도.
제32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록크기어 제1커버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제33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록크기어를 표시하며, (a)는 그 우측면도, (b)는(a)에 있어서의 XXXIIIB-XXXIIIB선에 따르는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XXXⅦC-XXXⅦIC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34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관성체를 표시하고, (a)는 그 좌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XXXⅣB-XXXⅣB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35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메인폴을 표시하고, (a)는 그 좌측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우측면도.
제36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조인트핀을 표시하고, (a)는 그 정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XXXVIB-XXXVIB선에 따르는 단면도, (c)는 그 좌측면도.
제37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백업폴을 표시하며, (a)는 그 좌측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우측면도.
제38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록크기어 제2커버를 표시하며, (a)는 그 좌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XVWIIIB방향에서 본 화살표시도.
제39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감속도감지장치를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표시하는 도면.
제40도는 이 감속도감지장치의 케이스, 레버 및 계지폴을 표시하며, (a)는 그 정면도, (b)는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표시하는 우측면도.
제41도는 이 감속도감지장치의 관성체를 표시하며, (a)는 그 평면도, (b)는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표시하는 정면도, (c)는 그 저면도.
제42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웨빙가이드를 표시하며, (a)는 그 평면도, (b)는그 좌측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XXXXIIC-XXXXIIC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3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인폴과 백업폴과의 동작의 일부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44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인폴과, 백업폴과의 동작의 다른 부분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5도는 메인폴이 셀프록크(self-1ock)작용을 할 때의 메인폴 및 록크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며, (a)는 메인폴의 스텐바이위치일 때, (b)는 메인폴의 록크위치일 때를 표시하는 도면.
제46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적으로 표시하며, 그 좌측 절반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47도는 이 실시예의 우측절반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48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며, 커버를 해체한 상태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우측면도.
제49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한 정면도.
제50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상태를 표시하며, 커버를 해체한 상태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좌측면도.
제51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리일샤프트를 표시하며, (a)는 좌측면도, (b)는우측면도.
제52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록크링을 표시하며, (a)는 좌측에 사용되는 록크링을 표시하고, (b)는 우측에 사용되는 록크링을 표시하는 도면.
제53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폴을 표시하며, (a)는 백업폴을 표시하는 도면, (b)는 메인폴을 표시하는 도면.
제54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계지폴을 표시하는 도면.
제55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메인폴과 백업폴과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201 : 시 이트벨트 리트랙터 2, 102, 202 : 프레임
2a : 좌측벽 2b : 우측벽
2f : 톱니 3, 103, 203 : 웨빙
4, 104, 204 : 리 일샤프트 4a : 제1회전축
4b : 제2회전축 4c, 4d : 돌출부
4e : 오목끼움부 4g : 구멍
5, 105, 205 가압력부여장치
6, 106, 206 :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
7, 107, 207 : 감속도 감지 장치 7a : 관성보올
7c : 액츄에 이 터 7e : 계지폴
8, 208 : 나선스프링 9, 109, 209 : 부시
12, 210, 212 : 리테이터 13, 114 : 록크기어
13c : 톱니 13d : 스프링받이부재
13f : 돌줄죽 13g : 제1스톱퍼
13h : 제2스톱퍼 13i : 제1캠구멍
13j : 제2캠구멍 13k : 지름방향의 구멍
13m : 둘레방향의 구멍 13n : 회전축
13p : 관통구멍 14 : 관성체
14b, 14c : 걸림폴 15, 116 : 콘트롤스프링
16 : 리턴스프링 18, 211 : 커버
18c : 톱니 19, 117, 219 : 메인폴
19b, 19c : 제1, 제2걸림폴 20 : 내치기어
20a : 톱니 21, 119, 221 : 조인트 핀
22, 120, 222 : 백업폴 102a : 우측벽
102b : 좌측벽 102f, 102g : 톱니
104a : 웨빙 권취부 104b : 우측 플랜지 형상부
104c : 좌측 플랜지형상부 104j : 하중 받이면
104k : 하중 받이부 104m : 제3오목끼움부
108 : 파워스프링 110 : 스프링 케이스
111 : 커버 112 스프링 핀
113 : 록크기어 제1커버 114 : 록크기어
114k : 제1캠구멍 114m : 제2캠구멍
114n : 제3캠구멍 115 : 관성체
117b, 120b : 보스부 117c, 120c : 폴부
117e, 120e : 하중전달부 117f : 캠종동체
118 : 폴 스프링 121 : 록크기어 제2커버
202a, 202b : 좌우측벽 202c : 연결부재
204d, 204e : 톱니 213, 214 : 록크링
215, 216 : 스프링 217 : 링기어
223 : 웨빙가이드 224 : 걸림폴
225 :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등의 차량에 장비되어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트벨트장치에 관하며, 특히 긴급시에 웨빙을 권취하는 리일샤프트의 회전을 록크하여 웨빙이 늘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비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차량에 큰 감속도가 작용했을 경우와 같은 긴급시에, 탑승자의 관성이동에 의해 웨빙이 늘어져 나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는 웨빙을 권취하는 리일샤프트의 회전을 록크하는 록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일샤프트의 록크장치의 일례로서, 예컨대 미국특허 제4,796,918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리일샤프트 및 이 리일샤프트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에 톱니를 형성하는 동시에,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 리일샤프트가 이동하게 되어서 그 톱니가 프레임의 톱니에 결합함으로써 리일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프레임 록크형의 록크장치가 있다.
이 프레임 록크형의 록크장치는, 톱니가 프레임에 형성됨으로써 이와같은 톱니를 보유하는 특별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비교적 경량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록크장치에 의하면, 현재 자동차등의 차량에 요구되고 있는 경량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록크장치를 구비한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리일샤프트에 설치된 톱니가 프레임의 톱니에 맞물려서 리일샤프트의 회전이 록크될 때, 리일샤프트의 톱니 및 프레임의 톱니에는 각각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그들 톱니의 폭을 크게 형성하여 톱니에 발생하는 응력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톱니에 발생하는 응력을 완화하는 대책으로서 리일샤프트의 톱니두께 및 프레임의 판두께를 두껍게하여 톱니의 맞물림폭을 크게 하거나, 또는 프레임과는 별개체로 형성한 톱니를 프레임에 부착하여 보강하거나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대책에 있어서는 중량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 후자의대책에 있어서는 보강재가 필요하게 되는 까닭에 부품 수가 많아질 뿐 아니라 보강재의 부착공정이 필요하게 되어서 작업공정이 증대하고 코스트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프레임록크형의 장치로는 리일샤프트가 양단에 설치된 톱니가 프레임의 좌우양측에 설치된 톱니에 동시에 맞물리도록 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좌우양측에서 동시에 맞물리게 한다는 것은 곤란하고, 한쪽 맞물리는 일이 많다.
특히 리일샤프트가 이동함으로써 리일샤프트측의 톱니와 프레임측의 톱니가 맞물리게 되어 있으므로, 좌우양측에서 동시에 맞물리게 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다.
그리고 톱니가 한쪽만 맞물렸을 경우에는 그 맞물린 톱니에 응력이 집중해 버려서 한층 더 강도를 올릴 필요가 있어서 필연적으로 리트랙터의 치수가 대형화하여서 중량이 증대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레임에 확실하게 결합하여 리일샤프트의 회전을 확실하게 록크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구를 간단하게 하는 동시에 조립부착을 용이하게 하여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소형경량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1의 톱니는 웨빙을 권취하는 리일샤프트와 그 리일샤프트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 및 리일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서 통상시에는 리일샤프트의 회동을 허용하고, 필요시에는 작동하여 리일샤프트의 적어도 웨빙인출방향의 회동을 저지하는 록크장치와,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가해졌을 때 작동하는 감속도 감지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록크장치를 작동하는 록크작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록크장치가 상기 프레임의 리일샤프트 일단측에 설치된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상기 리일샤프트의 일단측에 지지되어서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에 결합가능한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하나의 다른쪽과, 상기 프레임의 리일샤프트 타단측에 설치된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상기 리일샤프트의 타단측에 지지되어서 제2결합부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에 결합가능한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다른쪽을 구비하고, 또 상기 록크작동장치가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피결합부의 어느 다른쪽이 결합가능한 상태로 설정한 후에, 상기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다른쪽이 결합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고, 이어서 상기 제1피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상기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을 행하는 록크 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2의 발명은 상기 록크장치가 상기 제1피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상기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을 동시에 완료하도록 조정하는 록크조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3의 발명은 상기 록크조정장치가 제1피졀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이 완료한 후에 상기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을 완료하도록 조정하는 록크조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4의 발명은 소정치 이상의 가속도로 웨빙이 인출되었을 때 작동하는 웨빙 인출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그 웨빙인출감지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록크작동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5의 발명은 상기 제1피결합부 및 제2피결합부가 각각 프레임에 형성한 원형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소정 수의 제1톱니 및 제2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가 각각 리일샤프트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톱니 및 제2톱니에 결합가능한 제1폴 및 제2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제1톱니 중에서 상기 제1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한 다음에 상기 제2톱니중에서 제2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6의 발명은, 상기 록크조정장치가 제1폴을 안내작동하는 제1캠과, 제2폴을 안내작동하는 제2캠과, 이들 제1폴 및 제2폴을 연동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7의 발명은 상기 제1캠은 지름방향의 캠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2캠은 지름방향의 구멍과 둘레방향의 구멍과의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8의 발명은 상기 제1피결합부 및 제2피결합부가 각각 리일샤프트에 형성한 플랜지부의 외주에 형성된 소정 수의 제1톱니 및 제2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는 각각 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톱니 및 제2톱니에 결합가능한 제1폴 및 제2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제1톱니 중에서 제1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한 다음, 제2톱니중에서 제2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9의 발명은 상기 록크조정장치가 제1폴을 안내작동하는 제1캠과, 제2폴을 안내작동하는 제2캠과, 이들 제1캠 및 제2캠을 연동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한 청구항1의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 감속도 감지장치에 의하여 록크 작동장치가 작동하여서 프레임의 리일샤프트 일단측에 설치된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리일샤프트의 일단측에 지지되어서,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에 결합가능한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와 어느 다른 쪽이 결합하는 동시에, 프레임의 리일샤프트 타단측에 설치된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리일샤프트의 타단측에 지지되어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에 결합가능한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다른쪽이 결합한다. 그 경우 록크조정장치에 의하여 제1피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후,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고 이어서 제1피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이 실시되도록 된다.
따라서 제1피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이 확실하게 실시되는 까닭에 리일샤프트의 웨빙인출방향의 회동이 리일샤프트의 양측에서 확실하게 저지되게 된다.
특히, 리일샤프트를 이동시키지 않고 프레임에 록크시킬 수가 있으므로 한층더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1피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제2피결합부 및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이 모두 확실하게 실시됨으로써 한쪽만의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집중응력의 발생도 없어지므로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은 극히 작아진다.
따라서 프레임의 두께를 그다지 크게 할 필요는 없고 리일샤프트도 소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리트랙터를 소형경량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먼저 제1결합부재와 제1피결합부와의 결합을 완료시킴으로써 적어도 제1결합부재와 제1피결합부가 확실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와의 결합불량이 없어지고, 리일샤프트를 확실하게 록크할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1 내지 3의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결합부재를 제1 및 제2피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것 뿐이고, 리일샤프트는 하등 이동하지 않으므로 기구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부품수가 적어져서 조립부착 공정수가 삭감되며, 코스트가 저감된다.
또 청구항4의 발명에서는 웨빙이 소정의 가속도 이상으로 인출되었을 때, 웨빙인출 감지장치에 의하여 리일샤프트를 확실하게 록크하게 된다.
특히 청구항5 및 8의 발명과 같이 제1 및 제2결합부재로서 폴을 사용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피결합부를 톱니에 의하여 구성함으로써 결합이 보다 더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청구항 5,6 및 9의 발명과 같이 록크조정장치에 캠 및 캠구멍을 사용함으로써 한층 더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작동이 확실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이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표시하고, 제2도는 커버를 해체한 상태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하듯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벨트리트랙터(1)는 좌우측벽(2a), (2b)을 보유하는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좌우측벽(2a), (2b)은, 연결부재(2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의하여 프레임(2)은 보강되고 있다.
또, 제5도에 표시하듯이 좌측벽(2a)에는 원형상의 구멍(2d)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6도에 표시하듯이 우측벽(2b)에는 원형상의 구멍(2e)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2b)에 있어서의 구멍(2e)의 내주면에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소정 수의 산형상의 톱니(2f)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하듯이 프레임(2)의 좌우측벽(2a), (2b)사이에 웨빙(3)을 권취하는리일샤프트(4)가 설치되어 있다.
제7도에 표시하듯이 이 리일샤프트(4)의 좌우측면 중심부에는 각각 제1회전축(4a) 및 제2회전축(4b)이 설치되어 있다.
또, 좌측단면에는 한쌍의 부채꼴의 축방향돌출부(4c), (4d)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우측단면에는 변칙부채꼴 형상의 오목부(4e)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축방향 돌출부(4c), (4d) 사이의 한쪽의 협간부(4f)와 오목부(4e)에 개구하도록 하여서 축방향구멍(4g)이 뚫려 있다.
또, 리일샤프트(4)의 좌우단 근방에는, 웨빙(3)의 권춰시에 이 웨빙(3)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플랜지(4h), (4i)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2b)에는, 리일샤프트(4)에 웨빙(3)의 권취력을 부여하는 가압력 부여장치(5)가 부착되어 있다.
또, 좌측벽(2a)에는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6)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차량의 소정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 그 감속도를 감지하여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6)를 동작시키는 감속도감지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력부여장치(5)는 나선스프링(8), 이나선스프링(8)의 내주단(8a)이 연결되어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부시(9), 나선스프링(8)의 외주단(8b)이 고정되는 동시에, 이 나선스프링(8)을 수용하는 스프링케이스(10) 및 스프링케이스(10)에 부착되어서 나선스프링(8)을 피복하는 커버(11)로 구성되어 있다.
