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0158983B1 -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983B1
KR0158983B1 KR1019960021962A KR19960021962A KR0158983B1 KR 0158983 B1 KR0158983 B1 KR 0158983B1 KR 1019960021962 A KR1019960021962 A KR 1019960021962A KR 19960021962 A KR19960021962 A KR 19960021962A KR 0158983 B1 KR0158983 B1 KR 015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tank
fermentation
solid organic
fer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280A (ko
Inventor
야스히로 신도
쇼이찌 기따바따께
아끼히로 미나가와
가즈오 이오까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히다치세사쿠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히다치세사쿠쇼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7000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기적으로 베이스재를 전체 교환하거나 신선한 베이스재를 수시로 추가투입할 필요없이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발효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고형유기폐기물을 교반 또는 파쇄하고 발효, 건조에 의해 퇴비화하여 소입자화하는 처리장치는 피처리물의 교반 또는 파쇄, 발효수단을 갖고 베이스재 및 고형유기폐기물의 투입구를 배치하는 발효조 및 피처리물의 교반 또는 파쇄, 발효, 건조수단을 갖고 하류측에 처리물의 배출구를 배치하는 베이스재 재생조를 구비하고,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는 인접해서 배치함과 동시에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를 연락하는 연락부를 마련하고, 연락부를 거쳐서 베이스재와 피처리물이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를 순환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것에 의해, 정기적인 베이스재의 전체 교환이나 신선한 베이스재를 수시로 추가투입할 필요가 없어 관리가 간단한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의 케이스 상부에서 절단한 상면도(제2도의 I - I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처리장치의 Ⅱ -Ⅱ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처리장치의 Ⅲ - Ⅲ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P방향에서 본 간막이 부재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Q방향에서 본 분할판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교반축 및 교반암을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2도에 도시한 처리장치의 Ⅶ - Ⅶ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처리장치의 횡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처리장치의 베이스재 재생장치측에서 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효조 2 : 교반축
3 : 교반암 7 : 모터
8 : 투입구 11 : 열교환장치
15 : 베이스재 재생조 16 : 교반축
17 : 교반암 22 : 히터
23 : 배출구 24 : 스톡커
25 : 분할판 25a : 낮은 벽부
25b : 높은 벽부 27 : 간막이 부재
27a : 낮은 벽부 27b : 높은 벽부
60 : 공간
본 발명은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엌찌꺼기(부엌 쓰레기), 레스토랑 등의 도시 쓰레기, 바이오매스 등의 고형유기폐기물을 호기성(好氣性) 발효처리하는 가정용, 업무용, 공공용으로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농산폐기물이나 하수진흙 등의 고형유기폐기물의 비료화는 대부분 적극적인 관리없이 장기간 야적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효시키는 방식에 의해 실행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 고형유기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처리, 즉 퇴비화(비료화)에 관한 기술은 무공해적 처리방법인 것은 물론이고 폐기물의 재이용기술 및 자연환원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재평가되기 시작하고 있다.
특히, 부엌 찌꺼기 소위 부엌 쓰레기에 대해서는 음식 찌꺼기의 대량소비산업이었던 축산업이 합성사료로 전환하는 등에 따라 취기(臭氣)오염을 해결한 고속, 고분해로 발효할 수 있는 처리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기에 이르렀다.
그것에 대해서, 발효장치를 사용해서 교반 또는 산소공급을 부분적으로 관리하여 발효를 고속화하는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5-121992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7-160986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7-170183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0-131888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14538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장기간에 걸쳐 처리하는 동안에 조 내용물의 통기성이나 수분유지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 변화해 버려 발효성능이 저하하고, 이 저하한 발효성능을 보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베이스재를 전체 교환하거나 신선한 베이스재를 수시로 추가투입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정기적인 베이스재의 전체 교환이나 신선한 베이스재를 수시로 추가 투입할 필요없어 관리가 간단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을 호기성 발효시켜서 처리하는 처리장치는 베이스재의 교반 및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파쇄, 발효를 실행하는 발효조와 베이스재의 교반 및 피처리물의 교반 또는 파쇄, 잉여수분의 제거(건조)를 실행하는 베이스재 재생조를 인접해서 배치함과 동시에 베이스재 및 처리물의 일부가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 사이를 순환하는 구성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미리 베이스재를 넣은 발효조 내에 고형유기폐기물을 투입하면 교반축의 회전에 따라서 고형유기폐기물에 베이스재가 혼합되고, 교반시에는 베이스재, 고형유기폐기물, 고형유기폐기물에 부착되어 있는 발효균으로의 공기공급이 실행된다. 발효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재와 함께 발효균을 미리 발효조 내에 넣어두는 것으로 한다.
