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주파수

Very low frequency
초저주파수
주파수 범위
3~30kHz
파장 범위
100~10km
스탠포드 대학에서 운영하는 남극 파머 스테이션의 VLF 수신 안테나

VLF(Very Low Frequency)는 3~30kHz 범위의 ITU로, 각각 100~10km[1] 파장대응합니다.이 대역은 파장이 1에서 10개의 미리아메타(10km에 해당하는 구식 미터법 단위)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미리아메타 대역 또는 미리아메타로도 알려져 있다.대역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대역에서는 음성(음성) 전송이 매우 실용적이지 않기 때문에 낮은 데이터 레이트 부호화 신호만 사용됩니다.VLF 대역은 소수의 무선 내비게이션 서비스, 정부 시각 라디오 방송국(무선 클럭을 설정하기 위해 시간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및 안전한 군사 통신에 사용됩니다.VLF 파장은 바닷물까지 최소 40m(131피트)까지 침투할 수 있어 잠수함과의 군사 통신에 활용된다.

전파 특성

VLF 전파는 파장이 길기 때문에 큰 장애물을 중심으로 회절할 수 있어 산맥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지구의 곡률에 따른 지상파로 전파될 수 있어 지평선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지상파는 수백 마일에서 수천 마일 이상으로 덜 중요하며, 장거리 전파의 주요 모드는 지구 전리층 도파관 [2]메커니즘입니다.지구는 60-90km(37-56마일) [3]고도에서 D층이라고 불리는 전리층이라는 상층 대기권의 전자와 이온전도층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것은 VLF 전파를 반사합니다.전도성 전리층과 전도성 지구는 몇 개의 VLF 파장이 높은 수평 "전도체"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파장이 우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파장을 가두는 도파관 역할을 합니다.파도는 지구와 전리층에 의해 번갈아 반사되어 지구 주위를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합니다.

VLF 파형의 패스 감쇠는 1,000km당 2~3dB로 매우 낮으며, [3]고주파수에서는 "페이드"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2]이는 VLF파가 전리층 바닥에서 반사되는 반면, 고주파 단파 신호는 굴절 과정에 의해 전리층, F1F2층에서 지구로 돌아오고, 이동의 대부분을 전리층에서 보내기 때문에, 그들은 이온화 구배와 난류의 영향을 훨씬 더 많이 받기 때문이다.따라서 VLF 전송은 매우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아 장거리 통신에 사용됩니다.5,000 ~ 20,000 km의 전파 거리가 [2]실현되었습니다.그러나 번개에 의해 발생하는 "휘파람 소리"와 같은 현상을 포함하여 [3]대역에서 대기 소음("sferics")이 높습니다.

  • VLF 파장은 사용된 주파수와 물의 염도에 따라 최소 10-40m(30-130피트)의 깊이까지 바닷물을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잠수함과의 통신에 사용된다.
  • 특정 주파수에서의 VLF 파동은 전자 침전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잠수함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VLF 파동은 태양 플레어와 코로나 질량 방출로부터 지구를 보호할 수 있는 인공 기포를 지구 주위에 만들어냈다; 이것은 고에너지 방사선 [4]입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났다.

안테나

미국 메인주 커틀러에 있는 미 해군 라디오 스테이션 커틀러의 "트라이데코" 안테나 타워 어레이. 중앙 마스트는 복사 소자이고, 별 모양의 수평 와이어 어레이는 용량성 상단 부하입니다.지름이 약 1.2마일인 이 우주선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라디오 방송국인 1.8메가와트의 출력으로 24kHz(1만2500m 파장)의 잠수함과 통신한다.
영국 Anthorn 라디오 방송국에 있는 NATO VLF 송신기의 유사한 "트리데코" 안테나의 중앙 돛대로, 6개의 절연 스트링이 6개의 수직 라디에이터 와이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종류의 대형 VLF 안테나: 밸리 스판 안테나.밸리를 가로지르는 1개 이상의 긴 수평 토로드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 라디에이터 케이블에 의해 중앙에 공급됩니다.이 예는 시애틀 근처의 미 해군 Jim Creek 스테이션에서 1.2MW의 전력으로 24.8kHz로 송신하고 있습니다.
1977년 해체된 일본 쓰시마섬의 오메가 항법장치 비콘의 우산 안테나.

