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에서 행렬식 (行列式, 영어 : determinant 디터미넌트[* ] )은 정사각 행렬 에 스칼라를 대응시키는 함수 의 하나이다.[ 1] 실수 정사각 행렬의 행렬식의 절댓값 은 그 행렬이 나타내는 선형 변환 이 초부피를 확대시키는 배수를 나타내며, 행렬식의 부호는 방향 보존 여부를 나타낸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의 행렬식
det
M
∈
K
{\displaystyle \det M\in K}
는
det
M
=
det
(
M
11
M
12
⋯
M
1
n
M
21
M
22
⋯
M
2
n
⋮
⋮
⋮
M
n
1
M
n
2
⋯
M
n
n
)
{\displaystyle \det M=\det {\begin{pmatrix}M_{11}&M_{12}&\cdots &M_{1n}\\M_{21}&M_{22}&\cdots &M_{2n}\\\vdots &\vdots &&\vdots \\M_{n1}&M_{n2}&\cdots &M_{nn}\\\end{pmatrix}}}
또는
|
M
|
=
|
M
11
M
12
⋯
M
1
n
M
21
M
22
⋯
M
2
n
⋮
⋮
⋮
M
n
1
M
n
2
⋯
M
n
n
|
{\displaystyle |M|={\begin{vmatrix}M_{11}&M_{12}&\cdots &M_{1n}\\M_{21}&M_{22}&\cdots &M_{2n}\\\vdots &\vdots &&\vdots \\M_{n1}&M_{n2}&\cdots &M_{nn}\\\end{vmatrix}}}
으로 표기하며, 다음 방법들을 통하여 정의할 수 있다.
행렬식은 행 또는 열에 대한 표준적인 교대 다중 선형 형식 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의
K
{\displaystyle K}
-가군 을 행벡터 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자.
Mat
(
n
;
K
)
≅
K
⊕
n
⊕
⋯
⊕
K
⊕
n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K)\cong \underbrace {K^{\oplus n}\oplus \cdots \oplus K^{\oplus n}} _{n}}
즉, 행렬
M
{\displaystyle M}
은 행벡터
u
i
=
(
M
i
1
,
…
,
M
i
n
)
{\displaystyle u_{i}=(M_{i1},\dotsc ,M_{in})}
의 튜플
(
u
1
,
…
,
u
n
)
{\displaystyle (\mathbf {u} _{1},\dotsc ,\mathbf {u} _{n})}
으로 여기자.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의
K
{\displaystyle K}
-가군
Mat
(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K)}
위의 행렬식
det
:
Mat
(
n
;
K
)
→
K
{\displaystyle \det \colon \operatorname {Mat} (n;K)\to K}
는 단위 행렬 에서의 값이 1인 유일한 교대
K
{\displaystyle K}
-다중 선형 형식 이다. 즉,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함수이다.
