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리우스 율리우스 레스쿠포리스 6세

Tiberius Julius Rhescuporis VI
레슈포리스 6세
Coin of Rhescuporis VI.png
레스쿠포리스 6세의 동전
보스포루스 왕
통치.314–341
전임자라담사데스
후계자알 수 없는
공동 규제라담사데스 (314–322)
죽은341 (?)
다이너스티티베리안줄리안[1]
아버지.Theothores(?)

Rhescuporis 6세(그리스어: ββ β β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티베리오스 율리오스 레스코우포리스(Tiberios Ioulios Rheskouporis)는 레스코포리스[1] 또는 레스코포리스라고도[2] 불리며,[3] 보스포란 r.왕국의 마지막 잘 알려진 왕으로, 로마클라이언트 국가이며, 고대 티베레줄 왕조의 마지막 대표자이다.레스쿠포리스 6세의 배경과 통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322년까지 그의 전임자인 라담사데스와 공동 통치 또는 경쟁을 통해 왕으로서의 임기를 시작했다.레슈포리스 6세의 통치는 341년경에 끝났고, 당시 크림반도에서 점점 더 영향력 있고 강력해졌던 사르마티아인이나 알란인들에 의해 전복되었을지도 모른다.

통치.

티베리안 줄리안 왕조의 마지막 [1]멤버로 알려진 레스쿠포리스 6세의 통치 연대는 화폐학적 자료와 고고학적 [1]자료를 통해 정확히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그를 314년에서 341년까지 [2][4][5]통치한 것으로 추정한다.그의 통치 기간은 테오토레스 r.(279–309)[6]의 뒤를 이은 다른 보스포라 왕 라담사데스 r.(309–322)[4]와 겹친다.Rhescuporis VI와 그의 직속 전임자(및 Rhadamsades의 경우 공동 통치자) 사이의 관계는 현존하는 어떤 [1]자료에서도 설명되지 않았다.프랑스의 족보학자 크리스티앙 세티파니는 레스쿠포리스 6세가 라담사데스의 [7]동생이자 테오토르스의 아들이었다고 믿고 있다.

예를 들어, 아스타호프(2021년)는 라담사데스와 테오토르스가 이란 이름이고, 따라서 이 두 왕은 티베리안-줄리안 왕조의 [1]진정한 대표자가 아닐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테오토르스에 대한 이란의 기원을 더욱 보여주는 것은 그의 전통적인 보스포라 주화에 사르마티아 사인이 추가된 것이다.테오토르세스의 통치 마지막 2년 동안의 동전은 왕실의 내부 문제를 나타낼 수 있는 예년보다 희귀해졌으며, 아마도 그의 [8]왕위계승으로 인해 보스포라 귀족이나 로마 당국과 충돌했을 것이다.테오토르스의 동전에 새겨진 사르마티아어 문양과 이름의 유래는 티베리안-줄리아 왕조 자체가 부분적으로 사르마티아어에서 유래한 것이고 탐가스는 [9]왕국에서 자주 상징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완전히 설득력 있는 증거는 아니다.

레스쿠포리스 6세의 통치 말기는 일반적으로 역사가들에 의해 341년 보스포라 동전 제작의 말기와 관련이 있지만,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현존하는 자료는 없다.341년 이후의 보스포루스에 대한 자료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레스큐포스 6세는 종종 보스포라 [1][5]왕국의 마지막 왕으로 언급된다.전통적으로 보스포란 왕국은 그의 통치[6] 말기에 고트족과 훈족에 의해 멸망했다고 여겨지지만 이에 [1]대한 증거는 없다.4세기 초반부터 왕국 전역에 걸쳐 있는 보스포라 동전들은 아마도 그 지역의 이란 사르마티아와 알란 부족들의 활동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족들의 증가하는 힘과 영향력은 레스큐포리스 6세가 사르마티아인이나 알란 부족 [1]지도자에 의해 전복되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

보스포로라 왕국의 운명

승계

레스쿠포리스 6세 다음으로 잘 알려진 보스포란 왕국의 왕은 두푸토노스인데, 그는 티베리아-줄리아 왕조의 일부라고 알려진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두푸토노스 비문의 연대는 논란이 되고 있지만, 비교적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한 날짜는 483년이며, 이는 레스큐포리스 6세 이후 약 150년 후인 것이다.레스쿠포리스 6세 시대에 보스포란 왕국이 심각한 정치적 위기에 처해 있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고고학적 자료 또한 보스포란 왕국의 도시들에서 삶이 계속되었고 심지어 경제가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비록 증거는 제한적이지만, 결과적으로 보스포라 왕가의 왕조가 [1]한 세기 이상 종말을 고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여겨집니다.

10세기 콘스탄티누스 7세의 저서를 통해 특히 19세기 후반 리처드 가넷에 의해 레스쿠포리스 6세의 후계자 계보를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콘스탄티누스의 글은 로마인들이 승리한 레스큐포리스 6세 이후 보스포란과의 갈등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 승리는 "사우로마티족의 왕좌가 끝났다"는 의미이며, 가넷이 해석한 구절은 레스큐포리스 6세가 사우로마테스라는 두 명의 왕에 의해 계승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재건축이 지나치게 [8]추측적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Rhescuporis 6세가 사르마티아인이나 알란인 지도자에 의해 전복되었다면, 그는 사르마티아인이나 알란 귀족에 의해 왕위를 계승했을지도 모른다.사르마티아-알라니아 왕조가 단명한 후, 고트족이 보스포라 왕국 380의 적어도 일부를 장악했다는 것이 명백하다.고딕식 인수가 있었다는 것은 404년 콘스탄티노플 대주교크리소톰에게 보낸 서한에서 명백하다. 이 서한에서 렉스 고티움("고트족의 왕")은 보스포루스 왕국에 새로운 주교직을 요청한다; 이 지역에서 교구를 지원할 수 있는 유일한 강력한 국가는 보스포란 [1]왕국이었다.

