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517B1 -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Google Patents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9517B1 KR100209517B1 KR1019970017571A KR19970017571A KR100209517B1 KR 100209517 B1 KR100209517 B1 KR 100209517B1 KR 1019970017571 A KR1019970017571 A KR 1019970017571A KR 19970017571 A KR19970017571 A KR 19970017571A KR 100209517 B1 KR100209517 B1 KR 100209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cassette
- height
- capacity
- prin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낱장용지 공급장치를 가지고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에 있어 필요한 급지용량에 따라 용지수용 용량이 다른 용지카세트를 프린터본체에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카세트장착용레일을 가진 카세트장착부를 하부에 갖는 프린터본체와; 상기 카세트장착부의 카세트장착레일이 끼워지는 레일홈부를 양측에 형성하고,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용지가압용플레이트와, 용지가 담겨지는 용지수용부의 급지용량이 각각 상이한 크고 작은 용지용량을 가진 최소용량 및 대용량용지카세트와; 상기 대용량용지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시에 카세트장착부 높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프린터본체 하부에 장착되는 높이보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이져빔 프린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용지가 많이 들어가는 대용량용지카세트나 또는 용지 수용량이 적은 최소용량용지카세트를 선택적으로 프린터본체의 카세트장착부에 장착시켜 효율적인 프린터 사용이 도모되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낱장용지 공급장치를 가지고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한 급지용량에 따라 용지수용 용량이 다른 용지카세트를 프린터본체에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져빔 프린터는 도 1에 보인바와 같이 광원(1)으로부터 광신호를 받은 감광드럼(2)은 그 광신호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아울러서 감광드럼(2)이 회전하면서 토너(t)가 뭍어 있는 현상로울러(3)에서 전기적인 힘에 의해 토너가 정전잠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카세트(9)에 들어 있는 용지(p)는 스프링(9a)의 적절한 압력에 의해 픽업로울러(4)와 일정한 급지압을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픽업로울러(4)의 구동에 의해 한 장씩 급지되어 정렬로울러(5)까지 오게 되고 감광드럼(2)의 잠상화상과 적절한 시간에 일치될 수 있도록 감광드럼(2) 표면과 접촉하면서 이송된다. 이때, 전사장치(6)에서는 감광드럼(2)과 토너의 전기적부착력보다 더 큰 고압을 걸어 잠상토너를 용지로 이송시키게 한다.
그리고 토너가 뭍은 용지는 정착장치(7)로 이송되어 고열로써 토너를 용지에 녹여서 붙도록 함으로써 인쇄된 용지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원리와 동작을 하는 레이져빔 프린터와 같은 장치에서는 용지(p)를 급지하는 낱장용지급지장치(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낱장용지급지장치(8)는 다수의 용지(p)가 담겨지게 수용되는 용지카세트(9)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보통 한가지 모델이 정해지면 용지카세트(9)도 1개가 정해져서 설계되므로서 상기한 용지카세트(9)가 한 번에 담을 수 있는 급지용량의 한계가 정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용지카세트(9)가 수용 가능한 용지의 용량은 사용환경에 따라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령, 가정에서 개인이 레이져빔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보통 100매 이하의 용지가 수용될 수 있는 용지 용량의 용지카세트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사무실등에서와 같이 여러사람이 다량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지를 용지카세트(9)에 자주 보충해야 하는 불편을 덜기 위하여 500매의 용지 또는 그 이상의 용지 용량을 가진 용지카세트가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150매, 또는 250매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용지카세트를 만들어서 소비자의 의향에 따라 상기한 용지카세트중에 어느 하나만이 채용된 프린터를 구입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는 프린터를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경우 적은량의 용지카세트를 가진 프린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사무실과 같이 다량의 용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많은량의 용지카세트를 가진 프린터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프린터는 가정에서는 적은량의 용지를, 그리고 사무실등에서는 많은량의 용지를 반드시 사용하라는 것은 없으며, 실제로는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용지를 많이 또는 적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레이져빔 프린터에서는 용지카세트(9)가 수용할 수 있는 용지의 용량이 150매, 또는 250매등으로 한정된 것 중에 어느 하나만의 용지카세트만이 채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환경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많은 용량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용지카세트를 가진 프린터에서 그다지 많지 않은 용지를 사용해야 하는 사용환경이 발생되었을때는 크기가 큰 카세트의 사용으로 인해 설치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게 되는 불합리함이 초래되었다.
