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H G64
WOH G64관측자료 에포크J2000.0이쿼녹스J2000.0 | |
---|---|
별자리 | 도라도(LMC) |
승천 | 04h 55m 10.5252s[1] |
데클라인먼트 | −68° 20′ 29.998″[1] |
겉보기 크기(V) | 17.7 - 18.8[2] |
특성. | |
진화단계 | OH/IR 적색 초거성 |
분광형 | M5 I[3] – M7.5e[4][5] |
겉보기등급(K) | 6.849[6] |
겉보기등급(R) | 15.69[7] |
겉보기등급(G) | 15.0971[1] |
겉보기등급(I) | 12.795[8] |
겉보기등급(J) | 9.252[6] |
겉보기등급(H) | 7.745[6] |
가변형 | 탄소가 풍부한 LPV(Mira?)[8] |
측성법 | |
반지름 속도(Rv) | 294±2km[3]/s |
고유운동(μ) | RA: 1.108[1]mas/yr Dec.: −1.348[1]mas/yr |
시차(π) | −0.2280 ± 0.0625 mas[1] |
거리 | 16만 (50,000개[3]) |
절대규모(MV) | −6.00[3] |
세부 사항 | |
반지름 | 1,540±77[3][9][10] R☉ |
광도 | 282,000+34,400 −30,700[3] L☉ |
표면 중력(로그 g) | +0.0[11]–−0.5[3] cgs |
온도 | 3,400±25[3] K |
나이 | ≤5[12] Myr |
기타지정 | |
데이터베이스 참조 | |
심배드 | 데이터. |
WOH G64(IRAS 04553-6825)는 도라도 남쪽에 있는 대마젤란운(LMC) 위성 은하에 있는 특이한[3] 적색초거성(RSG) 별입니다. 이 별은 알려진 가장 큰 별 중 하나이며, 알려진 별 중 가장 큰 것으로 묘사됩니다.[3][13] 반지름은 태양의 약 1,540배,R☉ 광도는 태양 광도의 약 282,000배로 계산되며 가장 밝고 거대한 적색 초거성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L☉
WOHG64는 태양 질량의 3~9배를 포함하는 지름 약 1광년의 두꺼운 먼지 외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14] 만약 태양계의 중심에 위치한다면, 이 별의 광구는 목성의 궤도를 집어삼킬 것입니다.
디스커버리
WOHG64는 1970년대 벵트 웨스터룬드, 올랜더, 헤딘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백조자리 NML과 마찬가지로 별 이름의 "WOH"는 발견자 세 명의 이름에서 유래했지만, 이 경우에는 LMC에 있는 거대 및 초거성 전체 목록을 의미합니다.[15] 또한 웨스터룬드는 아라자리에 있는 거대 초거성 성단 웨스터룬드 1에서 발견된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적색 초거성 웨스터룬드 1-26을 발견했습니다.[16] 1986년, 적외선 관측 결과 이 별은 복사의 약 4분의 3을 흡수하는 가스와 먼지로 둘러싸인 고도로 빛나는 초거성임이 밝혀졌습니다.[5]
2007년 초거대망원경(VLT)을 이용한 관측자들은 WOH G64가 원환형 구름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14]
거리
WOH G64의 거리는 지구로부터 약 50,000 파섹(16만 ly) 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지구가 LMC에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3] WOH G64의 Gaia Data Release 2 시차는 -0.2280±0.0625 mas이며 음의 시차는 신뢰할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하지 않습니다.[1]
변동성
WOHG64는 약 800일의 1차 주기로 가시광선 파장에서 크기 이상으로 밝기가 규칙적으로 변화합니다.[7] 이 별은 가시광선 파장에서 6 등급 이상의 소멸을 겪고 있으며 적외선 파장에서의 변화는 훨씬 작습니다.[3] 이 별은 초거성이 아닌 점근-거성-가지성(AGB 별)일 것이며, 탄소가 풍부한 미라 또는 장주기 변수로 설명되어 왔습니다.[8] 밝기 변동성은 일부 스펙트럼 대역에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확인되었지만 실제 변수 유형이 무엇인지는 불분명합니다. 유의미한 스펙트럼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3]