부시(9)는 제2회전축(4b)에 상대회전불능하게 끼워맞춰 연결되고, 따라서 리일샤프트(4)에는 나선스프링(8)의 스프링력이 웨빙(3)의 권취방향(B)으로 상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6)는 좌측벽(2a)에 고정되는 리테이너(12)와, 록크기어(13)와, 이 록크기어(13)와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관성체(14)와, 록크기어(13) 및 관성체(14)간에 설치되는 콘트롤스프링(15)과, 한쌍의 메인폴(19)과, 리일샤프트(4) 및 메인폴(19)간에 설치되는 Ω 형상의 리턴스프링(16)과, 리테이너 (12)에 고정되고 내주면 전체둘레에 걸쳐서 소정 수의 산형상의 톱니(20a)가 형성된 내치기어(20)와, 리일샤프트(4)의 축방향구멍(4g)을 관통하는 조인트 핀(21)과, 이 조인트 핀(21)의 일단에 연결되는 백업폴(22)과, 록크기어(13)를 피복하는 커버(18)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도에 있어서 부호23은 웨빙가이드이다.
제1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리테이너(12)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극히 큰 구멍12a를 보유하고 있고, 또 하부에 감속도 감지장치(7)의 부착부(12b)를 보유하고 있다.
록크기어(13)는, 제9도에 표시하듯이 원형의 평판(13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평판(13a)의 외주단에 환상의 플랜지(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13b)의 외주면에 소정 수의 톱니(13c), (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톱니(13c)는, 3각형의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웨빙인출방향(A)에 대하여 직면하는 면이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데 대하여 웨빙권취방향 (B)에 대하여 직면하는 면이 거의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제9도(a)에 표시하듯이 평판(13a)의 동도면(b)에 있어서 좌측면에는 스프링 받이 부재(13d)가 세워져 있고, 이 스프링받이부재(13d)에는 스프링가이드부(13e)가 평판(13a)에 평행하게 세워져 있다. 또, 평판(13a)에는 축(13f)이 세워져 있는 동시에 제1스톱퍼(13g) 및 제2스톱퍼(13h)가 세워져 있다.
또, 평판(13a)에는, 장원형상의 제1캠구멍(13i)과 L자 형상의 제2캠구멍(13j)이 뚫려 있다.
제1캠구멍(13i)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웨빙인출방향(A)으로 경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 제2캠구멍(13j)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웨빙인출방향(A)으로 경사하는 지름방향의 구멍(13k)과 이 구멍(13k)의 내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둘레방향구멍(13m)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평판(13a)의 중앙에는 회전축(13n)이 세워져 있는 동시에 이 회전축(13n)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3p)이 뚫려 있다.
제10도에 표시하듯이 관성체(14)는 평판으로부터 개략 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중앙에 구멍(14a)이 뚫려 있다.
또, 양 선단에는 각각 걸림폴(14b), (14c)이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폴(14b), (14c)사이에는 스프링받이부(14d), (14e) 및 스프링가이드부(14f), (14g)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듯이 관성체(14)는 구멍(14a)을 록크기어(13)의 축(13f)에 끼워맞춤으로써 요동가능하게 록크기어(13)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스프링(15)이 가이드부(13e), (14f)에 끼워맞춰져서 스프링받이부재(13d)와, 스프링받이부(14d)사이에 축설치되어 있다.
이 콘트롤 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관성체(14)는 록크기어(13)에 대하여 A방향으로 상시가압되어 있고, 통상시에는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제1스톱퍼(13i)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관성체(14)가 록크기어(13)에 대하여 B방향으로 콘트롤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전했을 때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제2스톱퍼(13h)에 맞닿게 되어있다.
제11도에 표시하듯이 메인폴(19)은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고, 부채의 사북의 부분에 관통구멍(19a)이 뚫려 있는 동시에 부채의 외주면에 한쌍의 걸림폴(19b), (19c)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한쪽의 걸림폴(19c)의 근방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축(19d)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한쌍의 걸림폴(19b), (19c)의 사이에는 V자형의 오목부(19e)가 형성되어 있고, 이 V자헝 오목부(19e)가 내치기어(20)의 산형상의 톱니(20a)의 하나에 결합가능하게 되어있다.
Ω 형상의 리턴스프링(16)은, 일단이 리일샤프트(4)의 구멍(4k)에 걸려 있는 동시에 타단이 메인폴(19)의 구멍(19a)에 걸려 있다. 그리고 이 Ω 형상의 리턴스프링 (16)에 의하여 메인폴(19)은,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웨빙인출방향(A)으로 상시가압되어 있다.
제12도에 표시하듯이 내치기어(20)는, 링형상평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같이 그 내주면에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소정 수의 산형상톱니(20a)가 형성되어있다.
이들 산형상의 톱니(20a)는 형상 및 수량 모두 프레임(2)의 우측벽(2b)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2f)의 형상 및 수량과 완전히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내치기어(20)는 리테이너(12)의 구멍(12a)내에 배치되고, 예컨데 나사못 등의 체결부재를 상하 한쌍의 부착구멍(20b), (20c)을 관통하여 프레임(2) 좌측벽(2a)의 상하 한쌍의 구멍(2g), (2h)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이 좌측벽(2a)에 고정된다.
내치기어(20)가 좌측벽(2a)에 고정되었을 때에는 내치기어(20)의 1개의 톱니(20a)와, 우측벽(2b)의 1개의 톱니(2f)가 원주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3도에 표시하듯이 조인트핀(21)은, 축부(21a)의 좌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아암부(21b)와, 이 아암부(21b)의 선단에 설치된 축방향의 돌출축(21c)으로 구성되어있다.
또, 축부(21a)의 우단에 백업폴(22)이 고정되어 있고, 백업폴(22)은 아암부(21b)의 회전에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하듯이 이 백업폴(22)은 프레임(2)의 우측벽(2b)에 형성된 산형상의 톱니(2f)에 웨빙인출방향(A)으로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크기어(13)의 회전축(13n)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3p)을 리일샤프트(4)의 제1회전축(4a)에 관통시킴으로써 록크기어(13)가 장착되었을 때, 메인폴(19)의 돌출축(19d)이 록크기어(13)의 제1캠구멍(13i)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조인트핀(21)의 돌출축(21c)이 제2캠구멍(13j)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메인폴(19)이 Ω 형상의 리턴스프링(16)에 의하여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웨빙인출방향(A)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돌출축(19d)을 통해 록크기어(13)도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록크기어(13)가 가압되어 있는 통상상태에서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돌출축(19d)은 제1캠구멍(13i)의 내측단에 맞닿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돌출축(21c)은 제2캠구멍(13j)의 둘레방향의 구멍(13m)의 단부에 당접한 위치에 설정되도록 된다.
이 상태에서는, 메인폴(19)의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이 내치기어(20)의톱니(20a)에 결합하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는 동시에, 백업폴(22)이 프레임(2)의 우측벽(2b)의 톱니(2f)에 결합하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하듯이 커버(18)가 록크기어(13), 관성체(14) 및 감속도감지장치(7)를 피복하도록 하여 리테이너(1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4도에 표시하듯이 이 커버(18)는 소정 형상의 평판부(18a)와 그 가장자리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부(18b)로 구성되어 있다.
평판부(18a)에는 내부면에 소정수의 톱니(18c)가 형성된 환상의 톱니부재(18d)가 설치되어 있다.
톱니(18c)는 3각형의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웨빙인출방향(A)으로 면하는 면이 대략 수직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웨빙권취방향(B)에 면하는 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듯이 커버(18)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이 환상의 톱니부재(18d)는 록크기어(13)의 플랜지(13b)의 내측에서 이 플랜지(13b)와 관성체(1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상태에서는 콘트롤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관성체(14)가 제1스톱퍼(13g)에 맞닿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걸림폴(14c)은 톱니(18c)로부터 떨어진 비결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관성체(14)가 콘트롤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록크기어(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요동하여 제2스톱퍼(13h)에 맞닿았을 때, 걸림폴(14c)이 톱니(18c)와의 결합가능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걸림폴(14c)이 결합가능위치에 있을 때에 록크기어(13)가 웨빙인출방향(A)으로 회전하면, 걸림폴(14c)이 톱니(18c)와 결합하여 록크기어(13)는 그 이상의 웨빙인출방향(A)의 회전이 저지된다. 걸림폴(14c)이 결합가능위치에 있을 때에 록크기어 (13)가 웨빙권취방향(B)으로 회전하면, 걸림폴(14c)이 톱니(18c)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서 콘트롤스프링(15)에 대항하여 이동하여서 톱니(18c)를 타고 넘어가는 까닭에 록크기어(13)는 웨빙권취방향(B)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상의 톱니부재(18d)중심부에는 돌기(18e)가 설치되어 있고, 제3도에 표시하듯이 커버(18)가 부착되었을 때, 이 돌기(18e)는 리일샤프트(4)의 구멍(4m)에 끼워지고, 이것에 의하여 커버(18)의 환상의 톱니부재(18d)는 록크기어(13)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메인폴(19)과 백업폴(22)의 동작에 대하여 제15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제15도는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2개의 톱니(2f), (20a), 메인폴(19) 및 백업폴(22)이 동일 평면에 기재되어 있다.
제15도(a)에 있어서 Q 형상의 리턴스프링(1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메인폴(19)이 A방향으로 상시가압되어 있으므로, 록크기어(13) 및 조인트핀(21)의 아암부(21b)가 공히 A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록크기어(13)가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A방향으로 상대회동한다. 그런 까닭에 돌출축(19d)이 제1캠구멍(13i)의 내측단에 맞닿는 위치에 까지 록크기어(13)가 리일샤프트(40에 대하여 A방향으로 상대회동하고, 그 위치에서 록크기어(13)는 정지하고 또한 유지된다.
한편, 이때, 조인트핀(21)의 아암부(21b)의 돌출축(21c)은 제2캠구멍(13j)에 있어서의 둘레방향구멍(13m)의 단부에 맞닿는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메인폴(19) 및 백업폴(22)이 공히 각각 톱니(20a) 및 톱니(2f)와 결합하지 않는 비결합위치로 되어 있다.
또, 록크기어(13)가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제15도(b)에 표시하듯이 제1캠구멍(13i)에 안내되어서 돌출축(19d)이 이동한다.
이 돌출축(19d)의 이동에 의하여 메인폴(19)이 B방향, 즉 톱니(20a)쪽으로 회동하여 제1 및 제2걸림 폴(19b), (19c)과 결합하는 톱니(20a)가 결정된다.
또, 이때 조인트핀(21)의 아암부(21b)의 돌출축(21c)이 둘레방향의 구멍(13m)에 안내되어 구멍(13m)의 타단부까지 이동한다.
그 경우에 돌출축(21c)이 둘레방향의 구멍(13m)을 따라서 단지 이동하는 것 뿐이므로 아암부(21b)는 거의 회동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백업폴(22)도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백업폴(22)은 통상상태의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또, 록크기어(13)가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제15도(c)에 표시하듯이 돌출축 (19d)이 제1캠구멍(13i)에 안내되어서 더욱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메인폴(19)이 톱니(20a)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서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과 톱니(20a)가 맞물리기 시작한다. 한편, 이때 아암부(21b)의 돌출축(21c)이 지름방향의 구멍(13k)에 안내되어서 이동하며, 이 때문에 백업폴(22)이 B방향, 즉 톱니(2f)쪽으로 회동하여 백업폴(22)과 결합하는 톱니(2f)가 결정된다.
또, 록크기어(13)가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제15도(d)에 표시하듯이 돌출축(19d)이 제1캠구멍(13i)에 안내되어서 더욱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메인폴(19)이 톱니(20a)쪽으로 회동하여서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과 톱니(20a)의 맞물림이 진행되는 동시에 아암부(21b)의 돌출축(21c)이 지름방향의 구멍(13k)에 안내되고 더욱 이동하여 백업폴(22)과 톱니(2f)의 결합이 개시된다.
또, 록크기어(13)가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제15도(e)에 표시하듯이 돌출축(19d)이 제1캠구멍(13i)에 안내되어서 더욱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메인폴(19)이 톱니(20a)쪽으로 더욱 회동하여서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이 완전히 맞물리는 동시에 아암부(21b)의 돌출축(21c)이 지름방향의 구멍(2f)가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과 톱니(20a)의 맞물림과 동시에 또한 완전히 결합한다.
이와 같이 메인폴(19), 백업폴(22) 및 톱니(20a), (2f)에 의하여 시이트벨트 록크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에 있어서는, 메인폴(19)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걸림폴(19b), (19c)과 결합하는 톱니(20a)가 먼저 결정되고, 이어서 백업폴(22)과 결합하는 톱니(2f)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메인폴(19)과 톱니(20a)의 결합 및 백업폴(22)과 톱니(2f)의 결합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불량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그들의 결합이 확실하게 실시되게 된다.
감속도감지장치(7)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관성보울(7a)과 이 관성보올(7a)을 지지하는 지지대(7b)와, 관성보울(7a)의 이동에 의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대(7b)에 부착되는 액츄에이터(7c)로 이루어져 있다.
제2도에 표시하듯이 지지대(7b)에는 관성보올(7a)을 적재하기 위한 오목부(7d)가 설치되어 있고, 이 오목부(7d)에 의하여 관성보올(7a)은, 통상시에는, 거의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는 동시에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에는 이 오목부(7d)로부터 탈출하여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액츄에이터(7c)의 선단에는, 걸림폴(7e)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액츄에이터(7c)는 통상시에는, 도면에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록크기어(13)의 톱니(13c)로부터 떨어진 비결합 위치에 있고, 관성보올(7a)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했을 때,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사방으로 회동하여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걸림폴(7e)이 톱니(13e)와 결합하는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지 않는 통상상태]
이 상태에서는 감속도 감지장치(7)의 관성보올(7a)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액츄에이터(7c)는 제2도의 실선위치에 있고, 걸림폴(7e)은 록크기어(13)의 톱니(13e)로부터 떨어진 비결합 위치에 있다.
또, 그와 마찬가지로, 관성체(14)의 걸림폴(14c), 메인폴(19) 및 백업폴(22)도 각각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비결합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는 주로 가압력 부여장치(5)의 작용이 실시된다.
즉, 이 가압력부여장치(5)의 나선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리이샤프트(4)는 웨빙권취방향(B)으로 가압되어서, 웨빙(3)이 권취되도록 된다.
