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0180263B1 -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263B1
KR0180263B1 KR1019950005025A KR19950005025A KR0180263B1 KR 0180263 B1 KR0180263 B1 KR 0180263B1 KR 1019950005025 A KR1019950005025 A KR 1019950005025A KR 19950005025 A KR19950005025 A KR 19950005025A KR 0180263 B1 KR0180263 B1 KR 018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polymer
cationic
anionic
free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643A (ko
Inventor
엠. 사커 죠유드
알. 코스퍼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조오지 엠. 브랜논
날코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오지 엠. 브랜논, 날코 케미칼 캄파니 filed Critical 조오지 엠. 브랜논
Publication of KR95003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05Microorganisms or enzym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06Paper forming aids
    • D21H21/10Retention agents or drainage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4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펄프의 무수 분량을 기준으로 하여, 셀룰로스 분해 효소를 0.05% 이상 펄프에 가하는 단계, 펄프를 40°C 이상의 온도에서 약 40 내지 약 60분 동안 셀룰로스 분해 효소와 접촉시키는 단계,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0.011% 이상 가하는 단계,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의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중합체를 0.007% 이상 가하는 단계 및 이렇게 처리한 펄프로 종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종이 펄프의 자유도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제1도는 음이온성 중합체 A의 여수도 변화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도이고,
제2도는 음이온성 중합체 B의 여수도 변화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도이며,
제3도는 0.1%의 효소 용량을 획득하는데 사용하는 여수도 증가를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4도는 0.25%의 효소 용량을 획득하는데 사용하는 여수도 증가를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5도는 0.4%의 효소 요량을 획득하는데 사용하는 여수도 증가를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6도는 양이온성 A(Cationic), 음이온성 B(Anionic B) 및 리프타제 A40의 혼합물에 의해 획득되는 여수도 증가를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7도는 양이온성 B, 음이온성 B 및 리프타제 A40의 여수도 수준 또는 혼합물을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8도는 양이온성 C, 음이온성 B 및 리프타제 A40의 여수도 수준 또는 혼합물을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9도는 양이온성 A, 음이온성 B 및 리프타제 A40의 혼합물에 의해 획득되는 여수도 수준을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10도는 양이온성 A, 음이온성 B 및 리프타제 A40의 혼합물에 의해 획득되는 여수도 수준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고,
제11도는 양이온성 C, 음이온성 B 및 리프타제 A40의 혼합물에 의해 획득되는 여수도 수준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개략적 플로트이다
본 발명은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셀룰로스 분해효소(cellulolytic enzyme)와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중합체와의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제지 산업에서 재생지의 사용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단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를 제조하기 위해서, 재생 섬유제 원료가 더욱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동시에 재생 횟수도 늘어나고 있다. 재생할 때마다 원료의 품질은 저하된다. 만족스러운 수준의 원료 품질을 얻기 위해서 통상 수성 현탁액중에서 펄프를 정제한다. 이 정제로 인해 종이 시트의 주행능에 곤란이 야기되는데, 이는 정련 펄프에서 발견될 수 있는 고농도 미분 및 다른 오염물 때문이다.
초지기에서 사용될 준비가 되어 있는 현탁액 속의 펄프는 각종 파라미터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이들 중의 하나는 펄프의 배출능을 예상하는데 특히 중요하다. 펄프의 배수능의 척도는 흔히 여수도(freeness)란 용어로 표현된다. 특히, 여수도는 캐나다 표준 여수도 또는 CSF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다. CSF에 의해 물 11에 현탁된 펄프 3g(오븐 무수 중량)의 배수를 측정한다.
재생지 펄프를 처리하여 여수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셀룰로스 분해효소(예: 셀룰라제 및/또는 헤미셀룰라제)를 사용하는 것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4,923,565호의 주제이다. 상기 특허에 기술된 셀룰라제 효소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다.
사커(Sarkar) 및 코스퍼(Cosper)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5,169,497호는 각종 조성의 양이온성 응집제와 배합된 셀룰라제가 오래된 단용기(OCC) 펄프의 여수도에 미치는 효과를 기술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169,497호는 재생 섬유의 여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소와 양이온성 중합체의 배합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실제로 이중 중합제 처리 프로그램이 도한 보존을 위해 사용된다.
