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 (한국)

Sabi (Korea)
사비
한글
사비
한자
泗沘
수정 로마자 표기법사비

사비(한국어: 사사, RR: 사비)는 538년부터 기원전 660년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한국 백제 왕국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수도였다.[1]사비 터는 대한민국현대식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다.

사비성은 부소산성, 사비성 또는 소부리성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2]궁궐을 중심으로 한 도로로 나누어진 내성,[3] '부소산성'이라 불리는 방어성, 궁궐을 둘러싼 외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성곽 내부는 5개 지구로 이루어져 있는데,[4] 바위, 지붕 표제, 행정구역 명칭이 새겨진 목판 등을 통해 지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이 자리에는 백제 왕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위치

사비의 위치는 부소산 남쪽 기슭의 현 부여 시내 북쪽에 있다.[5]이 위치는 자연적인 요새와 다른 지역으로의 접근 용이성 때문에 선택되었다.가야 지역은 물론 한반도 남부까지 아우르는 요충지 역할을 했던 금강의 평야에 자리 잡고 있었다.[6]산기슭에 위치하여 넓은 농경지로 둘러싸여 있었지만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었다.황해도 근처에 있어 중국, 일본과의 무역이 용이했다.[7]

역사

사비는 백제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수도였다.이전의 수도 웅진(KOR: 웅진)은 산중에 고립되어 외부와 단절되어 수도에 부적합한 위치가 되었다.백제 왕 송왕은 CE 538년에 수도를 사비로 남서쪽으로 약 30km 이동시켰다.[8]사비는 백제가 이웃나라 신라로부터 공격을 받아 당나라 중국군과 연합하여 멸망한 기원전 660년까지 120년 동안 백제의 수도였다.[7]시는 660년 8월 24일 공식적으로 항복했다.[9]

120년 동안 사비는 다음과 같은 지배를 받았다.

  • 송왕(523-554)
  • 위덕왕(554-598)
  • 혜왕(598-599년)
  • 킹 팝(599-600)
  • 무왕 (600-641)
  • 의자왕(641-660)[6]

무왕은 재위 기간 중 수도를 익산(KOR: 익山)으로 옮기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7]

541년과 544년에 사비회의(司i會)가 개최되었다.529년의 Anra Conference(安安議)도 참조

In 541, 1st Sabi Conference be held, Baekje(百濟), Anra(安羅), Daegaya(加羅), Zolma(卒麻), Sanbanhae(散半奚), Dara(多羅), Sagi(斯二岐), Jata(子他), and Anra-wa envoy office(Korean: 안라왜신관, Hanja: 安羅倭臣官) gather.이 자리에서 가야는 백제에 신라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그러자 백제는 탁기탄, 탁순, 금관가야가 모두 나약함으로 망했다고 말하고 방어를 약속했다.사실 백제는 한강 유역을 되찾기 위해 신라의 도움이 필요했기 때문에 강력한 약속을 할 수 없었다.7월에 안라는 불안감을 느끼고 안라와 사신을 통해 신라와 접촉하였다.이를 눈치챈 백제(성왕)는 임나에게 전화를 걸어 꾸짖었다.그리고 근초고왕의 재위[10][11][12] 역사를 강조하고, 멸망한 3국을 복원하여 가야로 돌려주겠다고 약속한다.542년 7월, 부제는 가야연맹 부흥을 선언했지만, 이것은 그저 무행동 선언이었다.저항력이 있는 안라는 외교에 종사하고 있다.543년 11월 일본은 안라와 사신을 통해 임나와 가야 연맹 내의 백제의 장군들과 카스텔란을 파견하겠다고 선언했다.성왕은 543년 12월 가야의 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사암회(한국어: 사사, 한자: 政政巖議議)[13]를 개최하였고, 결론은 제2차 사비회의 개최였다.백제는 543년 12월 회의를 소집하였으나 가야연맹은 계속 변명을 늘어놓았고, 544년 2월 화가 난 백제는 '안라와 사신' 관직을 불러 모욕을 주고 왜국으로 돌려보냈다.일본은 사비회의 참가 의사를 밝혔으나 가야연맹은 3월에도 계속 참석하지 않았다.결국 544년 10월 백제의 사신이 일본에서 돌아와 가야에게 가능한 한 많은 청원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했다.[14]