발효조내 처리물의 이루는 발효조와 병렬로 배치된 베이스재 재생조 내에 교반암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연락부를 통해서 유입된다. 처리물은 베이스재 재생조 내를 교반암에 의해 교반되면서 이동하고, 베이스재 재생조에서 연락부를 통해서 낙하하고, 재차 발효조 내로 되돌아간다. 이들의 순환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피처리물은 퇴비화 반응이 진행하여 소입자화 된다.
소입자화된 처리물이 일정레벨 이상 축적되면 베이스재 재생조의 한쪽 끝에 마련된 배출구에서 상기 소입자화된 처리물의 일부가 배출되고, 처리장치내에 마련된 스톡커 내부에 저장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케이스 상부에서 절단한 상면도(제2도의 Ⅰ - Ⅰ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Ⅱ - Ⅱ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Ⅲ - Ⅲ 단면도이다.
처리장치는 케이스(50) 내에 발효조(1)과 베이스재 재생조(15) 및 구동수단 등을 배치한다. 발효조(1)에는 그 중심부에 제1의 교반축(2)가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제1의 교반축(2)에는 고형유기폐기물을 교반 또는 파쇄하기 위한 교반암(3)이 소정간격으로 여러개 방사형상으로 돌출해서 마련되어 고정되어있다. 교반축(2)의 발효조(1)을 관통한 한쪽 끝부에는 대 스프로킷(4)가 고정되고, 체인(5), 소 스프로킷(6)을 거쳐서 구동용 모터(7)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발효조(1)의 바닥부 외벽에는 가열수단으로서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효조(1)내에 투입된 음식 찌꺼기, 부엌 쓰레기, 그밖의 고형유기폐기물이 효율좋게 충분히 발효되는 온도로 유지된다. 발효조(1)의 상부의 케이스(50)에는 고형유기폐기물의 투입구(8)을 마련하고, 투입구 개폐문(55)가 개폐가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또, 발효조(1)내의 바닥부에는 미리 베이스재와 발효균이 소정량 충진되어 있다. 또, 제1의 교반축(2)와 직교해서 발효조(1)내를 간막이하는 분할판(25)를 배치한다.
발효조(1)을 분할하는 분할판(25)는 높이 치수를 베이스재 재생조(15)측을 높게 높은 벽부(高壁部)(25b)로 하고, 교반축(2)에서 발효조(1)측의 벽측을 낮게 낮은 벽부(低壁部)(25a)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발효조(1)내의 베이스재 및 피처리물은 분할판(25)의 낮은 측벽부(25a)에서 이동한다.
발효조(1)의 상부이고 또한 회전하는 교반암(3)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발효조(1)내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흡입구(9)를 배치한다. 이 흡입구(9)에 흡입 파이프(10)을 연결하고, 흡입 파이프(10)의 다른쪽 끝은 처리조의 외부에 배치된 제습장치(11)에 연결되어 있다.
제습장치(11)은 여러개의 파이프(11a)에 의해 구성되고, 이 파이프(11a)내에 상기 흡입 파이프(10)을 거쳐서 발효조(1)내의 수증기가 유도된다. 이 제습장치에 대응해서 파이프(11a)에 외기를 불어 넣어 파이프(11a)내로 유도된 수증기를 냉각 응축시키기 위한 송풍팬(12), 처리조 내의 증기를 제습장치(11)내로 순환시키는 순환팬(13) 및 응축수를 장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14) 등이 구비되어 있다. (13a)는 순환팬(13)의 구동용 모터이다.
