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806B1 - 캐빈과 적어도 두개의 주행기어를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캐빈과 적어도 두개의 주행기어를 갖는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6806B1 KR0156806B1 KR1019950005975A KR19950005975A KR0156806B1 KR 0156806 B1 KR0156806 B1 KR 0156806B1 KR 1019950005975 A KR1019950005975 A KR 1019950005975A KR 19950005975 A KR19950005975 A KR 19950005975A KR 0156806 B1 KR0156806 B1 KR 0156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portion
- vehicle
- cabin
- lower frame
- vehicle accor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9/00—Tramway or funicular systems with rigid track and cable tra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16—Centre bearings or other swivel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lsters or b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스프링 요소(25)를 통하여 캐빈(11)등을 지지하는 두개의 주행기어(2)로 구성되는 차량. 상기 각각의 주행기어(2)는 스프링 요소(25)가 개재된 상측 프레임부(21)과 하측 프레임부(23)으로 구성되며, 캐빈(11)은 상측 프레임부(21)에 지지되며 주행휘일(12)은 하측 프레임부(23)에 장착되며, 상측 프레임부(21)과 하측 프레임부(23)사이에는 대체로 수직한 가이드 요소(30)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 요소(30)는 상측 프레임부(21)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 프레임부(21, 23)사이의 상호 수직 간격을 변화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과 적어도 2개의 주행기어를 갖는 차량.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부분 절결 측면도.
제2도는 제2도의 선 II-II과 선 IIa-IIa에 따라서 취한 차량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C부의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의 D부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주행기어
4 : 레일 5 : 클램핑 장치
6 : 구동 케이블 7 : 감속 및 가속휘일
8 : 접촉면 11 : 차량 캐빈
12 : 주행 휘일 13 : 샤시
14 : 카운터 롤러 15 : 가이드 롤러
21 : 상측 프레임부 22 : 베어링
23 : 하측 프레임부 24 : 측방 플랜지
25 : 나선형 압축 스프링 26 : 쇽 업소버
30 : 플런저 31 : 구면
32 : 베어링 캡 33 : 슬리브
34 : 활주 슬리브 41 : 수직 웨브
51 : 클램핑 조 52 : 캠롤러
53 : 가이드 트랙 80 : 비임
81 : 베어링 컵 82 : 유니버셜 커플링
본 발명은 스프링 요소에 의하여 캐빈등을 지지하는 적어도 두개의 주행기어로 구성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구동 케이블에 의하여 트랙을 따라서 구동되는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 스테이숀에는 감속 및 가속휘일이 배치되어 차량과 접촉하게 된다. 차량이 스테이숀의 영역에 들어가는 순간, 차량은 구동 케이블로부터 분리되고 감속휘일이 작용하므로 차량의 이동속도가 강하게 감속되어 정지상태로 되므로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이 가속될때 가속휘일이 구동 케이블의 구동속도까지 가속되어 구동 케이블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속하지 않는 제안에 따르면 감속 및 가속휘일은 차량의 아래에 배치되어 대체로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량의 바닥에 배치된 접촉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런 구조적 형상은 감속 및 가속휘일에 의해 생긴 진동이 차량 캐빈에 전달되기 때문에 좋지 못하다. 만일 접촉면이 차량 캐빈에 견고히 연결된다면 차량 캐빈의 불균등한 하중으로 인해 접촉면 부근의 모든 감속 및 가속휘일이 접촉면상에서 작용하므로 차량이 원하는 방식으로 감속 또는 가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을 피하는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 기초하는 것이다. 이 것은 주행 프레임이 스프링 요소가 개재된 상측 프레임부와 하측 프레임부를 가지며, 차량 캐빈이 상측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주행휘일이 하측 프레임부에 장착되며, 상하측 프레임부사이에 대체로 수직한 가이드 요소가 배치되며, 이 가이드 요소는 상측 프레임부에 피봇방식으로 장착되어 상하측프레임부의 상호 수직 간격을 변하게 하는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로 인하여 주행기어에서의 차량 캐빈의 부착상태가 충분한 탄성을 갖게되어 차량 캐빈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의 전달을 방지하며, 부착상태가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므로 차량의 각각의 하중 조건에 관계없이 차량의 적절한 동작을 확보한다. 차량 캐빈은 상측 프레임부에 피봇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측 프레임부는 캐빈용 베어링이 제공되는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요소는 하측 프레임부에 견고히 장착된다. 캐빈용 베어링은 가이드 요소가 구면에 의하여 내부에 지지되는 파이프가 형성될 수 있는 상측 프레임부에 배치된다.
