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5835B1 - 습포제 - Google Patents

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835B1
KR100245835B1 KR1019980003857A KR19980003857A KR100245835B1 KR 100245835 B1 KR100245835 B1 KR 100245835B1 KR 1019980003857 A KR1019980003857 A KR 1019980003857A KR 19980003857 A KR19980003857 A KR 19980003857A KR 100245835 B1 KR100245835 B1 KR 100245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poultice
wet paper
generating means
frequency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545A (ko
Inventor
이양희
Original Assignee
이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희 filed Critical 이양희
Priority to KR101998000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835B1/ko
Priority to GB9808772A priority patent/GB2333960B/en
Priority to TW087106465A priority patent/TW393324B/zh
Priority to RU98108159A priority patent/RU2148392C1/ru
Priority to CA002236110A priority patent/CA2236110A1/en
Priority to FR9805508A priority patent/FR2774599B1/fr
Priority to SG1998000961A priority patent/SG76542A1/en
Priority to CN98108920A priority patent/CN1225842A/zh
Priority to JP10163622A priority patent/JP2911876B1/ja
Publication of KR1999006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저주파를 이용하여 환부의 피하조직에 전기적인 자극을 주어 약제의 침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상처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고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습포제가 개시되어 있다. 습포제의 습포지 양면 상에는 환자의 상처를 치료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점착성 약제가 도포되고, 습포지의 하부면 상에는 박리지가 부착된다. 박리지는 습포제의 사용시에 습포지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습포지의 상부면 상에는 습포지를 환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포가 위치된다. 습포지의 상부면에 대향하는 부착포의 하부면 상에는 한쌍의 도전성 층이 증착된다. 도전성 층들 사이에는 습포지 내로 저주파 에너지를 인가시키기 위한 저주파 발진기가 설치된다. 저주파 발진기의 상부면 상에는 저주파 발진기로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 돌출하여 설치된다. 이와는 달리, 저주파 발진기의 하부면 상에는 저주파 발진기로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체온 감지센서나 충격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습포제
본 발명은 습포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저주파를 이용하여 환부의 피하조직에 전기적인 자극을 주어 약제의 침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상처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고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포제는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등의 상처를 입은 환자의 상처부위에 간단히 부착하여 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습포제는 가요성이 있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점착성이 있는 약제가 도포된 습포지를 구비한다. 약제가 도포된 습포지의 일면 상에는 약제를 보호하기 위한 가요성 있는 비닐제의 박리지가 부착된다. 박리지는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시킬 때 습포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습포지를 환자가 사용할 때는 박리지를 습포지로부터 떼어낸 상태하에서 약제가 도포된 습포지의 일면을 환부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동안 부착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면, 약제의 지속적인 침투성과 약리 작용에 의해서 환자의 상처를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습포제는 단순히 습포지의 일면 상에 도포된 약품의 약리 작용에 의해서만 통증을 치료하므로, 치료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약제의 침투성이 점진적으로 저하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새로운 습포제로 교환하여 야만 한다. 또한, 습포제의 부착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면 약제의 약효가 소멸된 상태로 피부의 모공을 폐쇄시키기 때문에 환부의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습포제의 약효 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환부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병원의 물리 치료 요법중 한가지로서, 습포제를 이용하지 않고 환부에 직접 약품을 바른 상태하에서 별도의 저주파 발생 장치를 환부에 접촉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고가의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치료비가 상승하게 되어 환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며, 환자 스스로 자가적인 치료요법을 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습포제와 유사한 치료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액상의 약제가 내장된 스프레이 건 타입의 약제 분무기가 채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 분무기는 버튼을 눌러서 용기 내부의 약제를 통증 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약제의 지속시간이 습포제 보다 뒤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한편, 고레나가 테쯔야(Tetsuya Korenaga)에게 1987년 6월 30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676,246 호에는 환자의 환부에 단일 유니트로서 적용될 수 있는 저주파 방식의 전기요법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Tetsuya Korenaga's low-frequency electrotherapy apparatus는 주요부 및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주요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착 유니트를 포함한다. 