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A.슈타이츠

Thomas A.
토머스 스티츠
Nobel Prize 2009-Press Conference KVA-10.jpg
2009년 슈타이츠
태어난
토마스 아서 스티츠

(1940-08-23)1940년 8월 23일
죽은2018년 10월 9일(2018-10-09) (78세)
국적미국인의
모교하버드 대학교 로렌스 대학교 와우워토사 고등학교
로 알려져 있다.생체결정학
배우자조안 A. 스티츠
아이들.1
수상
과학 경력
필드
기관예일 대학교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
논문카복시펩타이드제 A의 6 crystalA 결정구조 (1967)
박사학위 자문위원윌리엄 N. 립스콤 주니어
기타학술고문데이비드 M.불다
저명한 학생네나드 반
웹사이트steitzlab.yale.edu

토마스 아서 스티츠(Thomas Arthur Steitz, 1940년 8월 23일 ~ 2018년[2] 10월 9일)는 미국의 생화학자, 예일 대학교의 분자 생물물리학생화학 교수, 리보솜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로 가장 잘 알려진 하워드 휴즈의학 연구소 연구원이다.

스티이츠는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로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쉬난, 아다 요나스와 함께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3]스테이츠는 2007년[4] "펩티딜 트랜스퍼레이즈RNA 촉매 반응이라는 것을 보여준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와 항생제에 의한 이 기능의 억제 메커니즘을 밝혀낸 공로로 가어드너 국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5]

교육과 경력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태어난 스티츠는 위스콘신주 애플턴로렌스 대학에서 학부생으로 화학을 공부했고 1962년 졸업했다.[3]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델타 누 지부인 델타 타우 델타 회원이었다.2010년 6월, 그 대학은 화학 건물 이름을 토마스 A로 바꾸었다.스티츠 과학관.[6]

그는 1966년 하버드 대학에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1976년 화학 노벨상 수상자인 윌리엄 N. 립스콤 주니어의 지휘를 받으며 일했다.하버드대에 있을 때, 작은 분자 메틸 에틸렌 인산염의 구조를 결정하는 훈련 과제가 끝난 후,[7] 스티츠는 각각 그 시대에 결정된 가장 큰 원자 구조인 [16]카르복시펩티다아제 A[8][9][10][11][12][13][14][15] 아스파르타이트 카바모일전달효소의 원자 구조를 결정하는 데 기여했다.

Steitz는 1967-1970년 케임브리지 대학분자생물학 MRC 연구소에서 제인 코프 차일즈 포스트 닥터 펠로우로 박사후 연구를 했다.

스타이츠는 당초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조교수직을 제안받았지만, 기관이 부인 조안을 여성이라는 이유로 교수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17]

대신에 톰과 조안 스티츠 둘 다 1970년에 예일대학 교수진에 들어갔고, 거기서 그는 세포와 구조 생물학을 계속 연구했다.슈타이츠와 피터 무어는 엑스레이 결정학을 이용해 50S 리보솜의 대형 유닛의 원자 구조를 결정하고 2000년 사이언스지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8]2009년 스티츠는 리보솜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그는 또한 1976-1977년 괴팅겐 대학의 메이시 펠로우였고 1984-1985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페어차일드 스콜라였다.[4]

또한 스티이츠는 리보솜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항생제 개발을 위해 현재 멜린타 테라피틱스라는 회사 설립자 중 한 명이었다.

명예

사생활

그는 스키, 하이킹, 정원 가꾸기를 즐겼다.[20]

또한 톰은 즐거운 시간을 소중하게 여겼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그는 항상 행복한 시간, 와인 시음회, 파티를 위한 어떤 다른 핑계들을 부서별로 고대했다.그는 집에서 멋진 할로윈 파티를 많이 열었고, 항상 적절한 복장을 하고 있었다.[21]

Steitz는 Joan A와 결혼했다. 스털링 교수로 예일대 분자생물물리학 및 생화학 교수로도 활약하고 있는 저명한 분자생물학자 슈테이츠.그는 그녀와 함께 코네티컷 브란포드에서 살았고 아들 존을 낳았다.[22]그는 2018년 10월 9일 췌장암 치료 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출판물