또한, 파이프의 내측에는 파이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내측에 가이드 요소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슬리브가 제공된다. 하측 프레임부도 역시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측방 비임에는 주행 휘일이 장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부와 하측 프레임부의 사이에는 스프링 요소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과 선택적으로 댐핑 요소, 바람직하게는 쇽 업소버가 배치된다. 또한 하측 프레임부에는 구동 케이블용의 카운터 롤러와 커플링 클램프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속 및 가속휘일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이 제공된 차량의 경우에서, 가이드 요소의 하단부는 캐빈의 아래에 제공된 접촉면용의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가이드 요소의 하단부에는 접촉면에 제공된 구형 컵이 가압하는 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캐빈의 샤시와 접촉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특히 유니버셜 커플링(카아던 커플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촉면은 차량 캐빈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접촉면으로 수직하게 작용하는 졸트 또는 충격이 차량 캐빈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감속 및 가속휘일에 의하여 각각 생기는 제동력과 가속력은 차량 캐빈에 직접 전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을 도면에 도시한 구체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 캐빈(11)을 갖는 새로운 차량(1)은 레일(4)을 따라서 구동되는 주행 휘일(12)을 지지하는 두개의 주행기어(2)로 구성된다. 차량이 일정속도로 이동하는 구동 케이블(6)에 연결되게 하는 클램핑 장치가 주행기어(2)에 제공된다. 스테이숀에는 감속 및 가속휘일(7)이 제공되며, 휘일(7)은 차량캐빈(11)의 바닥에 배치된 접촉면(8)과 접촉하게 된다.
제2도에서 자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행기어(2)는 차량(1)의 샤시(13)에서 베어링(22)에 의하여 대체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피봇방식으로 장착되는 상측 프레임부(21)로 구성된다. 또한 주행기어(2)는 주행 휘일(12)와 카운터 롤러(14)를 지지하는 측방 플랜지(24)가 형성된 하측 프레임부(23)을 갖는다. 상측 프레임부(21)과 하측 플랜지부(23)의 사이에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25)과 쇽 업소버(26)가 위치한다. 또한 하측 프레임부(23)에는 가이드 롤러(15)가 장착되며, 이 가이드 롤러는 레일(4)의 수직 웨브(41)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또한 하측 프레임부(23)은 클램핑 장치(5)를 지지하며,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조(51)는 스테이숀에 배치된 가이드 트랙(53)위를 주행하는 캠롤러(52)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으므로 구동 케이블(6)으로 부터 분리되게 한다.
또한, 상측 프레임부(21)와 하측 프레임부(23)의 사이에는 플런저(30)가 제공되며, 플런저의 상단부에는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베어링 컵(32)내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구면(31)이 형성된다. 베어링 컵(32)은 샤시(13)에 견고히 연결된 파이프(35)내의 활주 슬리브(34)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리브(33)내에 배치된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플런저(30)은 그 하단부가 하측 프레임부(23)의 지지판(23a)에 견고히 연결된다. 플런저(30)의 하단부에는 접촉면(8)의 베어링 컵(81)을 지지하는 구면(36)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8)은 단면이 대체로 사각형이면서 유니버셜 커플링(82)에 의하여 차량 캐빈의 샤시와 결합된 비임(80)의 바닥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1)이 클램핑 장치(5)에 의하여 구동 케이블(6)에 연결되는 순간 차량은 구동 케이블(6)의 속도 예를들어 8m/sec로 레일(4)를 따라서 구동된다. 차량이 스테이숀에 도달하는 순간 클램핑 장치(5)가 개방되어 차량(1)을 구동 케이블(6)로 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가속휘일(7)이 접촉면(8)과 접촉하게 되어 차량(1)의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어 정지상태에 이르면 승객이 스테이숀에 차량에서 승하차할 수 있게 된다. 그후 가속휘일(7)에 의하여 차량(1)이 구동 케이블(6)의 속도까지 복귀되어 구동 케이블에 연결되어 다음 스테이숀까지 구동된다.