이중 중합체 보존 시스템에서 2가지 합성 중합체를 펄프와 혼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중합체 자체만으로 얻는 것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는다. 통상, 저분자량의 고하전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지 설비에 먼저 가한 다음 후속 단계로 고분자량 음이온성 중합체를 가한다. 이중 중합체는 종이 및 판지 제조에 적합하다. 잘 보존함으로써 많은 경제적 이점이 있다. 용기판지, 미세지 및 신문 등급에서 재생 섬유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보존 보조제를 통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기회도 증가된다. 미분이 우수한 보존 보조제에 의해 보존되지 않거나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될 경우, 배수, 충전 펠트를 방해하여 부착 문제를 야기시킨다. 효소와 함께 유지 보조제를 사용하는 주요 이점은 배수 감소 및 후속되는 기계속도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배수는 백수 루프속의 미분의 축적을 방지함으로써 유지시킬 수 있다.
상당한 양의 재생 섬유를 함유하는 펄프를 처리하기 위해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해 특히 우수한 결과가 얻어지며, 재생 섬유를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 펄프의 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셀룰로스 분해효소를 0.05% 이상 가하는 단계,
b) 펄프를 40℃ 이상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약 60분 동안 셀룰로스 분해효소와 접촉시키는 단계,
c)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0.011% 이상 가하는 단계,
d)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음이온성 중합체)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를 0.007% 이상 가하는 단계 및
e) 이렇게 처리한 펄프를 종이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종이 펄프의 여수도 개선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셀룰로스 분해효소를 005% 이상 가하는 단계, 펄프를 40℃ 이상의 온도에서 약 40분 내지 약 60분 동안 셀룰로스 분해효소와 접촉시키는 단계,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0.011% 이상 가하는 단계,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0.007% 이상 가하는 단계 및 이렇게 처리된 펄프를 종이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각종 수용성 양이온성 응집제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다. 축합 및 비닐 부가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의 목록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캐나다 특허 제731,212호를 참조할 수 있다.
양이온 중합체의 바람직한 그룹은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아크릴아미드 40 내지 6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아미드의 양이온성 중합체이다. 중합체에 다량 또는 소량의 아크릴아미드, 예를 들면, 30 내지 80%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아미드와 중합된 전형적인 양이온성 단량체는 다알릴디메틸 암모늄 크로라이드(DADMAC),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4급 암모늄염(DMAEAMCQ) 단량체이다. 이러한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 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RSV(감소된 비점도)가 3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또는 이 이상의 범위내여야 한다. RSV는 30℃에서 1몰의 질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용액 중의 아크릴아미드 중합체의 농도는 0.045%이다.
음이온성 중합체의 바람직한 그룹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같은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아미드 20 내지 95%와 음이온성 단량체 5 내지 80%를 함유하는 아크릴아미드 중합체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래프트 및 기타 형태의 펄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종이 펄프의 배수 또는 여수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재생된 섬유를 함유하는 펄프를 처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배수를 향상 시키는데 있어서의 본 발명의 유효성은, 펄프가 재생된 섬유를 1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 가장 현저하며, 재생된 섬유함량 또는 처리된 펄프가 50% 이상인 경우에 상당한 향상이 입증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펄프를 효소로 처리한 다음 양이온성 중합체로 처리하고, 최종적으로 음이온성 중합체로 처리함을 필요로 한다. 효소를 사용하는 처리가 이루어지는 조건을 펄프의 효소의 최적 반응시간을 제공하도록 선택하는 것도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실시하는데 중요하다.
펄프를 효소로 처리하는 공정은 6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 처리시간은 약 30분이다. 전형적인 처리시간은 약 40분이다. 최적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펄프의 pH는 5 내지 7.5의 범위이어야 한다. 처리온도는 20℃ 이상이어야 하며, 통상 60℃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전형적인 평균 반응온도는 40℃가 바람직하다.
