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750Y1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9750Y1 KR0139750Y1 KR2019940037927U KR19940037927U KR0139750Y1 KR 0139750 Y1 KR0139750 Y1 KR 0139750Y1 KR 2019940037927 U KR2019940037927 U KR 2019940037927U KR 19940037927 U KR19940037927 U KR 19940037927U KR 0139750 Y1 KR0139750 Y1 KR 01397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arm
- control arm
- suspension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범프시 이상적인 토우 컨트롤에 의하여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로우 컨트롤 아암이 전·후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아암에 차체측 상부에 토우 컨트롤 아암을 배치하되, 상기 토우 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를 전측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휠측 차체 연결하고, 휠측 연결부는 전측 아암의 상면 중간부에서 휠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연결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현가장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현가장치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휠 4 : 휠 지지체
6 : 스트러트 어셈블리 8 : 로워 컨트롤 아암
10 : 쇽 업소오버 12 : 스프링
14,16 : 전·후측 아암 18 : 토우 컨트롤 아암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시 이상적인 토우 컨트롤에 의하여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라 함은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고,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시의 원심력등을 이겨 낼 수 있는 수평방향의 연결이 견고해야만 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는 독립 현가장치와 일체식 현가장치로 분류되며, 전자의 독립 현가장치는 주로 조향륜에 적용되고, 일체식 현가장치는 후륜 현가장치에 적용되는데, 최근의 승용차에 있어서는 승차감 향상을 위하여 후륜에도 독립 현가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향륜에 적용하기 위한 현가장치는 조향륜에 적용하기에 최적의 상태로 설계되어 있는 바, 이의 현가장치를 후륜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여 여러 각도로 설계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후륜 현가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독립 현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회시 이상적인 토우 컨트롤에 의하여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로우 컨트롤 아암이 전·후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아암에 차체측 상부에 토우 컨트롤 아암을 배치하되, 상기 토우 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를 전측 아암의 연결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휠측 차체 연결하고, 휠측 연결부는 전측 아암의 상면 중간부에서 휠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연결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시예의 현가장치 구성도로서, 스트러트타입 현가장치를 예시하였으며, 부호 2는 휠을 지칭한다.
상기 휠(2)은 휠 지지체(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의 휠 지지체(4)는 스트러트 어셈블리(6)와 로워 컨트롤 아암(8)에 의하여 차체와 연결된다.
상기에서 스트러트 어셈블리(6)는 쇽 업소오버(10)와 코일 스프링(12)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측단은 휠 상측의 차체에 현가 지지되고, 그의 하단은 상기 휠 지지체(4)와 일체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쇠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8)은 전후 2개의 아암(14)(16)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휠 지지체(4)의 하측부를 차체에 연결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아암(14)(16)의 길이에 따른 운동 궤적으로 휠 지지체(4)의 승강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8)의 전측 아암(14)에 토우 컨트롤 아암(18)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차체측 연결부(20)를 전측 아암(10)의 차체측 연결부(22)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휠측 차체 연결하고, 휠측 연결부(24)는 제2도에서와 같이 전측 아암(14)의 상면 중간부에서 휠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연결하였다.
이에따라 상기 전측 아암(14)과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경사각을 θ1과 θ2로 가정할 때, θ1θ2가 되도록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양 연결부(20)(24)는 탄성부재를 개재시켜 피봇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종래와 같이 적정한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현가장치는 종래와 같이 노면으로부터 휠측으로 입력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감쇠하여 최소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노면의 조건이나 선회에 따라 휠(2)이 상승하는 경우, 로워 컨트롤 아암(8)은 휠측 연결부가 휠 지지체(4)와 함께 상승하면서 그의 길이에 따른 운동궤적으로 휠 지지체(4)를 안내하게 되는데, 이때 전측 아암(14)은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장착으로 약간의 운동궤적 변화가 이루어진다.
즉,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 아암(14)은 그의 길이에 따라 가는 실선과 같은 운동궤적(A)으로 회동하려고 하고, 이에 연결된 토우 컨트롤 아암(18)은 그의 길이에 따라 일점쇄선과 같은 운동궤적(B)을 따라 회동하려고 한다.
이와같이 상호 연결된 전측 아암(14)과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휠측 연결부의 운동궤적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바, 결국은 전측 아암(14)의 휠측 연결부(26)의 운동궤적이 상기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운동궤적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에서 전측 아암(14)의 운동궤적 변화는 전측 아암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은 아니며, 이의 차체측 연결부(22)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의 변형에 의한 힌지 포인트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로워 컨트롤 아암(8)의 작용에 의하여 휠(2)의 자세가 변하게 되는데, 휠(2)의 자세는 제4도와 같은 상태로 변하게 된다.
즉, (a)도는 선회 초기 상태 즉 정상적인 운행시 휠(2)의 자세는 변화하지 않으며, (b)도에서와 같이 선회가 시작되는 초기에는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제3도와 같은 운동궤적에 의하여 토우 아웃의 상태가 되며, 선회가 더욱 진행되어 휠(2)이 범프하는 경우에는 토우 인의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여러 제반조건에 의하여 휠이 범프를 할 때, 범프 초기에는 토우 아웃, 그리고 그 이후에는 토우 인의 상태로 휠의 토우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선회 안정성이 향상되고, 이에따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로우 컨트롤 아암이 전·후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아암(14)에 차체측 상부에 토우 컨트롤 아암(18)을 배치하되, 상기 토우 컨트롤 아암(18)의 차체측 연결부(20)를 전측 아암(10)의 차체측 연결부(22)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휠측 차체 연결하고, 휠측 연결부(24)는 전측 아암(14)의 상면 중간부에서 휠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37927U KR0139750Y1 (ko) | 1994-12-29 | 1994-12-29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37927U KR0139750Y1 (ko) | 1994-12-29 | 1994-12-29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0846U KR960020846U (ko) | 1996-07-18 |
KR0139750Y1 true KR0139750Y1 (ko) | 1999-04-01 |
Family
ID=1940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37927U KR0139750Y1 (ko) | 1994-12-29 | 1994-12-29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9750Y1 (ko) |
-
1994
- 1994-12-29 KR KR2019940037927U patent/KR01397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0846U (ko) | 1996-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31301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KR0180370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KR0131299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KR0139520B1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 | |
KR0131300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US5558360A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drive wheel | |
KR0180371B1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 | |
KR0136260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US5411285A (en) | Rear suspension for vehicle | |
KR0142554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KR0131309B1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 | |
KR0139750Y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JP3069022B2 (ja) | 車両の後輪懸架装置 | |
KR0180365B1 (ko) | 자동차의 구동륜 현가장치 | |
KR0138226Y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JP2920087B2 (ja) | 車両の操向駆動輪懸架装置 | |
KR0131306B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KR0180363B1 (ko) | 자동차의 비구동륜 현가장치 | |
KR0131296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KR0131297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KR960003494Y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KR0180366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
KR100328980B1 (ko) | 자동차용 컨트롤 링크 | |
KR0114408Y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KR0142553B1 (ko) |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0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