VLF 대역의 주요 실질적인 단점은 파장의 길이 때문에 물리적인 높이로 인해 풀사이즈 공진 안테나(반파 다이폴 또는 1/4파 모노폴 안테나)를 구축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VLF파가 수직 편파에서 전파되기 때문에 수직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지만 30kHz(10km 파장)의 1/4파 수직 안테나의 높이는 2.5km(8,200피트)가 됩니다.즉, 실용적인 송신 안테나는 전기적으로 짧습니다.자기 [5][6]: 24.5–24.6 공진 길이의 극히 일부입니다.낮은 방사선 저항(종종 1옴 미만)으로 인해 비효율적이며,[2] 송신기 전력의 최대 10%~50%만 방사하고, 나머지 전력은 안테나/접지 시스템 저항으로 소산됩니다.장거리 통신에는 매우 높은 전력의 송신기(~1 메가와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효율이 중요합니다.

'트리아틱' 또는 '플랫탑' 안테나, 또 다른 일반적인 VLF 송신 안테나.수직 라디에이터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상단에서 평행한 수평 용량식 와이어를 연결하여 최대 1km의 와이어를 장착하고 높은 타워에 지지합니다.수평 와이어를 매달고 있는 횡방향 지지 케이블을 "트라이어틱"이라고 합니다.

VLF 송신 안테나

고출력 VLF 송신국은 용량 부하 모노폴 안테나를 사용합니다.이것들은 길이가 [7]: 3.9–3.21 [6]: 24.8–24.12 수 킬로미터에 이르는 매우 큰 와이어 안테나입니다.케이블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강철 라디오 마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종 우산이나 빨랫줄처럼 형성되어 있습니다.타워 자체 또는 수직 와이어는 모노폴 라디에이터 역할을 하며 수평 케이블은 수직 와이어의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용량성 상단 부하를 형성하여 안테나의 복사 전력과 효율을 높입니다.고출력 스테이션은 "델타" 및 "트리데코" 안테나 또는 멀티와이어 플랫탑(삼중형)[8] 안테나 등 우산 안테나에서 변형을 사용합니다.저전력 송신기의 경우 반전 L 및 T 안테나가 사용됩니다.

낮은 방사선 저항으로 인해 접지에서 방산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테나 아래에 내장된 구리선의 방사형 네트워크로 구성된 극도로 낮은 저항 접지(접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토양의 유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지 도체는 땅 속에 몇 인치만 파묻혀 있고 안테나 근처의 접지 표면은 구리 접지 스크린으로 보호됩니다.카운터포이즈 시스템도 사용되었으며, 안테나 아래 지면에서 몇 피트 높이로 지지되는 구리 케이블의 방사형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안테나의 용량 리액턴스를 취소하여 공진시키기 위해서는 안테나 공급점에 큰 부하 코일이 필요하다.VLF에서는 이 코일의 설계는 어려운 과제입니다.동작하는 RF 주파수에서 저항이 낮고 Q가 높아야 하며 안테나의 매우 높은 전압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RF 저항은 보통 리츠 와이어를 사용하여 감소합니다.

안테나 로딩 코일 조합의 높은 캐패시턴스, 인덕턴스 및 저저항으로 인해 고Q 튜닝 회로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합니다.VLF 안테나는 대역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송신 주파수를 변경하려면 안테나를 조정하기 위한 가변 인덕터(변수계)가 필요합니다.고출력 송신기에 사용되는 대형 VLF 안테나의 대역폭은 보통 50~100Hz에 불과하며, 통상 모드인 FSK를 송신할 때는 2개의 FSK 주파수 사이에서 변조와 함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동적으로 전환해야 합니다.Q가 높으면 안테나에 매우 높은 전압(최대 200kV)이 발생하므로 매우 양호한 절연 상태가 요구됩니다.대형 VLF 안테나는 보통 '전압 제한' 모드로 작동합니다.송신기의 최대 전력은 안테나가 공기 차단, 코로나 및 안테나로부터의 아크 없이 수신할 수 있는 전압에 의해 제한됩니다.

