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본문으로 이동

황체 호르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로게스테론에서 넘어옴)

황체 호르몬
The chemical structure of progesterone.
A ball-and-stick model of progesterone.
이름
IUPAC 이름
(8S,9S,10R,13S,14S,17S)-17-acetyl-10,13-dimethyl-1,2,6,7,8,9,11,12,14,15,16,17-dodecahydrocyclopenta[a]phenanthren-3-one
별칭
P4;[1] Pregnenedione; Pregn-4-ene-3,20-dione[2][3]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00.318
KEGG
UNII
  • InChI=1S/C21H30O2/c1-13(22)17-6-7-18-16-5-4-14-12-15(23)8-10-20(14,2)19(16)9-11-21(17,18)3/h12,16-19H,4-11H2,1-3H3/t16-,17+,18-,19-,20-,21+/m0/s1 아니오아니오
    Key: RJKFOVLPORLFTN-LEKSSAKUSA-N 예
  • CC(=O)[C@H]1CC[C@@H]2[C@@]1(CC[C@H]3[C@H]2CCC4=CC(=O)CC[C@]34C)C
성질
C21H30O2
몰 질량 314.469 g/mol
녹는점 126
log P 4.04[4]
약리학
G03DA04 (WHO)
By mouth, topical/transdermal, vaginal, intramuscular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subcutaneous implant
약물동태학:
OMP: <10%[5][6]
Albumin: 80%
CBG: 18%
SHBG: <1%
• Free: 1–2%[7][8]
Hepatic (CYP2C19, CYP3A4, CYP2C9, 5α-reductase, 3α-HSD, 17α-hydroxylase, 21-hydroxylase, 20α-HSD)[9][10]
OMP: 16–18 hours[5][6][11]
IM: 22–26 hours[6][12]
SC: 13–18 hours[12]
Renal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프로게스테론[13](progesterone, P4) 또는 황체 호르몬[14](黃體hormone, 영어: luteal hormone, 황색체 호르몬)은 여성의 호르몬 중 하나이다. 여포 자극 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황체 형성 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에스트로겐(estrogen)과 함께 여성의 생식 주기를 조절한다. 월경 시작일 기준으로 1~14일을 여포기(follicular phase), 14~28일을 황체기(luteal phase)라고 한다.

황체 호르몬은 황체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sex hormone)의 여러 종류를 아울러 가리킨다. 주로 난소의 황체나 태반에서 분비되며, 임신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는 생화학적 반응을 갖는 합성 호르몬제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들은 약리학적 사용에서 무월경, 절박 및 습관 유산의 치료에 쓰인다.

생화학적 합성 경로

[편집]

황체호르몬작용

[편집]

자연적인 황체호르몬작용(黃體hormone作用)은 여성의 생식계에서 분비되어 자궁 내막, 자궁 근육에 작용하여 주로 월경 조절, 수정, 임신 유지에 관여하는 호르몬 작용이다. 몇 가지 다른 호르몬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15][16]

이러한 프로게스테론(P4 또는 progesterone 또는 황체호르몬)은 약물이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17] 이것은 호르몬으로서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낮은 성호르몬 수치에 대한 호르몬 치료에서 주로 에스트로겐(estrogens)과 함께 사용될수있다.[17][15] 이것은 또한 여성에게서 임신과 생식 능력을 지원하고 부인과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수있다.[16][18][19][20] 프로게스테론(P4)은 구강, 질, 근육이나 지방 주사 등을 통해 섭취 또는 투여할 수 있다.[17] 피임에 사용되는 프로게스테론 질 링과 프로게스테론 자궁 내 장치도 세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있다.[21][22]

종류

[편집]

황체 호르몬으로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프로게스토젠(또는 프로게스타겐), 프로게스틴(progestin) 등이 있다.