물성
WOH G64의 분광형은 M5로 주어지지만,[3] 일반적으로 M7.5의 훨씬 차가운 분광형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초거성으로서는 매우 이례적입니다.[12][4][5]
WOH G64는 극도로 빛나는 M급 초거성으로 분류되며 LMC에서 가장 큰 별이자 가장 빛나고 차가운 적색 초거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3] 별의 온도와 광도가 합쳐져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 쪽에 위치합니다. 별의 진화된 상태는 밀도가 낮고 방사 압력이 높으며 열핵융합의 상대적으로 불투명한 생성물 때문에 더 이상 대기를 붙잡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citation needed] 적색 초거성에 대해서도 알려진 것 중 가장 높고 이례적으로 높은 연간 3.1~5.8×10의−4 평균 질량 손실률을 가지고 있습니다.[17][18]
WOH G64의 파라미터는 불확실합니다. 이 별은 원래 구 모양의 껍질을 가정한 분광학적 측정 결과 49만~60만 개 정도로 추정되었습니다. L☉,최소 40의 초기 질량을 ☉제안합니다. M☉ 결과적으로 2,575에서 3,000 사이의 반경에 대해 더 큰 값을 갖습니다. R☉.2018년의 이러한 측정값 중 ☉하나는[19][4][20] 432,000의 광도를 제공합니다. L☉ 그리고 광학 및 적외선 측광법을 기반으로 주변 먼지로부터의 구형 대칭 방사선을 가정한 3,500 K의 더 높은 유효 온도. 반지름이 1,788임을 시사합니다. R☉.[11][a]
2007년 초거대망원경(VLT)을 이용한 측정 결과 이 별의 볼로메트릭 광도는 282,000+40,000-30
,000입니다. L☉ 주변 원환체의 복사 전달 모델링을 기반으로 초기 질량이 25±5이고 반경이 1,730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R☉ 3,[14]200 K의 유효 온도를 가정했을 때. 2009년 Levesque는 광학 및 근자외선 SED의 스펙트럼 피팅을 통해 3,400±25K의 유효 온도를 계산했습니다. 이 새로운 온도로 Ohnaka 광도를 채택하면 반경이 1,540이지만 오차 범위는 5% 또는 77입니다. R☉.☉이러한[3] 물리적 매개변수는 VY Canis Majoris와 같은 다른 곳에서 발견된 가장 큰 은하 적색 초거성 및 초거성과 가장 시원하고 가장 밝으며 가능한 가장 큰 냉각 초거성의 이론적 모델(예: 하야시 한계 또는 험프리스-데이비슨 한계)과 일치합니다.[3][14][4] 적외선 복사 방향을 바꾸는 데 있어 먼지가 많은 원환체의 영향을 무시하고 1,970 - 1,990의 추정치 R☉ 450,000+150,000-120
,000의 광도와 3,372-3,400 K의 유효 온도를 기반으로 합니다.[3]
스펙트럼 특징
WOH G64는 OH/IR 초거성의 전형적인 OH, HO
2 및 SiO의 주요 방출원으로 밝혀졌습니다.[3] 이 별은 특이한 성운 방출 스펙트럼을 보여줍니다. 뜨거운 가스는 질소가 풍부하고 항성보다 훨씬 더 양의 반경 방향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3] 항성 대기는 중적외선 파장에서 강한 규산염 흡수 대역을 생성하고 있으며, 이는 고도로 여기된 일산화탄소로 인한 선 방출을 동반합니다.[21]
가능한 동반자
WOHG64는 볼로메트릭 등급 -7.5 또는 광도 100,000의 후기 O형 주계열성 동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L☉,☉WOHG64는 쌍성이 될 것입니다. 비록 이 관측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먼지 구름이 이 별을 연구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듭니다.[3]
참고 항목
- 큰 마젤란 구름의 또 다른 적색 초거성 HV 888
- 은하수에서 가장 큰 별일 것으로 추정되는 VY Canis Majoris
- NML 시그니
- R136a1은 알려진 가장 질량이 크고 빛나는 별 중 하나입니다.