감속 및 가속휘일(7)이 차량(1)의 아래에 배치되어 대체로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휘일이 차량(1)의 바닥에 배치되어 대체로 수평하게 연장된 접촉면(8)과 접촉하기 때문에 차량(1)의 감속 또는 가속에 대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고도 스테이숀 영역의 휘어진 부분에서도 트랙이 주행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 특히 나선형 압축 스프링(25) 및 쇽 업소버(26)가 개재된 상하 프레임부(21, 23)을 갖는 주행기어의 구조때문에, 감속 및 가속휘일(7)로 부터의 진동과 충격이 차량 캐빈(11)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하 프레임부(21)과 (23)사이에 배치되며 상단부에서 상측 프레임부(21)을 베어링 컵(32)와 슬리브(33)에 의하여 피봇방식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런저(30)때문에, 주행기어(2)에서 차량 캐빈(11)의 요구 안정성 및 부착이 확보된다. 또한 이로 인해 감속 및 가속휘일(7)이 접촉면(8)에 가하는 수직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이 방지된다.
감속 및 가속휘일(7)에 의해 도입된 차량(1)을 감속 및 가속 시키기 위한 힘을 주행기어(2)를 통하지 않고 차량 캐빈(11)에 직접 전달하기 위해, 바닥에 접촉면(8)이 위치하는 비임(80)이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82) 특히 유니버셜 커플링에 의하여 차량의 샤시(13)에 연결된다. 조인트(82)는 차량 캐빈(11)이 이동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에 대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선회되도록 한다. 또한 감속 및 가속휘일에 의하여 도입된 힘은 차량 캐빈(11)에 직접 전달된다.
Claims (13)
- 스프링 요소(25)를 통하여 캐빈(11)등을 지지하는 두개의 주행기어(2)로 구성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주행기어(2)는 스프링 요소(25)가 개재된 상측 프레임부(21)와 하측 프레임부(23)으로 구성되며, 캐빈(11)은 상측 프레임부(21)에 지지되며 주행휘일(12)은 하측 프레임부(23)애 장착되며, 상측 프레임부(21)과 하측 프레임부(23) 사이에는 대체로 수직한 가이드 요소(30)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 요소(30)는 상측 프레임부(21)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 프레임부(21,23)사이의 상호 수직 간격을 변화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11)은 대체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측 프레임부(21)에 피봇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부(21)은 캐빈(11)용의 베어링(22)가 제공된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30)는 하측 프레임부(23)에 견고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4항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부(21)에 배치된 캐빈(11)용의 베어링(22)에는 구면(31)에 의하여 내부에서 가이드 요소(30)을 지지하는 파이프(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5항에 있어서, 파이프(35)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파이프(35)의 내측에는 슬리브(33)가 배치 되며, 슬리브의 내측에는 가이드 요소(3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부(23)는 그 측방 비임에 주행휘일(12)이 지지되는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부(21)과 하측 프레임부(23)의 사이에는 스프링 요소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25)과 선택적으로 댐핑 요소로써 쇽 업소버(2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부(23)에는 카운터 롤러(14)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는 구동 케이블(6)용의 클램핑 장치(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30)의 하단부는 휘일(7)을 감속 및 가속시키기 위하여 캐빈(11)의 아래에 제공된 접촉면(8)용의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30)의 하단부에는 접촉면(8)에 형성된 베어링 컵(81)을 지지하는 구면(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캐빈(11)과 접촉면(8)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82), 특히 유니버셜 커플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TA613/94 | 1994-03-23 | ||
AT0061394A AT404457B (de) | 1994-03-23 | 1994-03-23 | Fahrzeug mit mindestens zwei fahrgestell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6709A KR950026709A (ko) | 1995-10-16 |
KR0156806B1 true KR0156806B1 (ko) | 1999-02-18 |
Family
ID=349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5975A KR0156806B1 (ko) | 1994-03-23 | 1995-03-21 | 캐빈과 적어도 두개의 주행기어를 갖는 차량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0673818A1 (ko) |
JP (1) | JPH07267080A (ko) |
KR (1) | KR0156806B1 (ko) |
CN (1) | CN1113196A (ko) |
AT (1) | AT404457B (ko) |
CA (1) | CA21452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403786B (de) * | 1996-03-26 | 1998-05-25 | Doppelmayr & Sohn | Anlage zum transport von personen und bzw. oder von gütern |