㈀
K
{\displaystyle K}
-다중 선형 형식 이다. 즉, 임의의
i
∈
{
1
,
…
,
n
}
{\displaystyle i\in \{1,\dotsc ,n\}}
및 행벡터
u
1
,
…
,
u
i
,
v
i
,
…
,
v
n
∈
K
⊕
n
{\displaystyle \mathbf {u} _{1},\dotsc ,\mathbf {u} _{i},\mathbf {v} _{i},\dotsc ,\mathbf {v} _{n}\in K^{\oplus n}}
및 스칼라
a
,
b
∈
K
{\displaystyle a,b\in K}
에 대하여,
det
(
u
1
,
…
,
a
u
i
+
b
v
i
,
…
,
u
n
)
=
a
det
(
u
1
,
…
,
u
n
)
+
b
det
(
u
1
,
…
,
v
i
,
…
,
u
n
)
{\displaystyle \det(\mathbf {u} _{1},\dotsc ,a\mathbf {u} _{i}+b\mathbf {v} _{i},\dotsc ,\mathbf {u} _{n})=a\det(\mathbf {u} _{1},\dotsc ,\mathbf {u} _{n})+b\det(\mathbf {u} _{1},\dotsc ,\mathbf {v} _{i},\dotsc ,\mathbf {u} _{n})}
㈁ 교대
K
{\displaystyle K}
-다중 선형 형식 이다. 즉, 임의의
i
,
j
∈
{
1
,
…
,
n
}
{\displaystyle i,j\in \{1,\dotsc ,n\}}
및 행벡터
u
1
,
…
,
u
n
∈
K
⊕
n
{\displaystyle \mathbf {u} _{1},\dotsc ,\mathbf {u} _{n}\in K^{\oplus n}}
에 대하여, 만약
u
i
=
u
j
{\displaystyle \mathbf {u} _{i}=\mathbf {u} _{j}}
를 만족하는
i
≠
j
{\displaystyle i\neq j}
가 존재한다면,
det
(
u
1
,
…
,
u
n
)
=
0
{\displaystyle \det(\mathbf {u} _{1},\dotsc ,\mathbf {u} _{n})=0}
㈂ 단위 행렬
(
e
1
,
…
,
e
n
)
∈
(
K
⊕
n
)
⊕
n
{\displaystyle (\mathbf {e} _{1},\dotsc ,\mathbf {e} _{n})\in (K^{\oplus n})^{\oplus n}}
의 행렬식은
det
(
e
1
,
…
,
e
n
)
=
1
{\displaystyle \det(\mathbf {e} _{1},\dotsc ,\mathbf {e} _{n})=1}
이다.
조건 ㈀ 아래, 조건 ㈁은 다음 조건을 함의하며, 만약
K
{\displaystyle K}
가 표수 가 2가 아닌 체 일 경우 조건 ㈁은 이 조건과 동치 이다.
㈁’ 임의의
i
∈
{
1
,
…
,
n
−
1
}
{\displaystyle i\in \{1,\dotsc ,n-1\}}
및 행벡터
u
1
,
…
,
u
n
∈
K
⊕
n
{\displaystyle \mathbf {u} _{1},\dotsc ,\mathbf {u} _{n}\in K^{\oplus n}}
에 대하여,
det
(
u
1
,
…
,
u
i
+
1
,
u
i
,
…
,
u
n
)
=
−
det
(
u
1
,
…
,
u
n
)
{\displaystyle \det(u_{1},\dotsc ,\mathbf {u} _{i+1},\mathbf {u} _{i},\dotsc ,\mathbf {u} _{n})=-\det(\mathbf {u} _{1},\dotsc ,\mathbf {u} _{n})}
이다. 즉, 1회 열 교환을 한 행렬의 행렬식은 부호가 바뀐다.
조건 ㈁’은
i
,
i
+
1
{\displaystyle i,i+1}
대신
i
,
j
{\displaystyle i,j}
(
i
≠
j
{\displaystyle i\neq j}
)를 사용한 조건과 동치 이다. 또한, 조건 ㈁ 아래, 조건 ㈀은 그
i
=
1
{\displaystyle i=1}
인 경우와 동치 이다.
마찬가지로, 행렬식은 열벡터를 사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위 정의와 동치 이다.
행렬식은 행렬의 성분에 대한 특수한 다항식 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의 행렬식 은 다음과 같다 (라이프니츠 공식 , 영어 : Leibniz formula ).
det
M
=
∑
σ
∈
Sym
(
n
)
sgn
σ
∏
i
=
1
n
M
i
,
σ
(
i
)
{\displaystyle \det M=\sum _{\sigma \in \operatorname {Sym} (n)}\operatorname {sgn} \sigma \prod _{i=1}^{n}M_{i,\sigma (i)}}
여기서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은
{
1
,
…
,
n
}
{\displaystyle \{1,\dotsc ,n\}}
의 순열 의 집합이다.
sgn
σ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 \sigma }
는 순열의 부호수 이다. 즉,
σ
{\displaystyle \sigma }
가 짝순열 일 경우 1, 홀순열 일 경우 −1이다.
