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메탈 판
Zygomatic plate설치류 해부학에서, zygomatic plate는 zygomatic arch(치크본)의 평평한 앞부분에서 파생된 뼈 판이다.[1]뒷면에는 지관 아치의 앞쪽(최대) 뿌리와 연결되며, 위쪽에는 반관절교를 통해 나머지 두개골과 연결된다.[2]상완골, 즉 위턱의 일부로서 상완골도 포함되어 있다.원시적으로, 설치류들은 거의 수평의 zygomatic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3]zygomasseteric 시스템의 전문화와 관련하여, 몇 가지 뚜렷한 형태학이 순서에 따라 개발되었다.
이 용어는 또한 Phyototypotherium과[4] Medistylus를 포함한 일부 남아메리카 타이포테아에서 유사한 구조로 사용된다.[5]
함수
자성판은 앞쪽 깊은 질량계 근육에 의해 경추의 수축으로 인한 근육의 긴장을 견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경식을 경추와 함께 분쇄하는 설치류는 오히려 어금니를 이런 목적으로 사용하는 설치류보다 넓은 자성판을 갖는 경향이 있다.[6]
히스트리코모르파
이 크고 다양한 하위 주문의 구성원들은 좁고 낮은 자성 판을 가지고 있다.[7]
시루로모르파
하위 순서인 시큐로모르파에는 세 가족이 포함된다.[8]다람쥐(Sciurae)는 다람쥐목(Sciurae) 위로 뻗어나가는 넓은 지관성 판을 갖는 경향이 있다.[9]유일하게 살아남은 가족인 산비어(Aplodontia rufa)는 원시적인 좁고 낮은 판을 간직하고 있다.[10]도미체(글리르과)는 판이 더 낮은 그래피우루스를 제외하고 넓고 높은 자성판을 가지고 있다.[11][12]
카스토리모르파
비버, 포켓 고퍼, 포켓 생쥐를 포함하는 하위 주문 카스토리모르파 멤버들은 인포폴라 포아멘 위로 확장되는 넓은 지관성 판을 갖는 경향이 있다.[8][13]
아말랄로모르파
아말랄로모르파(Anmaluromorpha)는 작은 하위주문이며, 두 가족만을 포함하고 있다.[8]아노말루과에는 낮고 좁은 자성판이 있다.[14]이두리네 아과의 구성원들은 zygomatic plate를 근친상간으로 거의 앞으로 확장시키는 것에 비정형적이다.[15]스프링하스(페데스)의 상태도 비슷하다.[15]
묘모르파
미오모르파는 설치류 중 가장 큰 아순이다.[8]가장 많은 부분군인 무로이데아(디포디대를 제외한 모든 살아 있는 가족을 포함한다)에서, zygomatic plate는 일반적으로 넓고 위로 기울어져 있다.[16]뮤로이드는 판이 실제 자성 아치의 앞쪽(최대) 뿌리 앞에 펼쳐져 자성 노치를 만들 수 있다.[17]어떤 곳에서는, 판이 앞쪽에 펼쳐져 가느다란 과정인 척추에 이른다.[18]
쌍둥이와
히스테리코모르제트모폴로지(hystricomphous zygomasseteric morphology)를 가진 디포디과(Dipodae)의 구성원들은 거의 수평적이고 좁은 zygomatic plate를 가지고 있다.[19]
플라타칸토미아과
소가족인 플라타칸토미과의 구성원들은 비교적 좁은 자명판을 가지고 있다.[20]
스팔라과
포수적으로 특화된 가문인 Spalacae는 zygomatic plate의 상태에 특이성을 보인다.타키오릭테스(Tachyoryctes)와 리조미니아(Rhizomyinae)에서는 위로 기울어져 코끝(rostrum)의 측면에 융접한다.[20]반면 스팔라시네와 묘스팔라시네에서는 판이 거의 수평으로 아래로 기울어진다.[21]
칼로미스과
유일한 혈족인 쥐처럼 생긴 햄스터(칼로미스쿠스)는 지그모티브 판에 앞쪽 여백이 일직선이다.[22]
네소미아과
Dendromus는 Steatomys와[25] Prionomys가 그랬던 것처럼 좁은 zygomatic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24][26]
브라큐로미스는 아르비콜린과 같은 높은 자성판을 가지고 있다.[27]엘리우루스에서는 접시의 앞쪽 테두리가 곧다.[28]네소미스는 낮은 Zygomatic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29]Heavegeomys에서는 넓지만 다소 낮다.[30]
무리과
무리대는 그 질서의 가장 큰 가족으로 여러 개의 하위 가족을 포함하고 있다.[23]
데오미나에 소속된 데오미스는 같은 아족인 로푸로미스와 마찬가지로 유난히 낮은 지오메틱 판을 가지고 있다.[27][31]