메모들
- ^ 공칭 태양 유효 온도가 5,772 K인 Stefan-Boltzmann 법칙 적용:
참고문헌
- ^ a b c d e f g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Gaia DR2는 VizieR에서 이 소스에 대한 기록입니다.
- ^ Bhardwaj, Anupam; Kanbur, Shashi; He, Shiyuan; Rejkuba, Marina; Matsunaga, Noriyuki; De Grijs, Richard; Sharma, Kaushal; Singh, Harinder P.; Baug, Tapas; Ngeow, Chow-Choong; Ou, Jia-Yu (2019). "Multiwavelength Period-Luminosity and Period-Luminosity-Color Relations at Maximum Light for Mira Variables in the Magellanic Clouds". The Astrophysical Journal. 884 (1): 20. arXiv:1908.01795. Bibcode:2019ApJ...884...20B. doi:10.3847/1538-4357/ab38c2. S2CID 19945275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Levesque, E. M.; Massey, P.; Plez, B.; Olsen, K. A. G. (2009).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d Supergiant WOH G64: The Largest Star Known?". The Astronomical Journal. 137 (6): 4744. arXiv:0903.2260. Bibcode:2009AJ....137.4744L. doi:10.1088/0004-6256/137/6/4744. S2CID 18074349.
- ^ a b c d Van Loon, J. Th.; Cioni, M.-R. L.; Zijlstra, A. A.; Loup, C. (2005). "An empirical formula for the mass-loss rates of dust-enshrouded red supergiants and oxygen-rich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8 (1): 273–289. arXiv:astro-ph/0504379. Bibcode:2005A&A...438..273V. doi:10.1051/0004-6361:20042555. S2CID 16724272.
- ^ a b c Elias, J.H. (March 1986). "Two Supergiant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with Thick Dust Shells". Astrophysical Journal. 302: 675. Bibcode:1986ApJ...302..675E. doi:10.1086/164028. hdl:1887/6514.
- ^ a b c Cutri, Roc M.; Skrutskie, Michael F.; Van Dyk, Schuyler D.; Beichman, Charles A.; Carpenter, John M.; Chester, Thomas; Cambresy, Laurent; Evans, Tracey E.; Fowler, John W.; Gizis, John E.; Howard, Elizabeth V.; Huchra, John P.; Jarrett, Thomas H.; Kopan, Eugene L.; Kirkpatrick, J. Davy; Light, Robert M.; Marsh, Kenneth A.; McCallon, Howard L.; Schneider, Stephen E.; Stiening, Rae; Sykes, Matthew J.; Weinberg, Martin D.; Wheaton, William A.; Wheelock, Sherry L.; Zacarias, N. (2003).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46: II/246. Bibcode:2003yCat.2246....0C.
- ^ a b Fraser, Oliver J.; Hawley, Suzanne L.; Cook, Kem H. (2008). "The Properties of Long-Period Variable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from MACHO". The Astronomical Journal. 136 (3): 1242–1258. arXiv:0808.1737. Bibcode:2008AJ....136.1242F. doi:10.1088/0004-6256/136/3/1242. S2CID 2754884.
- ^ a b c Soszyñski, I.; Udalski, A.; Szymañski, M. K.; Kubiak, M.; Pietrzyñski, G.; Wyrzykowski, Ł.; Szewczyk, O.; Ulaczyk, K.; Poleski, R. (2009).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IV. Long-Period Variable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Acta Astronomica. 59 (3): 239. arXiv:0910.1354. Bibcode:2009AcA....59..239S.
- ^ Levesque, E. M. (June 2010). The Physical Properties of Red Supergiants. Hot and Cool: Bridging Gaps in Massive Star Evolution ASP Conference Series. Vol. 425. p. 103. arXiv:0911.4720. Bibcode:2010ASPC..425..103L. S2CID 8921166.
- ^ Beasor, Emma R.; Smith, Nathan (2022-05-01). "The Extreme Scarcity of Dust-enshrouded Red Supergiants: Consequences for Producing Stripped Stars via Winds". The Astrophysical Journal. 933 (1): 41. arXiv:2205.02207. Bibcode:2022ApJ...933...41B. doi:10.3847/1538-4357/ac6dcf. S2CID 248512934.