부착 유니트는 주로 장착용 기판, 히이터, 처리 디렉터, 습포제를 구비한다. 습포제는 온수 또는 열수로 적신후 히이터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장치는 전기요법 팩을 환자의 환부 상에 부착시킨 후, 부착 유니트의 대각선 라인에 배치된 2개의 전극들 사이로 전류를 유동시켜서 전기 요법 장치의 주요부를 작동시킨다. 이때, 전류는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습포제로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저주파 에너지가 환부로 제공되고, 이러한 저주파 에너지는 환부를 자극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신진대사를 증진시킨다. 그 결과, 환자의 환부가 치료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Tetsuya Korenaga's low-frequency electrotherapy apparatus는 구조가 복잡하여 작동이 어렵고,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주요부와 부착 유니트가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주파를 이용하여 환부의 피하조직에 전기적인 자극을 주어 약제의 침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상처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고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의 휴대 가능한 습포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습포제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습포제 20a,20b : 습포지
22a,22b : 도전성 층 24a,24b : 단자 홈
30a,30b : 저주파 발진기 34 : 누름 버튼
35 : 체온 감지센서/충격 감지센서
36a : 양극 단자 36b : 음극 단자
38 : 걸림 돌기 40 : 박리지
50 : 부착포 52 : 접착부
54 : 접착 테이프 56 : 버튼 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환자의 상처를 치료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점착성 약제를 함유하는 습포지;
상기 점착성 약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습포지의 제 1 면 상에 부착되고, 습포제의 사용시에 상기 습포지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박리지;
상기 습포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습포지를 환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포;
상기 습포지 내로 저주파 에너지를 인가시키기 위한 저주파 발생수단; 및
상기 저주파 에너지를 상기 습포지에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층을 포함하는 습포제를 제공한다.
상기 습포제는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으로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작동 신호 인가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작동 신호 인가수단은,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의 일면 상에 설치된 누름 버튼, 체온 감지센서 또는 충격 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포는 상기 습포지의 둘레 길이보다 큰 둘레 길이를 가지며, 상기 부착포의 양측 말단에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저주파 발생 수단은,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층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도전성 층은 상기 습포지와 상기 부착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습포지의 제 2 면에 대향하는 상기 부착포의 일면 상에 코팅된다. 상기 도전성 층에는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과 상기 도전성 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 홈들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포제에서는, 습포지 자체로부터의 약제 침투와 저주파 에너지에 의한 약제 성분의 침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약리작용을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등의 다양한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고, 치료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10a)는 주로 한쌍의 습포지(20a,20b), 한쌍의 도전성 층(22a,22b), 저주파 발진기(30a), 박리지(40) 및 부착포(50)를 포함한다.
습포지(20a,20b)는 서로 분리된 가요성 직물 시이트로 이루어지며, 양면 상에 점착성이 있는 약제가 도포된다. 습포지(20a,20b)의 대향하는 면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G1)이 형성된다.
도전성 층(22a,22b)은 습포지(20a,20b)의 상부면과 부착포(50) 사이에 배치되며, 습포지(20a,20b)의 상부면에 대향하는 부착포(50)의 바닥면 상에 증착된다. 서로 분리된 도전성 층(22a,22b)의 대향하는 면들 사이에는 간격(G1)과 동일한 거리의 간격(G2)이 형성된다. 또한, 도전성 층(22a,22b)의 대향하는 일측면들에는 저주파 발진기(30a)와 도전성 층(22a,22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 홈(24a,24b)이 각각 형성된다.
저주파 발진기(30a)는 알람 기능이나 램프 표시기능을 갖는 회로로 구성된다. 저주파 발진기(30a)는 배터리가 내장된 본체(32), 본체(32)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양극 단자(36a) 및 음극 단자(36b)를 포함한다. 저주파 발진기(30a)의 본체(32)의 상부면 상에는 누름 버튼(34)이 돌출하여 설치된다. 누름 버튼(34)은 환자가 누름 버튼(34)을 손으로 누르는 경우에 저주파 발진기(30a)로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저주파 발진기(30a)는 양극 단자(36a) 및 음극 단자(36b)를 도전성 층(22a,22b)의 일측면들에 형성된 단자 홈(24a,24b)내로 각각 삽입시킴으로써 도전성 층(22a,22b) 사이에 배치된다.
저주파 발진기(30a)의 배터리 용량은 습포지(20a,20b)의 약제 효능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예를들면, 저주파 발진기(30a)의 배터리 용량은 최초로 부착된 습포지(20a,20b)의 약제 효능이 지속되는 시간까지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저주파 발진기(30a)의 배터리의 전류가 소모되면, 환자는 저주파 발진기(30a)의 알람 기능이나 램프 표시기능을 통해서 습포제(10a)의 교환시간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된다.