등식의 우변은
n
!
{\displaystyle n!}
개 항을 갖는
n
{\displaystyle n}
차 동차 다항식 이며,
n
≥
2
{\displaystyle n\geq 2}
일 경우 반은 더하는 항, 반은 빼는 항이다.
행렬식은 행 또는 열에 대한 라플라스 전개 를 통해 작은 크기의 행렬부터 시작하여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에 대하여,
M
{\displaystyle M}
의
i
{\displaystyle i}
번째 행과
j
{\displaystyle j}
번째 열을 제거한 부분 행렬 을
M
n
∖
i
,
n
∖
j
{\displaystyle M_{n\setminus i,n\setminus j}}
로 표기하자.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의 행렬식 은 다음과 같다.
det
(
)
=
1
{\displaystyle \det {\begin{pmatrix}\end{pmatrix}}=1}
det
M
=
∑
j
=
1
n
(
−
1
)
i
+
j
M
i
j
det
(
M
n
∖
i
,
n
∖
j
)
=
(
−
1
)
i
+
1
M
i
j
det
(
M
n
∖
i
,
n
∖
1
)
+
(
−
1
)
i
+
2
M
i
j
det
(
M
n
∖
i
,
n
∖
2
)
+
⋯
+
(
−
1
)
i
+
n
M
i
j
det
(
M
n
∖
i
,
n
∖
n
)
{\displaystyle {\begin{aligned}\det M&=\sum _{j=1}^{n}(-1)^{i+j}M_{ij}\det(M_{n\setminus i,n\setminus j})\\&=(-1)^{i+1}M_{ij}\det(M_{n\setminus i,n\setminus 1})+(-1)^{i+2}M_{ij}\det(M_{n\setminus i,n\setminus 2})+\cdots +(-1)^{i+n}M_{ij}\det(M_{n\setminus i,n\setminus n})\end{aligned}}}
이는 모든 행
i
∈
{
1
,
…
,
n
}
{\displaystyle i\in \{1,\dotsc ,n\}}
에 대하여 같은 함수를 정의하며, 다른 정의들과 동치 이다. 마찬가지로, 열
j
∈
{
1
,
…
,
n
}
{\displaystyle j\in \{1,\dotsc ,n\}}
에 대한 라플라스 전개 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가우스 소거법 은 정사각행렬을 일련의 기본행연산을 통해 상삼각행렬 로 변환한다. 행렬식의 선형성과 교대성에 따라, 기본행연산은 행렬식을 보고 알아낼 수 있는 배수만큼 변화시킨다. 또한, 상삼각행렬의 행렬식은 자명하게 모든 대각항의 곱이다. 따라서, 가우스 소거법을 통해 행렬식을 계산할 수 있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M
,
N
∈
Mat
(
n
;
K
)
{\displaystyle M,N\in \operatorname {Mat} (n;K)}
에 대하여, 다음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det
(
1
n
×
n
)
=
1
{\displaystyle \det(1_{n\times n})=1}
det
(
M
N
)
=
det
M
det
N
{\displaystyle \det(MN)=\det M\det N}
스칼라
a
∈
K
{\displaystyle a\in K}
에 대하여,
det
(
a
M
)
=
a
n
det
M
{\displaystyle \det(aM)=a^{n}\det M}
만약
M
{\displaystyle M}
이 가역 행렬 일 경우,
det
M
−
1
=
(
det
M
)
−
1
{\displaystyle \det M^{-1}=(\det M)^{-1}}
det
(
M
⊤
)
=
det
M
{\displaystyle \det(M^{\top })=\det M}
만약
K
=
C
{\displaystyle K=\mathbb {C} }
가 복소수체 일 경우,
det
(
M
∗
)
=
det
M
¯
{\displaystyle \det(M^{*})={\overline {\det M}}}
특히, 행렬식
det
:
Mat
(
n
;
K
)
→
K
{\displaystyle \det \colon \operatorname {Mat} (n;K)\to K}
는 환 준동형 이며, 일반적으로
K
{\displaystyle K}
-결합 대수 준동형이 아니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및 행의 집합
I
⊆
{
1
,
…
,
n
}
{\displaystyle I\subseteq \{1,\dotsc ,n\}}
에 대하여, 행렬식은 다음과 같은 점화식 을 갖는다.