- ^ a b Groenewegen, Martin A. T.; Sloan, Greg C. (2018). "Luminosities and mass-loss rates of Local Group AGB stars and Red Supergiants". Astronomy & Astrophysics. 609: A114. arXiv:1711.07803. Bibcode:2018A&A...609A.114G. doi:10.1051/0004-6361/201731089. ISSN 0004-6361. S2CID 59327105.
- ^ a b Davies, Ben; Crowther, Paul A.; Beasor, Emma R. (2018). "The luminosities of cool supergiants in the Magellanic Clouds, and the Humphreys–Davidson limit revisite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78 (3): 3138–3148. arXiv:1804.06417. Bibcode:2018MNRAS.478.3138D. doi:10.1093/mnras/sty1302. S2CID 59459492.
- ^ Jones, Olivia; Woods, Paul; Kemper, Franziska; Kraemer, Elena; Sloan, G.; Srinivasan, Sivakrishnan; Oliveira, Joana; van Loon, Jacco; Boyer, Martha; Sargent, Benjamin; Mc Donald, I.; Meixner, Margaret; Zijlstra, A.; Ruffel, Paul; Lagadec, Eric; Pauly, Tyler (May 7, 2017). "The SAGE-Spec Spitzer Legacy program: the life-cycle of dust and ga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Point source classification – III".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70 (3): 3250–3282. arXiv:1705.02709. doi:10.1093/mnras/stx1101. Retrieved 23 June 2022.
- ^ a b c d Ohnaka, K.; Driebe, T.; Hofmann, K. H.; Weigelt, G.; Wittkowski, M. (2009). "Resolving the dusty torus and the mystery surrounding LMC red supergiant WOH G64".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4: 454–458. Bibcode:2009IAUS..256..454O. doi:10.1017/S1743921308028858.
- ^ Westerlund, B. E.; Olander, N.; Hedin, B. (1981). "Supergiant and giant M type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Astronomy &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43: 267–295. Bibcode:1981A&AS...43..267W.
- ^ Westerlund, B. E. (1987). "Photometry and spectroscopy of stars in the region of a highly reddened cluster in ARA".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70 (3): 311–324. Bibcode:1987A&AS...70..311W. ISSN 0365-0138.
- ^ Steven R. Goldman; Jacco Th. van Loon (2016). "The wind speeds, dust content, and mass-loss rates of evolved AGB and RSG stars at varying metallicit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65 (1): 403–433. arXiv:1610.05761. Bibcode:2017MNRAS.465..403G. doi:10.1093/mnras/stw2708. S2CID 11352637.
- ^ de Wit, S.; Bonanos, A.Z.; Tramper, F.; Yang, M.; Maravelias, G.; Boutsia, K.; Britavskiy, N.; Zapartas, E. (2023). "Properties of luminous red supergiant stars in the Magellanic Clouds". Astronomy and Astrophysics. 669: 17. arXiv:2209.11239. Bibcode:2023A&A...669A..86D. doi:10.1051/0004-6361/202243394. S2CID 252519285.
- ^ Elias, J. H; Frogel, J. A; Schwering, P. B. W (1986). "Two Supergiant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with Thick Dust Shells". The Astrophysical Journal. 302: 675. Bibcode:1986ApJ...302..675E. doi:10.1086/164028. hdl:1887/6514.
- ^ Monnier, J. D; Millan-Gabet, R; Tuthill, P. G; Traub, W. A; Carleton, N. P; Coudé Du Foresto, V; Danchi, W. C; Lacasse, M. G; Morel, S; Perrin, G; Porro, I. L; Schloerb, F. P; Townes, C. H (2004). "High-Resolution Imaging of Dust Shells by Using Keck Aperture Masking and the IOTA Interferometer". The Astrophysical Journal. 605 (1): 436–461. arXiv:astro-ph/0401363. Bibcode:2004ApJ...605..436M. doi:10.1086/382218. S2CID 7851916.
- ^ 낮은 금속성에서 적색 초거성의 대량 손실률: 대마젤란운에서 적색초거성 2개의 회전 CO 방출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