다이내믹 안테나 튜닝

용량이 큰 VLF 안테나의 대역폭은 매우 좁기 때문에(50~100Hz), FSK 및 MSK 변조의 작은 주파수 변화도 이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그 결과 안테나가 공진 상태를 벗어나 안테나가 급전선에 전력을 반사합니다.기존의 해결책은 안테나에 "대역폭 저항기"를 사용하여 Q를 줄이고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단, 이로 인해 출력도 감소합니다.일부 군용 VLF 송신기에서 최근 사용되는 대체 회로는 [6]: 24.7 [7]: 3.36 변조를 통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2개의 출력 주파수 간에 동적으로 전환하는 회로입니다.는 안테나 로딩 코일에 직렬로 연결된 가포화형 원자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이것은 DC 전류가 흐르는 두 번째 제어 권선을 가진 강자성 코어 인덕터이며, 이 전류는 코어를 자화시켜 인덕턴스를 제어하고 투과성을 변화시킵니다.키잉 데이터 스트림은 제어 권선에 적용됩니다.따라서 송신기의 주파수가 '1'과 '0' 주파수 사이에서 전환될 때, 가포화형 원자로는 안테나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를 변경하여 송신기의 주파수를 따르도록 안테나 공진 주파수를 전환합니다.

VLF 수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의 요건은 대역 내 자연 대기 노이즈가 높기 때문에 덜 엄격합니다.VLF 주파수에서 대기 중 무선 노이즈는 수신기 회로에 의해 도입된 수신기 노이즈보다 훨씬 높으며 수신기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합니다.따라서 비효율적인 작은 수신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안테나로부터의 저전압 신호는 큰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고 수신기에 의해 간단히 증폭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수신에는 페라이트 루프 안테나가 사용됩니다.

변조

대역의 대역폭이 작고 사용되는 안테나의 대역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오디오 신호(AM 또는 FM 무선 전화)[9]를 송신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습니다.대역폭이 10kHz인 일반적인 AM 무선 신호는 VLF 대역의 1/3을 차지합니다.더 중요한 것은 현재 VLF 안테나의 100배 대역폭을 가진 안테나가 필요하기 때문에 거리 전송이 어렵다는 것입니다.이 안테나는 Chu-Harrington 제한 때문에 크기가 매우 커집니다.따라서 텍스트 데이터만 낮은 비트환율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군용 네트워크에서는 5비트 ITA2 또는 8비트 ASCII 문자 코드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 편이 키잉(FSK) 변조가 사용됩니다.안테나의 대역폭이 작기 때문에 30~50Hz의 작은 주파수 시프트가 사용됩니다.

고출력 VLF 송신기에서는 허용 데이터 레이트를 높이기 위해 최소 시프트 키잉(MSK)이라고 하는 특수한 형태의 FSK가 사용됩니다.이것은 [7]: 3.2–3.4, §3.1.1 안테나의 Q가 높기 때문에 필요합니다.거대한 용량 부하 안테나와 로딩 코일은 진동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높은 Q 튜닝 회로를 형성합니다.대형 VLF 안테나의 Q는 보통 200을 넘습니다.즉, 송신기 전류의 단일 사이클에서 공급 또는 방사되는 것보다 안테나가 훨씬 많은 에너지(200배)를 저장합니다.에너지는 토로드 및 접지 시스템에 정전 에너지로, 수직 와이어 및 로드 코일에 자기 에너지로 번갈아 저장됩니다.VLF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절연 한계치에 가까운 안테나 전압을 사용하여 "전압 제한"으로 동작합니다.따라서 아크나 기타 절연 문제 없이 송신기로부터의 전압 또는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견딜 수 없습니다.다음에 설명하듯이 MSK는 안테나에 전압 스파이크를 일으키지 않고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파를 변조할 수 있습니다.

VLF 송신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조에는, 다음의 3 종류가 있습니다.