544년 11월 제2차 사비총회가 열리며 백제, 구차 등 8개국이 모인다.백제 성왕은 이날 회의에서 가야연맹을 지키기 위해 신라와 안라의 접경지역인 낙동강에 6개의 성을 쌓고, 일본군과 백제군 3000명을 주둔시키는 대신 백제가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며 백제가 장군들과 카스텔란을 내보내지 못하는 이유는 예방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가야와 일본의 교류고구려와 신라의 공격에 대비하여 그들을 내보내는 것은 불가피하다.' 라고 변명했다.또한 '안라와 사신(安羅wa envoy)'에 있는 가야 일본인들을 모두 일본으로 보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가야연맹은 이 제안에 대해 깊이 생각한다고 말하고 해산했다.545년 3월과 5월에 일본과 백제는 사신을 교환하였다.그들은 546년 1월, 6월, 7월에 다시 교환했다.547년 4월 백제는 신라, 가야, 일본에 병사를 요청하였다.548년 1월 고구려-예 동맹이 공격하였으나 신라는 3천 명의 군사를 지원하여 결국 그들을 저지할 수 있었다.산 전투라 불린다.독성(한국어: 독성山城, 한자: 禿城山城)(548).그러나 백제가 고구려와 싸운 후 포로를 잡아 심문하여 "안라와 와사 사신이 고구려에 백제의 정복을 권했다."는 정보를 얻는다.백제는 안라에게 세 번이나 사신을 보내 사실을 확인했으나 모두 거절당했다.548년 4월 백제는 일본 정부에 사신을 보내 심문하였다.일본 정부는 몰랐지만 백제는 이를 믿지 않고 군사적 요구를 취소했다.성왕은 백제군은 물론 신라군과 임나의 군대를 이끌고 한강수복전쟁(551~553년)을 일으켰다.이를 통해 백제는 한강을 되찾지만 관산성 전투(한국어: (山城, 한자: 管山城城)에서 신라에게 배신당한다(554).그리고 가야의 가을(562년)으로 끝난다.

특징들

도시는 2층 방어로 둘러싸여 있었다.외층은 부소산성으로, 인근 산들이 열어놓은 쪽에서 수도를 지켰다.그 내층은 수도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나성(KOR: 성)의 성곽이었다.[7]두 겹의 원래 모습은 여전히 온전하다.[16]

도시는 부(KOR: 부)라고 불리는 5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뉘었고, 행(KOR: 항)[7]이라고 불리는 5개의 작은 행정구역으로 나뉘었다.

왕궁과 그 주변 시설은 부소산 남쪽 기슭에 바로 위치해 있었다.궁전의 남쪽에 연못을 만든 사람이 있었다.무왕의 명을 받아 634년에 완성되었다.[17]

1980년대 이후 발굴조사를 통해 급수시설, 저장시설, 연지 등 왕궁의 건축현장이 발굴됐다.시내 중심부에 세워진 정림사(KOR: 정사寺) 터는 물론 나성도시성 동쪽 바로 외곽의 왕릉도 함께 발견됐다.[5]이들 고고학 유적지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18]

왕궁

왕궁과 그 주변 시설들은 도시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그곳에서 큰 건물 부지가 발견되었다.이 부지는 가로 35m, 세로 18.5m에 이르는데, 한때 건물을 지탱했던 플랫폼의 높이 50㎝의 잔해에서 확연히 드러난다.현장 내에서는 건물 기둥과 주춧돌을 받친 것으로 추정되는 흙기초 36개가 발견됐다.[19]

이 부지는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증거 때문에 왕궁으로 확인되었다.첫 번째는 금동 허리띠로 현장에서 발견되었다.이 허리띠는 당시 백제 사회의 엄격한 위계 때문에 왕의 것일 수 있었다.이 발견은 이 지역이 한때 왕의 거주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20]이 자리에서는 왕실의 비문이 새겨진 기와, 큰 석조 건축물, 당나라 류레위안(劉 re)의 비석 등이 발견되었다.이는 위치의 중요성을 가리키며, 이는 왕궁의 위치임을 가리킨다.이 유적지는 후기 한국 왕조의 지방 관공서에도 사용되었다.[21]

이 자리에는 대형 목조 물탱크 2곳, 지하 5곳, 목조 저장시설 3곳, 석조 저장시설 3곳, 기타 각종 저장구 등도 발견됐다.가로 10.6m, 세로 6.2m, 깊이 1~1.2m의 인공연못도 발견됐다.[22]

부소산성의 문

부소산성

그 요새는 주변의 산과 강에 의해 자연적으로 보호되지 않는 측면으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지어졌다.흙받이 공법으로 지어져 둘레가 2,495m, 기단 폭 5~6m, 높이 3m에 이른다.성내에서는 백제군 병영을 비롯한 건축 유적과 문루 등이 발견되었다.두 개의 성문이 확인되었는데, 첫 번째 성문은 성곽 남쪽,[22] 두 번째 성문은 동쪽이었다.