또한, 적은 용량의 용지카세트가 채용된 프린터를 구비한 경우에 있어 많은 용지를 사용해야 하는 사용환경이 발생되었을때는 용지카세트의 용지 수용량이 적기 때문에 자주 용지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예전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다량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용지카세트가 필요로 하는 경우를 위해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 96-3501 호로 출원된바와 같은 별도의 옵션용 세컨드카세트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세컨드카세트는 프린터본체와는 별도의 구동메카니즘을 가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가일뿐만 아니라 이러한 세컨드카세트가 담을 수 있는 용지용량에 비해 크기가 상당히 큰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편적인 프린터 사용자에게는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프린터본체와 같은 구동메카니즘을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용지 필요 용량에 따라 각각 다른 용량의 용지카세트를 프린터본체에 선택적으로 수월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각각 다른 2개 또는 그 이상의 용지카세트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용지카세트중에 큰 용량의 용지카세트가 필요로 되는 경우 상기 용지카세트가 장착될 수 있는 카세트장착부의 높이를 크게 보상해 줄 수 있는 하나의 높이보상수단인 높이보상용부재를 프린터본체 하부에 장착되도록 하여 용량이 큰 용지카세트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용량이 작은 용지카세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높이보상용부재를 프린터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작은 용량의 용지카세트를 프린터본체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세트장착용레일을 가진 카세트장착부를 하부에 갖는 프린터본체와; 상기 카세트장착부의 카세트장착레일이 끼워지는 레일홈부를 양측에 형성하고,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용지가압용플레이트와, 용지가 담겨지는 용지수용부의 급지용량이 각각 상이한 크고 작은 용지용량을 가진 적어도 2개 이상의 최소용량 및 대용량용지카세트와; 상기 대용량용지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시에 카세트장착부 높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프린터본체 하부에 장착되는 높이보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레이져빔 프린터의 일측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레이져빔 프린터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져빔 프린터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져빔 프린터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카세트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 단면을 보인 프린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카세트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 단면을 보인 프린터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레이져빔 프린터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대용량용지카세트 장착한 상태의 요부 단면을 보인 프린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레이져빔 프린터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의 장착을 설명하는 일측 요부 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일측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린터본체 11 : 카세트장착부
12,12' : 본체보텀부 15 : 위치결정돌기부
90 : 최소용량용지카세트 90' : 대용량용지카세트
91 : 레일홈부 100,100' : 높이보상용부재
101 : 위치결정용요홈부 110 : 받침돌기부
120 : 연결편 130 : 걸림훅크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프린터본체(10)는 하부에 카세트장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카세트장착부(11) 양측에는 본체보텀부(12)(12')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보텀부(12)(12')의 내측 상부쪽에는 도 4에 나타난바와 같이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카세트장착레일(13)을 구비한다.
상기 카세트장착레일(13)은, 용지카세트(90)(900)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카세트장착부(11)에 삽입되도록 설치될때에 상기 용지카세트(90)(90') 양측에 형성된 길다란 레일홈부(91)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카세트장착부(11)에 어느 하나의 용지카세트(90)(90')가 완전히 장착된후에는 카세트장착레일(13)이 레일홈부(91)에 걸려서 용지카세트 자체가 프린터본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세트장착부(11)에 장착되는 용지카세트(90)(90')를 적어도 2개 이상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용지카세트(90)(90')는 스프링(92)의 탄력를 받는 용지가압용 플레이트(93)를 구성하고, 전면부에 용지카세트(90)(90')를 프린터본체(10)에 장착 및 인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9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압용플레이트(93) 위쪽으로 용지(p)가 얹혀지도록 담겨지는 용지수용부(94)를 각각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구비하는 용지카세트(90)(90')에 있어 그들에게 각각 형성되는 용지수용부(94)의 용지수용면적은 각각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용지카세트(90)(90')에서 그들의 용지수용부(94)의 가로 및 세로 크기는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높이(h)(H)는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지카세트(90)(90')의 상단부에서 양측의 레일홈부(91)가 위치하는 높이(ha)(Ha)는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레일홈부(91)에서 하단부에 이르기까지의 높이(hb)(Hb)는 각각 차이가 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용지카세트(90)(90')는 용지수용부(94)의 높이(h)(H)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 용지(p)의 수용량에 있어 많고 적은 차이가 있게 된다. 여기서 높이(h)가 낮으므로서 적은 용지 수용량을 갖는 것을 최소용량용지카세트,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H)를 가지므로서 많은 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대용량용지카세트라고 이후에서는 명칭한다.
