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3366B1 -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366B1
KR100223366B1 KR1019960044566A KR19960044566A KR100223366B1 KR 100223366 B1 KR100223366 B1 KR 100223366B1 KR 1019960044566 A KR1019960044566 A KR 1019960044566A KR 19960044566 A KR19960044566 A KR 19960044566A KR 100223366 B1 KR100223366 B1 KR 10022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hannel
data
receiv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201A (ko
Inventor
유인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3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synchronous transmission, e.g. time division multiplex [TDM], slott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데이터 통신 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회로가, 제1링크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다중화하는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와 제2링크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다중화하는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로 구성되는 역다중화장치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제1링크로 출력하는 제1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제2링크로 출력하는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로 구성되는 다중화장치와, 수신되는 데이터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1수신부 및 제2수신부와, 송신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송신부 및 제2송신부로 구성되어 데이터통신채널들의 데이터 통신채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감시제어장치와, 감시제어장치의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에 연결되며, 제3제어신호에 의해 출력을 형성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와,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단과 감시제어장치의 제1수신부 및 제3제어기 사이에 연결되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1제어기와,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단과 감시제어장치의 제1수신부 및 제3제어기 사이에 연결되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2제어기와, 제1 및 제2송신부의 출력단과 제1 및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들 사이에 연결되며, 제3제어신호에 의해 송신데이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4제어기로 구성되어, 루트 다이버시티일 시 제3제어기 및 제4제어기를 온시켜 수신 데이터통신채널 처리부들에서 출력되는 데이터통신채널 정보를 제1 및 제2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대응되는 수신부들에 전달하고 제1 및 제2송신데이타를 제1 및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에 각각 전달하며, 그렇지않으면 제3제어기 및 제4제어기를 오프시켜 루프다이버시티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APPARATUS FOR SELECTING COMMUNICATION CHANNEL IN DAT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동기식 다중화 구조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루트다이버시티로 구성되며 예비채널 및 운용채널로 운용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데이터통신채널을 선택으로 절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데이터는 경로, 재생기 구간, 다중화기 구간 및 물리 매체 들을 단계적으로 경유하면서 전송된다. 이런 디지탈 전송 과정에 계층화된 개념을 적용하면 경로 계층, 다중화기 구간 계층, 재생기 구간 계층, 물리 매체 계층으로 구분한 수 있다. 이때 광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물리 매체 계층은 광 계층이 된다.
동기식 다중화 구조는 상기와 같은 계층화된 개념을 수용하여 체계적인 공간 배열을 하고 있다. 도 1은 STM-n 프레임을 그 기능별로 구분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와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는 각각 재생기 구간 계층과 다중화기 구간 계층에 적용되는 오버헤드들이다. 경로 오버헤드는 경로 계층에 적용되는 오버헤드이고, 기타 저위 경로를 위한 오버헤드들은 STM 유료 부하 공간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동기식 다중화에 있어서 사용되는 오버헤드는 상기와 같은 계층화된 개념을 반영하여 구간 오버헤드(SOH: Section Overhead)와 경로 오버헤드(POH: Path Overhead)로 구분된다. 이 중 SOH는 중계 구간 오버헤드와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SOH는 STM-n 신호가 구성될 마지막 단계에 삽입하고, POH는 가상 콘테이너(Virtual Contaioner)신호가 구성될 때 마다 삽입된다.
SOH는 STM-n신호의 전송 성능 표시, 운용 및 유지 보수 등을 목적으로 재생기나 다중화기 구간에서 삽입, 추출되는 오버헤드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TR: pointer) 상부의 SOH는 재생기 구간을 위하여 사용되고 하부의 SOH는 다중화기 구간을 위하여 사용된다.
도 2a 및 도 2b는 STM-1 프레임에서 구간 오버헤드 SOH 및 경로 오버헤드 POH 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a에서 각 바이트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A1-A2: 프레임 정렬 부호, B1-B3: 홀짝수 검사를 위한 패리티 부호, D1-D12: 데이터 통신 채널(Data Communication Channel: 이하 DCC라 칭한다), E1-E2: 타합선, F1-F2: 사용자 채널, G1: 경로 상태 확인, H4: 다중 프레임 표시, J1: 경로 추적, K1-K2: 자동 보호 절체(APS: Atomatic Protection Switching), Z1:-Z5: 기타 목적을 위한 예비용 오버헤드.