참고 항목

참조

  1. ^ a b "Foreign Members". Royal Society. Retrieved 2012-03-20.
  2. ^ Kolata, Gina (10 October 2018). "Thomas A. Steitz, 78, Dies; Illuminated a Building Block of Life". The New York Times.
  3. ^ a b 2009년 노벨 화학상, 노벨 재단.
  4. ^ a b 토마스 스티츠, 토마스 스티츠 랩.
  5. ^ 토마스 A. 슈타이츠, 게어드너 50 재단
  6. ^ "Lawrence To Honor Nobel Prize Winner with Building Renaming Ceremony on Friday". Lawrence University. 9 June 2010. Retrieved 12 January 2013.
  7. ^ 스타이츠, T. A.와 W.N.의 립스콤, 「메틸 에틸렌 인산염의 분자 구조」J Am. Chem. Soc. 87, 2488 (1965)
  8. ^ Hartsuck JA, Ludwig ML, Muirhead H, Steitz TA, Lipscomb WN.Carbyxypptidase A, II, 분해능 6 A에서의 3차원 전자 밀도 지도.Proc Natl Acad Sci U. S. A. 1965년 2월; 53(2): 396–403.
  9. ^ 립스콤, W. N., 코폴라, J. C., 하츠크, J. A., 루트비히, M. L., 뮤어헤드, H., 서글, J., T. A. "카복시펩티다아제의 구조 A. III.분해능 6A에서의 분자 구조," J Mol. 비올. 19, 423-441 (1966년).
  10. ^ Ludwig, M. L., Coppola, J. C., Hartsuck, J. A., Muirhead, H., Searl, J., Steitz, T. A. and Lipscomb, W. N., "Molecular Structure of Carboxypeptidase A at 6 A Resolution," Federation Proc. 25, Part I, 346 (1966).
  11. ^ 루트비히 ML, 하트수크 JA, 스티츠 TA, 뮤어헤드 H, 코폴라 JC, 리크 GN, 립스콤 WN.카르복시펩타이드제 A의 구조, IV. 분해능 2.8 A, 분해능 6 A 기질 복합체.Proc Natl Acad Sci U. S. A. 1967년 3월; 57(3): 511–514.
  12. ^ 리크 GN, 하트수크 JA, 루트비히 ML, 퀴오초 FA, 스티츠 TA, 립스콤 WN.카르복시펩티다아제 A. VI의 구조.일부 결과는 2.0-A 분해능에서, 복합체는 글리실-티로신 분해능 2.8-A 분해능에서.Proc Natl Acad Sci U. S. A. 1967년 12월 58일(6):2220–2226.
  13. ^ Lipscomb, W. N, Ludwig, M. L., Hartsuck, J. A., Steitz, T. A., Muirhead, H., Coppola, J. C., Reeke, G. N. and Quiocho, F. A., "Molecular Structure of Carboxypeptidase A at 2.8 A Resolution and an Isomorphous Enzyme-Substrate Complex at 6 A Resolution," Federation Proc. 26, 385 (1967).
  14. ^ 립스콤 WN, 하르트수크 JA, 리크 GN, 주니어, 퀴오초 FA, 베지 PH, 루트비히 ML, 스티츠 TA, 뮤어헤드 H, 코폴라 JC.카르복시펩티다아제 A. VII의 구조.2.0-앙스트롬 분해능은 효소와 글리실티로신(glycyltyrosine)을 이용한 복합체 및 기계론적 차감을 연구한다.1968년 6월 21일:24–90. Brookhaven Simple Biol.
  15. ^ Coppola, J. C., Hartsuck, J. A., Ludwig, M. L., Muirhead, H., Searl, J., Steitz, T. A. and Lipscomb, W. N., "The Low Resolution Structure of Carboxypeptidase A," Acta Crystallogr. 21, A160 (1966).
  16. ^ Steitz TA, Wiley DC, Lipscomb WN.아스파르타이트 트랜스 카르바밀라아제의 구조 I. 시티딘 삼인산(cytidine triphosphate)을 가진 복합체의 분자 2중 축이다.Proc Natl Acad Sci U. S. A. 1967년 11월; 58(5): 1859–1861.
  17. ^ Ferry, Georgina (2018-10-30). "Thomas A. Steitz (1940–2018)". Nature. 563 (7729): 36. doi:10.1038/d41586-018-07187-2. ISSN 0028-0836.
  18. ^ "Yale Researches Solve Structure of the Ribosome; Groundbreaking Achievement 'Like Climbing Mount Everest'". YaleNews. 10 August 2000. Retrieved 17 March 2015.
  19. ^ Ramakrishnan, V.; Henderson, Richard (2021). "Thomas Arthur Steitz. 23 August 1940—9 October 2018".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72.
  20. ^ "The Best Job Ever. Reflections On My Time with Tom Steitz, 1985–2018 by Peggy Eatheron". Structural Insights Into Gene Expression And Protein Synthesis. Series in Structural Biology—Volume 12. Singapore: World Scientific. 2020. pp. 29–31.
  21. ^ "The Best Job Ever. Reflections On My Time with Tom Steitz, 1985–2018 by Peggy Eatheron". Structural Insights Into Gene Expression And Protein Synthesis. 2020. pp. 29–31. (31페이지부터 참조)
  22.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4-01. Retrieved 2011-04-05.{{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