[시이트벨트의 비장착상태]
이 상태에서는 웨빙(3)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부재(tang)(도면표시않음)와 버클부재(도면표시않음)가 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나선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3)을 권취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웨빙을 인출할 때의 상태]
웨빙(3)을 장착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웨빙(3)을 인출하면, 이것에 따라서 리일샤프트(4) 및 부시(9)가 웨빙인출방향(A)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나선스프링(8)이 감겨 들어간다.
[걸림부재와 버클부재의 결합후 웨빙에서 손을 떼었을 때의 상태]
탑승자가 걸림부재와 버클부재를 결합한 시점에서는 웨빙(3)은 정규의 장착상태 일 때의 인출길이 보다도 여분으로 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결합조작후에 웨빙(3)을 놓으면 나선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3)은 탑승자의 몸에 꼭맞을 때까지 권춰된다.
이때, 웨빙(3)에 의하여 탑승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나선스프링(8)의 스프링력이 적정하게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주행중에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가속도가 작용하지 않는 한 시이트벨트리트랙터(1)는 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의 상태]
차량주행중 급브레이크 등에 의하여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가속도가 작용하면,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6) 및 감속도감지장치(7)가 다 함게 동작한다.
먼저, 제1단계로서 감속도감지장치(7)의 관성보올(7a)이 감속도에 의하여 전방으로(제2도의 화살표방향)이동하므로 액츄에이터(7c)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제2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된다.
이 때문에 걸림폴(7e)이 걸림위치로 된다.
또 한편, 차량의 이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에 의하여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까닭에 웨빙(3)이 인출되는데, 이 웨빙(3)의 인출에 의하여 리일샤프트(4) 및 록크기어(13)가 인출방향(A)으로 회동한다.
그러나, 록크기어(13)의 톱니(13c)가 즉시 걸림폴(7e)에 결합하므로 록크기어(13)는 곧 인출방향(A)으로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 결과 리일샤프트(4)만 인출방향(A)으로 계속 회동하게 되므로, 록크기어(13)와 리일샤프트(4) 사이에는 상대회동이 발생한다. 즉 록크기어(13)는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게된다.
이 록크기어(13)의 상대회동에 의하여 제2단계로서 제15도(b)내지 제15도(e)에 표시하듯이 메인폴(19) 및 백업폴(22)이 회동하여 각각 톱니(20a) 및 톱니(2f)에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일샤프트(4)는 웨빙인출방향(A)의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 결과, 관성에 의하여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웨빙(3)의 인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탑승자는 확실하게 구속되어 보호되게 된다.
[웨빙에 급격하게 인출력이 작용했을 때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웨빙(3)이 급격하게 인출되므로, 리일샤프트(4), 록크기어(13) 및 관성체(14)가 웨빙인출방향(A)으로 급격하게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콘트롤스프링(15)의 스프링력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콘트롤스프링(15)이 압축되어 관성체(14)는 관성지연이 발생된다. 즉, 관성체(14)는, 록크기어(13)와 함께 웨빙인출방향(A)으로 공전할 뿐아니라, 록크기어(13)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자전한다.
이와 같이 관성체(14)는, 본 발명의 웨빙인출감지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 관성체(14)의 자전에 의하여 제2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걸림폴(14c)이 제2스톱퍼(13h)에 맞닿는 결합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톱니(18c)에 결합한다. 그러므로 관성체(14)의 공전, 록크기어(13)의 웨빙인출방향(A)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따라서 리일샤프트(4)만이 웨빙인출방향(A)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록크기어(13)는 리일샤프트(4)에 대하여 B방향으로 상대회동하게 된다.
이 록크기어(13)의 상대회동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인폴(19) 및 백업폴(22)이 회동하여 각각 톱니(20a) 및 톱니(2f)에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일샤프트(4)는 웨빙인출방향(A)의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 결과 관성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함으로써 발생하는 웨빙(3)의 인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탑승자는 확실하게 구속되어 보호되게 된다.
제16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제16도는 그 중앙부분이며 제17도는 좌측부분이고 또 제18도는 그 우측부분이다.
그리고 제16도의 선 Al, Bl, C1, D1과 제17도의 선 A2, B2, C2, D2가 각각 일치하고, 제16도의 선 El, Fl, Cl, Gl, H1과 제18도의 선 E3, F3, C3, G3, H3가 각각 일치함으로써 이 실시예의 전체 분해사시도가 구성된다.
또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가 조립된 상태를 표시하고, 제19도는 커버를 해체한 상태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우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 있어서의 XX-XX선을 따르는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에 있어서 가압력 부여장치(5)를 해체한 상태를 부분적으로 표시하는 부분좌측면도이다.
제16도 내지 제21도에 표시하듯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01)는 우·좌측벽(102a), (102b)을 보유하는 ]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10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우·좌측벽(102a), (102b)은 연결부재(102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프레임(102)은 보강되어 있다.
또 제22도에 표시하듯이 우측벽(102a)에는 원형상의 구멍(102d)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23도에 표시하듯이 좌측벽(102b)에도 원형상의 구멍(102e)이 형성되어 있다.
또, 우·좌측벽(102a), (102b)에 있어서의 구멍(102d), (102e)의 내주면에는 각각 전체둘레에 걸쳐서 소정수의 산형상의 톱니(102f)....., (102g)......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경우 좌측톱니(102)의 위상이 우측톱니(102f)의 위상에 대하여 웨빙인출방향(α)쪽으로 소정각도(예컨데 3°등)쪽 나아가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톱니(102f), (102g)는 3각형의 산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웨빙인출방향(q )에 대면하는 면이 비교적 급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데 대하여 웨빙권취방향(p )에 대면하는 면이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들 톱니(102f), (102g)의 급경사면측의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폴
(117) 및 백업폴(120)이 각각의 톱니(117d), (120d)가 대응하는 톱니(102f), (102g)에 결합개시하는 스탠바이 위치에 캠구멍(114m), (114n)에 의하여 유도된 후에, 톱니(117d), (120d)가 톱니(102f), (102g)에 완전히 결합하는 록크위치에 메인
폴(117) 및 백업폴(120)을 회동시키는 것 같은 형상, 즉 메인폴(117) 및 백업폴(120)이 각각 셀프록크작용을 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셀프록크작용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좌측벽(102b)에는 3개의 걸림구멍(102h), (102i), (102j) 및 장공으로 되는가이드구멍(102g)이 뚫려 있다.
또 우측벽(102a) 상단에는 걸림돌기(102s)가 상방으로 돌설되어 있다.
제20도에 표시하듯이 프레임(102)의 우·좌측벽(102a), (102b)사이에는 웨빙(103)을 권취하는 리일샤프트(104)가 설치되어 있다.
제24도에 표시하듯이 이 리일샤프트(104)는 중앙의 웨빙권취부(104a)와, 이 웨빙권취부(104a)의 우·좌양단에 형성되어서 웨빙(103)을 권취하여 가이드하는 원형의 플랜지형상부(104c)와, 플랜지형상부(104b)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회전축(104d)과 플랜지형상부(104c)의 중심부에 설치되어서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회전축(104d)과, 플랜지형상부(104c)의 중심부에 설치되어서 제1회전축(104d)과 동축인 제2회전축(104e)으로 구성되어 있다.
웨빙권취부(104a)에는 웨빙(103)을 권취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웨빙(103)의 선단이 삽입되고 또한 걸림되는 지름방향의 관통구멍(104f)이 뚫려 있다.
이 관통구멍(104f)의 일단부측이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관통구멍(104f)은 단부를 보유한 단달림 구멍으로 형성되며, 이 단부(104g)에 웨빙(103)의선단이 걸려 있다.
이 리일샤프트(104)는 예컨데 알루미늄의 PF다이캐스트에 의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제25도에 표시하듯이 우측의 플랜지형상부(104b)에는, 폴스프링(118)(16도에 도시)이 수용되는 제1오목끼움부(104h)와 메인폴(117)(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35도에 표시)의 폴부(117c)가 설치되는 제2오목끼움부(104i)와 이 메인폴(117)의 폴부(117c)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면(104j)이 형성된 하중받이부(104k)와 조인트핀(119)이 회전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지는 축방향의 관통구멍(104m)과, 이 관통구멍(104m)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04m)과 동심원형인 제3오목끼움부(104n)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오목끼움부(104h), (104i), (104n)가 플랜지형상부(104b)의 외주연부(104p)의 면에 대하여 가장 깊게 축방향으로 우그러들어 있는 동시에 하중받이부(104k)의 면이 플랜지형상부(104b)의 외주연부(104p)의 면에 대하여 각 오목감부(104h), (104i), (104n)보다는 얕게 축방향으로 우그러들어 있다.
따라서 제2오목끼움부(104i)와 플랜지형상부(104b)의 외주연부(104p)의 제1오목끼움부(104h)와의 사이, 그리고 플랜지형상부(104b)의 외주연부(140p)와 하중받이부(104k)와의 사이, 및 제2오목끼움부(104i)와 하중받이부(104k)와의 사이에는 각각 단부(104g), (104r), (104s)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중받이면(1o4j)은 관통구멍(104m)과 동심원인 소정길이의 원호로 형성되어있다.
또, 플랜지형상부(104b)의 외주면에는 리일샤프트(104)가 우·좌측벽(102a), (102b)사이에 설치되었을 때 리일샤프트(104)를 우측벽(102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우측 가이드부(104t)가 3개소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우측가이드부(104t)는 우·좌측벽(102a), (102b)의 구멍(102d), (102e)을 쉽게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우측가이드부(104t)는 소
정수량의 톱니(104tl)을 보유하고 있고, 이들 톱니(104tl)는 우·좌측벽(102a), (102b)에 형성된 톱니(102f), (102g)와 닮은 꼴이면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톱니 104t1이 톱니 102f 또는 톱니 102g와 정합되었을 때, 우측가이드부(104t)를 보유하는 플랜지형상부(104b)는 구멍102d 및 구멍102e를 통과할 수 있게된다.
또 제1회전축(104d)의 선단은 소경부(104dl)로 되어 있고, 이 소경부(104dl)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크기어 제1커버(113)의 소공(113n)에 회전가능하게 끼움지지된다.
또 제26도에 표시하듯이 좌측의 플랜지형상부(104c)에는 백업폴(120)(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37도에 표시)의 폴부(120c)가 설치되는 제4오목끼움부(104u)와, 이
백업폴(120)의 폴부(120c)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면(104v)이 헝성된 하중받이부(104w)와, 조인트핀(119)이 회전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지는 축방향의 관통구멍(104m)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04m)과 동심원형인 제5오목끼움부(104x)가설치되어 있다.
제4 및 제5오목끼움부(104u), (104x)가 플랜지형상부(104c)의 외주연부(104y)의면에 대하여 가장 깊게 축방향으로 우그러들어 있는 동시에, 하중받이부(104w)의 면이 플랜지형상부(104c)의 외주연부(104y)의 면에 대하여 각 오목끼움부(104u), (104x)보다는 얕게 측방향으로 우그러들어 있다.
따라서 제4오목끼움부(104u)와 플랜지형상부(104C)의 외주연부(104y)의 사이, 그리고 플랜지형상부(104c)의 외주연부(104y)와 하중받이부(104w)사이 및 제4오목끼움부(104u)와 하중받이면(104v)은 관통구멍(104m)과 동심원인 소정길이의 원호로구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 형상부(104c)의 외주면에도 리일샤프트(104)가 우·좌측벽(102a), (102b)사이에 설치되었을 때, 리일샤프트(104)를 좌측벽(102b)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좌측가이드부(104D) 3개소가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측 가이드부(104D)는 우· 좌측벽(102a), (102b)의 구멍(102d), (102e)을 쉽게 통과할 수는 없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좌측가이드부(104D)는 소정수량의 톱니(104Dl)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톱니(104Dl)는 우·좌측벽(102), (102b)에 형성된 톱니(102f), (102g)와 닮은꼴이며, 또한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톱니 104D1이 톱니 102f 또는 톱니102g와 정합되었을 때, 좌측가이드부(104t)를 보유하는 플랜지형상부(104c)는 구멍102d 및 구멍102e를 통과할 수 있게된다.
또, 플랜지형상부(104c)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회전축(104e)은 선단부(104el)가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접속부(104e2)가 각형단면(본 실시예의 경우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4도에서 명확하듯이 관통구멍(104m)은 플랜지형상부(104b), (104c)를 관통할 뿐만아니라, 중앙의 웨빙권취부(104a)까지도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즉 관통구멍(104m)은 리일샤프트(10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7도 및 제20도에 표시하듯이 좌측벽(102b)에는 리일샤프트(104)에 웨빙(103)의 권취력을 부여하는 가압력부여장치(105)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제16도, 제18도 및 제20도에 표시하듯이 우측벽(102a)에는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106)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제18도 및 제20도에 표시하듯이 차량에 소정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 그 감속도를 감지하여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106)를 동작시키는 감속도 감지장치(107)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력부여장치(105)는 나선스프링인 파워스프링(108)과, 이 파워스프링(108)의 내측단(108a)이 연결되어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부시(109)와, 파워스프링(108)의 외측단(108b)이 고정되는 동시에 이 파워스프링(108)을 수용하는 스프링케이스(110) 및 스프링케이스(110)에 부착되어서 파워스프링(108)을 피복하는 커버(111)로 구성되어 있다.
제27도에 표시하듯이 부시(109)의 중심부에는 리일샤프트(104)의 제2회전축(104e)의 접속부(104e2)가 끼움가능한 관통구멍(109a)이 축방향으로 뚫려 있다.
이 관통구멍(109a)의 단면형상은 제2회전축(104e)의 접속부(104e2)의 단면형상과 동일형상인 각형(角形)으로 되어 있다.
또 부시(109)에는 그 외주면에 개구하는 4개의 U자형상 단면의 흠(109b), (109c), (109d), (109e)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흠 중의 흠 109b와 흠 109d 및 홈 109c와 홈 109e가 각각 부시(109)의 중심에 대하여 지름방향 반대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흠에는 스프링괸(112)(제17도에 표시)이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또, 부시(109)에는 스프링(108)의 내측단(108a)이 끼워져, 걸리게 되는 걸림홈(109f)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부시(109)는 그 구멍(109a)에 제2회전축(104e)의 접속부(104e2)가 끼워짐으로써 그 제2희전축(104e)에 상대회전 불능하게 끼워맞춤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스프링(108)의 스프링력이 부시(109)를 통하여 리일샤프트(104)에 웨빙(103)의 권취방향(p )으로 상시 작용하게 되어 있다.