발효조(1)과 병렬로 베이스재 재생조(15)를 배치한다.
베이스재 재생조(15)는 그 중심부에 교반축(제2의 교반축)(16)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제2의 교반축(16)은 발효조(1)의 제1의 교반축(2)와 대략 평행하고, 배치위치는 제1의 교반축(2)의 축심과 동일한 높이 또는 약간 제1의 교반축(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다. 제2의 교반축(16)에는 발효조(1)에서 처리되어 덩어리 형상물질로 된 처리물의 소입자화를 실행하기 위한 교반암(17)이 소정간격으로 여러개 방사형상으로 돌출, 고정되어 있다. 이 제2의 교반축(16)에 교반암(17)을 고정하는 소정간격은 제1의 교반축(2)의 교반암(3)의 소정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효조(1)에서 처리되어 덩어리 형상물질로 된 처리물이 베이스재 재생조(15)에서 소입자화되어도 교반암(17)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제2의 교반축(16)의 베이스재 재생조(15)를 관통한 한쪽 끝부에는 소 스프로킷(18)_이 고정되고 체인(19), 소 스프로킷(20)을 거쳐서 발효조(1)의 구동용 모터(7)에 연결되어 있다. 즉,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제2의 교반축(16)과 발효조(1)의 제1의 교반축(2)는 동일한 구동용 모터(7)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있다.
(21)은 배출통으로서 베이스재 재생조(15)내에서 처리가 종료한 처리물을 스톡커(24)내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외벽에는 가열수단으로서의 히터(22)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재 재생조(15)의 교반암(17)의 회전직경은 발효조(1)의 교반암(3)의 회전직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조(1), (15)의 바닥면은 교반암(3), (17)의 회전궤도를 따라서 형성된다. 즉, 발효조(1)의 바닥면은 반경을 거의 교반암(3)의 길이 치수를 반경치수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되고, 베이스재 재생조(15)의 바닥면은 교반암(17)의 길이 치수를 반경치수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된다. 발효조(1)과 베이스재 재상조(15)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 베이스재 재생조(15)의 하부에는 공간(60)이 형성된다.
발효조(1)과 베이스재 재생조(15)의 경계부에는 축방향 양끝(27a)를 낮게, 중앙부분(27a)를 높게 형성한 간막이 부재(27)이 배치되어 있다.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살표 P 방향에서 본 간막이 부재(27)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살표 Q 방향에서 본 분할판(25)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발효조(1)과 베이스재 재상조(15)를 분할하는 간막이 부재(27)은 그 간막이 부재(27)의 높이 치수를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축방향 양끝(27a)에서 낮게, 중앙부분(27b)에서 높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장치내의 베이스재 및 처리물은 간막이 부재(27)의 낮은 저벽부(27a)를 연결부로서 통과하고, 발효조(1)에서 베이스재 재생조(15)로의 이동 및 베이스재 재생조(15)에서 발효조(1)로의 순환이 실행된다.
그리고, 베이스재 재생조(15)내로 유입된 베이스재 및 처리물은 제3도에 도시한 히터(22)에 의해 가열되어 잉여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됨과 동시에, 교반암(17)에 의해 덩어리 형상물질로 된 처리물이 소입자화되고, 베이스재는 원래의 통기성이나 수분유지성이 양호한 상태로 재생된다.
제6도는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제2의 교반축(16) 및 교반암(17)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교반암(17)은 인접하는 교반암(17)이 제2의 교반축(16)의 회전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순차 일정한 각도씩 어긋나서 부착되어 있다. 피처리물은 순차 어긋나 배치되는 교반암(17)로 반송되어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제7도는 제2도의 Ⅶ - Ⅶ 단면도이다.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측벽에 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3)을 뚫음과 동시에 배출된 처리물을 저장하는 스톡커(24)가 처리장치의 케이스(50)내에 마련되어 있다. 부식질로 된 처리물은 배출통(21)로 안내되어 스톡커(24)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발효조(1)과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용량의 비를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발효조(1)의 용량 R1=(교반암(3)의 회전직경)2×교반축(2)의 길이(조 길이)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용량 R15=(교반암(17)의 회전직경)2×교반축(16)의 길이(조 길이) 로 하면,
R1 : R15 = 1 : 0..3 ∼ 0.3
의 범위로 되도록 형성하였다.
