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본문으로 이동

입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경   절기  양력
315° 입춘 2/4~5
330° 우수 2/18~19
345° 경칩 3/5~6
춘분 3/20~21
15° 청명 4/4~5
30° 곡우 4/20~21
여름
45° 입하 5/5~6
60° 소만 5/21~22
75° 망종 6/5~6
90° 하지 6/21~22
105° 소서 7/7~8
120° 대서 7/22~23
가을
135° 입추 8/7~8
150° 처서 8/22~24
165° 백로 9/7~8
180° 추분 9/22~23
195° 한로 10/8~9
210° 상강 10/23~24
겨울
225° 입동 11/7~8
240° 소설 11/22~23
255° 대설 12/7~8
270° 동지 12/21~22
285° 소한 1/5~6
300° 대한 1/20~21

입하(立夏, 문화어: 립하)는 24절기중 하나로, 양력 5월의 절기이며, 태양 황경이 45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5월 5일경에 든다.

생태

[편집]
  • 쥐참외(玉瓜)가 나온다.

풍속

[편집]
  •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가 잡혀 농사일이 바빠지고, 여러 가지 해충이나 잡초를 제거하기에 여념이 없을 때이다.

기상학적 계절 구분과의 비교

[편집]

나라별 현황

[편집]

대한민국

[편집]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여름의 시작을 9일 동안 일 평균기온이 20°C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로 정의하며, 나흘 전부터 나흘 후까지 9일 동안의 평균 기온이 이틀 연속 유지될 때를 기준으로 한다.[1][2][3][4][5][6]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10년 단위 평균 여름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7][8]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의 1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연도 시작일 ~ 종료일 기간 비율
1 1991년 ~ 2000년 6월 3일 ~ 9월 23일 113일 31.0%
2 2001년 ~ 2010년 5월 31일 ~ 9월 25일 118일 32.3%
3 2011년 ~ 2020년 5월 25일 ~ 9월 28일 127일 34.8%
  • 서울의 1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연도 시작일 ~ 종료일 기간 비율
1 1991년 ~ 2000년 6월 1일 ~ 9월 21일 113일 31.0%
2 2001년 ~ 2010년 5월 27일 ~ 9월 24일 121일 33.2%
3 2011년 ~ 2020년 5월 24일 ~ 9월 28일 128일 35.1%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기상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계절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네이버 지식in. 2023년 6월 15일)
  2.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2021년 4월 30일) 11쪽, 14쪽, 43쪽 참고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열린마당 → 발간물 → 기후변화 시나리오)
  3.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 기후통계분석 → 평년값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4. 기후평년값(1991~2020) 기후표
  5. NEWSIS (2019년 5월 11일). “낮기온 30도인데, 기상청 계절은 여전히 봄…왜일까?”. 2019년 5월 26일에 확인함. 
  6. 쉽게 말하면, 하루 평균기온이 20°C 이상인 경우이다.
  7. 관측자료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 과거 기후변화 → 관측자료 → 기타분석 → 계절길이
  8. 일별자료 기상청 날씨누리 → 관측·기후 → 육상 → 과거관측 (1960년부터 자료가 있음)
  9.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용어는 없다. 태양의 적위가 황경에 선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가 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의 날에서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의 이름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24절기를 현대 동아시아 전역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1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을 통해 계산하면, 태양의 적위 약 +11.7°인 곡우와, 태양의 황경 45°인 입하 사이는 몇십 일 차이가 난다. 이는 적위가 0°일 때와, 황경이 0°일 때 (춘분, 춘분점), 그리고 적위가 +23.44°일 때와, 황경이 90°일 때 (하지, 하지점), 또 적위가 0°일 때와, 황경이 180°일 때 (추분, 추분점), 또 적위가 -23.44°일 때와, 황경이 270°일 때 (동지, 동지점)의 사이가 몇십 분~몇 시간 차이인 것에 비해, 차이가 큰 것이다. (적위 참고)
  11. 전세계적으로 보면, 위도가 높아질수록, 하지동지 때의 "낮의 길이" 차이는 점점 커진다. 즉, 북위 66.5° 이상인 지역에서는, 하지 때 하루 24시간, 1,440분 중에 낮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 이고, 동지 때는 0%이다. 반대로, 남위 66.5° 이상인 지역에서는, 하지 때는 0% 이고, 동지 때는 100%이다. (백야, 극야 참고)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및 링크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