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마2 우르새 대왕
Sigma2 Ursae Majoris관측 데이터 신기루 J2000 이쿼녹스 J2000 | |
---|---|
별자리 | 우르사 메이저 |
σ2 UMA A | |
우측 상승 | 09h 10m 23.538s[1] |
탈위임 | +67° 08′ 02.44″[1] |
겉보기 크기 (V) | +4.813[1] |
σ2 UMA B | |
우측 상승 | 09h 10m 23.508s[1] |
탈위임 | +67° 08′ 06.58″[1] |
겉보기 크기 (V) | +10.26[1] |
특성. | |
스펙트럼형 | F6IV-V / K2V[2] |
U-B색지수 | +0.01[3] |
B-V색지수 | +0.48[3] |
변수형 | 의심됨[4] |
아스트로메트리 | |
σ2 UMA A | |
방사 속도 (Rv) | -2.92 ± 0.12km[5]/s |
고유 운동 (μ) | RA: 7.1마스[1]/연 Dec.: −95.1[1]mas/yr |
시차 (π) | 49.07 ± 0.37[6] mas |
거리 | 66.5 ± 0.5 ly (20.4 ± 0.2 pc) |
절대 기압계 규모 (Mbol) | 3.18[7] |
σ2 UMA B | |
고유 운동 (μ) | RA: 4.1마스[1]/연령 Dec.: −30.0[1]mas/yr |
절대치수 (MV) | 7.16[7] |
궤도[8] | |
기간 (P) | 970 ± 118 yr |
반주축 (a) | 5.80 ± 0.14″ |
편심성 (e) | 0.801 ± 0.017 |
기울기 (i) | 145.4 ± 1.5° |
노드의 경도 (Ω) | 102.1 ± 1.9° |
페리아스트론 신기원을 이루다 (T) | B 1917.39 ± 0.12 |
페리아스트론의 인수 (ω) (2차) | 332.4 ± 1.9° |
세부사항[7] | |
σ2 UMA A | |
미사 | 1.31 M☉ |
반지름 | 1.75 ± 0.07 R☉ |
표면 중력 (log g) | 4.00 ± 0.10 cgs |
온도 | 6276 ± 80 K |
금속성 [Fe/H] | -0.03 ± 0.07 덱스 |
회전 속도 (v sin i) | 4.1 ± 0.8km/s |
σ2 UMA B | |
미사 | ~0.73 M☉ |
온도 | ~4600K |
기타 지정 | |
σ2 UMA A: TYC 4141-1496-1 | |
σ2 UMA B: TYC 4141-1496-2 | |
데이터베이스 참조 | |
심바드 | AB |
A | |
B |
시그마2 우르새마조자리(σ2 ursae Majoris, σ2 UMA)는 우르사마조자리에 있는 이진성이다.히파르코스 우주선에 의한 시차 측정은 지구로부터 약 66.5광년(20.4파섹)의 거리에 놓이게 되어 상당히 가까운 시스템이 되었다.1차 성분은 겉보기 크기가 약 4.8로 [1]육안으로 볼 수 있다(보틀 눈금 참조).
이것은 시각적인 이항성으로, 두 성분의 분해능이 있고, 궤도는 두 별의 위치에서 파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1차 성분 시그마2 우르새 Majoris A는 화이트 컬러의 F형 서브자이언트다.이것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1.75배이며, 31% 더 크다.[7]동반자는 주황색 K형 주계열성으로 훨씬 기진맥진하다.두 별은 약 4아크초 떨어진 곳에 떨어져 있으며, 이들의 느린 궤도 운동 때문에 궤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궤도 주기의[8] 범위는 970년에서 1,500년 이상이다.[9]세 번째 구성요소가 있는데, Sigma2 Ursae Majoris C로 지정되어 있다.1차에서 205아크초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가시선 우연의 일치로 생각되며,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다.
이름 지정
- ell1, π2, σ1, ρ, and, A, d로 가젤레스를 뜻하는 아라비아의 별칭인 ِّ a a composed a composed를 구성하였다.[10]According to the catalogue of stars in the Technical Memorandum 33-507 - 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Al Ṭhibā were the title for seven stars : A as Althiba I, π1 as Althiba II, π2 as Althiba III, ρ as Althiba IV, σ1 as Althiba V, this star (σ2) as Althiba VI, and d as Althiba VII.[11]
- 중국어에서는 삼대 강사를 뜻하는 三 ((San Shī)은 ae 우르새 메이저리스(Ursae Majoris)와 ρ2 우르새 메이저리스(Ursae Majoris)로 구성된 별칭을 말한다.따라서 σ2 우르새 메이저리스 자체는 三三(San Shīsan, 영어: 3대 강사의 제3의 별)[12]로 알려져 있다.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Høg, E.; et al. (2000).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5: L27–L30. Bibcode:2000A&A...355L..27H.
- ^ Edwards, T. W. (1976). "MK classification for visual binary components". Astronomical Journal. 81: 245–249. Bibcode:1976AJ.....81..245E. doi:10.1086/111879.
- ^ a b Mermilliod, J.-C. (1986). "Compilation of Eggen's UBV data, transformed to UBV (unpublished)". Catalogue of Eggen's UBV Data. Bibcode:1986EgUBV........0M.
- ^ a b "* sig02 UMa".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7 March 2017.
- ^ de Medeiros, J. R.; Mayor, M. (1999). "A catalog of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evolve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39 (3): 433–460. arXiv:astro-ph/0608248. Bibcode:1999A&AS..139..433D. doi:10.1051/aas:1999401.
- ^ van Leeuwen, F.; et al.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 ^ a b c d Fuhrmann, Klaus (2008). "Nearby stars of the Galactic disc and halo - IV".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4 (1): 173–224. Bibcode:2008MNRAS.384..173F. doi:10.1111/j.1365-2966.2007.12671.x.
- ^ a b "Sixth Catalog of Orbits of Visual Binary Stars".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 ^ Shklovskii, I. S.; Wenzel, W. (1980). "Book-Review - Stars Their Birth Life and Death". Astronomische Nachrichten. 301: 99. Bibcode:1980AN....301...99S. doi:10.1002/asna.2103010207.
- ^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New York: G. E. Stechert, p. 444
- ^ Rhoads, Jack W. (November 15, 1971), Technical Memorandum 33-507-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PDF),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 (중국어로) AEEA(천문학의 전시 및 교육의 활동) 天文教資 2006 2006 2006 2006 年 6 月 16 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