또, 미리 발효조에 투입하는 베이스재 및 발효균의 양은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처리장치의 1일당의 고형유기폐기물의 최대 처리중량을 1로 했을 때 베이스재 및 발효균의 전체 중량은 4∼14의 범위내로 되도록 한다.
1일당의 최대 처리량의 4∼14배의 베이스재 및 발효균을 미리 넣은 발효조(1)내에 고형유기폐기물를 투입하면 제1의 교반축(2)의 회전에 따라서 고형유기폐기물이 교반암(3)에 의해서 파쇄됨과 동시에 베이스재 및 발효균이 서로 섞이며, 교반암(3)의 교반시에는 베이스재, 발효균으로의 공기공급이 실행된다. 고형유기폐기물에는 원래 발효균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발효시간을 단축시키지 않아도 좋은 경우 또는 발효하기 쉬운 고형유기폐기물에 한정해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발효균을 미리 발효조 내에 넣어 둘 필요는 없다.
또한, 발효조(1) 내에 투입되는 고형유기폐기물은 큰 상태라도 좋지만, 보다 단시간에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특히 큰 고형유기폐기물이 많고 또한 단시간에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작게 파쇄된 것을 투입하고, 파쇄를 하지 않아도 좋은 상태 또는 그다지 파쇄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 발효조(1)내에 투입되는 고형유기폐기물을 반드시 미리 작게 파쇄해서 투입하도록 하면, 제1의 교반축(2)와 교반암(3)의 강도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용 모터(7)을 소출력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발효조(1)에 전기히터등의 수단을 마련하여 베이스재 및 발효균을 가열, 보온하는 것에 의해 투입된 고형유기폐기물 자체가 갖는 수분과 함께 발효조(1)은 수분, 온도, 공기의 발효를 위한 3요소가 만족되어 발효를 개시한다.
계속해서, 발효 및 가열의 과정에서 고형유기폐기물에서 수증기가 발생한다. 이 수증기는 순환팬(13)에 의해 발효조(1)에 연결된 흡입 파이프(9)를 통해서 조 외부에 마련된 제습장치(열교환장치)(11)로 보내진다. 또, 열교환장치의 파이프(11a)내에서 송풍팬(12)에 의해 저온의 외기와 열교환되는 것에 의해 수증기는 응축되어 액체로 되고 배수파이프(14)에서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발효조(1)내의 피처리물의 일부는 발효조(1)과 병렬로 배치된 베이스재 재생조(15)내에 낮은 벽부(27a)를 통해서 유입된다. 유입된 피처리물은 베이스재 재생조(15)내를 교반암(17)에 의해 교반되면서 이동하고, 베이스재 재생조(15)의 낮은 벽부(27a)에서 낙하하여 재차 발효조(1)내로 되돌아간다. 이것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피처리물은 발효조(1)과 베이스재 재생조(15)를 순환한다.
발효조(1) 및 베이스재 재생조(15)에는 가열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피처리물은 순환하면서 발효조(1), 베이스재 재생조(15) 내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잉여수분이 증발함과 동시에 덩어리 형상물질이 파쇄되어 소입자화된다.