det
M
=
∑
J
⊆
{
1
,
…
,
n
}
|
I
|
=
|
J
|
(
−
1
)
∑
I
+
∑
J
det
(
A
I
,
J
)
det
(
A
n
∖
I
,
n
∖
J
)
{\displaystyle \det M=\sum _{\scriptstyle J\subseteq \{1,\dotsc ,n\} \atop \scriptstyle |I|=|J|}(-1)^{\sum I+\sum J}\det(A_{I,J})\det(A_{n\setminus I,n\setminus J})}
마찬가지로, 열의 집합
J
⊆
{
1
,
…
,
n
}
{\displaystyle J\subseteq \{1,\dotsc ,n\}}
에 대한 점화식은 다음과 같다.
det
M
=
∑
I
⊆
{
1
,
…
,
n
}
|
I
|
=
|
J
|
(
−
1
)
∑
I
+
∑
J
det
(
A
I
,
J
)
det
(
A
n
∖
I
,
n
∖
J
)
{\displaystyle \det M=\sum _{\scriptstyle I\subseteq \{1,\dotsc ,n\} \atop \scriptstyle |I|=|J|}(-1)^{\sum I+\sum J}\det(A_{I,J})\det(A_{n\setminus I,n\setminus J})}
가환환
K
{\displaystyle K}
에 대하여, 교대 다중 선형 형식
Mat
(
n
;
K
)
→
K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K)\to K}
의 집합은 1차원
K
{\displaystyle K}
-자유 가군 을 이루며, 행렬식은 이
K
{\displaystyle K}
-자유 가군 의 한 기저 를 이룬다. 즉, 모든 교대 다중 선형 형식
Mat
(
n
;
K
)
→
K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K)\to K}
는 다음과 같은 꼴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a
det
{\displaystyle a\det }
a
∈
K
{\displaystyle a\in K}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에 대하여, 가역 행렬 은 행렬식이
K
{\displaystyle K}
의 가역원 인 것과 동치 이다. 특히, 만약
K
{\displaystyle K}
가 체 일 경우, 가역 행렬은 행렬식이 0이 아닌 것과 동치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에 대하여, 연립 일차 방정식
M
x
=
b
{\displaystyle Mx=b}
의 해
x
∈
M
−
1
(
b
)
⊆
K
n
{\displaystyle x\in M^{-1}(b)\subseteq K^{n}}
은
x
i
det
M
=
det
(
M
−
,
1
⋯
M
−
,
i
−
1
b
M
−
,
i
+
1
⋯
M
−
,
n
)
{\displaystyle x_{i}\det M=\det {\begin{pmatrix}M_{-,1}&\cdots &M_{-,i-1}&b&M_{-,i+1}&\cdots M_{-,n}\end{pmatrix}}}
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M
−
,
j
{\displaystyle M_{-,j}}
는
M
{\displaystyle M}
의
j
{\displaystyle j}
번째 열이다.) 특히, 만약
M
{\displaystyle M}
이 가역 행렬 일 경우, 그 유일한 해는
x
i
=
(
det
M
)
−
1
det
(
M
−
,
1
⋯
M
−
,
i
−
1
b
M
−
,
i
+
1
⋯
M
−
,
n
)
(
i
∈
{
1
,
…
,
n
}
)
{\displaystyle x_{i}=(\det M)^{-1}\det {\begin{pmatrix}M_{-,1}&\cdots &M_{-,i-1}&b&M_{-,i+1}&\cdots M_{-,n}\end{pmatrix}}\qquad (i\in \{1,\dotsc ,n\})}
이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정사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의 행렬식은 (중복도를 감안한) 모든 고윳값의 곱이자 특성 다항식 의 상수항이다.