정림사 석탑

정림사

사비사찰은 사비의 중심에 위치하였으며, 지금도 현대 부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사찰에는 복도를 연결해 주요 건물과 연결되는 중앙문, 기도당, 강당, 승려 기숙사가 있었다.배치도는 '탑 1개, 기도실 1개' 또는 '탑 1개, 기도실 2개'로 추정된다.[23]

절에 남아 있는 것은 8.3m 높이의 석탑뿐이다.[24]그 탑의 표면에는 한자가 새겨져 있다.이 글은 당나라가 백제 왕국에 승리한 것을 축하하는 글이며 당나라 대장 류레위안(劉 reuan)이 그 곳에 놓았다.[9]

왕릉

능산리왕릉

성벽의 동쪽을 벗어나면 7기의 무덤이 있다.이 무덤들은 속이 빈 흙더미 안에 있으며 산비탈의 반구형 무덤으로 볼 수 있다.3마운드의 2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북쪽 50m 지점에 1개의 마운드가 있다.

무덤은 복도가 있는 석실로 분류되며, 어떤 종류의 천장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종류별로 구분된다.사비의 왕릉에는 금고 천장, 육각 평탄 천장, 사각 평탄 천장 등 세 가지 유형이 있다.[25]

참조

  1. ^ Republic of Korea (2014). "Nomin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 Fo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Revised Version" (PDF). UNESCO.
  2. ^ "Busosanseong Fortress in Buyeo". www.buyeo.go.kr. Retrieved 7 September 2012.
  3. ^ "Gongju and Buyeo Historic Sites (2010)". jikimi.cha.go.kr. Retrieved 7 September 2012.
  4. ^ "Paekche (ancient kingdom)". /www.britannica.com. Retrieved 7 September 2012.
  5. ^ a b "Sabi Period (Buyeo)". Baekje World Heritage Center. 2017.
  6. ^ a b Kim, Jinwung (2012).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pp. 40–42. ISBN 978-0253000248. JSTOR j.ctt16gh5vd.
  7. ^ a b c d e "History of Baekje". Baekje World Heritage Center. 2017.
  8. ^ 베스트 2006 페이지 328.
  9. ^ a b 베스트 2006 페이지 396.
  10. ^ 니혼쇼키(日本쇼키)에 따르면: 井關(日本 reign)&貴王 reign(재위)
  11. ^ 이론 1. 백제의 근초고, 백제의 근구수라는 뜻
  12. ^ 이론 2. 백제의 초고백제의 구수라는 뜻
  13. ^ 신라에도 화백협의회라는 만장일치의회가 있었다.
  14. ^ 日本書紀(Nihon Shoki) 卷第十九 天國排開廣庭天皇 欽明天皇 > 欽明天皇 2年 4月 > 夏四月.安羅次旱岐夷呑奚·大不孫·久取柔利, 加羅上首位古殿奚, 卒麻旱岐, 散半奚旱岐兒, 多羅下旱岐夷他, 斯二岐旱岐兒, 子他旱岐等, 與任那日本府吉備臣[闕名字.], 往赴百濟, 俱聽詔書.百濟聖明王謂任那旱岐等言, 日本天皇所詔者, 全以復建任那.今用何策, 起建任那.盍各盡忠, 奉展聖懷.任那旱岐等對曰, 前再三廻, 與新羅議.而無答報. 所圖之旨, 更告新羅, 尙無所 報. 今宜俱遣使, 往奏天皇.夫建任那者, 爰在大王之意.祇承敎旨. 誰敢間言.然任那境接新羅.恐致卓淳等禍[等謂㖨己呑·加羅.言卓淳等國, 有敗亡之禍.].聖明王曰, 昔我先祖速古王·貴首王之世, 安羅·加羅·卓淳旱岐等, 初遣使相通, 厚結親好.