따라서, 최소용량용지카세트(90)를 프린터본체(10)의 카세트장착부(11)에 끼워서 장착하게 되면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본체보텀부(12)(12')의 저면이 최소용량용지카세트(90)의 저면부와 일치되는 상태로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프린터의 급지용량을 많이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최소용량용지카세트(90)를 카세트장착부(11)로부터 빼낸 다음 대용량용지카세트(90')를 장착시키려는 경우에는 프린터본체(10) 자체에서 원래 형성된 카세트장착부(11) 높이보다 대용량용지카세트(90')의 높이(H)가 더욱 높기 때문에 장착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대용량용지카세트(90')를 장착시킬때는 프린터본체(10)의 카세트장착부(11) 높이가 증가될 수 있도록 본체보텀부(12)(12') 하측으로 별도로 구비되는 높이보상수단인 높이보상용부재(100)(10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보상용부재(100)(100')는 본체보텀부(12)(12')의 저면 형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이는 최소용량용지카세트(90)의 높이와 대용량용지카세트(90')의 높이 차이만큼의 차등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러개의 고정나사(14)에 의해 높이보상용부재(100)(100')가 본체보텀부(12)912')의 밑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본체보텀부(12)(12')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위치결정돌기부(15)가 높이보상용부재(100)(100')에 형성된 위치결정용요홈부(101)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 본체보텀부(12)(12')와 높이보상용부재(100)(100')가 정확하게 위치되는 상태로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보텀부(12)(12')의 저면 및 높이보상용부재(100)(100')의 저면에는 받침돌기부(16)(110)가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높이보상용부재(100)(100')의 받침돌기부(110) 중에 앞쪽에 위치하는 받침돌기부(16)(110)에는 고무받침(111)이 끼움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받침(111)은 재질 특성상 마찰계수가 높으므로 프린터본체(10)의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고무받침(111)은 1개소에만 구비되도록 설치하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도 관계 없다. 그 이유는 프린터본체(10)의 하중은 상당하므로 그 자체하중을 가지고서만이라도 임의의 외력을 프린터본체에 가하여 밀지 않는한 프린터본체(10)의 유동은 발생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용지카세트(90')를 카세트장착부(11)에 끼워서 장착된 상태를 보여 준다.
이와같이 대용량용지카세트(90')의 장착시에는 카세트장착부(11)에 장착되어 있던 최소용량용지카세트(90)를 빼낸 다음 프린터본체(10)를 옆으로 뉘어지게 하고 본체보텀부(12)(12')에 높이보상용부재(100)(100')를 각각 고정나사(14)로 체결하여 결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가 되면 카세트장착부(11)의 높이가 증가된다.
그러므로 옆으로 뉘어져 있던 프린터본체(10)를 원래대로 세운 다음 높이가 증가된 카세트장착부(11)에 대용량용지카세트(90')를 끼워서 장착시키는 것으로서,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대용량용지카세트(90')의 저면과 높이보상부재(100)(100')의 저면은 일치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최소용량용지카세트(90)로 다시 교체시킬때에는 대용량용지카세트(90')를 카세트장착부(11)로부터 빼낸후에 프린터본체(10)를 옆으로 뉘어지게 하고 고정나사(14)를 풀어서 높이보상용부재(100)(100')를 분리시킨 다음 높이가 낮아진 카세트장착부(11)에 끼워지도록 장착시키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높이보상용부재(100)(100')의 구성에 있다. 즉, 상기 높이보상용부재(100)(100')는 카세트장착부(11)의 양측에 각각의 본체보텀부(12)(1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2개가 1조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높이보상용부재(100)(100')가 제1실시예서와 같이 각각 독립된 부품 상태를 이루는 경우에 어느 하나가 분실될 우려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대용량용지카세트(90')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높이보상용부재(100)(100')를 하나의 부품 상태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 자체가 연결편(120)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 연결편(120)은 별도의 부재를 적절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높이보상용부재(100)(100')가 연결되도록 실시할 수는 있으나, 높이보상용부재(100)(100')는 프린터본체(10)의 케이스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보통 몰드물로 사출 성형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양측의 높이보상용부재(100)(100')와 연결편(120)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높이보상용부재(100)(10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낱개로 된 것보다는 보관공간을 더욱 차지하게 되지만 분실 우려성이 훨씬 적어지게 되고, 그외의 구성과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제3실시예는 높이보상용부재(100)(100')를 본체보텀부(12)(12') 저면에 결착시키도록 하는데 있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크류고정수단이 아닌 훅크고정수단으로서 고정되도록 실시한 것이다.