이와는 달리, 저주파 발진기(30a)의 배터리 용량은 기설정된 교체 횟수만큼 습포지(20a,20b)를 교체해가면서 사용할때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습포지(20a,20b)만을 교체하면서 습포제(10a)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지(40)는 습포지(20a,20b)의 바닥면 상에 도포된 약제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가요성 있는 비닐로 제조된다. 박리지(40)는 습포제(10a)를 환부에 부착시킬 때 습포지(1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부착포(50)의 하부면 상에는 도전성 층(22a,22b)이 증착된다. 즉, 도전성 층(22a,22b)은 저주파 발진기(30a)의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를 도전성 층(22a,22b)의 단자 홈(24a,24b)내로 각각 삽입시킨 상태로 부착포(50)의 하부면상에 코팅된다. 부착포(50)의 중앙 일측에는 버튼 공(56)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버튼 공(56)은 도전성 층(22a,22b)들 사이에 배치된 저주파 발진기(30a)의 누름 버튼(34)과 상하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부착포(50)를 습포지(20a,20b) 상에 부착했을 때, 저주파 발진기(30a)의 누름 버튼(34)이 버튼 공(56)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습포제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습포제(10a)는 한쌍의 습포지(20a,20b), 박리지(40) 및 부착포(50)를 얇은 판상으로 적층함으로써 일체로서 형성된다. 이때, 부착포(50)는 습포지(20a,20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습포지(20a,20b)의 전체 둘레 길이보다 큰 전체 둘레 길이를 갖는다. 이에 의해, 부착포(50)의 양측 말단에는 접착부(52)가 제공된다. 접착부(52)의 바닥면 상에는 소정의 접착제가 도포된다.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52)의 바닥면은 접착 테이프(54)에 의해서 보호된다. 접착부(52)는 환자가 접착 테이프(54)를 떼어내어 습포제(10a)를 환부에 부착시키는 경우에, 습포지(20a,20b)에 의해서 방해를 받음이 없이 환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습포제(10a)가 환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습포지(20a,20b)가 보다 강력하게 환부에 접착될 수 있게된다.
한편, 저주파 발진기(30a)는 도전성 층(22a,22b)의 일측면에 제공된 단자 홈(24a)와 (24b) 내로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가 각각 위치하도록 도전성 층(22a,22b) 사이에 배치된다.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의 하부 면 상에는 다수의 걸림 돌기(38)가 하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걸림 돌기(38)는 도전성 층(22a,22b)이 하부면 상에 증착된 부착포(50)와 습포지(20a,20b)를 결합시키는 경우에,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를 습포지(20a,20b)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습포제(10a)의 사용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등의 상처를 입은 환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10a)를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먼저 습포지(20a,20b)의 바닥면 상에 부착된 박리지(40)를 습포지(20a,20b)로부터 떼어냄과 동시에, 부착포(50)의 접착부(52)를 덮고있는 접착 테이프(54)를 접착부(52)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에는, 약제가 도포된 습포지(20a,20b)의 바닥면을 환자의 환부(B)에 가볍게 밀착시키면서 부착포(50)의 상부면과 접착부(52)를 손으로 눌러줌으로써, 습포지(20a,20b)를 환부(B)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때, 습포지(20a,20b)는 점착성을 갖는 약제와 접착부(52)에 의해서 환부(B)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포(50)의 버튼 공(56)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 저주파 발진기(30a)의 누름 버튼(34)을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주면, 누름 버튼(34)으로부터 저주파 발진기(30a)로 작동 신호가 인가되어 저주파 발진기(30a)가 작동을 개시한다. 그러면, 저주파 발진기(30a)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 에너지가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를 통해서 부착포(50)의 바닥면 상에 코팅된 도전성 층(22a,22b)으로 전달된다.
저주파 발진기(30a)로부터 도전성 층(22a,22b)으로 전달된 저주파 에너지는 습포지(20a,20b)를 통해서 환부(B)의 피하조직내로 침투하여 환부(B)를 자극함으로써 살아있는 세포의 신진대사를 증진시킨다. 또한, 저주파는 습포지(20a,20b)의 바닥면으로부터 환부(B)의 피하조직내로 발산되는 약제의 성분들을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주파에 의한 약리 작용은 저주파 발진기(30a)의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로부터 나와서 습포지(20a)와 (20b)를 각각 통과하는 양극의 저주파 성분과 음극의 저주파 성분이 환부(B)를 통해 만나면서 활성화된다.