det
M
=
λ
1
⋯
λ
n
{\displaystyle \det M=\lambda _{1}\cdots \lambda _{n}}
실수 정사각 행렬
M
∈
Mat
(
n
;
R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mathbb {R} )}
에 대하여, 실수 선형 변환
R
n
→
R
n
{\displaystyle \mathbb {R} ^{n}\to \mathbb {R} ^{n}}
x
↦
M
x
{\displaystyle x\mapsto Mx}
가 가측 집합
S
⊆
R
n
{\displaystyle S\subseteq \mathbb {R} ^{n}}
의 초부피를 확대시키는 배수는 행렬식의 절댓값
|
det
M
|
{\displaystyle |{\det M}|}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실수 행렬
M
∈
Mat
(
m
,
n
;
R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m,n;\mathbb {R} )}
에 대하여, 실수 선형 변환
R
n
→
R
m
{\displaystyle \mathbb {R} ^{n}\to \mathbb {R} ^{m}}
x
↦
M
x
{\displaystyle x\mapsto Mx}
가 가측 집합
S
⊆
R
n
{\displaystyle S\subseteq \mathbb {R} ^{n}}
의
n
{\displaystyle n}
차원 초부피를 확대시키는 배수는
det
(
A
⊤
A
)
{\displaystyle {\sqrt {\det(A^{\top }A)}}}
이다.
사뤼스 도식. 세 실선은 더하는 항, 세 점선은 빼는 항에 대응한다.
0×0, 1×1, 2×2, 3×3, 4×4 행렬의 행렬식은 각각 1, 1, 2, 6, 24개의 항을 갖는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
|
=
1
{\displaystyle {\begin{vmatrix}\;\end{vmatrix}}=1}
|
a
|
=
a
{\displaystyle {\begin{vmatrix}a\end{vmatrix}}=a}
|
a
b
c
d
|
=
a
d
−
b
c
{\displaystyle {\begin{vmatrix}a&b\\c&d\end{vmatrix}}=ad-bc}
|
a
b
c
d
e
f
g
h
i
|
=
a
e
i
+
b
f
g
+
c
d
h
−
c
e
g
−
b
d
i
−
a
f
h
{\displaystyle {\begin{vmatrix}a&b&c\\d&e&f\\g&h&i\end{vmatrix}}=aei+bfg+cdh-ceg-bdi-afh}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
=
a
f
k
p
−
a
f
l
o
−
a
g
j
p
+
a
g
l
n
+
a
h
j
o
−
a
h
k
n
−
b
e
k
p
+
b
e
l
o
+
b
g
i
p
−
b
g
l
m
−
b
h
i
o
+
b
h
k
m
+
c
e
j
p
−
c
e
l
n
−
c
f
i
p
+
c
f
l
m
+
c
h
i
n
−
c
h
j
m
−
d
e
j
o
+
d
e
k
n
+
d
f
i
o
−
d
f
k
m
−
d
g
i
n
+
d
g
j
m
{\displaystyle {\begin{array}{l}{\begin{vmatrix}a&b&c&d\\e&f&g&h\\i&j&k&l\\m&n&o&p\end{vmatrix}}\\\quad {}=afkp-aflo-agjp+agln+ahjo-ahkn\\\quad \quad {}-bekp+belo+bgip-bglm-bhio+bhkm\\\quad \quad \quad {}+cejp-celn-cfip+cflm+chin-chjm\\\quad \quad \quad \quad {}-dejo+dekn+dfio-dfkm-dgin+dgjm\end{array}}}
3×3 행렬의 행렬식 공식은 사뤼스 도식(영어 : Sarrus’ scheme )을 통해 기억할 수 있다. 즉, 3×3 행렬의 행렬식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열을 행렬의 오른쪽에 옮겨 적었을 때, 첫 행의 세 성분을 지나는 대각선의 위의 원소의 곱의 합과 마지막 행의 세 성분을 지나는 대각선 위의 원소의 곱의 합 사이의 차와 같다. 그러나 이는 4×4 이상의 행렬에서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실수 3×3 행렬의 행렬식은 그 행벡터 또는 열벡터의 스칼라 삼중곱 과 같다. 즉, 이는 행벡터 또는 열벡터로 구성된 평행 육면체 의 부피를 절댓값 으로 하며, 방향을 보존할 경우 양수, 반전시킬 경우 음수가 된다. 반대로, 실수 3차원 벡터의 스칼라 삼중곱 은 정규 직교 기저 에 대한 좌표 성분에 대한 3×3행렬식과 같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삼각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의 행렬식은 대각 성분들의 곱이다.