연속파(CW), 인터럽트 연속파(ICW) 또는 온오프 키잉
모스 부호는 변조되지 않은 반송파로 무선전신을 전송합니다.캐리어가 온/오프되어 있으며, 캐리어 온은 Morse 코드 "dots" 및 "dash"를 나타내고 캐리어 오프는 공간을 나타냅니다.가장 단순하고 초기 형태의 무선 데이터 전송으로, 20세기 초부터 1960년대까지 상업 및 군용 VLF 방송국에서 사용되었다.높은 안테나 Q로 인해 캐리어를 갑자기 켜거나 끌 수는 없지만 캐리어를 켤 때 안테나에 진동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일정하고 많은 사이클이 필요하며 캐리어를 끌 때 저장된 에너지를 소멸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사이클이 필요합니다.이것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레이트는 15 ~20 워드/분으로 제한됩니다.현재 CW는 소형 핸드키 송신기 및 대형 송신기 테스트에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FSK(Frequencying(FSK; 주파수 편이 키)
FSK는 CW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되고 두 번째로 간단한 형태의 디지털 무선 데이터 변조입니다.FSK의 경우 반송파가 2진수 숫자 '1'을 나타내는 주파수와 2진수 '0'을 나타내는 주파수 사이에서 이동했습니다.예를 들어, 9070Hz의 주파수는 '1'을 나타내며, 9020Hz는 '0'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두 주파수는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주파수 신시사이저에 의해 생성됩니다.송신기는 메시지 문자의 8비트 ASCII 코드를 나타내기 위해 이들 주파수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전환됩니다.VLF의 문제는 주파수가 스위칭될 때 두 사인파의 위상이 보통 다르며, 이로 인해 갑작스런 위상 편이 과도 현상이 발생하여 안테나에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아크를 피하기 위해 FSK는 50~75비트/초의 저속 레이트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소 시프트 키 입력(MSK)
소형 대역폭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연속 위상 버전인 FSK는 1970년대에 데이터 레이트를 높이기 위해 해군 VLF 스테이션에 채택되어 현재는 군용 VLF 송신기에 사용되는 표준 모드가 되었습니다.'1'과 '0'을 나타내는 두 주파수가 군사용 VLF 관측소에서 사용되는 표준 주파수 이동인 50Hz 간격일 경우 이들의 위상은 20ms마다 일치한다.MSK에서 송신기의 주파수는 두 사인파가 동일한 위상을 가질 때, 두 사인파가 동일한 방향으로 0을 교차하는 지점에서만 전환됩니다.이렇게 하면 파형 사이에 부드러운 연속 전환이 발생하여 안테나에 응력과 아크가 발생할 수 있는 과도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MSK 는, 최대 300 비트/초, 또는 약 35 문자/초(각각8 비트)의 ASCII 문자/분으로 약 450 워드의 데이터 레이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적용들

스웨덴 바르베르크의 그리메톤 VLF 송신기 플랫탑 안테나 타워

초기 무선 전신

역사적으로, 이 대역은 1905년에서 1925년 사이의 무선 전신 시대에 대양 횡단 장거리 무선 통신에 사용되었다.국가들은 다른 국가, 식민지 및 해군 함대와 통신하기 위해 모스 부호로 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는 고출력 LF 및 VLF 무선 통신 기지망을 구축했다.초기 20kHz부터 대역 내에서 진폭 변조와 싱글 사이드 밴드 변조를 사용하여 무선 전화를 사용하려고 했지만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사이드 밴드를 포함하기에 부족했기 때문에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1920년대에 하늘파(스킵) 전파 방법의 발견으로 고주파에서 작동하는 저전력 송신기가 전리층의 이온화원자 층에서 전파를 반사하여 비슷한 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게 되었고, 장거리 무선 통신국은 단파 주파수로 전환되었다.역사적 기념물로 보존된 그 시대의 몇 안 되는 송신기 중 하나인 스웨덴 바르베르그 근처의 그리몬의 그리몬 VLF 송신기알렉산더슨의 날과 같은 특정 시기에 일반인들이 방문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비콘 및 시간 신호

긴 전파 거리와 안정적인 위상 특성 때문에, 20세기 동안 VLF 대역은 선박과 항공기가 고정 VLF 항법 표지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위상을 비교하여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거리 쌍곡선 무선 항법 시스템에 사용되었다.

세계 오메가 시스템은 러시아의 알파와 마찬가지로 10~14kHz의 주파수를 사용했다.