구세계 쥐와 쥐인 무리나에 아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잘 발달된 지족노치를 가진 상당히 넓은 지족판을 가지고 있다.[32]척추는 노토미스와 일부 필로미스를 포함한 일부 호주에서 개발된다.크세로미스를 제외하고 하이드로미스와 관련 제네랄("하이드로미스")은 히드로미스,[32] 맥루로미스, 크루노미스,[31] 린초미스처럼 노치가 부족한 좁은 판을 가지고 있다.[33]필리핀 바토미스, 카르포미스, 크레이터모미스는 아르비콜리네에 있는 것을 연상시키는 자성판이 잘 발달되어 있다.[34]Phloomys는 넓은 zygomatic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35]
크리세티과
크리세티과는 그 주문에서 두 번째로 큰 종으로 여러 개의 하위 종과 수백 종의 종을 포함하고 있다.[23]
부족인 아르비콜리네아(Arvicolinae)는 부피와 레밍으로, zygomatic plate가 매우 강하게 위로 기울어져 있다.[27]
하위 가문인 Tylomyinae에서 Nyctomys는 좁은 zygomatic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36]
네오토미네 회원 가운데 바이오미스, 레이트로돈토미스, 오니초미스, 페로미스코스 등이 좁은 지오토미스 판을 갖고 있다.[37]
다수의 부족을 포함하는 지그모돈티네 아과에 속하는 구성원들은 대개 두개골의 상부 표면 아래에 항근교(antiorbital bridge)를 가지고 있다.[2]대부분은 자성노치를 가지고 있다.[17]뒷면의 지그모던티 플레이트의 범위는 지그모돈티나아내에서도 가변적이며, 일부는 첫 번째 어금니 높이까지 판이 다시 확장되고 다른 일부는 더 짧은 판을 가지고 있다.[38]
반수족인 이치토미니의 구성원들은 지그모돈티나족 중에서 지그모돈티노치가 부족한 특이한 존재다.[39]어금니에서, 어금니 판의 발달은 치아의 발달과 상관관계가 있다: 어금니가 크고 작은 어금니를 가진 종은 첫 어금니까지 연장되지 않는 가느다란 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어금니가 크고 어금니가 작은 종은 일부 어금니를 포함하여 더 큰 어금니를 가지고 있다.네우스티코미스는 첫 번째 어금니의 레벨에 도달하는 더 넓은 zygomic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40]
자신의 부족에 분류되는 지그모돈속은 넓은 지그모티브 판과 지그모티브 척추를 가지고 있다.[41]지그모티브 판의 상대적 폭은 지그모돈의 일부 종을 구별할 수 있다.[42]
필로티니 부족의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지그모돈티나에 평소보다 높은 곳에 항고르비탈 다리를 가지고 있다(칼로미스와 안달갈로미스는 정상적인 지그모돈틴 상태를 보여준다).이와 비슷한 조건은 더 이상 필로틴으로 여겨지지 않고 대부분의 실제 필로틴보다 훨씬 더 큰 정도로 은어미스, 네오토미스, 레이트로돈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은어미스에서는 두개골 윗면에 항균교가 삽입된다.[43]필로틴은 대부분 지느러미가 있지만 레이트로돈에서는 구조가 더 잘 발달되어 있다.[44]첫 번째 어금니까지 거꾸로 뻗지 않는 자성판은 필로틴의 진단적 특성이다.[45]
대부분의 토마스미닌은 잘 발달된 자성노치가 부족하다.[44]Rhipidomys속은 좁은 자성판을 가지고 있고, 자성 척추도 없고 단지 좁은 노치만을 가지고 있다.[46]토마스모미스는 좁은 자명판을 공유한다.[47]
아코돈티니에서는 옥시마이크테루스와 레녹수스가 로푸로미스와 비슷한 낮은 자성판을 가지고 있다.[48]Scapteromys는 낮은 접시를 공유한다.[49]아코돈에서는 다른 많은 아코돈틴에서처럼 접시가 좁다.[50] 이것은 블라니로미스에서 매우 그렇다.[51]
아브로트리치니 부족은 위쪽 국경에 연장이 없는 좁은 zygomatic 판이 특징이다.[52]
오리스조미니 부족에서는 자생판의 구성이 가변적이다.대부분은 잘 발달된 자성노치를 가지고 있다.이와 관련된 세 가지 제네랄인 홀로킬루스, 필로리오미스, 룬도미스에서 이 연장은 더욱 자성 척추로 발전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미크로리조미스, 오로리조미스, 외코미스, 스콜로미스, 지그모돈토미스 아프라스투스는 잘 정의된 노치가 결여되어 있고, 지그모돈토미스 압라스투스는 지그모티브 아치의 뿌리 앞에 눈에 띄게 연장되지 않는다.[53]상피 첫 번째 어금니 수준으로 다시 확장되는 zygomatic plate는 Oryzomini 내 Clade C의 putative 시너포모피이다.[54]