상기 높이보상용부재(100)(100')를 고정시키는데 고정나사(14)로 할 경우 상기 고정나사(14)는 별도의 조그마한 부품이므로 분실 우려성을 갖게 하고 수많은 나사를 일일이 체결하고 풀어야 하는 다소적인 불편과 번거로움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제3실시예와 같이 높이보상용부재(100)(100')의 상면부에 수개의 걸림훅크(130)를 구성하도록 하고, 상기 걸림훅크(130)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체보텀부(12)(12') 저면에 형성된 걸림공(17)으로 각각 삽입되어 걸림되도록하여 결착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걸림훅크(130)를 가진 높이보상용부재(100)(100')의 결합시에는 그것을 본체보텀부(12)(12') 방향으로 밀어서 결착되도록 하는 것이고, 분리시에는 반대로 당겨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소 강한 힘으로 높이보상용부재(100)(100')를 잡고 당기면 걸림공(17)으로부터 걸림훅크(130)가 이탈되게 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높이보상용부재(100)(100')의 고정을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나사(14) 또는 걸림훅크(130)에 의해서만 결착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높이보상용부재(100)(100')를 결합 뿐만 아니라 분리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고정수단이라도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프린터의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한 급지용량을 가진 용지카세트를 선택적으로 프린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프린터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수월하게 급지용량이 다른 용지카세트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므로 기능이 더욱 추가된 신뢰성 있는 제품을 얻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이져빔 프린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이져빔 프린터와 같은 원리로 동작되고 용지카세트에 의한 낱장용지공급장치를 가진 복사기나 또는 팩스밀리와 같은 제품에도 적용되고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벙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8)
- 낱장용지공급장치와 카세트장착용레일을 가진 카세트장착부를 하부에 갖는 프린터본체와;상기 카세트장착부의 카세트장착레일이 끼워지는 레일홈부를 양측에 형성하고,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용지가압용플레이트와, 용지가 담겨지는 용지수용부의 급지용량이 각각 상이한 크고 작은 용지용량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최소용량용지카세트 및 대용량용지카세트와;상기 대용량용지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시에 프린터본체의 카세트장착부 높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린터본체 하부에 장착되는 높이보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프린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최소용량 및 대용량용지카세트가 용지수용부의 상단부에서 양측의 레일홈부까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부에서 최하단부까지의 높이가 차등된 높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보상수단이, 프린터본체의 카세트장착부 양측에 형성된 본체보텀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높이보상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보상수단의 높이가, 상기 최소용량용지카세트와 대용량용지카세트의 높이 차이만큼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보상용부재를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고정나사 또는 걸림훅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보상용부재가 2개로 형성되고 각각 독립된 부품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2개의 높이보상용부재가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부품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보텀부와 높이보상용부재에 위치결정돌기부와 요홈부를 형성시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7571A KR100209517B1 (ko) | 1996-05-25 | 1997-05-08 |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DE69711484T DE69711484T2 (de) | 1996-05-25 | 1997-05-27 |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variabler Papierzuführleistung |
EP97303583A EP0808719B1 (en) | 1996-05-25 | 1997-05-27 | Image forming device with variable paper feeding capacity |
US08/864,270 US6015148A (en) | 1996-05-25 | 1997-05-27 | Laser beam printer with variable paper feeding capac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7857 | 1996-05-25 | ||
KR101996017857 | 1996-05-25 | ||
KR19960017857 | 1996-05-25 | ||
KR1019970017571A KR100209517B1 (ko) | 1996-05-25 | 1997-05-08 |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4000A KR970074000A (ko) | 1997-12-10 |
KR100209517B1 true KR100209517B1 (ko) | 1999-07-15 |
Family
ID=2663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7571A KR100209517B1 (ko) | 1996-05-25 | 1997-05-08 |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015148A (ko) |
EP (1) | EP0808719B1 (ko) |
KR (1) | KR100209517B1 (ko) |
DE (1) | DE69711484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30762A (en) * | 1998-06-04 | 2000-10-10 | Destiny Technology Corp. | Paper advance mechanism and printer using the same |
US6315285B1 (en) * | 2000-09-28 | 2001-11-13 | Eastman Kodak Company | Media adjustment guide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JP4106883B2 (ja) * | 2000-10-12 | 2008-06-25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のプリン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画像形成装置 |
JP2005096347A (ja) * | 2003-09-26 | 2005-04-14 | Fuji Xerox Co Ltd | 拡張ボックス及び画像形成装置 |
US7398972B2 (en) * | 2003-11-17 | 2008-07-15 | Datacard Corporation | Plastic card reorienting mechanism and interchangeable input hopper |
