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A.슈타이츠
Thomas A.토머스 스티츠 | |
---|---|
태어난 | 토마스 아서 스티츠 1940년 8월 23일 |
죽은 | 2018년 10월 9일 | (78세)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하버드 대학교 로렌스 대학교 와우워토사 고등학교 |
로 알려져 있다. | 생체결정학 |
배우자 | 조안 A. 스티츠 |
아이들. | 1 |
수상 | |
과학 경력 | |
필드 | |
기관 | 예일 대학교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 |
논문 | 카복시펩타이드제 A의 6 crystalA 결정구조 (1967) |
박사학위 자문위원 | 윌리엄 N. 립스콤 주니어 |
기타학술고문 | 데이비드 M.불다 |
저명한 학생 | 네나드 반 |
웹사이트 | steitzlab |
토마스 아서 스티츠(Thomas Arthur Steitz, 1940년 8월 23일 ~ 2018년[2] 10월 9일)는 미국의 생화학자, 예일 대학교의 분자 생물물리학 및 생화학 교수, 리보솜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로 가장 잘 알려진 하워드 휴즈의학 연구소 연구원이다.
스티이츠는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로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쉬난, 아다 요나스와 함께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3]스테이츠는 2007년[4] "펩티딜 트랜스퍼레이즈가 RNA 촉매 반응이라는 것을 보여준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와 항생제에 의한 이 기능의 억제 메커니즘을 밝혀낸 공로로 가어드너 국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5]
교육과 경력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태어난 스티츠는 위스콘신주 애플턴의 로렌스 대학에서 학부생으로 화학을 공부했고 1962년 졸업했다.[3]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델타 누 지부인 델타 타우 델타 회원이었다.2010년 6월, 그 대학은 화학 건물 이름을 토마스 A로 바꾸었다.스티츠 과학관.[6]
그는 1966년 하버드 대학에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1976년 화학 노벨상 수상자인 윌리엄 N. 립스콤 주니어의 지휘를 받으며 일했다.하버드대에 있을 때, 작은 분자 메틸 에틸렌 인산염의 구조를 결정하는 훈련 과제가 끝난 후,[7] 스티츠는 각각 그 시대에 결정된 가장 큰 원자 구조인 [16]카르복시펩티다아제 A와[8][9][10][11][12][13][14][15] 아스파르타이트 카바모일전달효소의 원자 구조를 결정하는 데 기여했다.
Steitz는 1967-1970년 케임브리지 대학의 분자생물학 MRC 연구소에서 제인 코프 차일즈 포스트 닥터 펠로우로 박사후 연구를 했다.
스타이츠는 당초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조교수직을 제안받았지만, 기관이 부인 조안을 여성이라는 이유로 교수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17]
대신에 톰과 조안 스티츠 둘 다 1970년에 예일대학 교수진에 들어갔고, 거기서 그는 세포와 구조 생물학을 계속 연구했다.슈타이츠와 피터 무어는 엑스레이 결정학을 이용해 50S 리보솜의 대형 유닛의 원자 구조를 결정하고 2000년 사이언스지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8]2009년 스티츠는 리보솜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그는 또한 1976-1977년 괴팅겐 대학의 메이시 펠로우였고 1984-1985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페어차일드 스콜라였다.[4]
또한 스티이츠는 리보솜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항생제 개발을 위해 현재 멜린타 테라피틱스라는 회사 설립자 중 한 명이었다.
명예
- 노벨 화학상(2009)
- 2011년[1][19] 영국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선출(ForMemRS)
사생활
또한 톰은 즐거운 시간을 소중하게 여겼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그는 항상 행복한 시간, 와인 시음회, 파티를 위한 어떤 다른 핑계들을 부서별로 고대했다.그는 집에서 멋진 할로윈 파티를 많이 열었고, 항상 적절한 복장을 하고 있었다.[21]
Steitz는 Joan A와 결혼했다. 스털링 교수로 예일대 분자생물물리학 및 생화학 교수로도 활약하고 있는 저명한 분자생물학자 슈테이츠.그는 그녀와 함께 코네티컷 주 브란포드에서 살았고 아들 존을 낳았다.[22]그는 2018년 10월 9일 췌장암 치료 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출판물
- Steitz, T. A. 외nsls 뉴스레터, 2000년 11월 (2002년 11월) "Haloarcula marismortui의 리보솜에서 거대 서브 유닛의 원자 분해능 결정 구조 결정"
- Steitz, T. A. 외NSLS 활동 보고서(2000년), "할로아큘라 마리스모르투이의 대형 리보솜 소부대의 원자 분해능 결정 구조"
참고 항목
참조
- ^ a b "Foreign Members". Royal Society. Retrieved 2012-03-20.
- ^ Kolata, Gina (10 October 2018). "Thomas A. Steitz, 78, Dies; Illuminated a Building Block of Life". The New York Times.
- ^ a b 2009년 노벨 화학상, 노벨 재단.
- ^ a b 토마스 스티츠, 토마스 스티츠 랩.