Sigmodontine Juliomys 픽티프는 거의 수직으로 된 zygomic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55]
참조
- ^ Voss, 1988 페이지 271
- ^ a b Steppan, 1995, 페이지 29
- ^ 우드, 1935, 페이지 246
- ^ 패터슨, 1934년 페이지 124
- ^ Reguero 외, 2007, 페이지 1305
- ^ 보스, 1988년 페이지 408-410
- ^ 엘러먼, 1940, 페이지 24–29, 33, 젠킨스 외, 2005, 페이지 427
- ^ a b c d 칼튼 앤 머서, 2005년
- ^ 엘러먼, 1940, 페이지 30, 밀러와 기들리, 1918, 페이지 432-433
- ^ 엘러맨, 1940, 페이지 29
- ^ 엘러맨, 1940, 페이지 37
- ^ 엘러맨, 1940, 페이지 36
- ^ 엘러먼, 1940, 페이지 31, 밀러와 기들리, 1918, 페이지 432–433
- ^ 엘러맨, 1940, 페이지 32
- ^ a b 엘러맨, 1940, 페이지 33
- ^ 엘러먼, 1940, 페이지 35, 엘러먼, 1941, 페이지 1-2
- ^ a b Steppan, 1995, 페이지 30, Weksler, 2006, 페이지 32
- ^ Steppan, 1995, 페이지 30, Weksler, 2006, 그림 17.
- ^ 우드, 1935, 페이지 246, 엘러맨, 1940, 페이지 34
- ^ a b 밀러와 기들리, 1918, 페이지 437, 엘러만, 1940, 페이지 37
- ^ 밀러와 기들리, 1918, 페이지 438, 엘러만, 1940, 페이지 37
- ^ 엘러맨, 1941 페이지 404
- ^ a b c Musser and Carleton, 2005년
- ^ 엘러맨, 1941 페이지 307
- ^ 엘러맨, 1941 페이지 311
- ^ 엘러맨, 1941 페이지 315
- ^ a b c 엘러먼, 1941년, 페이지 6
- ^ 엘러먼, 1941년, 페이지 76
- ^ 엘러맨, 1941 페이지 376
- ^ 엘러먼, 1941년 페이지 481
- ^ a b 엘러맨, 1941년, 페이지 56
- ^ a b 1951년 테이트 페이지 210
- ^ 엘러먼, 1941년, 페이지 296
- ^ 엘러맨, 1941 페이지 48
- ^ 엘러맨, 1941년, 페이지 292
- ^ 엘러맨, 1941 페이지 375
- ^ 엘러맨, 1941 페이지 378, 385, 401, 404
- ^ 웩슬러, 2006, 페이지 32
- ^ 보스, 1988년 페이지 284
- ^ 보스, 1988년 페이지 289-290
- ^ Voss, 1992 페이지 13
- ^ 1992년 Voss 페이지 35
- ^ Steppan, 1995, 페이지 28–29; D'Elia 등, 2007, 페이지 191–192
- ^ a b Steppan, 1995, 페이지
- ^ 스테판, 1995, 페이지 72
- ^ 패튼 외, 2000, 페이지 162
- ^ 엘러맨, 1941년 페이지 367
- ^ 엘러맨, 1941 페이지 330
- ^ 엘러맨, 1941 페이지 426
- ^ 엘러먼, 1941년 페이지 407
- ^ 엘러맨, 1941 페이지 422
- ^ 딜리아 외, 2007, 페이지 188
- ^ Weksler, 2006, 페이지 31–32, 그림 17; Weksler 외, 2006, 명명법
- ^ 웩슬러, 2006, 페이지 128
- ^ 오스굿, 1933 페이지 12; 머서 앤 칼턴, 2005 페이지 1121
인용된 문헌
- Carleton, M.D.; Musser, G.G. (2005). "Order Rodentia". In Wilson, D.E.;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745–752. ISBN 978-0-8018-8221-0. 2권, 2142쪽
- D'Elía, G.; Pardiñas, U.F.J.; Teta, P.; Patton, J.L (2007). "Definition and diagnosis of a new tribe of sigmodont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nd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Gayana. 71 (2): 187–194. doi:10.4067/s0717-65382007000200007.