제28도에 표시하듯이 스프링케이스(110)는 대략 중심부에 리일샤프트(104)의 제2회전축(104e)의 접속부(104e2)가 헐겁게 끼워지는 구멍(110g)이 뚫려 있는 동시에, 스프링핀(112)이 관통하는 한쌍의 소공(110b), (110c)이 구멍 110a를 끼고 뚫려 있다.
스프링케이스(110)의 외주단부의 근방에는 스프링(108)의 외주단(108b)이 걸리는 걸림부(11Od)가 설치되어 있다.
제29도에 표시하듯이 커버(111)는 대략 중앙부에 리일샤프트(104)의 제2회전축(104e)의 선단부(104el)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멍(11la)이 뚫려 있는 동시에
스프링핀(112)이 관통하는 한쌍의 소공(111b), (111c)이 구멍(11la)을 끼고 뚫려
있다. 또 커버(111)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에는 3개의 걸림돌기(11ld), (11le), (11lf)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돌기(111d), (111e), (11lf)는 각각 프레임(102)의 좌측벽(102b)에 뚫린대응하는 걸림구멍(102h), (102i), (102j)에 끼워져 걸리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가압력부여장치(105)가 프레임(102)의 좌측벽(102b)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시이트벨트리트랙터(101)를 조립할 때에는 가압력부여장치(105)를 소조립상태(sub assembly)로서 미리 조립하고, 이 소조립상태를 프레임(102)의 좌측벽(102b)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경우 가압력부여장치(105)를 소조립한 상태로서는 리일샤프트(104)에 상시 스프링력을 웨빙권취방향(β )으로 부여하기 위하여, 파워스프링(108)을 웨빙인출방향(α)로 소정량 권쥐상태로 유지해 둘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제17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스프링(112)이 사용되고 있다.
제30도에 상세하게 표시하듯이 이 스프링핀(112)은 탄성선재로 절곡 형성되고 있고,2개의 회전저지아암(112a), (11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력부여장치(105)의 소조립상태에서 파워스프링(108)이 되감기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 회전저지아암(112a), (112b)을 제17도에 표시하듯이 스프링커버(111)의 소공(111b), (111c)부시(109)의 흠(109b), (109c)의 어느 한쪽, 흠
(109d), (109e)의 어느 한쪽, 스프링 케이스(110)의 소공(110b), (110c)에 관통하므로써 파워스프링(108)이 되감기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106)는, 프레임(102)의 우측벽(102a)에 고정되는록크기어 제1커버(113)와, 록크기어(114)와, 이 록크기어(114)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관성체(115)와, 록크기어(114) 및 관성체(115)사이에 설치되는 콘트롤스프링(116)과, 일단이 리일샤프트(104)의 플랜지형상부(104b)에 형성된 제3오목끼움부(104n)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제2오목끼움부(104i)에 배치되는 걸림부로 되어 있는 메인폴(117)과, 리일샤프트(104)의 제1오목끼움부(104h)내에 수용되고 또한 리일샤프트(104) 및 메인폴(117)사이에 축설치되는 폴스프링(118)과, 리일샤프트(104)의 축방향구멍(104m)을 관통하는 조인트핀(119)과, 이 조인트핀(119)의일단에 연결되고 또 일단이 리일샤프트(104)의 플랜지형상부(104u)에 배치되는 걸림부로 되어 있는 백업폴(120)과, 프레임(102)의 우측벽(102a)에 지지되며, 록크기어 제1커버(113), 록크기어(114), 관성체(115), 메인폴(117), 조인트핀(119) 및 감속도감지장치(107)를 피복하는 록크기어 제2커버(12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시이트벨트리트랙터(101)는 웨빙(103)을 안내하는 웨빙가이드(122)를 구비하고 있다.
제31도 및 제32도에 표시하듯이 이 관성구멍(113a)의 내주면에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소정수의 톱니(113c), (113c)----가 헝성되어 있다.
이들 환상의 톱니(113c)는 3각형의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웨빙인출방향(α)으로 대면하는 면이 대략 수직으로 되어 있는 데에 대하여 웨빙권취방향(β )으로 대면하는 면이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제31도에 표시하듯이 록크기어 제1커버(113)의 프레임(102)이 우측벽(102a )에 상대하는 측의 면에는 3개의 걸림돌기(113d), (113e), (113f)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돌기(113d), (113e), (113f)가 우측벽(102a)에 형성된 걸럼구멍(102k), (102m), (102n)에 각각 끼워맞춰짐으로써 록크기어커버(113)가 프레임(10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제32도에 표시하듯이 록크기어제1커버(113)의 걸림돌기(113d), (113e), (113f)측의 면과 반대측면에 개구하도록 하여, 감속도감지장치(107)의 수용부(113g)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113g)의 내벽에는 감속도감지장치(107)를 제32도의 지면(紙面)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고, 또 고정지지하는 한쌍의 가이드부재(113h), (113i)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부재(113h), (113i)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가이드부재
(113h), (113i)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받침대 단면형상의 오목끼움부(113j), (113k)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끼움부(113j), (113k)의 양측벽(113jl), (113j2), (113kl), (113k2)은 각각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록크기어제1커버(113)의 걸림돌기측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대략 +자형의 측벽(113m)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측벽(113m)의 교차부가 환상인 톱니(113c)의 중심에 대략 위치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측벽(113m)의 교차부에 있어서의 환상인 톱니(113c)의 중심위치에는 소공(113n)이 뚫려 있다.
이 소공(113n)에는 리일샤프트(113)에 있어서의 제1회전축(104d)의 선단소경부(104dl)가 거의 빈틈없이 헐겁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1회전축(104d)은 소공(113n)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록크기어(114)는 (a)에 표시하듯이 원형의 평판부(114a)와 이 평판부(114a)의 외주단에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114b)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114b)의 외주면에는 소정수의 톱니(114c), (11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톱니(114c)는 3각형의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웨빙인출방향(α )으로 대면하는 면이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데 대하여 웨빙권취방향(β )으로 대면하는 면이 대략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동도면(a) 및 (b)에 표시하듯이 평판부(114a)의, 동도면(b)에 있어서 죄측면(플랜지 114b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측의 면)에는 콘트롤스프링(116)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부재(114d)가 세워져 있고, 이 스프링받이부재(114d)에는 스프링가이드부(114e)가 평판부(114a)에 평행하게 세워져 있다.
또, 평판부(114a)에는 축(114f)이 세워져 있고, 이 축(114f)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성체(115)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114f)에 인접하여 원호형상의 이탈방지부재(114g)가 세워져 있다.
동도면(C)에 표시하듯이 이 이탈방지부재(114g)의 선단에는 걸림폴(114gl)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폴(114gl)은 상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축(114f)을 향하여 아주 약간만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성체(115)가 축(114f)에 끼워맞춰질 때 관성체(115)는 걸림폴(114gl)의 경사면을 압압하는 까닭에 이탈방지부재(114g)와의 간극을 약간 넓히도록 탄성변형하고 이것에 의하여 관성체(115)는 걸림폴(114gl)을 타고 넘어서 축(114f) 및 이탈방지부재(114g)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공간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는 관성체(115)는 제33도(C)에 있어서 상방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하여도 걸림폴(114gl)에 의하여 축방향이동이 저지되므로 축(114f)으로 부터의 이탈이 저지된다.
그러나 걸림폴(114gl)의 돌출량이 근소하여서 관성체(115)와 걸림폴(114gl)은 가볍게 결합하게 되므로 관성체(115)에 축(114f)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근소한외력을 가하므로써 관성체(115)는 걸림폴(114gl)을 타고 넘어서 축(114f)으로부터쉽게 이탈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이 이탈방지부재(114g)에 이하여 관성체(115)의 축(114f)에 대한 착탈이 간단해지는 동시에 관성체(115)가 축(114)에 확실하게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된다.
또 평판부(114a)에는 제1스톱퍼(114h) 및 제2스톱퍼(114i)가 세워져 있는 동시에, 평판부(114a)의 중앙에는 통형상인 회전축(114j)이 축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또 이 통형상인 회전축(114j)의 구멍에는 리일샤프트(104)의 제1회전축(104d)이괸통되고, 회전축(114j)은 제1회전축(104d)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평판부(114a)에는 이 평판부(114a)를 관통하는 소정형상의 제1, 제2 및 제3캠구멍(114k), (114m), (114n)이 각각 뚫려 있다.
동도면(b)에 표시하듯이 이들 제1,제2 및 제3캠구멍(114k), (114m), (114n)의 주연부에는 이들 캠구멍에 끼워지는 캠종동자가 확실하게 안내되도록 할 뿐 아니라 캠구멍 주연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평판부(114a)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제2 멎 제3캠구멍(114m), (114n)의 캠형상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캠구멍(114k)은 회전축(114j)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동도면(b)에 있어서 평판부(114a)의 우측면(플랜지 114b에 의해 둘러싸이지않는 측의 면)에는 폴스프링(118)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부재(114p)가 세워져 있고, 이 스프링받이부재(114p)에는 스프링가이드부(114g)가 평판부(114a)에 평행하게 세워져 있다.
제34도에 표시하듯이 관성체(115)는 개략 C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구멍(115a)을 보유하는 보스부(1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일단부에는 걸림폴(115c)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에는 콘트롤스프링(116)의 타단이 지지되고, 또 안내되는 스프링받이부(115d) 및 스프링가이드부(115e)가 설치되어 있다.
제19도에 표시하듯이 이 관성체(115)는 구멍(115a)을 록크기어(114)의 축(114f)에 끼워맞춤으로써 요동가능하게 록크기어(114)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14g)의 걸림폴(114gl)에 관성체(115)의 보스부(115b)가 걸리게 됨으로써 관성체(115)는 축(114f)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19도에 표시하듯이 콘트롤스프링(116)은 관성체(115)가 축(114f)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록크기어(114)및 관성체(115)의 양가이드부(114e), (115e)에 끼워맞춰져서스프링받이부재(114d)와스프링받이부(115d)사이에축설치되어있다.
따라서 이 콘프롤스프링(11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관성체(115)는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시가압되어 있고 통상시에는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제1스톱퍼(114h )에 맞닿는 위치로 유지된다.
또 관성체(115)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콘트롤스프링(11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전했을 때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제2스톱퍼(114i)에 맞닿는위치로 된다.
제19도 및 제20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벨트리트랙터(101)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록크기어 제1커버(113)이 톱니(113c)가 록크기어(114)의 환상의 플랜지(114d) 내측에서 이 플랜지(114d)와 관성체(115)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관성체(115)가 통상시에는 제19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제1스톱퍼(114h)에 맞닿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걸림폴(115c)은 톱니(113c)로부터 떨어진 비결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관성체(115)가 제19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제2스톱퍼(114i)에 맞닿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걸림폴(115c)은 톱니(113c)와의 결합가능위치로 된다.
걸림폴(115c)이 결합가능위치에 있을 때, 록크기어(114)가 줴빙인출방향(α)으로회전하면, 걸림폴(115c)이 톱니(113c)와 결합하여 록크기어(114)는 그 이상의 웨빙인출방향(α )의 회전이 저지된다.
걸림폴(115c)이 결합가능위치에 있을 때에, 록크기어(114)가 웨빙권취방향(β )으로 회전하면 걸림폴(115c)에 톱니(113c)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서 콘트롤스프링
(116)에 저항하여 이동하여서 톱니(113c)를 타고넘으므로, 록크기어(114)는 웨빙권
취방향(β )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5도에 표시하듯이 메인폴(117)은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고, 부채의 사북부분에 관통구멍(117a)을 보유하는 보스부(117c)가 형성되어 있다.
부채의 사북과는 반대측 단부에는 폴부(117c)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 폴부
(117c)의 선단에는 프레임(102) 우측벽(102a)의 톱니(102f)에 결합가능한 톱니(117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5도(a)에 표시하듯이 보스부(117b)가 리일샤프트(104)의 플랜지형상부(104b)의 제3오목끼움부(104n)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메인폴(117)은 보스부(117b)를 중심으로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메인폴(117)은 플랜지형상부(104b)에 형성된 단부(段部)(104g)에 맞닿으므로써 더 이상의 α 방향의 회동이 저지되는 동시에 플랜지형상부(104b)에 맞닿으므로써 더 이상이 β방향의 회동이 저지되게 되어 있다.
즉 이들단부(104g), (104r)는 각각 메인폴(117)의 α방향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로 되어 있다.
또 메인폴(117)은 단부(104g)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그 선단의 톱니(117d)가 플랜지형상부(104b)의 외주면으로부터 완전히 내측에 위치하고, 또 단부(104g)에 맞
닿은 상대에서는 톱니(117d)가 플랜지형상부(104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2)이 우측벽(102a)의 톱니(102f)에 결합하는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폴부(117c)의 톱니(117d)와 반대측 단부에는 하중전달부(117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중전달부(117e)는 관통구멍(117a) 및 보스부(117b)와 동심인 원으로 되는원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5도(a)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이 메인폴(117)은 그 보스부(117b)가 리일샤프트(104)의 제3오목끼움부(104n)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짐으로써 우측플랜지 형상부(104b)에 부착된다.
메인폴(117)이 우측플랜지형상부(104b)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폴부(117c)가 제2오목끼움부(104i)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중전달부(117e)가 리일샤프트(104)의 하중받이면(104j)에 맞닿게 된다.
그 경우 하중전달부(117e) 및 리일샤프트(104)의 하중받이면(104j)이 공히 동일 동심원의 원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중전달부(117e)는 메인폴(117)의 위치에 관계없이 하중전달부(117e)가 리일샤프트(1o4)의 하중받이면(104j)에 상시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중전달부(117e)가 리일샤프트(104)의 하중받이면(104j)에 맞닿으므로써 메인폴(117)의 폴부(117c)에 가해지는 하중(w)이 동도면(b)에 표시하듯이 하중전달부(117e)로부터 하중받이면(1o4j)에 전달되어서 리일샤프트(1o4)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층지지구조에 있어서는 하중점인 톱니(117d)와 하중전달부(117e)가 비교적 근접하고 있는 까닭에 메인폴(117)에는 굴곡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대부분압축만 작용하게 된다.