활성 성분으로서 양이온성 중합체의 바람직한 용량은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25 내지 0.02% 중합체이다. 펄프를 중합체로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용량은 0.01 내지 0.08중량%의 중합체이다. 활성 성분으로서 음이온성 중합체의 바람직한 용량은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25 내지 0.075%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효소 용량은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0.4중량%의 범위이다. 사용될 수 있는 효소의 일반적인 처리 범위는 0.01 내지 0.5중량%이다.
효소가 충분한 반응시간을 갖고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은 제지 시스템에서 위에서 기술한 조건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는 지점에서 펄프에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지 시스템에서의 첨가 지점은 기계 체스트(machine chest)가 될 것이다. 적합한 접촉시간이 발생할 수 있는 기타의 장소는 추가의 지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펄프 슬러리는 균질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 3g에 상당하는 요구량의 펄프를 취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이후에 제시되는 자료에 대한, 여수도 시험시에, 잘 교반한 다음 부흐너 펀넬(Buchner funnel)에서 배수시켜 펄프 원료의 조도를 측정한다. 펄프 패드는 105℃에서 건조시켜 패드의 정확한 중량을 측정한다. 이후에 기록된 CSF 자료는 캐나다의 종이 및 펄프 연구소가 작성하고 TAPPI 매뉴얼(T227)에 기술된 여수도 보정에 관한 표를 이용하여 0.3% 조도로 보정한다. CSF 값은 20℃에서 측정한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와 유용성을 기술하는데 본원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회의 반응 표면 디자인(표 1)에서, 펄프의 여수도에 미치는 효소 용량, 중합체 용량 및 중합체 유형(음이온 A 및 음이온 B)의 영향을 조사한다. pH가 5.6이고 조도가 2.3%(무수 중량 3g)인 펄프 슬러리를 연속 교반(250rpm)하에 40℃에서 60분 동안 리프타제-A40(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0.4%)을 함유하는 효소 용액으로 먼저 처리한 다음 상이한 중합체로 각각 1분 동안 처리한다. 리프타제 A40(0.2 및 0.4중량/중량% 기준)만을 사용하는 여수도 값은 220mL(처리하지 않음)에서 320 및 376mL로 각각 증가되었다. 리프타제 A40 예열된 펄프를 음이온성 중합체로 추가로 처리하는 경우, 펄프의 여수도는 감소한다(표 1).
자료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제1도 및 제2도), 음이온성 응집제(음이온 A 및 음이온 B)의 경우 여수도의 감소는 응집물 농도의 증가와 거의 정비례한다. 효소로 처리하지 않은 펄프의 여수도는 음이온성 응집제에 의해 감소한다(표 1).
용량 = 생성물 1b/무수 펄프 ton
용량 =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액체 배합물
음이온성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득한 결과를 양이온성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득한 결과와 비교한다. 이들 결과로부터 시험한 음이온성 응집제가 섬유에 흡착되지 않으며, 용액 중에 그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섬유에 대한 이들 응집제의 흡착 부족과 중합체의 존재에 기인하는 펄프 슬러리의 높은 점도로 인해 여수도가 감소될 것이다.
[실시예 2]
15회의 반응 표면 디자인(표 2)에서 펄프의 여수도에 미치는, 리프타제 A40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양이온성(양이온 A) 중합체에 이어서 음이온성(음이온 B) 중합체의 영향을 조사한다. 2.3% 조도(3g, 무수 중량)의 펄프 슬러리를 먼저 리프타제-A40(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0.4%)을 함유하는 효소 용액으로 계속적인 교반 (250rpm)하에 40℃에서 60분 동안 처리한 다음, 상이한 농도의 양이온 A(무수 펄프 ton당 생성물 활성 성분으로서의 중합체 0.2 내지 2.01b) 및 음이온 B(무수 펄프 ton당 생성물 활성 성분으로서의 중합체 0.28 내지 0.841b)로 2.0분 동안 연속적으로 처리한다. 다수의 적용에 있어서, 생성물로서의 양이온 A 1 내지 31b가 사용된다. 펄프의 콜로이드 적정에 있어서 이러한 연구에 사용된 펄프 3g(무수 중량)의 양이온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양이온 A 중합체 4.5 X 1000g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더욱 많은 용량의 양이온 A(4.51b)를 시험하였다. 음이온성 중합체만으로 처리하는 경우 펄프의 여수도가 저하되지만, 양이온성 중합체 만으로 처리하는 경우 여수도가 증가한다. 섬유상의 음전하는 잔류 용액인 음이온성 중합체의 흡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흥미롭게도,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를 연속 처리하면 펄프의 여수도가 극적으로 증가되고 특히 많은 용량의 두 중합체 모두에서 2개 중합체 사이에 실제적인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효소없이 많은 용량의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여수도의 최대 증가를 성취할 수 있지만, 중합체의 이러한 비현실적인 많은 용량은 시트의 강도와 형성에 유해할 수 있다.