- Ellerman, J.R (1940). The families and genera of living rodents. Volume I. Rodents other than Muridae. London: Printed by order of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689쪽
- Ellerman, J.R. (1941). The families and genera of living rodents. Volume II. Family Muridae. London: Printed by order of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690페이지.
- Jenkins, P.D.; Kilpatrick, C.W.; Robinson, M.F; Timmins, R.J. (2005).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nvestigations of a new family, genus and species of rodent (Mammalia: Rodentia: Hystricognatha) from Lao PDR". Systematics and Biodiversity. 2 (4): 419–454. doi:10.1017/S1477200004001549. S2CID 86411689.
- Miller, G.S., Jr.; Gidley, J.W. (1918). "Synopsis of the supergeneric groups of rodents". Journal of th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 8: 431–448. doi:10.5962/bhl.part.6490.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In Wilson, D.E.;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894–1531. ISBN 978-0-8018-8221-0. 2권, 2142쪽
- Osgood, W.H. (1933). "Two new rodents from Argentina". Fieldiana Zoology. 20 (3): 11–14.
- Patterson, B. (1934). Trachytherus, a typotherid from the Deseado beds of Patagonia. Geological Series. Vol. 6.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pp. 91–111.
- Patton, J.L.; da Silva, M.N.F.; Malcolm, J.R. (2000). "Mammals of the Rio Juruá and the evolutionary and ecological diversification of Amazoni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44: 1–306. doi:10.1206/0003-0090(2000)244<0001:motrja>2.0.co;2. hdl:2246/1593.
- Reguero, M.A.; Dozo, M.T.; Cerdeño, E. (2007). "A poorly known rodentlike mammal (Pachyrukhinae, Hegetotheriidae, Notoungulata) from the Deseadan (Late Oligocene) of Argentina. Paleoecology, biogeography, and radiation of the rodentlike ungulates in South America" (PDF). Journal of Paleontology. 81 (6): 1301–1307. doi:10.1666/05-100.1. S2CID 55259241.
- Steppan, S.J. (1995). "Revision of the tribe Phyllotini (Rodentia: Sigmodontinae), with a phylogenetic hypothesis for the Sigmodontinae". Fieldiana Zoology. 80: 1–112. doi:10.5962/bhl.title.3336.
- Tate, G.H.H. (1951). "The rodents of Australia and New Guine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97: 187–430. hdl:2246/1060.
- Voss, R.S. (1988). "Systematics and ecology of ichthyomyine rodents (Muroidea): patterns of morphological evolution in a small adaptive radi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88: 259–493.
- Voss, R.S. (1992). "A revision of the South American species of Sigmodon (Mammalia: Muridae) with notes on their natural history and biogeography". American Museum Novitates. 3050: 1–56.
- Weksler, M. (2006).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ryzomyine rodents (Muroidea: Sigmodontinae): separate and combined analyse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96: 1–149. doi:10.1206/0003-0090(2006)296[0001:PROORM]2.0.CO;2. hdl:2246/5777.
- Weksler, M.; Percequillo, A.R.; Voss, R.S. (2006).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Novitates. 3537: 1–29. doi:10.1206/0003-0082(2006)3537[1:TNGOOR]2.0.CO;2. hdl:2246/5815.
- Wood, A.E. (1935). "Evolution and relationships of the heteromyid rodents with new forms from the Tertiary of western North America". Annals of Carnegie Museum. 24: 7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