그뿐아니라 하중전달부(117e)와 하중받이면(1o4j)이 면접촉하므로 하중이 넓은 면적으로 리일샤프트(104)에 전달되게 되어 하중이 분산되므로, 발생응력이 비교적작게 된다.
따라서 메인폴(117)의 강도는 종래의 메인폴에 비하여 작아도 되고, 메인폴(117)을 수지등의 비교적 경량재료로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메인폴(117)의 하중전달부(117e)와 반대측면에는 원주형상의 캠종동체(117f)가 돌설되어 있고, 이 캠종동체(117f)는 록크기어(114)의 제3캠구멍(114n)에 끼워지고, 또 이 제3캠구멍(114n)을 따라서 안내되게 되어 있다.
폴스프링(118)은, 리일샤프트(104)의 제1오목끼움부(104h)에 수용되는 동시에, 록크기어(114)이 스프링가이드부(114g)에 끼워맞춰지며, 제1오목끼움부(104h)의 벽면과 스프링받이부(114p)사이에 측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폴스프링(118)은 메인폴(117)을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웨빙인출방향(α )으로 상시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이 폴스프링(118)의 가압력에 의하여 메인폴(117)은 통상시에는 플랜지형상부(104b)에 형성된 단부(104g)에 맞닿아 있다.
제36도에 표시하듯이, 죠인트핀(119)은 그 본체(119a)가 원형단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119a)의 동도면(a)에 있어서 우측단에는 본체(119a)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아암(119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119b)의 선단에는 원형단면의 캠종동체 (11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종동체 (119c)는 록크기어(114)의 제2캠구멍(114m)내에 끼워져, 이 제2캠구멍(114m)에 안내되게 되어 있다.
또 본체(119a)의 타단에는 직사각형단면의 측부(119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119d)는 후술하는 백업폴(120)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에 상대회동 불능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캠종동체(119e)가 제2캠구멍(114m)에 안내되어서 아암(119b)이 회동했을때 본체(119a)가 회전하고, 이 본체(119a)의 회전이 백업폴(120)에 전달되며, 백업폴(120)이 제2캠구멍(114m)에 안내되는 캠종동체 (119c)의 동작에 대응하여 회동하게 된다.
제37도에 표시하듯이 백업폴(120)은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고, 부채꼴의 사북부분에 직사각형단면상의 관통구멍(120a)을 보유하는 보스부(120b)가 형성되어 있다.
부채꼴의 사북과 반대측 단부에는 폴부(120c)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 폴부 (120c)이 선단에는 프레임(102)의 좌측벽(102b)의 톱니(102g)에 결합가능한 톱니 (120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6도(a)에 표시하듯이 보스부(120b)가 리일샤프트(104)의 플랜지형상부(104c)의 제5오목끼움부(104x)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백업폴(120)은 보스부(120b)를 중심으로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백업폴(120)은 플랜지형상부(104c)에 형성된 단부(104z)의 외주연부(104y)단에 위치하는 부분(104z)에 맞닿으므로써 더 이상의 α방향회동이 지지되는 동시에 플랜지형상부(104b)에 형성된 단부(104A)에 맞닿으므로써 그 이상의 β 방향회동이 지지되게 되어 있다.
즉 이들 단부(104z'), (104A)는 각각 메인폴(107)의 α 방향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백업폴(120)은, 단부(104z')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그 선단의 톱니(120d)가 플랜지형상부(104c)의 외주면으로부터 완전히 내측에 위치하고, 또 단부(104A)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톱니(120d)가 플랜지형상부(104c)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2)의 좌측벽(120d)의 톱니(102g)에 결합하는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폴부(120c)의 톱니(120d)와 반대측단에는 하중전달부(12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중전달부(120e)는 관통구멍(120a) 및 보스부(120b)와 동심원으로 되는 원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6도(a)에 표시하듯이 백업폴(120)이 좌측플랜지형상부(104c)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폴부(120c)가 제4오목끼움부(104u)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중전달부(120e)가리일샤프트(104)의 하중받이면(104v)에 맞닿게 된다.
그 경우, 하중전달부(102e)는 백업폴(120)의 위치에 관계없이 리일샤프트(104)이 하중받이면(104v)에 상시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중전달부(120e)가 리일샤프트(104)의 하중받이면(104v)에 맞닿으므로써 백업폴(120)의 폴부(120c)에 가해지는 하중(w')이 동도면(b)에 표시하듯이 하중전달부(120e)로부터 하중받이면(104v)에 전달되어서 리이샤프트(104)에 의하여지지되게 된다.
상기한 메인폴(117)과 마찬가지로 이와같은 하중지지 구조에 있어서는 하중점인 톱니(120d)와, 하중전달부(120e)가 비교적 근접하고 있으므로 백업폴(120)에는 굴곡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대부분 압축만 작용하게 된다.
그뿐아니라 하중전달부(120e)와 하중받이면(120j)이 면접촉하는 까닭에 하중이넓은 면적으로 리일샤프트(104)에 전달되게 되므로, 하중이 분산되어서 발생하는응력이 비교적 작게 된다.
따라서 백업폴(120)이 강도는 종래의 백업폴에 비하여 작아도 되며, 백업폴(117)을 수지등의 비교적 경량재료로 형성할 수가 있다.
제38도에 표시하듯이 록크기어제2커버(121)는, 평판부(121a)와, 이 평판부(121a)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121b)와, 프레임 우측벽(102a)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맞춰지는 걸림돌기(121c)와, 우측벽(102a)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02a)가 끼워지는 간극(121d)을 형성하는 걸림부(121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계지돌기(102s)를 간극(121d)에 감입시키므로써 계지부(121e)를 계지돌기(102s)에 계지시키는 동시에, 계지돌기(121c)를 우측벽(102a)의 계지구멍(102r)에 감합계지함으로써 록크기어 제2커버(121)가 우측벽(102a)으로 감속도감지장치(107)를 피복하도록 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제39도에 표시하듯이 감속도 감지장치(107)는 케이스(107a)와, 이 케이스(107a)에 요동자재하게 지지되는 레버(107b)와, 케이스(107a)에 수용되어서 통상시에는실선으로 표시하는 상대에 있는 동시에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발생했을때 2점쇄선위치로 요동하는 관성체(107c)를 구비하고 있다.
제40도에 표시하듯이 케이스(107a)는 직사각형단면상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저부에는 관성체(107c)의 재치부(107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107a)이 전방벽(107e) 및 후벽(107f)에는 각각 단면 받침대형상이 결합돌조(107g), (107h)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돌조(107g), (107h),이 양측벽(107gl), (107g2), (107hl), (107h2)은 가이드부재(113h), (131i)의 오목끼움부(113j), (113k)이 양측벽(113jl), (113j2), (113kl), (113k2)과 같은 경사각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동도면(a)에 의해 명확하듯이 결합돌조(107g)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경사면(107g3)으로 되어 있다.
도면표시는 하지 않지만 다른 또 한쪽의 결합돌조(107h )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도 마찬가지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들 결합돌조(107g), (107h)는 록크기어제1커버(113)에 있어서의 가이드부재(113h), (113i)의 오목끼움부(113j ), (113k)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레버(107b)는 후단부가 케이스(107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레버(107b)의 전단부에는, 록크기어(114)의 톱니(114c)에 결합가능한 걸림폴(107i)이
설치되어 있다.
제41도에 표시하듯이 관성체(107c)는, 하부에 중공원통의 소질량부(107j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소질량부(107j)상에 이것보다 대경이며 또한 충실의 절두원추(截頭圓錐)받침대형상의 대질량부(107k)가 형성되어 있다.
대질량부(107k)의 외주측면의 경사각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성체(107c)가 최대로 요동했을 때에 전방벽(107e)의 내면에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 대질량부(107k)상에는 원추형상의 작동돌기(107m)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성체(107c)의 상부를 하부보다도 대질량으로 하므로써 관성체(107c)의 감속도의 감지가 보다 더 민감하게 될 수 있다.
제39도에 표시하듯이 이와 같이 구성된 관성체(107c)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107a)이 적재부(107d)에 적재된다.
적재부(107d)에 적재된 관성체(107c)는, 통상상태에서는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적재부(107d)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하여, 그 상부이 작동돌기(107m)의 상단이 레버(107b)에 형성된 절두원추받침대형상의 오목부(107n)에 끼워져 있다.
이 통상상태에서는, 레버(107b)는, 실선으로 표시하는 대략 수평위치로 유지되고있으며, 레버(107b)의 이 실선위치에서는, 레버(107b)는 걸림폴(107i)이 록크기어(114)의 톱니(114c)에 결합하지 않는 비결합위치로 된다.
차량에 소정크기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관성체(107c)는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대질량(107k)의 외주면이 전방벽(107e)의 내면에 거의 맞닿을때 까지 경사진다.
이 관성체(107c)의 경사에 의하여, 작동돌기(107m)가 레버(107b)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므로 레버(107b)는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회동한다.
레버(107b)의 이 2점쇄선위치에서는, 레버(107b)는, 걸림폴이 록크기어(114)의톱니(114c)에 결합하는 결합위치가 된다.
그런데 관성체(107c)에는 작동돌기(107m)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작동돌기(107m)에 의하여 관성체(107c)의 작은 경사로 레버(107b)의 회동스트로우크가 크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레버(107b)의 아암길이를 짧게할 수 있으며, 감속도감지장치(107)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속도 감지장치(107)는, 제39도에 표시하듯이 결합돌조(107g), (107h)를 수용부(113g)에 있어서의 가이드부재(113h), (113i)의 오목끼움부(113j), (113k)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끼워맞춤으로써 수용부(113g)내에 수용된다.
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돌조(107g), (107h)의 일단부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결합돌조(107g), (107h)의 오목끼움부(113j), (113k)에의 끼워맞춤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양 결합돌조(107g), (107h)의 돌출단에 있어서의 상하측벽(107gl), (107g2), (107hl), (107h2)간의 길이(a)가 오목끼움부(113j), (113k)의 결합돌조(107g), (107h)의 돌출단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상하측벽(113jl), (113j2), (113kl), (113k2)간의 거 리(b)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결합돌조(107g), (107h)가 오목끼움부(113j), (113k)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수용부(113g) 및 케이스(107a)의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스(107a)는 가이드부재(113h), (113i)에 비교적 견고하게 지지된다.
특히 결합돌조(107g), (107h) 및 오목끼움부(113j), (113k)의 측벽이 각각 공히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부재(113h), (113i)와 결합돌조(107g), (107h)와의 사이에 쐐기효과가 발생되어 케이스(107a)는 가이드부재(113h), (113i)에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42도에 표시하듯이 웨빙가이드(122)는, 프레임(102)의 양측벽(102a), (102b)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 웨빙(103)이 관통하는 구멍(122f)을 보유하는 본체(122a)와, 이 본체(122a)의 양단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설되고, 양측벽(102a), (102b)의 가이드구멍(102p), (102q)에 슬라이드 작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돌출측(122b), (122c)과, 역시 본체(122a)의 양단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설되고, 양측벽 (102a), (102b)의 상단면에 맞닿는 플랜지부(122d), (122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웨빙가이드(122)는 리일샤프트(104)의 웨빙(103)권취량에 따라서 양측벽(l02a), (102b)의 가이드구멍(102p), (102q)을 따라서 슬라이드작동하여 웨빙(103)의권취 및 인출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웨빙(103)을 보호하고 있다.
다음에 메인폴(117)과 백업폴(120)의 동작에 대하여 제43도 및 제44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제43도 및 제44도에 있어서 상측의 I가 메인폴(117)의 작동을 설명하고 하측의 Ⅱ가 백업폴(120)의 작동을 설명하는 것이다.
또 제43도 및 제44도는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이고, 메인폴(117)측에 있어서 톱니(102f), 걸림폴(117d) 및 3개의 캠구멍(114k), (114m), (114n)을 각각 동일평면에
기재하고 있는 동시에, 메인폴(117)측 및 백업폴(120)측도 역시 제18도에 있어서 우측에서 본 상태를 기재하고 있다.
제43도에 있어서 리일샤프트(104)(제43도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11도 등을 참조)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리일샤프트(104)(43도에는 조인트핀(119)의 본체(1l9a)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04m) 및 이 리일샤프트(104)에 설치되는 메인폴(117)만을 표시)가 록크기어(114)(역시 제43도에는 캠구멍(114k), (114m), (114n)만을 표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β 방향으로 상시가압되어 있으므로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
(11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본체(119a)가 캠구멍(114k)의 상단가장자리에 맞닿을때까지 상대회동하여서 제43도(가)에 표시하는 통상상태로 된다.
이 통상상태에서는 조인트핀(119)의 캠종동체(119c)가 캠구멍(114m)의 상단가장자리에 맞닿는 동시에, 메인폴(117)의 캠종동체(117f)가 캠구멍(114n)의 상단가장자리에 맞닿는다.
그리고 메인폴(117)의 걸림폴(117d)이 우측벽(102a)의 톱니(102f)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메인폴(117)은 걸림폴(117d)이 톱니(102f)에 결합하지 않는 비결합위치로된다.
한편 캠종동체(119c), (117f)의 캠구멍(114m), (114n)의 상단가장자리에의 각각의 맞닿음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조인트핀(119)의 회전각에 대응하여 백업폴(120)이동도면(가)에 표시하는 위치로 된다.
즉 백업폴(120)의 걸림폴(120d)이 좌측벽(120b)이 톱니(102g)로부터 멀이 떨어져서 백업폴(120)도 걸림폴(120d)이 톱니(102g)에 결합하지 않는 비결합위치로 된다.
리일샤프트(104)가 그 제1회전축(104d)(도면43에는 표시하지 않음:제24도를 참조)을 중심으로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한다.