왕국의 종말

고딕 지배의 시기는 훈족의 침략이 뒤따랐을 것이다; 보스포란 왕국이 일시적으로 멸망했는지, 훈족 제국의 자치적인 속국이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450년대와 460년대에 훈족이 패배한 후, 보스포루스 지방은 훈족 통치하의 다른 땅들과 마찬가지로 아마도 다시 한번 완전히 독립했을 것이다.6세기 로마 작가 프로코피우스가 우티구르족이 크림반도에서 "고트족"과 싸웠고 그 후 동맹을 맺었다고 쓴 글에서 증명되듯이, 고트족은 여전히 이 지점까지 이 지역을 지배했다.결국, 고트족은 보스포루스 왕국을 떠나거나 쫓겨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왕국을 의뢰국으로서 [1]로마 제국에 재지향시킨 두투노스 같은 인물들 밑에서 헬레니즘 통치의 재개를 이끌었다.두투노스는 로마에 우호적인 형용사를 사용하고 티베리우스와 율리우스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10] 크림반도에 유스티니아누스 r.1세 (518r.527)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 (527–565)의 치세에 있던 동전들의 존재로 로마에 대한 정렬을 알 수 있다.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되었을 때, 보스포라 왕국의 지배자는 훈족의 고르다스였다.고다스는 527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유스티니아누스의 후원 아래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그의 지지자들과 대중들의 강제 개종을 시도하여 귀국하자마자 반란으로 살해당했다.고다스가 죽은 후, 로마 군대가 보스포루스로 보내졌고, 보스포루스는 반란을 진압하고 그곳에 [11]제국의 지배를 확립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Astakhov, Ivan Alekseevich (2021). "Changes in the Ethnic Pictures and its Impact on the Internal Political Situation in the Bosporus after Rheskuporis VI". Laplage em Revista (International). 7 (3A): 245–252. doi:10.24115/S2446-6220202173A1397.
  2. ^ a b Vlasov, Vladimir; Smokotina, Anna; Khrapunov, Igor (2013). "The Cultural Layer Overlying the Cemetery of Neyzats". In Khrapunov, Igor (ed.). Exploring the Cemetery of Neyzats. DOLYA Publishing House. ISSN 1893-2134.
  3. ^ Minns, Ellis H. (1913). Scythians and Greeks: A Survey of Ancient History and Archaeology on the North Coast of the Euxine from the Danube to the Caucasu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609.
  4. ^ a b Frolova, Nina; Ireland, Stanley (1995). "A Hoard of Bosporan Coins in the Period Third Century BC to AD 238 from Ancient Gorgippia (Anapa) 1987". The Numismatic Chronicle. 155: 21–42. ISSN 0078-2696.
  5. ^ a b Smekalova, T. N. (2018). "Evolution of the Composition of Monetary Alloys of Ancient Greek States on the Black Sea Shores Based on the Data of X-Ray Fluorescent Spectroscopy with the Example of Bosporos Cimmerian". Crystallography Reports. 63 (6): 1043–1050. doi:10.1134/S1063774518060299. ISSN 1562-689X.
  6. ^ a b Mitchiner, Michael (1978). The Ancient & Classical World, 600 B.C.-A.D. 650. Hawkins Publications. p. 69. ISBN 978-0-904173-16-1.
  7. ^ Settipani, Christian (2006). Continuité des élites à Byzance durant les siècles obscurs: les princes caucasiens et l'Empire du VI:e au IX:e siècle (in French). Paris: De Boccard. p. 408. ISBN 978-2-7018-0226-8.
  8. ^ a b Nadel, Benjamin (1977). "Literary Tradition and Epigraphical Evidence : Constantine Porphyrogenitus' Information on the Bosporan Kingdom of Emperor Diocletian Reconsidered". Dialogues d'histoire ancienne. 3 (1): 87–114. doi:10.3406/dha.1977.2690.
  9. ^ Butyagin, Alexander M. (2007). "The History of the Northern Black Sea Region". In Trofimova, A. A. (ed.). Greeks on the Black Sea: Ancient Art from the Hermitage. Getty Publications. ISBN 978-0-89236-883-9.
  10. ^ Frolova, N. (1999). "The Question of Continuity in the Late Classical Bosporus On the Basis of Numismatic Data". Ancient Civilizations from Scythia to Siberia. 5 (3): 179–205. doi:10.1163/157005799X00188. ISSN 0929-077X.
  11. ^ Lawler, Jennifer (2015). Encyclopedia of the Byzantine Empire. McFarland. p. 137. ISBN 978-1-4766-0929-4.
직함
선행 보스포루스 왕
314–341
Rhadamsades(314–322)와 함께
에 의해 성공자
알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