VLF는 표준 시간주파수 브로드캐스트에도 사용되었습니다.미국에서는 1963년 8월 WWVL이 20kHz로 500W 신호를 전송하기 시작했습니다.FSK(Frequency-Shift Keying)를 사용하여 20kHz와 26kHz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WWL 서비스는 1972년 7월에 중단되었다.

지구물리 및 대기 측정

VLF 대역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는 지구물리학자들이 장거리 번개 위치 및 오로라와 같은 대기 현상 연구를 위해 사용합니다.휘파람의 측정은 자기권[10]물리적 특성을 추론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구물리학자들은 지구 [11]표면 근처의 전도성을 측정하기 위해 VLF-전자파 수신기를 사용한다.

VLF 신호는 전도성 지질 단위로 이차 반응을 유도하는 전달 전류에 의존하는 지구물리 전자기 조사로 측정할 수 있다.VLF 이상은 지표면에서 전도성 물질 위에 있는 전자 벡터의 자세 변화를 나타낸다.

군사 통신

강력한 VLF 송신기는 전 세계 군대와 통신하기 위해 군에 의해 사용된다.VLF 주파수의 장점은 장거리, 높은 신뢰성 및 핵전쟁에서 VLF 통신이 고주파보다 핵폭발로 인해 덜 중단될 것이라는 예측이다.해수를 관통할 수 있어 육군은 수면 근처의 잠수함과 교신할 때 VLF를 사용하고, 수심이 깊은 잠수함은 ELF 주파수를 사용한다.

해군 VLF 송신기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역의 대역폭이 좁기 때문에 음성(음성) 전송은 사용할 수 없으며 텍스트 전송은 초당 300비트 안팎의 느린 데이터 레이트, 즉 초당 약 35개의 8비트 ASCII 문자로 제한됩니다.2004년 이후 미 해군은 VLF 통신이 개선됨에 따라 불필요해졌기 때문에 잠수함이 운용 깊이에서 VLF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을 가능성이 있다.

잠수함 및 지하 통신

잠수함을 운용하는 국가의 고출력 육상 및 항공기 송신기는 수천 마일 떨어진 곳에서도 수신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낸다.송신기 사이트는, 통상, 20 kW ~ 2,000 kW 의 범위에서 송신 전력을 가지는 넓은 영역( 에이커 또는 평방 킬로미터)을 커버합니다.잠수함은 수면 바로 아래에 떠 있는 일종의 견인된 안테나(예: 부력 케이블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여 육상 및 항공기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합니다.

최신 수신기는 정교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대기 노이즈(대부분 전 세계 낙뢰에 의해 발생) 및 인접 채널 신호의 영향을 제거하여 유용한 수신 범위를 확장합니다.미 공군의 전략 핵폭격기는 강화된 핵탄력 운용의 일환으로 VLF 신호를 수신한다.

5비트 ITA2 또는8비트 ASCII 의 2 개의 대체 문자 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것들은 군사적인 송신이기 때문에, 시큐러티상의 이유로 거의 항상 암호화되어 있습니다.송신을 수신해 문자열로 변환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적은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독할 수 없습니다.군용 통신에서는 텍스트의 양이 너무 적기 때문에 통상 깨지지 않는 원타임패드암호를 사용합니다.

VLF는 또한 흙과 암석을 어느 정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주파수는 지구상의 광산 통신 시스템에도 사용됩니다.

아마추어용

8.3kHz 미만의 주파수 범위는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이 할당하지 않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무면허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일부 국가의 라디오 아마추어들은 8.3 [12]kHz 미만의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또는 허가를 받았다).

동작은 8.27kHz, 6.47kHz, 5.17kHz 및 2.97kHz [13]주파수 주위에 모이는 경향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송신은 1시간에서 수일간 지속되며, 이러한 장기간의 일관성 있는 검출과 디코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수신기와 송신기 모두 주파수가 GPS에 의해 규정된 발진기루비듐 표준과 같은 안정된 기준에 따라 잠겨 있어야 합니다.