상기 SOH 중에서 DCC는 전송장치의 운용, 보전 및 유지보수를 위해 필수적인 데이터이다. 즉,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서는 상기 DCC를 이용하여 장치를 감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전송한다. 상기 DCC의 운용 방법은 ITU-T의 G.783, G.784 및 G.707에 권고되어 있다. 도 3은 광전송 시스템에서 다중화장치30과 감시제어장치20 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화장치30은 송신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Multiplexing Demultiplex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다중화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에서 DCC의 송신 계통은 감시제어장치20의 DCU21에서 출력되며, 다중화장치30의 송신DCC처리부31 및 MUX32를 통해 다중화된 후 전광변환부(E/O: Electronic to Optic converter)33을을 통해 광신호로 변환되어 광전송라인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DCC의 수신 계통을 살펴보면, 광전송라인으로 수신되는 오버헤드는 광전변환부(O/E: Optic to Electronic converter)34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되며, DEMUX35에서 역다중화된 후 수신DCC처리부36을 통해 처리되어 감시제어장치20의 DCU21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감시제어장치30의 제어부인 MPU22는 상기 수신DCC처리부36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CTL을 발생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DCC를 처리하는 장치는 예비 및 운용채널로 이중화 채널을 사용하며, 구성 네트워크 가운데 양호한 라인을 선택하여 DCC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DCC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채널(standby channel)과 운용채널(operating channel)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 절체비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종래의 DCC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예비채널 및 운용채널의 디지탈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두 개의 광전송라인은 지역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동일 루트(route) 상에 위치되며, 이는 상기 운용채널에 이상이 발생될 시 예비채널로 절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운용채널의 광전송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예비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1+1 절체비를 갖는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도 5와 같이 DCC를 접속 처리한다. 여기서 다중화장치 30에서 참조부호 A가 부가된 구성은 예비채널의 구성이고 참조부호B가 부가된 구성은 운용채널의 구성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도 5에서 DCC를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송신시 상기 DCU21의 송신부25는 클럭 및 데이터를 다중화장치30의 송신DCC처리부31A 및 31B에 공통으로 출력하며, 각각 연결되는 MUX32A 및 32B는 각각 송신 DCC를 입력하여 해당하는 광전송라인으로 다중화 출력한다. 즉, DCC 송신시 상기 DCU21의 송신부25는 예비와 운용채널에 클럭 및 데이터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수신시 DEMUX35A 및 35B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며, 각각 대응되는 수신DCC처리부36A 및 36B는 수신되는 DCC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수신DCC처리부36A 및 36B의 출력은 각각 제어신호CTL1 및 CTL2에 의해 제어되는 3상태버퍼37A 및 37B가 연결되며, 이들 출력은 상기 DCU21의 수신부26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CTL1 및 CTL2는 수신되는 DCC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절체정보로서, 상기 감시제어장치20의 MPU22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수신되는 DCC는 감시제어장치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CTL1 및 CTL2에 의해 양호한 DCC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채널 중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선로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손실없이 지속적인 통신을 할 수 있지만, 루트 다이버시티(route diversity)를 구성하는 경우 이에 대한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트 다이버시티 네트워크에서는 운용채널과 예비채널이 지역적으로 이격시켜 전송하며, 하나의 터미널TM에서 2개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형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광전송라인은 도로 및 철도를 따라 설치되는데, 예를들어 A 사이트(A site)의 예비채널은 중부 고속광이고 B 사이트의 운용채널은 경부 고속광이라고 가정하면, 터미널TM은 각각 중부 고속광 및 경부 고속광의 2개 네트워크를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루트 다이버시티를 통해 예비채널과 운용채널을 운용하는 경우, 상기 예비채널 및 운용채널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서로 독립적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와 같은 종래의 DCC선택회로는 두 채널 중에 양호한 하나의 채널 데이터만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운용채널 및 예비채널의 정보를 동시에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감시제어장치20의 제어하에 선택적으로 루트 다이버시티 네트워크에서 상기 운용채널 및 예비채널로 수신되는 서로 독립적인 데이터를 각각 유효한 정보로 수신하거나 또는 두 채널로 수신되는 DCC 중에 양호한 DCC를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루트 다이버시티로 구성되며 예비채널 및 운용채널로 