[실시예 3]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의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또 다른 시험 계획을 수행하고, 효소의 존재 및 효소의 부재하에서 저용량의 중합체의 상호작용을 조사한다.
10회 반응 표면 계획(표 3)을 수행한다.
이 실험에 있어서, 펄프의 여수도에 미치는 리프타제 A40의 존재 및 부재하에 활성 성분 0.22-1.331b/무수 펄프(양이온) ton 내지 활성 성분 0.14-0.841b/무수 펄프(음이온) ton에 이르는 양이온성(양이온 A) 및 음이온성(음이온 B) 중합체의 효과를 조사한다. 펄프 슬러리와 모든 실험 조건은 실시예 1 및 2에서 기술한 바와 유사하다. 이 실험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효소의 주요 효과는 이 실험 계획에 사용된 전체 배합물에 걸쳐 이의 적은 용량과 많은 용량을 사용하여 따로따로 계산한다. 결과는 많은 용량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존재가 효소(462ml)와 음이온성 중합체 (455ml)보다 여수도(553ml)의 증가에 있어서 더욱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와 효소 및 음이온성 중합체와 효소 사이의 상호작용도 조사하였다.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 사이에서 강하고도 실제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위에서 발견한 바와 같이, 양이온성 중합체는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음이온성 중합체 만으로는 여수도가 저하된다. 그러므로,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 둘 모두의 용량을 높이거나, 적은 용량의 양이온성 중합체가 요구되는 경우, 음이온성 중합체 용량도 낮게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양이온성 중합체와 효소 사이에는 약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음이온성 중합체와 효소사이에는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표 5에 기재되어 있는 실험 데이터는 윤곽 플로트(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 예측 방정식의 개발을 위해 사용되었다. 효소 용량을 0.1%에서 0.4%로 증가시킴으로써 여수도가 증가하고 반응 표면의 곡선의 형태가 변하는 것이 명백히 나타난다. 효소를 사용하는 이중 중합체 프로그램은 중합체의 용량이 정확히 측정되는 경우에 유익할 수 있다.
[실시예 4]
이러한 조사의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리프타제-A40의 존재하에 음이온성(음이온 B) 중합체와 함께 폴리-DADMAC(폴리-DADMAC 양이온) EDC-암모니아(EDC-음이온/양이온)과 같은 다른 양이온성 중합체도 시험한다.
6회 및 12회 반응 표면 계획의 실험을 수행한다.
양이온성 중합체인 양이온 A의 효과는 6회 실시계획으로 조사한다. 양이온성 중합체, 폴리-DADMACB 및 EDC-암모니아 C는 12회 실시 계획으로 조사한다. 두 실험은 리프타제-A40의 존재하에 음이온성 중합체(음이온 B)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펄프 여수도를 측정한다. 각각의 경우 우선 펄프 슬러리를 최적 조건하에 리프타제-40(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으로 처리한 다음, 계속하여 양이온성 중합체(무수 펄프 1ton당 생성물로서의 중합체 0.5 내지31b)와 음이온성 중합체(무수 펄프 1ton당 생성물로서의 중합체 0.5 내지 3.01b)의 상이한 용량을 사용하여 20℃에서 20분 동안 처리한다.