즉 본체(119a)가 관통하고 있는 관통구멍(114m)이 제1회전축(104d)을 중심으로 록크기어(114)의 제1 내지 제3캠구멍(114k), (114m), (114n)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동도면(나)에 표시하듯이 본체(119g) 및 메인폴(117)의 보스부(117b)가, 각각 제1캠구멍(114k)에 대하여 이 제1캠구멍(114k )을 따라서 하방으로 약간 상대이동한다.
동시에 캠종동체 (117f)가 제3캠구멍(114n)에 안내되어서 하방으로 약간 이동한다.
그 경우, 제1캠구멍(114k)이 캠형상에 의하여 보스부(117b)가 도면에 있어서 약간 좌측방향으로도 이동하는 동시에 제3캠구멍(114n)의 캠형상에 의하여 캠종동체 (117f)가 약간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캠종동체(117f)의 좌측방향 이동량이 보스부(117b)의 좌측방향 이동량보다도 약간 큰 까닭에 메인폴(117)은 β 방향으로 약간 회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걸림폴(117d)이 톱니(120f)에 접근한다.
또 동시에 종동체(119c)가 제2캠구멍(114m)에 안내되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경우 제2캠구멍(114m)의 캠형상에 의하여 캠종동체(119c)는 우측방향으로도 이동하므로, 아암(119b)은 본체(119a)를 중심으로 α 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이 아암(119b)의 α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본체(119a)도 α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리일샤프트(104)가 α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으므로 본체(119a) 및 아암(119b)은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거의 상대회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도면(나)에 표시하듯이 백업폴(120)은 비결합위치로 유지된다.
동도면(다)에 표시하듯이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d 방향으로 더욱 상대회동하면, 본체(119a) 및 보스부(117b)가 각각 제1캠구멍(114k)을 따라서 더욱 하방으로, 그리고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캠종동체 (117f)가 제3캠구멍(114n)에 안내되어서 하방으로 더욱 약간 이동한다.
캠종동체 (117f)의 좌측방향으로의 새로운 이동량이 보스부(117b)의 좌측방향으로의 새로운 이동량보다도 약간 큰 까닭에 메인폴(117)은 p 방향으로 더욱 약간 회동하여서, 걸림폴(117d)이 톱니(102f)에 더욱 접근한다.
또 동시에 캠종동체 (119c)가 제2캠구멍(114m)에 안내되어서 하방으로, 그리고 좌측방향으로 더욱 약간 이동한다.
그 경우 제2캠구멍(114m)의 캠형상에 의하여 캠종동체 (119c)도 하방으로, 그리고 좌측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므로 아암(119b)은 거의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리일샤프트(104)가 α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고 있으므로 본체(119a) 및 아암(119b)이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상대회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백업폴(120)은,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약간 상대회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백업폴(120)은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약간 상대회동하여서 걸림폴(10d)이 톱니(102g)에 접근한다.
동도면(라)에 표시하듯이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더욱 상대회동하면, 마찬가지로 메인폴(117)은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더욱 약간 회동하며 걸림폴(117d)이 톱니(102f)에 더 많이 접근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백업폴(120)이 β 방향으로 더욱 약간 회동하며, 걸림폴(120d)이 톱니(102g)에 접근한다.
제44도(마)에 표시하듯이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더욱 상대회동하면, 마찬가지로 메인폴(117) 및 백업폴(120)은 각각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는 까닭에 걸림폴(117d)은 톱니(102f)에 결합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또 백업폴(120)이 β 방향으로 더욱 약간 회동하며, 걸림폴(120d)이 톱니(102g)에 더욱더 크게 접근하게 된다.
제44도(바)에 표시하듯이 리일샤프트(104)의 α 방향에의 새로운 상대회동에 의하여 걸림폴(117d)이 톱니(102f)에 더욱 설정량만큼만 근접하지만, 그 이상은 톱니
(102f)에 접근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리일샤프트(104)의 α 방향으로의 새로운 회동에 의하여 메인폴(117)의, 톱니(117d)의 α 방향회동시의 최전방에 있는 톱니117d1이 톱니102f의 급경사면에 맞닿는다.
이 메인폴(117)의 위치는 메인폴(117)의 톱니(117d)가 우측벽(102a)의 톱니(102f)에 결합개시하는 스텐바이위치이다.
톱니117d1이 톱니102f의 급경사면에 맞닿은 후에, 리일샤프트(104)가 α방향으로더욱 회동하면, 톱니(117dl)의 이끝이 톱니(102f)의 급경사면측에 의하여 톱니(102f)의 이뿌리쪽으로 유도되게 디며, 메인폴(117)이 β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동도면(사)에 표시하듯이 리일샤프트(104)의 α 방향으로의 새로운상대회동에 의하여 걸림폴(117d)의 이끝이 톱니(102f)의 이뿌리에 맞닿고, 메인폴
(117d)의 톱니(117d)는 우측벽(102g)의 톱니(102f)에 결합하여 메인폴(117)은 록크위치로 된다.
이 메인폴(117)의 스텐바이위치로부터 록크위치로의 운동은 캠구멍(114n)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은 아니고 톱니(102f)의 급경사면측의 유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것이며, 그 운동에 의하여 메인폴(117)은 셀프록크작용을 한다.
한편 메인폴(117)의 톱니(117d)가 우측벽(102a)의 톱니(102f)에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는, 백업폴(120)은 그 톱니(120d)의 α 방향회동시의 최전방에 있는 톱니(120dl)가 톱니(102g)의 급경사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며, 백업폴(120)의 톱니(120d)가 좌측벽(120d)의 톱니(120g)에 결합개시하는 스텐바이위치로 된다.
제44도(아)에 표시하듯이 리일샤프트(104)의 α 방향으로의 새로운 상대회동에 의하여 걸림폴(117)은 톱니(102f)와의 완전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또, 백업폴(120)은 톱니(102g)의 급경사면에 유도되어서 메인폴(117)과 같은 셀프록크작용을 하여서 좌측벽(102b)의 톱니(102g)에 완전히 게합하여서 록크위치로된다.
이와 같이 백업폴(120)에 있어서의 걸림폴(120d)의 톱니(102g)에의 결합은 메인폴(117)에 있어서의 걸림폴(117d)의 톱니(102f)에의 결합보다 약간 늦어지게 된다.
그런데 메인폴(117)이 스텐바이상태에서 셀프록크작용을 할 대에, 즉 메인폴(117)이 제44도(바)에서 제44도(사)로 이행할 때 메인폴(117) 및 록크기어(114)의동작과, 그들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3캠의 캠형사 및 우측벽(102a)의 톱니(102f)의형상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5도(a) 및 (b)는 각각 제44도(바) 및 (사)를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 방향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했을 때 메인폴(117)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3캠구멍(114n)의 캠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3도(가)에 표시하는 메인폴(117)의 비작동위치에서는, 캠종동체 (117f)가 제3캠구멍(114n)의 최상단위치에 있다.
제3캠구멍(114n)의 캠형상으로써, 첫째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했을 때, 이 캠포로와(117f)가 제3캠구멍(114n)의 최상단위치로부터 이 제3캠구멍(114n)의 제1안내캠면(114n1)에 안내되어서 하강하려고 하고, 이 캠종동체 (117f)의 하강에 의해 메인폴(117)이 제45도(a)에 표시하는 스텐바이위치가 될 때까지 β 방향으로 회동하여서 그 톱니(117d)가 우측벽(102a)의 톱니(102f)에 접근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3캠구멍(117f)의 캠형상으로서 캠종동체(117f)가 제3캠구멍(114n)의 제45도(a)에 표시하는 위치에 왔을 때,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더욱α 방향으로 상대회동하여도 이미 제3캠구멍(114n)이 캠종동체(117f)를 안내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3캠구멍(114n)이 캠형상을 설정하므로써 제3캠구멍(114n)에 의해서
톱니(117d)의 이끝이 이뿌리까지는 도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캠형상으로서 제45도(a)로부터 제45도(b)에 표시하는 완전결합상대의 록크위치로 이행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폴(117)은 톱니(102f)의 급경사면측의 작용에 의하여 셀프록크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 셀프록크작용시에 캠종동체(117f)가 제3캠구멍(114n)의 제2안내캠면(114n2)을 통하여 록크기어(114)(제45도에서는 제1 내지 제3캠구멍 114k,114m,114n에 표시하고 있다)를 약간 p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는 것 같은 형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캠형상을 설정하므로써 메인폴(117)의 톱니(102f)에의 완전결합시에는 감속도감지장치(107)에 있어서의 레버(107b)의 걸림폴(107i)이 록크기어(114)의 톱니(114c)로부터 자유상태로 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하여 엔드록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3캠구멍(114n)은, 캠종동체(117f)를 제43도(가)에 표시하는 캠구멍상단의 비작동위치로부터 제44도(바)에 표시하는 스탠바이위치로 유도하는 제1안내캠면(114n1)으로 되는 메인폴(117)의 작동제어부와, 캠종동체(117f)가 제44도(바)에 표시하는 스탠바이위치로부터 제44도(사)에 표시하는 록크위치로 이행할 때, 록크기어(114)에 캠종동체(117f)로 부터의 작용력이 전달되어서 록크기어(114)를 웨빙권취방향으로 역회전시키는 제2안내캠면(114n2)으로 이루어지는 록크기어(114)의 역회전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벽(102a)의 톱니(102f)의 급경사면에 있어서는, 메인폴(117)이 제45도(a)에 표시하는 스탠바이상태로부터, 제45도(b)에 표시하는 완전결합상태로 셀프록크작용을 할 수 있게 되도록 그 경사각도(0 )[제45도(a)에 표시하듯이 톱니102f의급경사면에 있어서의 톱니117d1과의 당접부6 와 메인폴117이 회동중심ε 을 연결하는 직선ν 에 대한 톱니102f의 급경사면이 이루는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또, 좌측면(102b) 톱니(102g)의 급경사면이 경사각도도, 백업폴(120)이 셀프록크작용을 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리일샤프트(104)가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했을 때, 백업폴(120)이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캠구멍(114m)의 캠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캠구멍(1l4m)의 캠형상으로서는 제43도 및 제44도에 표시하듯이, 백업폴(120)이 메인폴(117)의 작동에 대하여 뒤늦게 메인폴(117)의 작동과 같은 작동을실시하는 캠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이 제2캠구멍(114m)의 캠형상은, 메인폴(117)이 제44도(바)에 표시하는 스텐바이상태로부터 제44도(사)에 표시하는 록크상태로 이행했을 때, 즉, 메인폴(117)이 셀프록크작용을 하여, 록크위치로 되었을 때, 제44도(사)에 표시하듯이 백업폴(120)이 스텐바이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제2캠구멍(114m)의 캠형상에 의하여 처음에, 메인폴(117)이, 그 걸림폴(117d)이 우측벽(102a)의 톱니(102f)에 완전히 결합한 록크위치로 되고, 이때 백업폴(120)이 스탠바이상태로 설정되며, 그후 뒤늦게 백업폴(120)은, 그 걸림폴(120d)이 좌측벽(102b)의 톱니(102g)에 완전히 결합한 록크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먼저 한쪽의 메인폴(117)의 걸림폴(117d)을 톱니(102f)에 결합을 완료시킨 후, 뒤늦게 걸림폴(120d)을 톱니(102g)에 결합완료시키므로써, 메인폴(117)과 톱니(102f)의 결합 및 백업폴(120)과 톱니(102g)와의 결합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결합불량을 발생시키는 일엾이 이들의 결합이 확실하게 실시되게 된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리트랙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지 않는 통상적인 상대]
이 상태에서는, 감속도감지장치(107)의 관성체(107c)가 전방으로 경동하지 않으므로, 레버(107b)는 제14도에 표시하는 실선위치에 있고, 걸림폴(107i)은, 록크기어(114)의 톱니(114c)로부터 떨어진 비결합위치에 있다.
또, 그와 마찬가지로 관성체(115)의 걸림폴(115c), 메인폴(117) 및 백업폴(120)도 각각 제4도 및 제21도에 표시하듯이 비결합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상태에서는 시이트벨트리트랙터(101)는 주로 가압력부여장치(105)의 작용이 행하여진다.
즉, 이 가압력부여장치(105)의 파워스프링(10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리일샤프트(104)는, 웨빙권취방향(β )으로 가압되어서, 웨빙(103)이 권춰된다.
[시이트벨트의 비장착상대]
이 상태에서는, 웨빙(103)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부재(tang)(도면표시엾음)와, 버클부재(도면표시없음)가 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파워스프링(10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103)을 권취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웨빙을 인출할 때의 상태]
웨빙(103)을 장착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웨빙(103)을 인출하면, 이에 따라 리일샤프트(104) 및 부시(109)가 웨빙인출방향(α)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파워스프링(108)이 권체되어 간다.
[걸림부재와 버클부재와의 결합후에 웨빙으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의 상태]
탑승자가 걸림편과 버클부재를 결합한 시점에서는, 웨빙(103)은 정규의 장착상태일 때의 인출길이보다도 여분으로 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결합조작후에 웨빙(103)을 놓으면, 파워스프링(10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103)은 탑승자의 몸에 꼭 맞을때까지 권취된다.
이때, 웨빙(103)에 이하여 탑승자에서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파워스프링(108)의 스프링력이 적당하게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주행중에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지 않는 한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01)는, 이 상대를 유지하고 있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의 상태]
차량주행중에 급브레이크 등에 의하여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107)가 함께 작동한다.
먼저 제1단계로서 감속도 감지장치(107)의 관성체(107c)가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제19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 이동하므로 례버(107b)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제19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된다.
이 까닭에 레버(107b)의 걸림폴(107i)이 록크기어(114)의 톱니(114c)와 결합하는 위치로 된다.
또, 차량의 이러한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에 의하여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웨빙(103)이 인출되는데, 이 웨빙(103)의 인출에 의하여 리일샤프트(104) 및 록크기어(114)가 모두 인출방향(α )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록크기어(114)의 톱니(114c)가 즉시 걸림폴(107e)에 결합하므로, 록크기어(114)는 즉시 인출방향(α )으로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 결과, 리일샤프트(104)만 인출방향(α )으로 계속 회동하는 까닭에 리일샤프트(104)는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하게 된다.
