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러 셰일

Wheeler Shale
휠러 셰일
Stratigraphic 범위:
중기 캄브리아기
~507 엄마 PreꞒ Ꞓ OSDCPTJKPg N↓.
ElrathiakingiUtahWheelerCambrian.jpg
Elrathia kingii, 휠러 이판암 지구의 유명한 trilobite.
유형지질 형성
두께100–200 m(330–660 ft)
석판학
1차석회질 토양 셰일
기타Mudstone,shaley 석회암과 석회암.
위치
좌표39°15′N 113°20′W / 39.25°N 113.33°W /39.25, -113.33
지역하우스 산맥과 드럼 산맥, 밀러드, 서부 유타.
나라미국
매개 변수 형식 섹션
아픔을하우스 고대(지리적 형상과 모식 산지).
에 의해 명명된월컷

휠러 셰일(Charles Walcott에 의해 이름 붙여진)은 다산성 아그노스티드와 엘라스티아 킹i 3엽충(화석이[1] 없는 지역이 많음에도 불구하고)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캄브리아(c.507 Ma) 화석 지역성으로, 콘젠트라트 라거스테트를 나타낸다.[2] 다양한 부드러운 체형 유기체들이 국소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동물원(나라오아, 위왁시아, 환각제 포함), 그리고 일반적으로 더 유명한 버지스 셰일과 관련된 보존 스타일(카본색 필름)이 있다.[3] 이와 같이 휠러 셰일(Wheeler Shale)은 콘세르바트 라거스테텐(Konservat-Lagerstetten)을 대표하기도 한다.[4]

마점 형성과 낮은 주 형성과 함께, 휠러 셰일은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두껍고, 가장 화석이 많고, 가장 잘 노출된 중간 캄브리아 암석 중 하나에서 노출된 490~610m (1,610~2000ft)의 석회암과 셰일을 형성한다.[5]

유타주 서부 밀라드 카운티하우스 레인지에 있는 휠러 원형극장의 유형 지역인 휠러 셰일은 석회암, 셰일 석회암, 흙돌, 얇고 국기가 많은 석회암의 이질적인 계승으로 구성되어 있다.[6] 휠러 포메이션(마줌 & 주 포메이션은 누락되었지만)은 하우스 레인지 북서쪽에 있는 드럼 산맥으로 뻗어 있으며, 이 산맥에서는 유사한 화석과 보존이 발견된다.[6]

타포노미 및 침전물학

유타주 휠러 셰일, 캠브리안, 아사피스커스 휠러리

.

버지스 셰일의 절지동물인 에메랄드텔라 브로키

상세한 작업은 10m 두께의 라거스테텐 시퀀스를 형성하는데, 각각 깊은 수심에서의 해수면 높은 곳에서[7] 형성된다.[8] 라거스테트는 탁도와 진흙에 의해 산소가 함유된 해저에 퇴적되었다.[7] 생산적 층은 진흙과 점토 입자로 구성되며, 바람으로 인한 석영도 매우 적다.[9]

층류성

휠러 셰일(Wheeler Shale)은 피티차그노스티우스 아타부스(Ptychagnostus atatavus[10])와 최상단 캠브리안 볼라스피델라 트릴로바이트(See House Range)에 걸쳐 완전한 층을 형성한다.

파우나

휠러 셰일의 동물 목록 미완성:[6][11][12][13][14][15][16] (참고: 단단한 보디드 삼엽충과 부드러운 보디드 동물의 보존은 특정 지평 내에서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보인다.)[4][17]


