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루아바트
Uluabat울루바드 또는 울루아바트(Uluabat)는 비잔틴 시대 로파디온(Ancient Gries: λοάδδδν)에 있는 라틴어 로파디온(Lopadium)으로, 터키 북서부 부르사 지방의 카라카베이 마을 근처에 있는 정착지다. 그것은 고대 Miletouteichos에 배치되었다.[1]
역사
울루아바트는 무스타파케말파아 강(고대 및 중세 린다쿠스)의 둑에 위치한다. 스투디오스의 테오도르가 그의 편지 중 한 편지에서 이노도체(카라반세라이)의 현장으로 처음 언급하고 있다. 11세기 후반까지, 이 도시는 시장 도시를 특징으로 했다.[2] 마르마라 해의 키지쿠스 사이를 지나 아시아 마이너 내륙으로 가는 4세기 교량의 존재는 특히 11~12세기 셀주크 투르크에 대항한 코메니아 황제들의 전쟁에서 어느 정도 전략적 중요성이 있는 곳으로, 그 기간 동안 가장 잘 알려져 있었다.[2]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재위 1081년–1118년)는 근처에서 투르크인들과 싸웠고, 1130년 그의 후계자 요한 2세 콤네노스(재위 1118년–43)가 터키 술탄국 럼주에 대항하는 캠페인의 거점이 되는 거대한 요새를 건설했다. 같은 기간 동안 로파디온은 대주교로 증명된다.[2] 1147년 제2차 십자군에 참가한 프랑스와 독일의 우발자들은 로파디온에서 연합했다.[2]
1204년 비잔틴 제국이 제4차 십자군에 함락된 후, 이 요새는 라틴 제국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고, 그는 1211년 린다쿠스 전투 이후, 그리고 1220년까지 돌아왔다.[2] 그 후 니케아 제국으로 돌아왔고, 1335년 오스만 투르크에게 붙잡힐 때까지 비잔틴의 손에 남아 있었다.[2] 이 지역은 또한 오스만 인터폴에서 대치하는 장소였다: 1403년 3월~5월경, 메흐메드 1세는 울루바드 전투에서 그의 동생 이샤 체레비를 격파하고, 부르사 주변의 오스만 제국의 아시아 중심지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했다.[3] 1422년 1월, 메흐메드의 아들 무라드 2세와 무스타파 엑셀레비의 군대가 이 지역에서 대치하여, 무라드가 아이딘의 주나이드와 무스타파의 다른 지지자들의 망명 공작을 하기 전까지, 후자는 유럽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고, 그곳에서 그는 체포되어 처형되었다.[4]
참고 항목
참조
- ^ Richard Talbert, ed. (2000). Barrington Atla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52, and directory notes accompanying.
- ^ a b c d e f ODB, "로파디온"(C) Foss), 페이지 1250.
- ^ Kastritsis 2007, 페이지 89–92.
- ^ 마굴리아스 1975 페이지 152-160.
원천
- Kastritsis, Dimitris (2007). The Sons of Bayezid: Empire Building and Representation in the Ottoman Civil War of 1402-13. BRILL. ISBN 978-90-04-15836-8.
- Kazhdan, Alexander, ed.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4652-6.
- Magoulias, Harry, ed. (1975). Decline and Fall of Byzantium to the Ottoman Turks, by Doukas. An Annotated Translation of "Historia Turco-Byzantina" by Harry J. Magoulias,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ISBN 0-8143-15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