아마추어 장비

아마추어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복사 전력은 고정 기지국 안테나의 경우 1μW에서 100μW까지, 카이트 또는 풍선 안테나의 경우 최대 10mW까지 매우 작습니다.낮은 전력에도 불구하고, 지구 전리층 공동에서 낮은 감쇠로 안정적인 전파를 통해 수천 킬로미터까지의 거리에 도달하기 위해 매우 좁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사용되는 모드는 QRSS, MFSK 및 일관성 있는 BPSK입니다.

송신기는 일반적으로 수백 와트의 오디오 앰프, 임피던스 매칭 변압기, 로딩 코일 및 대형 와이어 안테나로 구성됩니다.수신기는 전계 프로브 또는 자기 루프 안테나, 고감도 오디오프리앰프, 절연 트랜스 및 PC 사운드카드를 사용하여 신호를 디지털화합니다.전력선 고조파VLF 무선 대기의 간섭 아래에서 약한 신호를 검색하려면 광범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가 필요합니다.유용한 수신 신호 강도는 3×10V−8/m(전계) 및 1×10테슬라−16(자기장)이며, 신호 속도는 일반적으로 시간당 1~100비트입니다.

PC 기반 수신

소형 루프 안테나 및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여 수신된 18.1kHz VLF 신호의 타이밍 다이어그램.모스 부호는 "..33376..") 수직 줄무늬는 먼 곳의 번개입니다.

VLF 신호는 PC에 기반한 간단한 [14][15]홈메이드 VLF 무선 수신기를 사용하여 무선 아마추어에 의해 감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절연 와이어 코일 형태의 안테나가 PC 사운드 카드 입력에 접속되어(잭 플러그를 통해) 몇 미터 떨어져 있습니다.사운드 카드와 조합된 FFT(Fast Fourier Transfor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나이키스트 주파수 이하의 모든 주파수를 스펙트럼 형태로 동시에 수신할 수 있습니다.

CRT 모니터는 VLF 범위의 강력한 노이즈원이기 때문에 PC CRT 모니터가 꺼진 상태에서 스펙트럼 프로그램을 녹음할 것을 권장합니다.이러한 스펙트로그램은 VLF 송신기와 TV 세트의 수평 전자 빔 편향을 포함하는 많은 신호를 보여줍니다.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갑작스런 전리층 교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 전리층에서 이온화 레벨이 증가하여 수신된 VLF 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빠르게 변화합니다.

VLF 전송 목록

상세한 리스트에 대해서는, 「VLF 송신기 리스트」를 참조해 주세요.