이 소입자화된 처리물이 일정레벨 이상 축적되면, 베이스재 재생조(15)의 한쪽 끝에 마련된 배출구(23)에서 처리물의 일부가 배출되고 처리장치 내에 마련된 스톡커(24)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배출구(23)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상단부에서 소정 치수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베이스재보다 체적밀도(bulk density)가 큰 처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베이스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건조후의 체적밀도는 베이스재가 200kg/㎥ ∼ 300kg/㎥인 것에 비해 처리물은 500kg/㎥ ∼ 600kg/㎥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처리장치에 발효처리가 곤란하다고 말해지고 있는 동물성 유지가 많이 함유된 찌꺼기를 연속 투입한 결과 투입폐기물 중량에 대해서 배출된 처리물의 양은 감량률1/10으로 되었다. 또한, 베이스재의 저하는 거의 없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제2실시예]
제8도는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9도는 베이스재 재생조측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있는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발효조(1)은 분할판(25)에 의해 분할되어 제1의 발효조(1A)와 제2의 발효조(1B)를 형성한다. 제1의 발효조(1A)에는 제1교반축(2A)를 배치하고, 제2의 발효조(1B)에는 제2교반축(2B)를 각각 배치한다. 또, 제1교반축(2A)를 구동하는 제1의 구동용 모터(7A)를 배치하고, 스프로킷 등에 의해 연결한다. 또, 제2교반축(2B)를 구동하는 제2의 구동용 모터(7B)를 마련하고 스프로킷 등에 의해 연결한다. 제1교반축(2A)와 제2교반축(2B)는 발효조의 분할판(25)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있다.
베이스재 재생조(15)에 배치되는 교반축(16)은 제1의 발효조(1A)의 제1교반축(2A)의 구동용 모터(7A)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베이스재 재생조(15)의 교반축(16)과 제1의 발효조(1A)의 제1교반축(2A)와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발효조(1A)의 제1교반축(2A)가 베이스재 재생조(15)에서 낙하한 베이스재 및 처리물을 긁어 모으는 작용을 한다.
제2의 발효조(1B)의 제2교반축(2B)는 제1교반축(2A)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발효조(1B)의 제2교반축(2B)의 회전이 제2의 발효조(1B)의 베이스재 및 처리물을 베이스재 재생조(15)내로 긁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베이스재 재생조(15)의 교반축(16)에는 교반암(17)의 돌출치수와 거의 근사한 돌출치수를 갖는 나선판(26)이 나선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재 재생조(15)의 하측의 공간(60)에는 열교환장치(11)을 배치한다. 열교환장치(11)은 그의 긴쪽방향을 베이스재 재생조(15)의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처리장치의 축방향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베이스재 재생조(15)의 하측의 공간(60)에 열교환장치(11)에 인접해서 발효조(1)의 교반축(2A), (2B)를 구동하는 구동용 모터(7A), (7B)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재 재생조(15)의 하측의 공간(60)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처리장치의 소형화가 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는 베이스재 재생조 내에 유입된 베이스재 및 처리물은 교반, 가열되는 것에 의해 잉여수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발효하여 덩어리 형상물질로 된 처리물이 소입자화 되고, 베이스재는 원래의 통기성이나 수분유지성이 좋은 상태로 재생된다.
이와 같이, 또 배이스재는 원래의 통기성이나 수분유지성이 양호한 상태로 재생되므로, 새로운 베이스재를 투입하지 않아도 장기간에 걸쳐 처리하는 동안에 조 내용물의 통기성이나 수분유지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 변하는 일 없이 양호한 발효를 유지한다.
