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자리 베타
까마귀자리 베타 | ||
명칭 | ||
---|---|---|
다른 이름 | 크라즈, 까마귀자리 베타, 까마귀자리 9, BD−22 3401, CD−22 3401, CD−22 9505, CPD−22 5388, FK5 471, GC 17133, HD 109379, HIP 61359, HR 4786, PPM 260512, SAO 180915.[1][2]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까마귀자리 | |
적경(α) | 12h 34m 23.23484s[3] | |
적위(δ) | −23° 23′ 48.3374″[3] | |
겉보기등급(m) | 2.647[4] | |
절대등급(M) | –0.61[5]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22.39 ± 0.18 밀리초각[3] | |
성질 | ||
광도 | 164 L☉[6] | |
나이 | 2.06 × 108 년[7] | |
분광형 | G5 II[7] | |
추가 사항 | ||
질량 | 3.7 ± 0.1 M☉[7] | |
표면온도 | 5,100 ± 80 K[7] | |
표면 중력 (log g) | 2.52 ± 0.03[7] | |
자전 속도 | 8[8] | |
항성 목록 |
까마귀자리 베타(Beta Crv, β Corvi, β Crv)는 남반구 하늘 까마귀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예전부터 불려 오던 이름으로 크라즈가 있으나 어원과 그 의미는 불명확하다.[9][10]
이름
[편집]고유명칭 크라즈(Kraz)는 체코 천문학자 Antonín Bečvář의 저서 Atlas Coeli 에서 나온다. 폴 쿠니치 교수는 이 명칭의 어원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11]
동아시아의 천문학에서 이 별은 진수(軫宿<)를 이루는 별(까마귀자리 베타, 감마, 에타, 델타) 중 하나이다.[12] 베타별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진수사(軫宿四, 진수 별자리에서 네 번째)이다.[13]
물리적 특징
[편집]까마귀자리 베타는 태양보다 무겁고 밝은 별이다. 질량은 태양의 3.7배에 나이는 약 2억 600만 년이다.[7] 태양의 46억 년에 비하면 짧지만 질량이 크기 때문에 항성진화 단계에서 이 별은 주계열 단계를 떠났다. 분광형은 G5 II로[7] 여기에서 광도분류 'II'는 베타가 밝은 거성임을 뜻한다. 대기 바깥쪽의 유효 온도는 약 5100 켈빈으로[7] G형 항성이 보여주는 노란색 빛을 뿜는다.[14]
관측기구로 잰 베타의 각지름은 3.30 ± 0.17 밀리초각이다.[15] 지구로부터 이 별까지의 거리가 약 146 광년(45 파섹)이므로[3] 이로부터 베타의 실제 반지름은 태양의 약 16배임을 알 수 있다.[9][16] 질량과 반지름으로부터 별의 밝기는 태양의 약 164배가 나온다.[6] 수소 및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대기 내 포함비율(천문학에서는 보통 중원소라고 부른다.)은 태양과 비슷하다.[5]
이 별은 변광성으로 겉보기 등급은 최소 2.66에서 최대 2.60까지 변한다.[1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R 4786, database entry, The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Preliminary Version), D. Hoffleit and W. H. Warren, Jr., CDS ID V/50. Accessed on line September 9, 2008.
- ↑ * bet Crv -- Variable Star, database entry, SIMBAD. Accessed on line September 9, 2008.
-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Gutierrez-Moreno, Adelina; 외. (1966). “A System of photometric standards” 1.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Chile, Department de Astronomy: 1–17. Bibcode:1966PDAUC...1....1G.
- ↑ 가 나 Takeda, Yoichi; Sato, Bun'ei; Murata, Daisuke (August 2008), “Stellar Parameters and Elemental Abundances of Late-G Giant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60 (4): 781–802, arXiv:0805.2434, Bibcode:2008PASJ...60..781T, doi:10.1093/pasj/60.4.781
- ↑ 가 나 Mallik, Sushma V. (December 1999), “Lithium abundance and mas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2: 495–507, Bibcode:1999A&A...352..495M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Lyubimkov, Leonid S.; 외. (February 2010).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A-, F- and G-type Supergiants in the solar neighbourhoo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2 (2): 1369–1379. arXiv:0911.1335. Bibcode:2010MNRAS.402.1369L. doi:10.1111/j.1365-2966.2009.15979.x.
- ↑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Bibcode:1970CoAsi.239....1B.
- ↑ 가 나 Kaler, James B., “KRAZ (Beta Corvi)”,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Falkner, David E. (2011), 《The Mythology of the Night Sky: An Amateur Astronomer's Guide to the Ancient Greek and Roman Legends》, Patrick Moore's Practical Astronomy, Springer, 81쪽, ISBN 1-4614-0136-4
- ↑ Kunitzch, Paul; Smart, Tim (2006) [1986].
- ↑ (Chinese)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 ↑ (Chinese)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11년 1월 29일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Richichi, A.; Percheron, I.; Khristoforova, M. (February 2005),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773–777, Bibcode:2005A&A...431..773R, doi:10.1051/0004-6361:20042039
- ↑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판, Birkhäuser, ISBN 3-540-29692-1. 여기에서 반지름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Kukarkin, B. V.; 외. (1981), 《Nachrichtenblatt der Vereinigung der Sternfreunde e.V. (Catalogue of suspected variable stars)》, Moscow: Academy of Sciences USSR Shternberg, Bibcode:1981NVS...C......0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