호출 부호 빈도수. 송신기의 위치 언급
11.905kHz 다양한 장소(러시아) 알파 내비게이션
12.649kHz 다양한 장소(러시아) 알파 내비게이션
14.881kHz 다양한 장소(러시아) 알파 내비게이션
하드웨어 15.1kHz 로스나이(프랑스) 400kW[16]
15.625kHz CRT TV의 전자빔 수평편향 주파수(576i)
15.734kHz CRT TV의 전자빔 수평편향 주파수(480i)
JXN 16.4 kHz Gildeskol (노르웨이)
SAQ 17.2 kHz 그리몬(스웨덴) 특별한 경우에만 활동(알렉산더슨 데이)
최대 17.5 kHz ? 22초 펄스
NAA 17.8kHz 미국 메인주 커틀러의 VLF 스테이션([17]NAA)
RDL UFQE UP UPD8 18.1kHz Matotchkinchar(러시아)[16]를 포함한 다양한 장소
하드웨어 18.3 kHz 르블랑 (프랑스) 장시간 비액티브한 경우가 많다
RKS 18.9kHz 다양한 장소(러시아) 거의 액티브하지 않다
GQD 19.6kHz Anthorn(영국) 많은 동작 모드
NWC 19.8kHz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AUS) 1메가와트급 잠수함 [18]통신에 사용됩니다.
ICV 20.27kHz 타볼라라 (이탈리아)
RJH63 RJH66 RJH69 RJH77 RJH99 20.5kHz 다양한 장소(러시아) 시간 신호 송신기 베타
ICV 20.76 kHz 타볼라라 (이탈리아)
하드웨어 20.9kHz 생아시즈 (프랑스)[16]
RDL 21.1kHz 다양한 장소(러시아) 거의 활동하지 않다
NPM 21.4 kHz 하와이(미국)
하드웨어 21.75kHz 로스나이(프랑스)[16]
GZQ 22.1kHz 스켈턴(영국)
JJI 22.2 kHz 에비노(일본)
22.3 kHz 러시아? 매월 2일이 일요일이 아닌 경우 11:00~13:00(동절기 각각 10:00~12:00)의 짧은 기간 동안만 유효합니다.
RJH63 RJH66 RJH69 RJH77 RJH99 23 kHz 다양한 장소(러시아) 시간 신호 송신기 베타
DHO38 23.4 kHz Rhauderfehn 인근(독일) 해저 통신
NAA 24 kHz 커틀러(미국) 잠수함 통신에 사용, 2메가와트[19]
NLK 24.6kHz 워싱턴 주(미국) 192kW[16]
NLF 24.8kHz 워싱턴 주(미국) 잠수함 [20]통신에 사용됩니다.
NML 25.2 kHz 노스다코타(미국)
PNSH 14~25.2?kHz 카라치 해안, 신드(파키스탄)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Nomenclature of the frequency and wavelength bands used in telemmunications" (PDF). ITU. Rec. ITU-R V.43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1 October 2013. Retrieved 20 February 2013.
  2. ^ a b c d Hunsucker, R.D.; Hargreaves, John Keith (2002). The high-latitude ionosphere and its effects on radio propag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19. ISBN 978-0-521-33083-1.
  3. ^ a b c Ghosh, S.N. (2002). Electromagnetic theory and wave propagation. CRC Press. p. 89. ISBN 978-0-8493-2430-7.
  4. ^ Marina Koren (18 May 2017). "Humans accidentally created a protective bubble around Earth". The Atlantic. Retrieved 20 May 2017.
  5. ^ Seybold, John S. (2005). Introduction to RF Propagation. John Wiley and Sons. pp. 55–58. ISBN 978-0471743682.
  6. ^ a b c Johnson, Richard C., ed. (1993). Antenna Engineering Handbook (PDF) (3rd ed.). McGraw-Hill. ISBN 007032381X.
  7. ^ a b c Naval Shore Electronics Criteria - VLF, LF, and MF communications systems (PDF). Naval Electronics Systems Command. Washington, DC: U.S. Navy. August 1972. Manual NAVELEX 0101-113.
  8. ^ Watt, Arthur D. (1967). VLF Radio Engineering. Pergamon Press. pp. 129–162.
  9. ^ Holtet, J.A., ed. (17–27 April 1974). ELF-VLF Radio Wave Propagation. NATO Advanced Study Institute. Spåtind, Norway: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pp. 372–373. ISBN 9789401022651.
  10. ^ "AWDANet". plasmon.elte.hu.
  11. ^ "Geonics Limited - VLF Receivers". Retrieved 13 June 2014.
  12. ^ "Sub 9 kHz spectrum in the Amateur Service". Retrieved 13 May 2017.
  13. ^ "Some recent milestones with amateur radio experiments at VLF". Retrieved 13 May 2017.
  14. ^ Renato Romero, IK1QFK (2008). Radio Nature. Radio Society of Great Britain. p. 77. ISBN 9781-9050-8637-5.
  15. ^ Mardina Abdullah; et al. (2013) [2012]. Development of UKM-SID teaching module for space science education. 6th International Forum on Engineering Education (IFEE 2012).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 102. pp. 80–85. doi:10.1016/j.sbspro.2013.10.716.
  16. ^ a b c d e Fidani, Cristiano (8 December 2011). "The Central Italy Electromagnetic Network and the 2009 L'Aquila earthquake: Observed electric activity". Geosciences (published 2012). 1 (1): 3–25. Bibcode:2011Geosc...1....3F. doi:10.3390/geosciences1010003. ISSN 2076-3263. Retrieved 14 January 2021.
  17. ^ "Shortwave HF VHF UHF utilities monitoring". Random Abstract.
  18. ^ "Naval base link to jet plunge". The Sydney Morning Herald. Sydney, AU. 14 November 2008. Retrieved 14 Novembe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