운용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절체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 채널을 선택적으로 절체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채널 데이터를 선택하는 회로가, 제1링크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다중화하는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와 제2링크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다중화하는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로 구성되는 역다중화장치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제1링크로 출력하는 제1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제2링크로 출력하는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로 구성되는 다중화장치와, 수신되는 데이터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1수신부 및 제2수신부와, 송신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송신부 및 제2송신부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통신채널들의 데이터 통신채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감시제어장치와, 상기 감시제어장치의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에 연결되며, 제3제어신호에 의해 출력을 형성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와, 상기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시제어장치의 제1수신부 및 상기 제3제어기 사이에 연결되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1제어기와, 상기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시제어장치의 제1수신부 및 상기 제3제어기 사이에 연결되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2제어기와, 상기 제1 및 제2송신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1 및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들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3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송신데이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4제어기로 구성되어, 루트 다이버시티일 시 상기 제3제어기 및 제4제어기를 온시켜 상기 수신 데이터통신채널 처리부들에서 출력되는 데이터통신채널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대응되는 수신부들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및 제2송신데이타를 상기 제1 및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에 각각 전달하며, 그렇지않으면 상기 제3제어기 및 제4제어기를 오프시켜 루프다이버시티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도 1은 STM-n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도 1에서 구간 오버헤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경로 오버헤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광전송 시스템에서 감시제어장치와 다중화장치 간에 데이터 통신 채널을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예비채널 및 운용채널을 구비하는 다중화장치 들이 다른 원격 다중화장치와 연결되며, 1+1 절체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와 같은 다중화장치와 감시제어장치 간에 데이터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예비채널 및 운용채널을 구비하는 다중화장치 들이 다른 원격 다중화장치와 루트 다이버시티 형태로 접속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과 같이 루트 다이버시티 형태로 연결되는 다중화장치와 감시제어장치 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채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는 상기 도 5와 같이 루트 다이버시티 방식으로 DCC를 처리하며, 이런 경우 제어모드에 따라 2개의 독립된 채널의 DCC를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DCC 처리 방식대로 양호한 선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채널 선택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11-112 및 수신부211-212는 LAPD제어부(LAPD controller)로서 상기 DCU2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형태는 LAPD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버퍼215, 216 및 217은 제1제어신호CTL1의 상태에 의해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의 출력을 제1수신부211 또는 제2수신부212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기의 구성이 된다. 또한 버퍼218, 219, 220은 제2제어신호CTL2의 상태에 의해 상기 제2수신DCC처리부213의 출력을 제2수신부 또는 제1수신부211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기의 구성이 된다. 그리고 버퍼221은 상기 제1제어기의 버퍼216 및 제2제어기의 버퍼218의 출력단과 제2수신부212의 사이에 연결되여 제3제어신호CTL3의 상태에 의해 루트 다이버시티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가 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DCC의 송신 동작을 살펴보면, 제1송신부111 및 제2송신부112는 상기 DCU21에 위치되며, 송신할 DCC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예비채널 및 운용채널로 구분하여 동일한 DCC를 출력하거나 또는 루트 다이버시티 구성에 의해 서로 독립적인 DCC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시제어장치20의 MPU22는 상기 DCC 처리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제3제어신호CTL3을 발생한다. 상기 제3제어신호CTL3은 2개의 독립된 채널의 DCC를 처리하거나 또는 종래의 방식으로 DCC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CTL3이 로우 논리로 출력되면 전자의 방법으로 DCC를 처리하며, 하이논리로 출력되면 후자의 방법으로 DCC를 처리한다고 가정한다.