- ^ 토마스 A. 슈타이츠, 게어드너 50 재단
- ^ "Lawrence To Honor Nobel Prize Winner with Building Renaming Ceremony on Friday". Lawrence University. 9 June 2010. Retrieved 12 January 2013.
- ^ 스타이츠, T. A.와 W.N.의 립스콤, 「메틸 에틸렌 인산염의 분자 구조」J Am. Chem. Soc. 87, 2488 (1965)
- ^ Hartsuck JA, Ludwig ML, Muirhead H, Steitz TA, Lipscomb WN.Carbyxypptidase A, II, 분해능 6 A에서의 3차원 전자 밀도 지도.Proc Natl Acad Sci U. S. A. 1965년 2월; 53(2): 396–403.
- ^ 립스콤, W. N., 코폴라, J. C., 하츠크, J. A., 루트비히, M. L., 뮤어헤드, H., 서글, J., T. A. "카복시펩티다아제의 구조 A. III.분해능 6A에서의 분자 구조," J Mol. 비올. 19, 423-441 (1966년).
- ^ Ludwig, M. L., Coppola, J. C., Hartsuck, J. A., Muirhead, H., Searl, J., Steitz, T. A. and Lipscomb, W. N., "Molecular Structure of Carboxypeptidase A at 6 A Resolution," Federation Proc. 25, Part I, 346 (1966).
- ^ 루트비히 ML, 하트수크 JA, 스티츠 TA, 뮤어헤드 H, 코폴라 JC, 리크 GN, 립스콤 WN.카르복시펩타이드제 A의 구조, IV. 분해능 2.8 A, 분해능 6 A 기질 복합체.Proc Natl Acad Sci U. S. A. 1967년 3월; 57(3): 511–514.
- ^ 리크 GN, 하트수크 JA, 루트비히 ML, 퀴오초 FA, 스티츠 TA, 립스콤 WN.카르복시펩티다아제 A. VI의 구조.일부 결과는 2.0-A 분해능에서, 복합체는 글리실-티로신 분해능 2.8-A 분해능에서.Proc Natl Acad Sci U. S. A. 1967년 12월 58일(6):2220–2226.
- ^ Lipscomb, W. N, Ludwig, M. L., Hartsuck, J. A., Steitz, T. A., Muirhead, H., Coppola, J. C., Reeke, G. N. and Quiocho, F. A., "Molecular Structure of Carboxypeptidase A at 2.8 A Resolution and an Isomorphous Enzyme-Substrate Complex at 6 A Resolution," Federation Proc. 26, 385 (1967).
- ^ 립스콤 WN, 하르트수크 JA, 리크 GN, 주니어, 퀴오초 FA, 베지 PH, 루트비히 ML, 스티츠 TA, 뮤어헤드 H, 코폴라 JC.카르복시펩티다아제 A. VII의 구조.2.0-앙스트롬 분해능은 효소와 글리실티로신(glycyltyrosine)을 이용한 복합체 및 기계론적 차감을 연구한다.1968년 6월 21일:24–90. Brookhaven Simple Biol.
- ^ Coppola, J. C., Hartsuck, J. A., Ludwig, M. L., Muirhead, H., Searl, J., Steitz, T. A. and Lipscomb, W. N., "The Low Resolution Structure of Carboxypeptidase A," Acta Crystallogr. 21, A160 (1966).
- ^ Steitz TA, Wiley DC, Lipscomb WN.아스파르타이트 트랜스 카르바밀라아제의 구조 I. 시티딘 삼인산(cytidine triphosphate)을 가진 복합체의 분자 2중 축이다.Proc Natl Acad Sci U. S. A. 1967년 11월; 58(5): 1859–1861.
- ^ Ferry, Georgina (2018-10-30). "Thomas A. Steitz (1940–2018)". Nature. 563 (7729): 36. doi:10.1038/d41586-018-07187-2. ISSN 0028-0836.
- ^ "Yale Researches Solve Structure of the Ribosome; Groundbreaking Achievement 'Like Climbing Mount Everest'". YaleNews. 10 August 2000. Retrieved 17 March 2015.
- ^ Ramakrishnan, V.; Henderson, Richard (2021). "Thomas Arthur Steitz. 23 August 1940—9 October 2018".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72.
- ^ "The Best Job Ever. Reflections On My Time with Tom Steitz, 1985–2018 by Peggy Eatheron". Structural Insights Into Gene Expression And Protein Synthesis. Series in Structural Biology—Volume 12. Singapore: World Scientific. 2020. pp. 29–31.
- ^ "The Best Job Ever. Reflections On My Time with Tom Steitz, 1985–2018 by Peggy Eatheron". Structural Insights Into Gene Expression And Protein Synthesis. 2020. pp. 29–31. (31페이지부터 참조)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4-01. Retrieved 2011-04-05.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토마스 A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스티츠. |
- 밀워키 저널 센티넬은 "밀워키 토착민의 질의가 노벨상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 Thomas Steitz - MIPtalk.com 인터뷰
- 노벨 화학상 수상 로렌스 대학교 졸업생 화학상
- 토마스 A. Steitz on Nobelpriz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