그런데, 만일 저주파 발진기(30a)의 배터리 용량이 최초로 부착된 습포지(20a,20b)의 약제 효능이 지속되는 시간까지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하에서 환부(B)에 부착된 습포제(10a)의 저주파 발진기(30a)의 배터리 전류가 소모되면, 환자는 저주파 발진기(30a)의 알람 기능이나 램프 표시기능을 통해서 습포제(10a)의 약제 효능이 소멸된 것임을 알게 된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계속적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습포제(10a)를 환부(B)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습포제를 환부(B)에 부착함으로써, 연속적인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만일 저주파 발진기(30a)의 배터리 용량이 기설정된 교체 횟수만큼 습포지(20a,20b)를 교체해가면서 사용할때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하에서 습포지(20a,20b)의 약제 효능이 떨어지면, 환자는 저주파 발진기(30a)의 알람 기능이나 램프 표시기능을 통해서 그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계속적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부착된 습포지(20a,20b)를 습포제(10a)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습포지(20a,20b)를 부착포(50)의 바닥면 상에 부착함으로써 연속적인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10b)는 저주파 발진기(30a)에 체온 감지센서 또는 충격 감지센서(35)를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1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10b)에 있어서, 저주파 발진기(30b)는 알람 기능이나 램프 표시기능을 갖는 회로로 구성되며, 배터리가 내장된 본체(32), 본체(32)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양극 단자(36a) 및 음극 단자(36b)를 포함한다. 본체(32)의 하부면 상에는 체온 감지센서 또는 충격 감지센서(35)가 설치된다. 체온 감지센서 또는 충격 감지센서(35)는 습포제(10b)를 환자의 환부(B)에 부착하는 경우에, 환자의 체온 또는 습포제(10b) 부착시의 충격을 감지하여 저주파 발진기(30b)로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저주파 발진기(30b)는 양극 단자(36a) 및 음극 단자(36b)를 도전성 층(22a,22b)의 일측면에 형성된 단자 홈(24a,24b)내로 삽입시킴으로써 도전성 층(22a,22b) 사이에 배치된다.
저주파 발진기(30b)의 배터리 용량은 최초로 부착된 습포지(20a,20b)의 약제 효능이 지속되는 시간까지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기설정된 교체 횟수만큼 습포지(20a,20b)를 교체해가면서 사용할때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저주파 발진기(30b)의 알람 기능이나 램프 표시기능을 통해서 습포제(10b)를 교환하거나, 또는 습포지(20a,20b)만을 교체하면서 습포제(10b)를 사용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습포제(10b)의 사용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등의 상처를 입은 환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10b)를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먼저 습포지(20a,20b)의 바닥면 상에 부착된 박리지(40)를 습포지(20a,20b)로부터 떼어냄과 동시에, 부착포(50)의 접착부(52)를 덮고있는 접착 테이프(54)를 접착부(52)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에는, 약제가 도포된 습포지(20a,20b)의 바닥면을 환자의 환부(B)에 가볍게 밀착시키면서 부착포(50)의 상부면과 접착부(52)를 손으로 눌러줌으로써, 습포지(20a,20b)를 환부(B)에 부착시키게 된다. 습포지(20a,20b)는 약제에 함유된 점착성과 접착부(52)에 의해서 환부(B)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이때, 본체(32)의 하부면 상에 설치된 체온 감지센서 또는 충격 감지센서(35)는 환자의 체온 또는 습포제(10b) 부착시의 충격을 감지하여 저주파 발진기(30b)로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그 결과, 저주파 발진기(30b)가 작동을 개시하게 되고, 저주파 발진기(30b)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 에너지가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를 통해서 부착포(50)의 바닥면 상에 코팅된 도전성 층(22a,22b)으로 전달된다.