以爲子弟, 冀可恆 隆. 而今被誑新羅, 使天皇忿怒, 而任那憤恨, 寡人之過也.我深懲悔, 而遣下部中佐平麻鹵·城方甲背昧奴等, 赴加羅, 會于任那日本府相盟.以後, 繫念相續, 圖建任那, 旦夕無忘.今天皇詔稱, 速建任那.由是, 欲共爾曹謨計, 樹立任那等國.宜善圖之. 又於任那境, 徵召新羅, 問聽與不.乃俱遣使, 奏聞天皇, 恭承示敎.儻如使人未還之際, 新羅候隙, 侵逼任那, 我當往救.不足爲憂. 然善守備, 謹警無忘.別汝所噵, 恐致卓淳等禍, 非新羅自强故, 所能爲也.其㖨己呑, 居加羅與新羅境際, 而被連年攻敗.任那無能救援.由是見亡. 其南加羅, 蕞爾狹小, 不能卒備, 不知所託.由是見亡. 其卓淳, 上下携貳.主欲自附, 內應新羅.由是見亡. 因斯而觀, 三國之敗, 良有以也.昔新羅請援於高麗, 而攻擊任那與百濟, 尙不剋之.新羅安獨滅任那乎.今寡人, 與汝戮力幷心, 翳賴天皇, 任那必起.因贈物各有差.忻忻而還.
    제1차 긴메이 천황회의 4월 2일 (AD 541)
  15. ^ 日本書紀(Nihon Shoki) 卷第十九 天國排開廣庭天皇 欽明天皇 > 欽明天皇 5年 11月 > 十一月, 百濟遣使, 召日本府臣·任那執事曰, 遣朝天皇, 奈率得文·許勢奈率奇 麻·物部奈率奇 非等, 還自日本.今日本府臣及任那國執事, 宜來聽勅, 同議任那.日本吉備臣, 安羅下旱岐大不孫·久取柔利, 加羅上首位古殿奚·卒麻君·斯二岐君·散半奚君兒, 多羅二首位訖乾智, 子他旱岐, 久嗟旱岐, 仍赴百濟.於是, 百濟王聖明, 略以詔書示曰, 吾遣奈率彌麻佐·奈率己連·奈率用奇 多等, 朝於日本.詔曰, 早建任那.又津守連奉勅, 問成任那.故遣召之. 當復何如, 能建任那.請各陳謀. 吉備臣·任那旱岐等曰, 夫建任那國, 唯在大王.欲冀遵王, 俱奏聽勅.聖明王謂之曰, 任那之國, 與吾百濟, 自古以來, 約爲子弟.今日本府印岐彌[謂在任那日本臣名也.], 旣討新羅, 更將伐我.又樂聽新羅虛誕謾語也.夫遣印岐彌於任那者, 本非侵害其國[未詳.], 往古來今, 新羅無道.食言違信, 而滅卓淳.股肱之國, 欲快返悔.故遣召到, 俱承恩詔, 欲冀, 興繼任那之國, 猶如舊日, 永爲兄弟.竊聞, 新羅安羅, 兩國之境, 有大江水.要害之地也. 吾欲據此, 修繕六城.謹請天皇三千兵士, 每城充以五百, 幷我兵士, 勿使作田, 而逼惱者, 久禮山之五城, 庶自投兵降首.卓淳之國, 亦復當興.所請兵士, 吾給衣粮.欲奏天皇, 其策一也.猶於南韓, 置郡令·城主者, 豈欲違背天皇, 遮斷貢調之路.唯庶, 剋濟多難, 殲撲强敵.凡厥凶黨, 誰不謀附.北敵强大, 我國微弱.若不置南韓, 郡領·城主, 修理防護, 不可以禦此强敵.亦不可以制新羅.故猶置之, 攻逼新羅, 撫存任那.若不爾者, 恐見滅亡, 不得朝聘.欲奏天皇, 其策二也.又吉備臣·河內直·移那斯·麻都, 猶在任那國者, 天皇雖詔建成任那, 不可得也. 請, 移此四人, 各遣還其本邑.奏於天皇, 其策三也.宜與日本臣·任那旱岐等, 俱奉遣使, 同奏天皇, 乞聽恩詔.於是, 吉備臣·旱岐等曰, 大王所述三策, 亦協愚情而已.今願, 歸以敬諮日本大臣[謂在任那日本府之大臣也.] 安羅王·加羅王, 俱遣使同奏天皇.此誠千載一會之期, 可不深思而熟計歟.
    제2차 긴메이 천황 5년 11월 사비 회의 (AD 544)
  16. ^ 대한민국, 2014, 페이지 65
  17. ^ 베스트 2006, 페이지 173.
  18. ^ "World Heritage List: Baekje Historic Areas". UNESCO. 2015.
  19. ^ 대한민국, 2014, 페이지 56.
  20. ^ 대한민국, 2014년, 페이지 54
  21. ^ 대한민국, 2014년, 페이지 55.
  22. ^ a b 대한민국, 2014, 페이지 58.
  23. ^ 대한민국, 2014, 페이지 60.
  24. ^ 대한민국, 2014, 페이지 62.
  25. ^ 대한민국, 2014, 64.

참고 항목

좌표:36°16′55″N 126°54′45″E/36.2819444544°N 126.91250001°E/ 36.2819444544; 126.9125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