제1송신DCC처리부121은 상기 제1송신부111에서 출력되는 DCC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MUX32에 출력한다. 제2송신DCC처리부122는 3상태 버퍼117에서 출력되는 DCC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MUX32에 출력한다. 여기서 3상태 버퍼117은 상기 제2송신부112와 제2송신DCC처리부114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3제어신호CTL3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3상태 버퍼115는 상기 제1송신부111과 제2송신DCC처리부114 사이에 연결되며, 인버터116을 출력하는 상기 제3제어신호CTL3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제3제어신호CTL3이 하이 논리로 출력되면 상기 버퍼115가 온되고 버퍼117이 오프되므로, 상기 제2송신부112의 DCC 출력이 차단되고 상기 제1송신부111의 출력이 상기 제2송신DCC처리부114에 출력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1송신DCC처리부113 및 제2송신DCC처리부114는 상기 제1송신부111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DCC를 처리하여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3제어신호CTL3이 로우 논리로 출력되면 상기 버퍼117이 온되고 상기 버퍼115가 오프된다. 그러면 상기 제1송신부111의 DCC 출력이 차단되고 제2송신부112의 DCC 출력 통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1송신DCC처리부113은 상기 제1송신부111에서 출력되는 DCC를 처리하고 제2송신DCC처리부114는 상기 제2송신부112에서 출력되는 DCC를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제1송신DCC처리부113 및 제2송신DCC처리부114는 각각 독립된 채널의 DCC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상기 DCC의 수신 동작을 살펴보면, 제1수신DCC처리부213 및 제2수신DCC처리부214는 다중화장치30에서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DCC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출력한다. 3상태 버퍼215는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의 출력단과 상기 제1수신부211의 사이에 연결되며, 제1제어신호CTL1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3상태 버퍼216은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인버터217을 통해 반전되는 제1제어신호CTL1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3상태 버퍼218은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4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제2제어신호CTL2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3상태 버퍼219는 상기 제2수신DCC처리부214와 상기 제1수신부211 사이에 연결되며, 인버터220을 통해 반전되는 제2제어신호CTL2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3상태 버퍼221은 상기 3상태 버퍼218 및 216의 출력단과 상기 제2수신부212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3제어신호CTL3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먼저 상기 MPU22는 설정된 DCC 처리 방식에 따라 제어신호CTL1-CTL3을 발생한다. 이때 루트 다이버시티인 경우에는 상기 MPU22는 CTL1-CTL3을 0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3상태 버퍼216 및 219는 오프되고 3상태 버퍼215, 218 및 221은 온된다. 그러면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에서 출력되는 DCC는 버퍼215를 통해 제1수신부211에 출력되고 상기 제2수신DCC처리부214에서 출력되는 DCC는 버퍼218 및 229를 통해 제2수신부212에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1수신부211 및 제2수신부212는 각각 독립된 신호를 처리하여 루트 다이버시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두 번째로 루트 다이버시티가 아닌 경우, 상기 제3제어신호CTL3을 하이 논리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3상태 버퍼221이 오프되므로 상기 제2수신부212로 출력되는 DCC의 출력 통로가 차단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1수신부211에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 또는 제2수신DCC처리부214에서 출력되는 DCC 중에서 양호한 품질의 DCC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CTL2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의 DCC를 선택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CTL1-CTL2를 로우 논리(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3상태 버퍼215 및 218이 온되며, 이로인해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에서 출력되는 DCC가 제1수신부211에 전달되지만 3상태 버퍼221이 오프되어 상기 제2수신DCC처리부214에서 출력되는 DCC가 제2수신부212에 전달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제2수신DCC처리부214의 DCC를 선택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CTL1-CTL2를 하이 논리(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3상태 버퍼216 및 219가 온되며, 이로인해 상기 제2수신DCC처리부214에서 출력되는 DCC가 제1수신부211에 전달되지만 3상태 버퍼221이 오프되어 상기 제1수신DCC처리부213에서 출력되는 DCC가 제2수신부212에 전달되지 못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CC를 선택하는 동작은 하기 표와 같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3제어신호CTL3이 로우 논리일 시 CTL2-CTL1은 0 만을 사용하며, 이외의 논리신호(001,010,011)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제어신호CTL3이 하이 논리일 시 상기 CTL2-CTL1은 0 및 11 만을 사용하며, 이외의 논리신호(101,110)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CTL3-CTL1의 조합에 사용되는 코드는 000, 100, 111의 3가지 코드를 사용하며, 001,010,011,101,110의 5가지 코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때의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제어신호 버 퍼 비 고
CTL3 CTL2 CTL1 215 216 218 219 221
0 0 0 ON OFF ON OFF ON 루트 다이버시티 기능 수행함. 각각 독립적으로 A링크 데이터가 제1수신부에 인가되고 B 링크 데이터가 제2수신부에 인가됨.