저주파 발진기(30b)로부터 도전성 층(22a,22b)으로 전달된 저주파 에너지는 습포지(20a,20b)를 통해서 환부(B)의 피하조직내로 침투하여 환부(B)를 자극함으로써 살아있는 세포의 신진대사를 증진시킨다. 또한, 저주파는 습포지(20a,20b)의 바닥면으로부터 환부(B)의 피하조직내로 발산되는 약제의 성분들을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주파에 의한 약리 작용은 저주파 발진기(30b)의 양극 단자(36a)와 음극 단자(36b)로부터 나와서 습포지(20a)와 (20b)를 각각 통과하는 양극의 저주파 성분과 음극의 저주파 성분이 환부(B)를 통해 만나면서 활성화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습포제(10a,10b)에서는, 습포지(20a,20b) 자체로부터의 약제 침투와 저주파에 의한 약제 성분의 침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약리작용을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등의 다양한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고, 습포제의 부착 사용에 따른 가려움증의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이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치료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환자의 상처를 치료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점착성 약제를 함유하는 습포지;
    상기 점착성 약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습포지의 제 1 면 상에 부착되고, 습포제의 사용시에 상기 습포지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박리지;
    상기 습포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습포지를 환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포;
    상기 습포지 내로 저주파 에너지를 인가시키기 위한 저주파 발생수단; 및
    상기 저주파 에너지를 상기 습포지에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층을 포함하는 습포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으로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작동 신호 인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신호 인가수단이,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의 일면 상에 돌출하여 설치된 누름 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부착포를 상기 습포지 상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부착포의 중앙 일측에 형성된 관통 공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하에서 상기 환자가 상기 누름 버튼을 손으로 누르는 경우에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으로 상기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신호 인가수단이,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의 일면 상에 설치된 체온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감지센서는, 상기 환자가 상기 습포제를 상기 환부에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환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으로 상기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신호 인가수단이,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의 일면 상에 설치된 충격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센서는, 상기 환자가 상기 습포제를 상기 환부에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습포제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으로 상기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포는 상기 습포지의 둘레 길이보다 큰 둘레 길이를 가지며, 상기 부착포의 양측 말단에 제공되고 바닥면 상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포의 중앙 일측에 관통 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 수단은,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과 상기 도전성 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성 층에 형성된 단자 홈들 내로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를 각각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층은 상기 습포지와 상기 부착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습포지의 제 2 면에 대향하는 상기 부착포의 일면 상에 코팅되고, 상기 도전성 층에는 상기 저주파 발생수단과 상기 도전성 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 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KR1019980003857A 1998-02-10 1998-02-10 습포제 KR10024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857A KR100245835B1 (ko) 1998-02-10 1998-02-10 습포제
GB9808772A GB2333960B (en) 1998-02-10 1998-04-25 Poultice
TW087106465A TW393324B (en) 1998-02-10 1998-04-27 Medicattion lotion for external use
RU98108159A RU2148392C1 (ru) 1998-02-10 1998-04-28 Пластырь
CA002236110A CA2236110A1 (en) 1998-02-10 1998-04-29 Poultice
FR9805508A FR2774599B1 (fr) 1998-02-10 1998-04-30 Cataplasme
SG1998000961A SG76542A1 (en) 1998-02-10 1998-04-30 Poultice
CN98108920A CN1225842A (zh) 1998-02-10 1998-05-22 湿敷剂
JP10163622A JP2911876B1 (ja) 1998-02-10 1998-06-11 湿布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857A KR100245835B1 (ko) 1998-02-10 1998-02-10 습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545A KR19990069545A (ko) 1999-09-06
KR100245835B1 true KR100245835B1 (ko) 2000-06-01

Family

ID=1953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857A KR100245835B1 (ko) 1998-02-10 1998-02-10 습포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2911876B1 (ko)
KR (1) KR100245835B1 (ko)
CN (1) CN1225842A (ko)
CA (1) CA2236110A1 (ko)
FR (1) FR2774599B1 (ko)
GB (1) GB2333960B (ko)
RU (1) RU2148392C1 (ko)
SG (1) SG76542A1 (ko)