이어서, 이들 방정식은 윤곽 플로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제6도, 제7도 및 제8도). 제6도는 양이온 A와 음이온 B 모두의 용량이 무수 펄프 1ton당 11b를 초가하여 증가하는 경우, 펄프의 여수도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함을 나타낸다. 각각의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의 고용량(무수 펄프 1ton당 생성물로서의 각각의 중합체 3.01b)에서 여수도는 202ml에서 642ml로 증가한다. 제7도와 제8도는 각각의 양이온성 중합체(B와 C)와 음이온성 중합체(음이온성 B)의 용량이 무수 펄프 1ton당 생성물로서의 중합체 3.01b로 증가하는 경우 여수도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양이온성 중합체의 화학적 차이 또는 A에 있어서의 45%에 대한 B와 C 각각에 있어서의 더 낮은 중합체 활성 성분(15%) 때문일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실험을 수행한다. 이 실험에 있어서, 이러한 중합체의 성능을 동일한 중합체 활성 성분 기준으로 시험한다. 18회의 반응 표면 디자인 (표 7)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펄프의 여수도에 미치는 리프타제 A40의 존재하의 양이온성 중합체(A, B 및 C)와 음이온성 중합체 B의 화학적 변화의 영향을 조사한다. 우선 펄프 슬러리를 최적 조건하에 리프타제-A40(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으로 처리한 다음 계속하여 동일한 활성 용량의 양이온성 중합체(무수 펄프 1ton당 중합체 0.225 내지 1.3501b)와 음이온성 중합체(음이온 B, 무수 펄프 1ton당 중합체 0.225 내지 1.351b)로 20℃에서 2.0분 동안 처리한다. 표 7에 제공된 시험 데이터는 윤곽 플로트(제9도, 제10도 및 제11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예측 방정식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의 둘 모두의 용량이 무수 펄프 1ton당 활성 중합체 0.451b를 초과하여 증가하는 경우 펄프의 여수도가 극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함을 보여준다. 양이온성 중합체(A, B 및 C)와 음이온성 중합체(음이온성 B)의 고용량(무수 펄프 1ton당 활성 중합체 1.351b)에서 여수도는 각각 202ml(대조군)로부터 600ml, 555ml 및 575ml로 증가한다. 음이온 B와 함께 각각의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해 나타낸 윤곽 플로트의 형태와 경향은 매우 유사하여 이들은 중첩되기 쉽다. 이러한 결과는 재생섬유의 높은 여수도를 성취하기 위해 상이한 이중 중합체 프로그램이 효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Claims (5)

  1. a)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셀룰로스 분해효소(cellulolytic enzyme)를 0.05% 이상 가하는 단계, b) 펄프를 40℃ 이상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약 60분 동안 셀룰로스 분해효소와 접촉시키는 단계, c) 펄프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0.011% 이상 가하는 단계, d) 펄스의 무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음이온성 중합체)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를 0.007% 이상 가하는 단계 및 e) 이렇게 처리한 펄프를 종이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종이 펄프의 여수도 개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가 아크릴아미드를 2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가 아크릴아미드-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중합체가,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아미드 약 20 내지 95%와 음이온성 단량체 약 5 내지 80%를 포함하는 아크릴아미드 중합체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중합체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19950005025A 1994-03-07 1995-03-07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KR0180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06364 1994-03-07
US08/206,364 US5423946A (en) 1994-03-07 1994-03-07 Cationic anionic polyelectrolytes for enhancing the freeness of paper pulp
US08/206364 1994-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643A KR950032643A (ko) 1995-12-22
KR0180263B1 true KR0180263B1 (ko) 1999-04-01

Family

ID=2276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025A KR0180263B1 (ko) 1994-03-07 1995-03-07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23946A (ko)
EP (1) EP0671507B1 (ko)
JP (1) JPH07252795A (ko)
KR (1) KR0180263B1 (ko)
AU (1) AU682087B2 (ko)
BR (1) BR9500843A (ko)
CA (1) CA2143985C (ko)
DE (1) DE69536016D1 (ko)
ES (1) ES2336511T3 (ko)
FI (1) FI1200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770A (en) * 1994-08-12 1996-03-26 Nalco Chemical Company Enzymes in combination with polyelectrolytes for enhancing the freeness of clarified sludge in papermaking
WO1998006892A1 (en) * 1996-08-16 1998-02-1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Enzymatic freeness enhancement
US6331229B1 (en) * 1999-09-08 2001-12-18 Nalco Chemical Company Method of increasing retention and drainage in papermaking using 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anionic or monionic dispersion polymers
US6939437B1 (en) 1999-11-19 2005-09-06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Paper making processes using enzyme and polymer combinations
NZ518975A (en) * 1999-11-19 2003-11-28 Buckman Labor Inc Paper making processes using enzyme and polymer combinations
US20050000666A1 (en) * 2003-05-06 2005-01-06 Novozymes A/S Use of hemicellulase composition in mechanical pulp production
BRPI0506530A (pt) * 2004-01-23 2007-02-27 Buckman Labor Inc método e aparelho para fabricação de papel e papelão, e papel ou papelão feito a partir de uma folha contìnua de papel drenada
US20110108222A1 (en) * 2009-11-11 2011-05-1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Effect of low dose xylanase on pulp in prebleach treatment process
MX2012011703A (es) * 2010-04-15 2012-11-06 Buckman Labor Inc Procesos de fabricacion de papel y sistemas que usan una combinacion de enzima y coagulante cationico.