자가면역황체호르몬피부염

[편집]

자가면역황체호르몬피부염(自家免疫黃體hormone皮膚炎)은 월경 주기마다 피부병이 악화되는 피부염으로 월경 직전이 가장 심하며, 두드러기, 습진 따위의 다양한 피부병이 발생할 수 있다. 피부 반응 검사에서 프로게스테론을 사용하여 진단해볼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Jameson, J. Larry; De Groot, Leslie J. (2015년 2월 25일).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2179쪽. ISBN 978-0-323-32195-2. 
  2. Adler, Norman; Pfaff, Donald; Goy, Robert W. (2012년 12월 6일). 《Handbook of Behavioral Neurobiology Volume 7 Reproduction》 1판. New York: Plenum Press. 189쪽. ISBN 978-1-4684-4834-4.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3. “progesterone (CHEBI:17026)”. 《ChEBI》. European Molecular Biology Laboratory-EBI.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4. “Progesterone_msds”. 
  5. Stanczyk FZ (September 2002). “Pharmacokinetics and potency of progestins used fo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contraception”. 《Reviews in Endocrine & Metabolic Disorders》 3 (3): 211–24. doi:10.1023/A:1020072325818. PMID 12215716. S2CID 27018468. 
  6. Simon JA, Robinson DE, Andrews MC, Hildebrand JR, Rocci ML, Blake RE, Hodgen GD (July 1993). “The absorption of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the effect of food, dose proportionality, and comparison with intramuscular progesterone”. 《Fertility and Sterility》 60 (1): 26–33. doi:10.1016/S0015-0282(16)56031-2. PMID 8513955. 
  7. Fritz, Marc A.; Speroff, Leon (2012년 3월 28일).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4–쪽. ISBN 978-1-4511-4847-3. 
  8. Marshall, William J.; Marshall, William J.; Bangert, S. K. (2008). 《Clinical Chemistry》. Elsevier Health Sciences. 192–쪽. ISBN 978-0-7234-3455-9. 
  9. Yamazaki H, Shimada T (October 1997). “Progesterone and testosterone hydroxylation by cytochromes P450 2C19, 2C9, and 3A4 in human liver microsomes”.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346 (1): 161–9. doi:10.1006/abbi.1997.0302. PMID 9328296. 
  10. McKay, Gerard A.; Walters, Matthew R. (2013년 2월 6일). 《Lecture Notes: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John Wiley & Sons. 33쪽. ISBN 978-1-118-34489-7. 
  11. Zutshi (2005년 1월 1일). 《Hormones in Obstetrics and Gynaecology》. Jaypee Brothers Publishers. 74쪽. ISBN 978-81-8061-427-9.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2. Cometti B (November 2015). “Pharmaceutical and clinical development of a novel progesterone formulation”.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94 (Suppl 161): 28–37. doi:10.1111/aogs.12765. PMID 26342177. S2CID 31974637. 
  13.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progesterone&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14.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luteal+hormone&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15. Wesp LM, Deutsch MB (2017). “Hormonal and Surgical Treatment Options for Transgender Women and Transfeminine Spectrum Persons”. 《Psychiatr. Clin. North Am.》 40 (1): 99–111. doi:10.1016/j.psc.2016.10.006. PMID 28159148. 
  16. Ruan X, Mueck AO (November 2014). “Systemic progesterone therapy--oral, vaginal, injections and even transdermal?”. 《Maturitas》 79 (3): 248–55. doi:10.1016/j.maturitas.2014.07.009. PMID 25113944. 
  17. Kuhl H (2005).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PDF). 《Climacteric》. 8 Suppl 1: 3–63. doi:10.1080/13697130500148875. PMID 16112947. S2CID 24616324. 
  18. Filicori M (2015). “Clinical roles and applications of progesterone in reproductive medicine: an overview”. 《Acta Obstet Gynecol Scand》. 94 Suppl 161: 3–7. doi:10.1111/aogs.12791. PMID 26443945. 
  19. Ciampaglia W, Cognigni GE (2015). “Clinical use of progesterone in infertility and assisted reproduction”. 《Acta Obstet Gynecol Scand》. 94 Suppl 161: 17–27. doi:10.1111/aogs.12770. PMID 26345161. S2CID 40753277. 
  20. Choi SJ (2017). “Use of progesterone supplement therapy for prevention of preterm birth: review of literatures”. 《Obstet Gynecol Sci》 60 (5): 405–420. doi:10.5468/ogs.2017.60.5.405. PMC 5621069. PMID 28989916. 
  21. Whitaker, Amy; Gilliam, Melissa (2014). 《Contraception for Adolescent and Young Adult Women》. Springer. 98쪽. ISBN 9781461465799. 
  22. Chaudhuri (2007). 《Practice of Fertility Control: A Comprehensive Manual》 7Th판. Elsevier India. 153–쪽. ISBN 978-81-312-1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