det
M
=
M
11
⋯
M
n
n
{\displaystyle \det M=M_{11}\cdots M_{nn}}
특히, 대각 행렬 의 행렬식은 대각 성분들의 곱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방데르몽드 행렬
M
=
(
1
1
1
⋯
1
x
1
x
2
x
3
⋯
x
n
x
1
2
x
2
2
x
3
2
⋯
x
n
2
⋮
⋮
⋮
⋮
x
1
n
−
1
x
2
n
−
1
x
3
n
−
1
⋯
x
n
n
−
1
)
∈
Mat
(
n
;
K
)
{\displaystyle M={\begin{pmatrix}1&1&1&\cdots &1\\x_{1}&x_{2}&x_{3}&\cdots &x_{n}\\x_{1}^{2}&x_{2}^{2}&x_{3}^{2}&\cdots &x_{n}^{2}\\\vdots &\vdots &\vdots &&\vdots \\x_{1}^{n-1}&x_{2}^{n-1}&x_{3}^{n-1}&\cdots &x_{n}^{n-1}\end{pmatrix}}\in \operatorname {Mat} (n;K)}
의 행렬식은
det
M
=
∏
i
<
j
(
x
j
−
x
i
)
{\displaystyle \det M=\prod _{i<j}(x_{j}-x_{i})}
이다.
역사적으로 행렬식은 행렬 보다 앞서 등장하였다. 행렬식은 원래는 연립 선형방정식의 성질을 결정하기 위해 정의되었고, 행렬식의 영어 이름 "디터미넌트"(영어 : determinant )는 "디터민"(영어 : determine )(결정하다)에서 유래하였다. 행렬식이 0이 아닌지 여부는 연립방정식이 유일한 해를 갖는지를 결정한다. 16세기 에 지롤라모 카르다노 가
2
×
2
{\displaystyle 2\times 2}
행렬식을, 17세기 에는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가 일반적인 행렬식의 크기를 정의하였다.
Axler, Sheldon Jay (1997), 《Linear Algebra Done Right》 2판, Springer-Verlag, ISBN 0-387-98259-0
de Boor, Carl (1990), “An empty exercise” (PDF) , 《ACM SIGNUM Newsletter》 25 (2): 3–7, doi :10.1145/122272.122273 , S2CID 62780452 .
Lay, David C. (2005년 8월 22일),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3판, Addison Wesley, ISBN 978-0-321-28713-7
Meyer, Carl D. (2001년 2월 15일), 《Matrix Analysis and Applied Linear Algebra》 ,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SIAM), ISBN 978-0-89871-454-8 , 2009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Muir, Thomas (1960) [1933], 《A treatise on the theory of determinants》, Revised and enlarged by William H. Metzler, New York, NY: Dover
Poole, David (2006), 《Linear Algebra: A Modern Introduction》 2판, Brooks/Cole, ISBN 0-534-99845-3
G. Baley Price (1947) "Some identities in the theory of determinant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54:75–90 틀:Mr
Horn, R. A.; Johnson, C. R. (2013), 《Matrix Analysis》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4823-6
Anton, Howard (2005), 《Elementary Linear Algebra (Applications Version)》 9판, Wiley International
Leon, Steven J. (2006),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7판, Pearson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