1 0 0 ON OFF ON OFF OFF A링크 데이터가 B링크 데이터 보다 양호한 경우, A링크 데이터가 제1수신부에 인가되고 B링크 데이터는 버퍼221에 의해 차단됨.
1 1 1 OFF ON OFF ON OFF B링크 데이터가 A링크 데이터 보다 양호한 경우, B링크 데이터가 제1수신부에 인가되고 A링크 데이터는 버퍼221에 의해 차단됨.
상술한 바와 같이 운용채널 및 예비채널을 구비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루트 다이버시티 네트워크 구성시 각각 독립적으로 송수신되는 DCC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 DCC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품질이 좋은 링크의 DCC를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Claims (1)

  1. 데이터 통신 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회로에 있어서,
    제1링크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다중화하는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와 제2링크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역다중화하는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로 구성되는 역다중화장치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제1링크로 출력하는 제1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제2링크로 출력하는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로 구성되는 다중화장치와,
    수신되는 데이터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1수신부 및 제2수신부와, 송신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송신부 및 제2송신부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통신채널들의 데이터 통신채널 데이터를 처리하는 감시제어장치와,
    상기 감시제어장치의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에 연결되며, 제3제어신호에 의해 출력을 형성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와,
    상기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시제어장치의 제1수신부 및 상기 제3제어기 사이에 연결되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1제어기와,
    상기 제2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시제어장치의 제1수신부 및 상기 제3제어기 사이에 연결되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수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2제어기와,
    상기 제1 및 제2송신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1 및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들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3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송신데이타의 출력 통로를 형성하는 제4제어기로 구성되어,
    루트 다이버시티일 시 상기 제3제어기 및 제4제어기를 온시켜 상기 수신 데이터통신채널 처리부들에서 출력되는 데이터통신채널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대응되는 수신부들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및 제2송신데이타를 상기 제1 및 제2송신데이타통신채널처리부에 각각 전달하며, 그렇지않으면 상기 제3제어기 및 제4제어기를 오프시켜 루프다이버시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채널의 데이터 선택회로.
KR1019960044566A 1996-10-08 1996-10-08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KR10022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66A KR100223366B1 (ko) 1996-10-08 1996-10-08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66A KR100223366B1 (ko) 1996-10-08 1996-10-08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01A KR19980026201A (ko) 1998-07-15
KR100223366B1 true KR100223366B1 (ko) 1999-10-15

Family

ID=1947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566A KR100223366B1 (ko) 1996-10-08 1996-10-08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3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01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6012B2 (en) Multiplex transmission apparatuses, multiplex transmission network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7269130B2 (en) Redundant add/drop multiplexor
CA2130067C (en) Ring interworking between bidirectional line-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US5365510A (en) Communications system with a single protection loop
US54064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 tributary switching in a bidirectional ring transmission system
US5406549A (en) Ring interworking between path-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EP0654922A2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connected line-switched and path-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CA2078533C (e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transmission line switching system
JPH06284141A (ja) 双方向伝送路切替リングネットワーク
US6185021B1 (en) Cross-connecting optical translator array
US5983294A (en) Synchronous cross-connect system with the function of ring network interworking using backplane interconnection
JP2988440B2 (ja) 端局装置
US7161965B2 (en) Add/drop multiplexor with aggregate serializer/deserializers
KR100223366B1 (ko)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US7110424B2 (en) Bi-directional serializer/deserializer with discretionary loop-back
US20030185254A1 (en) Composite add/drop multiplexor with crisscross loop back
JPH09135228A (ja) 伝送装置
US20020080442A1 (en) Optical cross-connect for optional interconnection of communication signals of different multiplex levels
JP2001333440A (ja) 光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
JP2004015172A (ja) 無瞬断切替方式および無瞬断切替方法
JPH07264224A (ja) 光伝送装置
KR0171765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보드절체 방법
KR100256683B1 (ko)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KR0171762B1 (ko)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US6400694B1 (en) Duplex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