따라서, 정기적인 베이스재의 전체 교환이나 신선한 베이스재를 수시로 추가투입할 필요가 없어 관리가 간단한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고형유기폐기물을 교반 또는 파쇄하고 발효, 건조에 의해 퇴비화하여 소입자화 하는 처리장치로서, 피처리물의 교반 또는 파쇄, 발효수단을 갖고 베이스재 및 고형유기폐기물의 투입구를 마련한 발효조 및 피처리물의 교반 또는 파쇄, 발효, 건조수단을 갖고 하류측에 처리물의 배출구를 마련한 베이스재 재생조를 구비하고,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는 인접해서 배치함과 동시에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를 연락하는 연락부를 마련하고, 연락부를 거쳐서 베이스재와 피처리물이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를 순환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를 병렬로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발효조 및 베이스재 재생조의 교반수단은 교반암을 소정 간격으로 여러개 돌출해서 마련한 교반축을 갖고, 교반축의 회전에 의해 고형유기폐기물을 교반 또는 파쇄하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의 경계부에 베이스재 재생조의 긴쪽방향 양끝부분에 판 높이를 낮게 한 저벽부를 형성한 간막이판을 배치하고, 낮은 벽부를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의 연락부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처리물의 배출구는 베이스재 재생조의 상단부에서 소정 치수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재 재생조의 교반축에 소정 간격으로 여러개 돌출해서 마련된 교반암은 인접하는 교반암이 교반축의 회전방향으로 순차 일정한 각도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재 재생조의 교반축에 소정 간격으로 여러개 돌출해서 마련된 교반암의 소정간격은 발효조의 교반암의 소정 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재 재생조의 교반암의 회전직경은 발효조의 교반암의 회전직경보다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발효조, 베이스재 재생조의 조 바닥은 교반암의 궤도를 따라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재 재생조의 교반축과 발효조의 교반축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고, 또한 베이스재 재생조의 교반축의 축심은 발효조의 교반축의 축심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이거나 또는 발효조의 교반축의 축심보다 높게 배치하여 베이스재 재생조의 하부에 공간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교반암의 회전직경)2×(조 길이)}로 나타낸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의 비를 발효조의 값을 1로 했을 때 베이스재 재생조의 값이 0.03∼0.3의 범위내로 되도록 발효조와 베이스재 재생조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투입되는 베이스재의 전체 중량은 처리장치의 1일당의 고형유기폐기물의 최대 처리중량의 4∼14배의 범위내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19960021962A 1995-06-23 1996-06-18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KR0158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57625A JPH0912386A (ja) 1995-06-23 1995-06-23 固形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95-157625 199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280A KR970001280A (ko) 1997-01-24
KR0158983B1 true KR0158983B1 (ko) 1998-11-16

Family

ID=1565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962A KR0158983B1 (ko) 1995-06-23 1996-06-18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912386A (ko)
KR (1) KR0158983B1 (ko)
TW (1) TW292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0339B (zh) * 2021-08-06 2023-02-24 广西壮族自治区畜牧研究所 发酵装置,具有其的多段混合式有机肥发酵系统及方法
CN114273402B (zh) * 2021-11-11 2023-05-02 金华康扬环境科技有限公司 发酵箱以及垃圾处理装置
CN114246343B (zh) * 2021-12-23 2023-07-21 国药肽谷有限公司 一种抗疲劳和改善亚健康的人参肽的制备装置
CN115193287B (zh) * 2022-07-14 2024-02-27 龙泉市鸿源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食用菌菌棒全自动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280A (ko) 1997-01-24
JPH0912386A (ja) 1997-01-14
TW292981B (ko) 199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35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s processing
US5591635A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apid composting with closed air loop circulation for positive control
US20230286877A1 (en) Biosolids digester and process for biosolids production
EP2125639B1 (en) Anaerobic digester employing circular tank
US20070114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s processing
US20080098779A1 (en) Composting apparatus with internal transport system
KR20170085795A (ko) 분뇨처리시스템용 교반건조장치
AU2001282725A1 (en) A composting apparatus with internal transport system
KR0158983B1 (ko)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
KR0182839B1 (ko) 가축분뇨의 밀폐형 층상 반응조 퇴비화 시스템
KR2003584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건조,발효장치
KR100317934B1 (ko) 폐열 이용이 가능한 생쓰레기 발효장치
JPH09165283A (ja) 発酵処理装置
JP3740412B2 (ja) 有機廃棄物処理機
KR102130345B1 (ko) 트윈 스파이럴 스팀 건조기
KR2005010863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건조,발효장치
WO2010151101A1 (en) Novel in-vessel high rate composter
KR20050108708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저장장치
JPH06263574A (ja) 厨芥コンポスト化装置
KR19980015761U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JP2002153848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H07328588A (ja) 未乾燥廃棄物の醗酵乾燥装置
KR20010047347A (ko) 발효분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