ITMI20130609A1 (it) * | 2013-04-12 | 2014-10-13 | Rolic Internat S A R L | Carrello per impianti di trasporto a fune 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omprendente tale carrello |
CN106740965B (zh) * | 2017-02-17 | 2019-03-19 | 秦皇岛鸿鼎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 齿轨卡轨车上具有车厢导向悬挂与卡轨结构的悬挂结构 |
CN113696930A (zh) * | 2021-08-14 | 2021-11-26 | 湘潭市恒欣实业有限公司 | 一种卡轨辅助尾车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94991C (ko) * | ||||
GB854985A (en) * | 1957-06-18 | 1960-11-23 | Luxembourg Brev Participations | Improvements in railway trucks or carriages |
FR1285959A (fr) * | 1961-01-16 | 1962-03-02 | Loire Atel Forges | Perfectionnements aux bogies |
US3599574A (en) * | 1969-04-01 | 1971-08-17 | Amsted Ind Inc | Center plate wear liner ring |
BE874750A (fr) * | 1978-05-23 | 1979-09-12 | Dresser Ind | Bogie radial de wagon |
US4658734A (en) * | 1985-03-11 | 1987-04-21 | Joseph Mroz | Independent suspension railway bogie |
EP0461098A1 (de) * | 1990-06-06 | 1991-12-11 | KONRAD DOPPELMAYR & SOHN MASCHINENFABRIK GESELLSCHAFT M.B.H. & CO. KG. | 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Personen bzw. Gütern |
EP0465411B1 (de) * | 1990-06-29 | 1994-05-11 | Mathias Streiff AG | Fahrwerk für ein spurgebundenes Fahrzeug |
-
1994
- 1994-03-23 AT AT0061394A patent/AT404457B/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
- 1995-02-21 EP EP95890036A patent/EP0673818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5-03-21 KR KR1019950005975A patent/KR01568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3-22 CA CA002145238A patent/CA2145238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5-03-23 JP JP7090206A patent/JPH07267080A/ja active Pending
- 1995-03-23 CN CN95103081A patent/CN111319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3196A (zh) | 1995-12-13 |
CA2145238A1 (en) | 1995-09-24 |
EP0673818A1 (de) | 1995-09-27 |
AT404457B (de) | 1998-11-25 |
JPH07267080A (ja) | 1995-10-17 |
KR950026709A (ko) | 1995-10-16 |
ATA61394A (de) | 1998-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21715B1 (ko) | 철도차량의 궤간가변대차 및 궤간변경장치 | |
US3831527A (en) | Passenger car switching device | |
JPH0141347B2 (ko) | ||
KR100492853B1 (ko) | 궤도 차량용 트럭 프레임 | |
US3807313A (en) | Linear motor-driven railway truck | |
US4776283A (en) | Truck for railway vehicle | |
KR0156806B1 (ko) | 캐빈과 적어도 두개의 주행기어를 갖는 차량 | |
ES2097568T3 (es) | Mecanismo de rodadura para vehiculos sobre carriles. | |
KR0156807B1 (ko) | 사람 및 또는 물건을 수송하기 위한 시스템 | |
KR970065273A (ko) | 사람 및/또는 화물의 수송장치 | |
US5241911A (en) | Conveyor system including a support rail with travel surfaces for driven support wheels of vehicles | |
KR20050050651A (ko) | 철도 차량용 러닝 기어 | |
KR910004659B1 (ko) | 경사몸체형의 철도차량용 철도 보우기 | |
KR20060018788A (ko) | 철도차량 및 철도차량용 대차 | |
SU1682227A1 (ru) | Двухосное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 |
EP0471304B1 (en) | Pendulum vehicle | |
US2081996A (en) | Rail vehicle | |
KR0140529Y1 (ko) |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 | |
KR200147414Y1 (ko) |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 |
SU1131721A2 (ru) | Скользун-демпфер тележ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экипажа | |
SU1065273A1 (ru) | Устройство св зи кузова локомотива с тележкой | |
US2208628A (en) | Railway vehicle | |
US5438932A (en) | Running gear for a railborne vehicle that is radially adjustable through compensating levers | |
US2436738A (en) | Brake beam support | |
JPH0490961A (ja) | 鉄道車両用車体傾斜装置付台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