이 리일샤프트(104)의 α 방향으로의 상대회동에 의하여, 제2단계로서 제43도 및 제44도에 표시하듯이 메인폴(117)이 리일샤프트(10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상대회동하여서 톱니(102f)에 결합하여 록크위치로 된다. 이 경우, 메인폴(117)아 스탠바이위치로부터 록크위치로 이행할 때, 록크기어(114)가 웨빙권취방향(p )으로 약간 역회전한다.
메인폴(117)이 록크위치로 되었을 때, 백업폴(120)이 스탠바이위치로 되고, 그후 뒤늦게 백업폴(120)이 톱니(102g)에 결합하여 록크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리일샤프트(104)는, 웨빙인출방향(α)의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 결과 관성에 의하여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써 발생하는 웨빙(103)의 인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확실하게 구속되어서 보호된다.
또, 록크기어(114)가 웨빙권취방향(β)으로 약간 역회전하므로써, 감속도 감지장치(107)의 걸림폴(107i)이 록크기어(114)의 톱니(114c)로부터 벗겨지고, 록크기어(114)는, 자유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또다시 웨빙(103)을 권취할 수가 있게 된다.
[웨빙에 급격하게 인출력이 작용했을 때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췌빙(103)이 급격하게 인출되게 되므로 리일샤프트(104), 록크기어(114) 멎 관성체(115)가 웨빙인출방향(α )으로 급격하게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컨트롤스프링(116)의 스프링력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컨트롤스프링(116)이압축되어 관성체(115)는 관성지연이 발생한다.
즉, 관성체(115)는, 록크기어(114)와 함게 웨빙인출방향(α )으로 공전(公轉)할뿐 아니라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β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자전한다.
이 관성체(115)의 자전에 의하여, 제119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걸림폴(115c)이 제2스톱퍼(114i)에 맞닿는 걸림위치로 이동하여서 록크기어 제1저버(113)의 톱니(113c)에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관성체(115)의 공전, 록크기어(114)의 웨빙인출방향(α )의 회전이 처지되게 된다.
따라서 리일샤프트(104)만 웨빙인출방향(α )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리일샤프트(104)는, 록크기어(11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상대회동하게 된다.
이 리일샤프트(104)의 α 방향으로의 상대회동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인폴(117)이 회동하여 톱니(102f)에 결합하고, 그후 뒤늦게 백업폴(120)이 톱니(102f)에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일샤프트(104)는, 웨빙인출방향(α )의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 결과, 관성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써 발생되는 웨빙 (103)의 인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탑승자가 확실하게 구속되어서 보호되게 된다.
또, 이 경우에도 록크기어(114)가 웨빙권취방향(β )으로 약간 역회전하므로써, 관성체(115)의 걸림폴(115c)이 록크기어 제1커버(113)의 톱니(113c)로부터 벗겨져서 록크기어(114)는 자유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재차 웨빙(103)을 권취할 경우에는, 리일샤프트(104)는 쉽게 웨빙(103)을 권취할 수가 있게 된다.
제46도 및 제47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제46도의 우측에 제47도가 정렬하므로써 본실시예의 전체의 분해사시도가 구성된다.
상기한 각 실시예가 모두 리일샤프트에 설치한 폴을 프레임에 형성된 톱니에 결합하므로써, 리일샤프트의 웨빙인출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는 프레임에 설치한 폴을 리일샤프트에 형성된 톱니에 결합하므로써, 리일샤프트의 웨빙인출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도, 상기한 각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점이 많으므로,그들 구성요소를 부호에 의해 간단히 설명하면, 제46도 및 제47도중, 부호 201은 시이트벨트 리트랙터,202는 프레임, 202a, 202b는 우, 좌측벽, 202c는 연결부재, 203은 웨빙, 204는 리일샤프트, 204d, 204e는 톱니, 205는 가압력 부여장치, 206은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 207은 감속도 감지장치, 208은 나선형 스프링, 209는 부시, 210은 리테이너, 211은 커버, 212는 리테이너, 213, 214는 록크링, 215, 216은
스프링, 217은 링기어, 219는 메인폴, 221은 조인트핀, 222는 백업폴, 223은 웨빙가이드, 224는 걸림폴, 225는 스프링이다.
제46도 및 제47도에 표시하듯이, 프레임(202)의 좌, 우측벽(202a), (202b)에는, 각각 원형상의 구멍(202d), (202e)과, 폴이 끼워지는 흠(202f), (202g)과, 폴을 요동 지지하는 구멍(202h), (202i)이 형성되고, 또 좌측벽(202a)에는 가압력 부여장치 (205)의 부착구멍(202j)이 형성되고, 또 우측벽(202b)에 리테이너(212)의 부착구멍(202k)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49도에 표시하듯이 프레임의 우, 좌측벽(202a), (202b)간에 웨빙(203)을 권취하느 리일샤프트(204)가 설치되어 있다.
제46도에서 명확하듯이, 이 리일샤프트(204)는 웨빙(203)의 권취부(204a)와, 이권취부(204a)의 좌우단에 형성되어서, 권취하는 웨빙을 가이드하는 플랜지부(204b), (204c)로 구성되어 있다.
제51도(a) 및 (b)에 표시하듯이 좌우의 플랜지부(204b), (204c)의 외측면에는, 각각 래칫기어(ratchet gear)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래칫기어의 톱니(204d), (204e)는 삼각형의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웨빙(203)의 인출방향(α )에 면하는 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웨빙(203)의 권취방향(β )에 면하는 면이 급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플랜지부(204b)의 중심부에 제1회 전축(204f)이 형성되고 또, 우측플랜지부(204c)의 중심부에 제2회전축(204g)이 각각 형성되어있다.
또, 리일샤프트(204)에는 후술하는 조인트핀(221)이 관통하는 측방향의 관통구멍(204)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력 부여장치(205)의 나선형 스프링(208)은, 부시(209)와 리테이너(210) 사이에 설치되고, 그 스프링력이 부시(209)에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부시(209)는 제1회 전축(204f)에 상대회 전불능하게 끼워 맞춤연결된다.
제52도(a) 및 (b)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206)에 있어서 좌우의 록크링(213), (214)은 각각 내주면에 소정수의 톱니(213a), (214a)가 형성된 큰 원형구멍(213b), (214b), 캠구멍(213c), (214c) 및 후술하는 리턴스프링의 일단을 받쳐주는 스프링받이부(213d), (214d)를 구비하고 있다.
제53도(a) 및 (b)에 표시하듯이, 백업폴(222) 및 메인폴(219)은, 각각 1면측의 상단부에 이들 요동측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222a), (219a)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반대측면의 하부에 록크링(213), (214)의 캠구멍(213c), (214c)에 끼워져서, 그 캠구멍(213c), (214c)에 가이드되는 원주헝상의 돌기(222b), (219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백업폴(222) 및 메인폴(219)의 과반부(過半部)는 각각 걸림부(222c), (219c)로 되어 있고, 이들 걸림부(22c), (219c)에는 각각 걸림폴(222d), (219d)이 형성되어있다.
또, 각 폴(222), (219)의 상방부는, 요동축(222a), (219a)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이 깎여져 걸림부(222c), (219c)보다도 두게가 엷게 되어 있고, 이 두게가 엷은 곳과걸림부(222c) 사이에는 요동축, (222a), (219a)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단부(段部)(222e), (219e)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백업폴(222) 및 메인폴(219)은, 각각 요동축(222a), (219a)을 좌, 우측벽(202a), (202b)의 구멍(202h), (202g)에 끼워지므로써 프레임(202)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걸림부(222c), (299c)가 홈(202f), (202g)내에 위치하게 되고, 그 단부(222e), (219e)가 홈(202f), (202g)을 형성하는 원호형상의 프레임가장자리부(202m), (202n)(제46도에 표시)에 슬라이드 작동가능하게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 백업폴(222) 및 메인폴(219)은, 그들 걸림폴(222d), (219d)이 각각 리일샤프트(204)의 톱니(204d), (204e)에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톱니(204d), (204e)에 결합하지 않는 비결합위치의 2개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46도에 표시하듯이 리테이너(210)의 스프링받이부(210a)와 록크링(213)의 스프링받이부(213d) 사이에 스프링(215)이 축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215)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제50도에 있어서 록크링(213)이 웨빙(203)의 권취방향(β )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록크링(213)은, 통상시에는 백업폴(222)을 비결합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47도에 표시하듯이 리테이너(212)의 스프링받이부(212a)(제48도에 표시)와, 록크링(214)의 스프링받이부(214d) 사이에, 스프링(225)이 축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225)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제48도에 있어서 록크링(214)이 웨빙(203)의 권취방향(β )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록크링(214)은 통상시에는 메인폴(219)을 비결합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조인트핀(221)은, 그 축부(221a)의 우단에 걸림폴(221b)이 형성되어 있고, 제54도에 표시하듯이 이 걸림폴(221b)의 원주형상의 돌기(221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인트핀(221)은 리일샤프트(204)의 관통구멍(204h)에 관통되는 동시에 돌기(221c)가 후술하는 록크기어(217)의 캠구멍(217b)에 끼워진다.
또, 걸림폴(221b)은 록크링(214)의 톱니(214a)에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경우, 스프링(216)에 의하여 걸림폴(221b)은, 록크링(214)의 톱니(214a)에 대하여 비결합위치쪽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고, 따라서 통상시에는, 걸림폴(221b)은 비결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리일샤프트(204)의 관통구멍(204h)을 관통한 조인트핀(221)의 타단에는, 걸림폴(222)이 상대회동 불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걸림폴(224)은, 록크링(213)의 톱니(213a)에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걸림폴(224)도, 톱니(213a)에 대한 비결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록크기어(217)는, 그 외주면에 소정수의 톱니(217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캠구멍(217b)이 형성되어 있다.
톱니(217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속도 감지장치(207)의 액츄에이터(207c)의 걸림폴(207d)이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캠구멍(217b)은, 이것에 끼워지는 걸림폴(221b)의 돌기(221c)를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고, 이 캠구멍(217b)은, 록크기어(217)에 대하여 리일샤프트(204)가 웨빙(203)의 인출방향(α )으로 상대회동했을 때 걸림폴(221b)을 록크링(214)의 톱니(214a)에 대한 비결합위치로부터 결합위치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메인폴(219)과 백업폴(222)의 동작에 대하여 제55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제55도는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 I )은 메인폴(219)의 작동을 설명하고, (Ⅱ)는 백업폴(222)의 작동을 설명한다.
스프링(225)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록크링(214)의 웨빙(203)의 권취방향(p )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통상시에는 제55도(a)에 표시하듯이 돌기(219b)가 캠구멍(214c)의 상단에 위치하고, 메인폴(219)은 비결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돌기(222b)가 캠구멍(213c)의 상단에 위 치하고, 백업폴(222)은 비결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리일샤프트(204)가 록크기어(217)에 대하여 웨빙(203)의 인출방향(α )으로 상대회동하면, 걸림폴(221b)의 돌기(221c)가 록크기어(217)의 캠구멍(217b)에 안내되어 이동한다.
이 돌기(221c)의 이동에 의하여 걸림폴(221b)이 회동하여 록크링(214)의 톱니(214a)에 결합한다.
걸림폴(221b)의 회동에 의하여 조인트핀(221)을 통하여 걸림폴(224)이 회동하고, 이 걸림폴(224)도 록크링(213)의 톱니(213a)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리일샤프트 (204)가 록크기어(217)에 대하여 웨빙(203)의 인출방향(α )으로 더욱 상대회동하면, 록크링(213), (214)도 각각 같은 방향(α )으로 회동한다.
이 록크링(213), (214)의 회동에 의하여 제55도(b)에 표시하듯이 돌기(219b), (222b)가 각각 캠구멍(214c), (213c)에 안내되어서 이동한다.
이들 돌기(218b), (222b)의 이동에 의하여 제55도(b)에 표시하듯이 메인폴(219)이 톱니(204e)쪽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백업폴(222)도 톱니(204d)쪽으로 회동한다.
또, 리일샤프트(204)가 록크기어(217)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며, 록크링(213), (214)도 각각 또 같은 α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동도면(C)에 표시하듯이 돌기(219b), (222b)가 각각 캠구멍(214c), (213c)에 안내되어서 더욱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메인폴(219) 및 백업폴(222)이 각각 톱니(204e), (204d)쪽으로 더욱 회동하고, 양 폴(219), (222)의 각 걸림폴(219d), (222d)이 각각 리일샤프트(204)의 톱니(204e), (204d)에 결합개시하게 된다.
또 리일샤프트(204)가 록크기어(217)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하고, 록크링(213), (214)도 각각 같은 α방향으로 회동하면, 동도면(d)에 표시하듯이 돌기(219b), (222b)가 각각 캠구멍(214c), (213c)에 안내되어서 더욱 회동하여서, 캠구멍 (214c), (213c)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메인폴(219) 및 백업폴(222)이 각각 톱니(204e), (204d)와 완전히 결합하고, 이것에 의하여 리일샤프트(204)의 더 이상의 α 방향으로의 상대회동이 저지된다.
그 경우, 리일샤프트(204)로부터 메인폴(219) 및 백업폴(222)에 가해지는 반력은, 각각의 단부(219e), (222e)로부터 원호형상의 프레임가장자리부(202m), (202n)에 전달되는 까닭에 이 프레임(202)에 의하여 확실하게 받혀져서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 반력은, 양쪽 폴(219), (222)의 요동축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으므로 요동축의 강도는 비교적 작아도 된다.
제48도에 표시하듯이 지지대(207b)에는 관성체(207a)가 적재되고, 이 관성체(207a)는 통상시에 직립자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작용했을 때에 관성체(207a)가 전방으로 경사하게 되어 있다. 관성체(207a)가 경사 하므로써 액츄에이터(207c)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걸림폴(207d)이 록크기어(217)의 톱니(217a)와 결합하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지 않는 통상상태]
이 상태에서는 감속도 감지장치(207)의 관성체(207a)가 경사하지 않으므로, 액츄에이터(207c)는 비작동위치로 되는 동시에, 걸림폴(207d)이 톱니(217a)에 대하여 비결합위치로 되고, 록크기어(217)는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그와 마찬가지로 걸림폴(221b), 메인폴(219) 및 백업폴(222)도 각각 제48도 및 제50도에 표시하듯이 비결합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는 주로 가압력 부여장치(205)의작용이 행하여지게 된다.