TW (1) TW39332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65A (ko) * 1998-09-26 2000-04-15 노성훈 호마노광석을 이용한 가아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0745A (ko) * 2000-08-02 2001-11-14 허참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US7979118B2 (en) 2007-03-20 2011-07-12 Hyunjik Yum Low frequency generation poultice
KR20160095732A (ko) * 2015-02-04 2016-08-12 이태규 디지털 바이오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4987A1 (de) * 2005-10-12 2007-04-18 Pierenkemper GmbH Elektrode zur Nerven- und/oder Muskelstimulation und Verfahren zur Nerven- und/oder Muskelstimulation
GB2454481A (en) * 2007-11-07 2009-05-13 Synapse Medical Solutions Ltd Dressing with integrated electrodes and control unit
CN101991484B (zh) * 2010-11-04 2013-06-05 龙丹 一种创伤疼痛快速康复敷贴仪
RU2573104C2 (ru) * 2011-09-01 2016-01-20 Нитто Денко Корпорейшн Лейкопластырь и клейкий препарат
CN102500049A (zh) * 2011-10-20 2012-06-20 湖南省健缘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中药包工作时间累计器的中药封包综合治疗仪
KR102067472B1 (ko) 2012-01-18 2020-01-20 월드와이드 이노베이티브 헬쓰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변형 가능한 폐쇄 피부 드레싱 키트 및 방법
CN104783347A (zh) * 2015-04-28 2015-07-22 郑州信翰科技有限公司 新型幼儿口罩
KR102053496B1 (ko) * 2017-08-16 2019-12-06 정용교 전기 자극 시술 장치
CN107648035A (zh) * 2017-10-30 2018-02-02 王世杰 穴位充能康复治疗仪
KR102005026B1 (ko) * 2017-12-19 2019-07-31 미래메디엔텍 주식회사 파스 및 이를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
CN110151387A (zh) * 2019-05-28 2019-08-23 杭州沃谱诗科技有限公司 一种磁吸式热敷电极贴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6246A (en) 1985-02-04 1987-06-30 Tetsuya Korenaga Low-frequency electrotherapy apparatus
JPS63102768A (ja) * 1986-10-20 1988-05-07 山之内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オレ−シス用の新規プラスタ−構造体
JPS6456060A (en) * 1987-08-27 1989-03-02 Hayashibara Takeshi Low frequency medical treatment device
US5006108A (en) * 1988-11-16 1991-04-09 Noven Pharmaceuticals, Inc. Apparatus for iontophoretic drug delivery
ATE131384T1 (de) * 1990-04-24 1995-12-15 Teijin Ltd Pflaster
US6238381B1 (en) * 1990-11-01 2001-05-29 Robert Tapper Iontophoretic treatment system
CA2084734C (en) * 1991-12-17 1998-12-01 John L. Haynes Iontophoresis system having features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JPH09215755A (ja) * 1996-02-09 1997-08-19 Poritoronikusu:Kk 皮接治療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65A (ko) * 1998-09-26 2000-04-15 노성훈 호마노광석을 이용한 가아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0745A (ko) * 2000-08-02 2001-11-14 허참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US7979118B2 (en) 2007-03-20 2011-07-12 Hyunjik Yum Low frequency generation poultice
KR20160095732A (ko) * 2015-02-04 2016-08-12 이태규 디지털 바이오 패치
KR101697078B1 (ko) 2015-02-04 2017-01-17 이태규 디지털 바이오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44398A (ja) 1999-09-14
CN1225842A (zh) 1999-08-18
FR2774599A1 (fr) 1999-08-13
GB2333960A (en) 1999-08-11
RU2148392C1 (ru) 2000-05-10
CA2236110A1 (en) 1999-08-10
GB9808772D0 (en) 1998-06-24
SG76542A1 (en) 2000-11-21
GB2333960B (en) 2002-04-10
KR19990069545A (ko) 1999-09-06
JP2911876B1 (ja) 1999-06-23
FR2774599B1 (fr) 2001-10-05
TW393324B (en) 200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835B1 (ko) 습포제
EP0817659B1 (en) Self-contained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JP4165659B2 (ja) 安全性が改良され、乱用可能性が低下した電気的移送式投与デバイス
CA2449556C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JP4708447B2 (ja) 浮電極
US7383083B2 (en) Transdermal delivery system (TDS) with electrode network
AU2002347567B2 (en) Dermal patch
US20020019652A1 (en) Two part tens bandage
CA2705796C (en) Nerve stimulation patch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selected nerves
JPH0236885A (ja) イオン浸透療法装置
AU2002312502A1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KR100245836B1 (ko) 저주파 발생습포제
US6162460A (en) Poultice
KR101180105B1 (ko) 파지가 용이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0413956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CA2201378A1 (en)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disposable patch and reusable, removable controller
KR20070079760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150118601A (ko)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KR20019549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37390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375948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200375960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211911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KR100610254B1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010096456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