프로티스타

절지동물

아라크노모르파

트리오비타

브라치오포다류

코다타

신이다리아

연체 동물문

에치노데르마타

포리페라

프리아풀라목

미분류

참조

  1. ^ Johnson, Kirk; Troll, Ray (2007), Cruising the fossil freeway: An epoch tale of a scientist and an artist on the ultimate 5,000-Mile paleo road trip, Golden, CO.: Fulcrum Publishing, ISBN 978-1-55591-451-6
  2. ^ Robert R. Gaines; Mary L. Droser (2003), "Paleoecology of the familiar trilobite Elrathia kingii: An early exaerobic zone inhabitant" (pdf), Geology, 31 (11): 941–4, Bibcode:2003Geo....31..941G, doi:10.1130/G19926.1
  3. ^ Robert R. Gaines; Derek E.G. Briggs; Zhao Yuanlong (2008), "Cambrian Burgess Shale–type deposits share a common mode of fossilization", Geology, 36 (10): 755–758, Bibcode:2008Geo....36..755G, doi:10.1130/G24961A.1
  4. ^ a b Gaines, R; Kennedy, M; Droser, M (2005), "A New Hypothesis for Organic Preservation of Burgess Shale Taxa in the Middle Cambrian Wheeler Formation, House Range, Utah",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20: 193–205, Bibcode:2005PPP...220..193G, doi:10.1016/j.palaeo.2004.07.034
  5. ^ Robison, R.A. (1964), "Late Middle Cambrian faunas from western Utah", Journal of Paleontology, 38 (3): 510–566
  6. ^ a b c Gunther, L.F.; Gunther, V.G. (1981), "Some Middle Cambrian Fossils of Utah", Brigham Young University Geology Studies, 28: 1–81
  7. ^ a b Brett, C. E.; Allison, P. A.; Desantis, M. K.; Liddell, W. D.; Kramer, A. (2009). "Sequence stratigraphy, cyclic facies, and lagerstätten in the Middle Cambrian Wheeler and Marjum Formations, Great Basin, Utah".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77: 9–33. Bibcode:2009PPP...277....9B. doi:10.1016/j.palaeo.2009.02.010.
  8. ^ Halgedahl, S. L.; Jarrard, R. D.; Brett, C. E.; Allison, P. A. (2009). "Geophysical and geological signatures of relative sea level change in the upper Wheeler Formation, Drum Mountains, West-Central Utah: A perspective into exceptional preservation of fossil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77 (1–2): 34–56. doi:10.1016/j.palaeo.2009.02.011.
  9. ^ Gaines, R. R.; Kennedy, M. J.; Droser, M. L. (2005). "A new hypothesis for organic preservation of Burgess Shale taxa in the middle Cambrian Wheeler Formation, House Range, Utah".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20: 193. Bibcode:2005PPP...220..193G. doi:10.1016/j.palaeo.2004.07.034.
  10. ^ Lieberman, B. S. (2003). "A New Soft-Bodied Fauna: the Pioche Formation of Nevada". Journal of Paleontology. 77 (4): 674–690. doi:10.1666/0022-3360(2003)077<0674:ANSFTP>2.0.CO;2. ISSN 0022-3360.
  11. ^ Briggs, D.E.G.; Robison, R.A. (1984), Exceptionally preserved nontrilobite arthropods and Anomalocaris from the Middle Cambrian of Utah, The Paleontological Institute, The University of Kansas
  12. ^ UC 버클리 휠러 셰일 화석 사진
  13. ^ Rigby, J.K. (1978), "Porifera of the Middle Cambrian Wheeler Shale, from the Wheeler Amphitheater, House Range, in western Utah", Journal of Paleontology, 52 (6): 1325–1345, doi:10.2307/1303938
  14. ^ 캔자스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서 본 유타의 캄브리아 라이프
  15. ^ 유타 대학의 유타에서 온 캄브리아 화석
  16. ^ 가상 화석 박물관의 종합적 처리
  17. ^ Gaines, Robert R.; Droser, Mary L.; Kennedy, Martin J. (2001), "Taphonomy of soft-bodied preservation and ptychopariid Lagerstätte in the Wheeler Shale (Middle Cambrian), House Range, USA; controls and implications", PaleoBios, 21 (Suppl.2):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