즉, 이 가압력 부여장치(205)의 나선형 스프링(20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리일샤프트(204)는 웨빙(203)의 권취방향(β )으로 가압되며, 웨빙(203)은 리일샤프트(204)에 권취되게 된다.
[시이트벨트의 비장착상태]
이 상태에서는, 웨빙(203)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부재(tang)(도면표시않음)와 버클부재(도면표시않음)가 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20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203)은 권취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웨빙을 인출할 때의 상태]
웨빙(203)을 장착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웨빙(203)을 인출하면, 이에 따라서, 리일샤프트(204) 및 부시(209)가 웨빙인출방향(α )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나선형 스프링(208)이 권체되어간다.
[걸림부재와 버클부재와의 결합후에 웨빙으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의 상대]
탑승자가 걸림부재와 버클부재를 결합한 시점에서는 웨빙(203)은 정규의 장착상태일 때의 인출길이보다도 여분으로 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결합조작후에 웨빙(203)을 놓으면 나선형 스프링(20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203)은 탑승자의 몸에 꼭맞을 때까지 권취된다.
그리고 차량주행중에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지 않는 한,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는 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의 상태]
차량주행중에 급브레이크 등에 의하여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시이트벨트 록크작동장치(206) 및 감속도 감지장치(207)가 다같이 동작한다.
먼저 제1단계로서 감속도 감지장치(207)의 관성체(207a)가 이 감속도에 의하여 전방으로(제48도의 좌측방향) 경사하므로, 액츄에이터(207c)가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걸림폴(207d)이 결합위치로 된다. 또, 탑승자가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까닭에 웨빙(203)이 인출되는데, 이 웨빙(203)의 인출에 의하여 리일샤프트(204) 및 록크기어(217)가 인출방향(α )으로 회동한다.
그러나 록그기어(217)의 돕니(217a)가 즉시 걸림폴(207d)에 결합하는 까닭에 록크기어(217)는 즉시 인출방향(α )으로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 결과, 리일샤프트(204)만 인출방향(α )으로 계속 회동하게 되므로, 리일샤프트(204)는 록크기어(213)에 대하여 α 방향으로 상대회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메인폴(219) 및 백업폴(222)이 회동하여 각각 리일샤프트(204)의 톱니(204e), (204d)에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일샤프트(204)는 웨빙인출방향(o )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관성에 의하여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써 발생하는 웨빙(203)의 인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탑승자는 확실하게 구속되어서 보호되게 된다.
또, 본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가압력 부여장치(105)는 안락장치가 설치되어 있지않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발명은 안락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발명을 가압력 부여장치로 웨빙에 텐션을 부여하도록되어 있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발명은 텐션이 없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하듯이 청구항 1의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의하면, 록크조정장치에 의하여 제1괴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의 결합이 모두 확실하게 실시되므로 리일샤프트의 웨빙인출방향의 회동을 리일샤프트의 양측에서 확실하게 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시이트벨트리트랙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한쪽 결합에 의하여 발생하는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결합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은 극히 작아진다.
따라서 프레임의 두께를 그다지 크게할 필요는 없는 동시에 리일샤프트도 소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결합부재와 비결합부의 결합불량이 없어지고, 리일샤프트를 확실하게 록크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청구항 1 내지 3의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결합부재를, 제1 및 제2피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일 뿐이며, 리일샤프트는 하등 이동하지 않으므로 기구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부품수가 적어지며, 조립부착공정수가 삭감되어서 코스트가 저감된다.
특히 청구항 5 내지 8의 발명과 같이 제1 및 제2결합부재로서 폴을 사용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피결합부를 톱니에 의해 구성하므로써 결합이 한층 더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청구항 5,6 및 9의 발명과 같이 록크조정장치로 캠 및 캠구멍을 사용하므로써 한층 더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작동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Claims (9)
- 웨빙(3)을 권취하는 리일샤프트(4)와, 그 리일샤프트(4)의 양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2)과, 그 프레임(2) 및 리일샤프트(4) 사이에 설치되어서 통상시에 리일샤프트의 회동을 허용하고, 필요시에는 작동하여 리일샤프트(4)의 적어도 웨빙인출방향의 회동을 저지하는 록크장치와,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가해졌을 때 작동하는 감속도 감지장치(7)와, 그 감속도 감지장치(7)의 작동에의하여 상기 록크장치를 작동하는 록크작동장치(6)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에 있어서, 상기 록크장치는, 상기 프례임(2)의 상기 리일샤프트(4) 일단측에 설치된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상기 리일샤프트(4) 일단측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에 결합가능한,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피결합부의 어느 다른 쪽과, 상기 프레임의 리일샤프트(4) 타단측에 설치된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상기 리일샤프트의 타단측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에 결합가능한 상기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제2피결합부의 어느 다른쪽을 구비하고있고, 또 상기 록크작동장치는,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1피결합부의 어느 다른쪽과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후, 상기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한쪽과, 상기 제2결합부재 및 제2피결합부의 어느 다른쪽과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고, 이어서 제1피결합부와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제2피결합부와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을 행하는 록크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상기 제1피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 및 상기 제2피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을 동시 완료하도록 조정하는 록크조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상기 제1피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제2피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재와의 결합을 완료하도록 조정하는 록크조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치 이상의 가속도로 인하여 웨빙이 인출되었을 때 작동하는 웨빙인출 감지장치(1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웨빙인출 감지장치(14)의 작동에 의해서도 상기 록크작동장치(6)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결합부 및 제2피결합부는, 각각 프레임(2)에 형성한 원형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소정수의 제1톱니 및 제2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는, 각각 리일샤프트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제1톱니 및 제2톱니에 결합가능한 제1폴 및 제2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제1톱니중에, 상기 제1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한 다음에 상기 제2톱니중에 제2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상기 제1폴을 안내작동하는 제1캠(13i)과, 상기 제2폴을 안내작동하는 제2캠과, 이들 제1폴 및 제2폴을 연동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13i)은 지름방향의 캠구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2캠(13j)은 지름방향의 구멍(13k)과 둘레방향의 구멍(13m)과의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결합부 및 제2피결합부는, 각각 리일샤프트에 형성한 플랜지부의 외주에 형성된 소정수의 제1톱니 및 제2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졀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는, 각각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제1톱니 및 제2톱니에 결합가능한 제1폴 및 제2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상기 제1톱니 중, 상기 제1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한 다음에, 상기 제2톱니중 상기 제2폴이 결합하는 톱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조정장치는, 제1폴을 안내작동하는 제1캠과, 제2폴을 안내작동하는 제2캠과, 이들 제1캠 및 제2캠을 연동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6632692A JP3192198B2 (ja) | 1991-04-11 | 1992-03-24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JP92-066326 | 1992-03-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9481A KR930019481A (ko) | 1993-10-18 |
KR100249998B1 true KR100249998B1 (ko) | 2000-05-01 |
Family
ID=1331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0570A KR100249998B1 (ko) | 1992-03-24 | 1993-01-18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484118A (ko) |
KR (1) | KR100249998B1 (ko) |
DE (1) | DE4309586C2 (ko) |
GB (1) | GB2265300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974B1 (ko) * | 2000-07-11 | 2007-11-08 |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 웨빙 권취장치 |
KR100773975B1 (ko) * | 2000-07-12 | 2007-11-08 |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 웨빙 권취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07115B2 (ja) * | 1999-04-16 | 2005-01-05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GB2354207B (en) | 1999-09-17 | 2001-12-12 | Breed Automotive Tech | Retractor |
JP3727514B2 (ja) * | 2000-07-11 | 2005-12-14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ウェビング巻取装置 |
GB2379910B (en) * | 2001-09-19 | 2003-09-24 | Breed Automotive Tech | Seat belt retractor |
DE20215835U1 (de) | 2002-10-15 | 2003-02-27 |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 Gurtaufroller |
DE20217900U1 (de) | 2002-11-19 | 2003-03-27 |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 Sperrmechanismus für einen Gurtaufroller |
JP2006306148A (ja) * | 2005-04-26 | 2006-11-09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2006327556A (ja) * | 2005-04-27 | 2006-12-07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2006347199A (ja) * | 2005-06-13 | 2006-12-28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2007069686A (ja) * | 2005-09-06 | 2007-03-22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
ATE553965T1 (de) * | 2006-12-02 | 2012-05-15 | Autoliv Dev |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abschaltung seines gurtbandsensitiven und seines fahrzeugsensitiven steuersystems |
JP5189383B2 (ja) * | 2008-02-29 | 2013-04-24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JP6250427B2 (ja) * | 2013-02-12 | 2017-12-20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JP6549879B2 (ja) * | 2015-04-03 | 2019-07-24 |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
US9895073B2 (en) | 2015-07-29 | 2018-02-20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Dual basket catheter |
US10517668B2 (en) | 2015-09-14 | 2019-12-31 | Boisense Webster (Israel) Ltd. | Dual node multiray electrode catheter |
US10987045B2 (en) | 2015-09-14 | 2021-04-27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Basket catheter with individual spine control |
US10524858B2 (en) | 2015-09-14 | 2020-01-07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Dual node multiray electrode catheter |
US10357173B2 (en) | 2015-09-14 | 2019-07-23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Dual multiray electrode catheter |
US11116450B2 (en) | 2017-03-09 | 2021-09-14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Electrode assembly having spines with controlled flexibility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65329A (en) * | 1972-06-01 | 1975-02-11 | Firestone Tire & Rubber Co | Inertial locking retractor |
GB1436764A (en) * | 1973-05-04 | 1976-05-26 | Britax London Ltd | Seat belt storage reel with electrically operated locking device |
SE404300B (sv) * | 1976-07-12 | 1978-10-02 | Graenges Essem Ab | Lasanordning vid for fordon avsedda sekerhetsselar |
DE2826286C2 (de) * | 1978-06-15 | 1989-07-20 |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 Sicherheitsgurtaufrollautomat |
DE2832160C2 (de) * | 1978-07-21 | 1984-09-06 |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 Sicherheitsgurtaufroller |
DE2832159C2 (de) * | 1978-07-21 | 1986-11-27 | TRW Repa GmbH, 7077 Alfdorf | Sicherheitsgurtaufroller |
DE3049564A1 (de) * | 1980-12-31 | 1982-07-29 |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 Aufrollvorrichtung fuer sicherheitsgurte |
DE3108632A1 (de) * | 1981-03-06 | 1982-10-07 |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 Sicherheitsgurtaufroller |
DE3313810A1 (de) * | 1983-04-15 | 1984-10-25 |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 Sicherheitsgurtaufroller |
DE3341289A1 (de) * | 1983-11-15 | 1985-05-30 |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 Doppelseitig sperrbarer gurtaufroller |
DE3403568A1 (de) * | 1984-02-02 | 1985-08-08 |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 Selbstsperrender sicherheitsgurtaufroller |
GB8406493D0 (en) * | 1984-03-13 | 1984-04-18 | Britax Kolb Gmbh & Co | Safety belt emergency locking retractor |
GB8406849D0 (en) * | 1984-03-16 | 1984-04-18 | Britax Kolb Gmbh & Co | Safety belt emergency locking retractor |
DE3411067A1 (de) * | 1984-03-26 | 1985-10-17 |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fuer sicherheitsgurte |
JPH0535026Y2 (ko) * | 1985-07-22 | 1993-09-06 | ||
DE3614283A1 (de) * | 1986-04-26 | 1987-10-29 | Autoflug Gmbh | Gurtaufroller |
US4723729A (en) * | 1986-10-16 | 1988-02-09 | Irvin Industries, Inc. | Seat belt retractor with curved tooth auxilliary gear |
US4726540A (en) * | 1986-11-17 | 1988-02-23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Variable sensitivity seat belt retractor |
DE3711537A1 (de) * | 1987-04-06 | 1988-11-03 | Ase Deutschland Gmbh | Sicherheitsgurt-aufrollautomat |
GB2216775C (en) * | 1988-03-29 | 1994-11-25 | Trw Repa Gmbh | A belt retractor for a motor vehicle safety belt restraining system |
KR100225766B1 (ko) * | 1991-04-11 | 1999-10-15 | 타카다 쥬우이찌로오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JPH05254389A (ja) * | 1992-03-16 | 1993-10-05 | Takata Kk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における付勢力付与手段の付勢状態保持装置 |
JPH05278566A (ja) * | 1992-04-06 | 1993-10-26 | Takata Kk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1993
- 1993-01-18 KR KR1019930000570A patent/KR1002499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3-19 US US08/034,702 patent/US548411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3-24 DE DE4309586A patent/DE4309586C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3-24 GB GB9306114A patent/GB2265300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974B1 (ko) * | 2000-07-11 | 2007-11-08 |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 웨빙 권취장치 |
KR100773975B1 (ko) * | 2000-07-12 | 2007-11-08 |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 웨빙 권취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4309586C2 (de) | 1998-04-16 |
GB2265300B (en) | 1995-11-22 |
GB9306114D0 (en) | 1993-05-12 |
US5484118A (en) | 1996-01-16 |
KR930019481A (ko) | 1993-10-18 |
GB2265300A (en) | 1993-09-29 |
DE4309586A1 (de) | 1993-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49998B1 (ko)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
JP3192198B2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JPH0818533B2 (ja) | シ−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 | |
KR100247896B1 (ko)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
KR100247895B1 (ko)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
JP2002127870A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JPH0228127Y2 (ko) | ||
JP3251743B2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JP3745201B2 (ja) | ウェビング巻取装置 | |
JPH0798475B2 (ja) | 安全ベルト取込器 | |
JP3233518B2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KR100225766B1 (ko)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
JPH05254389A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における付勢力付与手段の付勢状態保持装置 | |
JP3153309B2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JP2677976B2 (ja) | シートベルトウェブを格納する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 | |
JPH05208657A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JP3233519B2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KR102386889B1 (ko) |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 |
JPH09150712A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KR100250000B1 (ko)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
JPH0554462B2 (ko) | ||
JP3233520B2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JPH09193742A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JPH0447008Y2 (ko) | ||
JPS5824154A (ja) | 複写機の回転力伝達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