ATE507084T1 (de) * | 2004-03-31 | 2011-05-15 | Brother Ind Ltd | Einzugsgerät für ein aufzeichnungsmedium |
JP2005292356A (ja) * | 2004-03-31 | 2005-10-20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 |
US20060220298A1 (en) * | 2005-03-18 | 2006-10-05 | Pitney Bowes Incorporated | Multimode stack and shingle document feeder |
US20060214353A1 (en) * | 2005-03-23 | 2006-09-28 | Lexmark International, Inc. | Integrated media input tray with manual feeder |
JP4257540B2 (ja) * | 2006-01-31 | 2009-04-2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記録装置 |
US20100033774A1 (en) * | 2008-05-05 | 2010-02-11 | Bowe Bell + Howell Scanners L.L.C. | Variable feeder tray capacity control |
JP5585875B2 (ja) * | 2010-09-14 | 2014-09-10 | 株式会社リコー |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349799B2 (ja) * | 2014-03-12 | 2018-07-0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EP3600900B1 (en) | 2017-03-30 | 2022-05-1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odule to increase medium storage capacity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90128A (ja) * | 1983-04-12 | 1984-10-27 | Mita Ind Co Ltd | 複写機の給紙装置 |
US4593895A (en) * | 1984-04-06 | 1986-06-10 | Ncr Corporation | Automatically adjusting currency pusher plate apparatus |
US4738425A (en) * | 1987-02-05 | 1988-04-19 | Foster Michael S | Computer printer support |
US5002266A (en) * | 1987-12-26 | 1991-03-26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system |
EP0330077B1 (en) * | 1988-02-20 | 1993-09-29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
JPH01281970A (ja) * | 1988-05-10 | 1989-11-13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印字装置 |
US5100123A (en) * | 1988-10-20 | 1992-03-31 | Canon Kabushiki Kaisha | Cassette load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US5040766A (en) * | 1990-05-29 | 1991-08-20 | Robert A. Egly | Adjustable printer stand |
JP2964676B2 (ja) * | 1991-03-27 | 1999-10-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カセット式給紙装置 |
US5581289A (en) * | 1993-04-30 | 1996-12-03 | Hewlett-Packard Company | Multi-purpose paper path component for ink-jet printer |
JP3093560B2 (ja) * | 1993-05-10 | 2000-10-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H07149439A (ja) * | 1993-11-29 | 1995-06-13 | Canon Inc | 記録装置 |
US5415386A (en) * | 1994-05-20 | 1995-05-16 | Pitney Bowes Inc. | Vertical feeding system for inserter |
JP3423469B2 (ja) * | 1995-03-20 | 2003-07-07 | 東北リコー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
-
1997
- 1997-05-08 KR KR1019970017571A patent/KR1002095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27 DE DE69711484T patent/DE6971148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27 US US08/864,270 patent/US6015148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27 EP EP97303583A patent/EP080871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08719A2 (en) | 1997-11-26 |
EP0808719A3 (en) | 1998-10-21 |
EP0808719B1 (en) | 2002-04-03 |
DE69711484T2 (de) | 2002-10-31 |
DE69711484D1 (de) | 2002-05-08 |
US6015148A (en) | 2000-01-18 |
KR970074000A (ko) | 1997-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09517B1 (ko) | 급지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레이져빔 프린터 | |
US5291249A (en) | Light emitting diode printer | |
US674182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EP0121908B1 (en) | A paper supply system of copying machine and a paper supply cassette | |
US8608153B2 (en) | Printing media loading apparatus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73704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139506B2 (en) | Multi-function office product | |
US7815304B2 (en) | Print medium stack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 |
US889396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3528472B2 (ja) | センサ装置 | |
JPH0469785B2 (ko) | ||
KR100541445B1 (ko) | 용지가이드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
JP4063275B2 (ja) | 給紙カセット | |
US6926268B2 (en) | Paper cassette | |
JP4273448B2 (ja) |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070146828A1 (en) |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auto document feeder | |
JP202406730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3332643B2 (ja) | シート材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KR19990017220U (ko) | 급지카세트의 적재 용지 정열 구조물 | |
KR200235600Y1 (ko)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 |
KR0120105B1 (ko) | 용지급지카세트의 장착변환장치 | |
KR100514192B1 (ko) | 용지함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JPH04350034A (ja) | 自動給紙装置 | |
KR100590864B1 (ko) | 카세트 유동방지수단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 |
KR900000140Y1 (ko) | 레이저빔 프린터의 급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