WO2013081955A1 (en) 2011-12-01 2013-06-06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market pulp and products thereof
CN104704165B (zh) 2012-10-09 2017-02-22 索里斯技术开曼有限合伙公司 用于纸张干强度应用的含有纤维素酶和造纸聚合物的纤维素酶组合物
BR102015032911A2 (pt) 2015-12-29 2017-07-04 Fibria Celulose S.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ulp pulp, pulp pulp and its use, paper
US20190203413A1 (en) 2016-09-16 2019-07-04 Basf Se Methods of Modifying Pulp Comprising Cellulase Enzymes and Products Thereof
AU2019236073A1 (en) * 2018-03-15 2020-09-17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market pulp and produc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4198B1 (fr) * 1986-09-22 1989-07-07 Du Pin Cellulose Procede de traitement d'une pate papetiere par une solution enzymatique.
DE3713739A1 (de) * 1987-04-24 1988-11-17 Roehm Gmbh Verfahren zum verbessern der entwaesserbarkeit von biologischem klaerschlamm
US5169497A (en) * 1991-10-07 1992-12-08 Nalco Chemical Company Application of enzymes and flocculants for enhancing the freeness of paper making pulp
US5266164A (en) * 1992-11-13 1993-11-30 Nalco Chemical Company Papermaking process with improved drainage and ret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43985A1 (en) 1995-09-08
EP0671507A3 (en) 1996-01-24
KR950032643A (ko) 1995-12-22
US5423946A (en) 1995-06-13
EP0671507B1 (en) 2009-11-04
FI120007B (fi) 2009-05-29
FI951058A (fi) 1995-09-08
ES2336511T3 (es) 2010-04-13
EP0671507A2 (en) 1995-09-13
AU682087B2 (en) 1997-09-18
CA2143985C (en) 2006-11-28
DE69536016D1 (de) 2009-12-17
BR9500843A (pt) 1995-10-24
AU1368595A (en) 1995-09-14
FI951058A0 (fi) 1995-03-07
JPH07252795A (ja) 1995-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8003B2 (ja) 紙パルプのろ水度を向上させる方法
KR0180263B1 (ko) 종이 펄프의 여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US4894119A (en) Retention and/or drainage and/or dewatering aid
US5501770A (en) Enzymes in combination with polyelectrolytes for enhancing the freeness of clarified sludge in papermaking
US6048438A (en) Metho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olymers and copolymers of acrylamide as flocculants and retention aids
US6168686B1 (en) Papermaking aid
US5595629A (en) Papermaking process
US20050161183A1 (en) Process for making paper
EP0831177B1 (en) Hydrophilic dispersion polymers for paper applications
US6939437B1 (en) Paper making processes using enzyme and polymer combinations
JP4528478B2 (ja) 酵素とポリマーを組み合わせて使用する製紙プロセス
CA2455727A1 (en) Process for making paper
FI95827C (fi) Menetelmä paperin ja kartongin valmistamiseksi
KR20240072146A (ko) 섬유 스톡 제조로부터 제거된 수성상의 전분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MXPA01001666A (en) A process to improve the drainage rate and retention of fines during paper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