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43 고류노프
SG-43 GoryunovSG-43 | |
---|---|
라도가 호수 역에 있는 생명의 길 박물관 안에 있는 정적 SG-43. | |
유형 | 중기관총 |
원산지 | 소비에트 연방 |
서비스 이력 | |
가동중 | 1943-1968년 (소련) |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1956년 헝가리 혁명 북예멘 내전 욤 키푸르 전쟁 레바논 내전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아프가니스탄의 전쟁 소말리아 내전 걸프 전쟁 부룬디안 내전 콩고-브라자빌 내전 이라크 전쟁 키부 충돌 북말리 분쟁 시리아 내전 사우디아라비아 주도의 예멘 개입 |
생산이력 | |
디자이너 | P.M. 고류노프 |
설계된 | 1940–1943[1] |
변형 | SG-43, SGM, SGMT, SGMB |
사양 | |
미사 | 13.8kg(30.42lb) 총기 본체 바퀴 달린 마운트의 41kg(90.39lb) |
길이 | 1,150mm(45.3인치) |
배럴 길이 | 720mm(28.3인치) |
카트리지 | 7.62×54mmR |
액션 | 가스 작동식 |
화재율 | 500~700라운드/분 |
입마개 속도 | 800m/s(2,624ft/s) |
유효 사격장 | 1100m(일반 yd) |
최대 사격 범위 | 1500미터[2] |
공급 시스템 | 200 혹은 250개의 둥근 벨트 |
볼거리 | 철광석 |
The SG-43 Goryunov (Russian: Станковый пулемёт системы Горюнова, Stankovyy pulyemyot sistyemy Goryunova, meaning "Mounted machinegun, Goryunov design") was a Soviet medium machine gun that was introduce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7.62×54mmR 카트리지에 쓸 수 있게 되었고, 1943년 구형 M1910 맥심 기관총의 대체품으로 도입되었다. 바퀴 달린 마운트, 삼각대, 장갑차 등에 장착했다.
디자인
SG-43은 비스듬히 옆으로 움직이며 수신기의 측면으로 잠근다. 총이 7.62×54mmR 라운드를 발사하고, 이는 허리춤에 부딪히기 전에 벨트에서 뒤쪽으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사료는 간단하지 않다. 왕복 운동은 두 개의 발톱을 사용하여 벨트로부터 라운드를 당긴 다음, 한 팔이 라운드를 카트리지 가이드 안으로 밀어넣어 볼트가 브리치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런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SG-43은 놀라울 정도로 신뢰할 수 있었고, 사료 잼은 분명히 거의 없었다.
통은 공랭식이고 질량이 매우 높아 전체 중량이 상당히 높은 데 기여한다. 보어는 크롬 도금되어 있어 장기간 연속적인 화재를 견딜 수 있다. 통도 간단한 잠금장치를 풀어 쉽게 바꿀 수 있고, 운반용 손잡이도 핫통을 어렵지 않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버전의 포는 배럴까지 윤곽이 매끈하고, 코킹 핸들은 수신기 아래에 있었고, 피드와 배출 포트의 먼지 덮개가 없었다.
역사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SG-43을 개량하여 SGM(현대화를 위해 "M")으로 개칭하고, 먼지 덮개와 새 배럴 잠금장치를 장착하고, 냉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플라인 통을 장착하였다.[3] 동축 장착형 무재고 전기 솔레노이드 연소식 변종은 SGMT(Tankovy 또는 "탱크"를 나타내는 "T")라는 명칭으로 개발되었다. SG-43M과 SGMB는 더스트 커버로 변형된 버전이며 주로 장갑차 인력 수송기에 사용된다.[4]
SG-43/SGM은 널리 수출되었고 여러 국가에서 건설 허가를 받았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타입 53(SG-43)과 타입 57(SGM) 중기관총으로 제조되었다.[5] 체코슬로바키아(vz43)와 폴란드(wz43)에서도 생산되었다.[6]
SG-43은 제2차 세계 대전 외에도 한국전쟁에서 공산 북한군과 중공군과 함께 복무했다.[7] 소비에트 서비스에서 고류노프는 RP-46과 함께 1960년대 소련의 전술적 교리성이 범용 기관총 개념으로 전환되어 PK 기관총으로 대체되어 사실상 총이 쓸모 없게 되었다.[4]
사용자
아프가니스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8][9] 당시 DRA와 무자헤딘이, 아프간 국군이 사용했던[10] SGM
알바니아[필요하다]
부룬디: 부룬드 반군[1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2]
중국: 53형과 57형[5]
쿠바: SG-43[13]
키프로스[필요하다]
콩고 공화국: 콩고 내전[14] 당시 코코예 민병대가 사용했던 중국산 SGM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의 군대는 SGM을[15] 사용했다.
MILO라고도 알려진 르완다 해방을 위한 민주 세력, mitrailleuse lourde (heavy machine gun)[15]
체코슬로바키아: 1953년부터 Kulomet vz. 43으로 면허를 받아 생산되었다.[16]
이집트: 사용권[17] 사용 SG-43 및 SGM에 따라 건설됨.[18]
핀란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한된 숫자로 사용됨
조지아[20]
동독: SG-43 및 SGM[21]
헝가리:[22] SG-43 및 KGK 변종[23]
인도네시아:[24] 이동 인도네시아 경찰여단(BRIMOB)[citation needed]에서 사용
이란: SGM 변종.[citation needed]
이라크: SGM 변종[25][26]
리비아: SGM 변종[27]
말리: SG-43, SGM, 타입 53[28] 및 타입 57 변종[29]
몽골[필요하다]
북한=한국전쟁 때 사용됐다.[2]
북베트남: NVA와[30] 베트콩에[31] 의해 베트남 전쟁 중에 사용된 SG-43, 타입 53, SGM 및 타입 57 변종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32]
폴란드: SG-43[33]
루마니아: SG-43 및 SGM[34]
소말리아[35]
소비에트 연방: SG-43과 SGM은 1960년대[36] 후반에 여전히 서비스 중이었다.
시리아[37]
탄자니아[38]
예멘[39]
짐바브웨[40]
참조
- ^ Советская вое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ред. Н.В. Огарков. том 2. М., Воениздат, 1976. стр.617
- ^ a b Edwards, Paul M. (2006). The Korean War. Westport, CT: Greenwood Press. p. 77. ISBN 0-313-33248-7.
- ^ 스미스 1969, 페이지 607.
- ^ a b 스미스 1969, 페이지 608.
- ^ a b 스미스 1969 페이지 297.
- ^ 소형 무기 식별 및 운용 지침서--유라시아 공산국가, 국방정보국/미 육군 마테리엘 사령부 ST-HB-07-03-74, 페이지 324
- ^ Kinard, Jeff (9 April 2010). "Machine guns". In Tucker, Spencer C.; Pierpaoli, Paul G., Jr. (eds.). The Encyclopedia of the Korean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1. A-L (2nd ed.). ABC-CLIO. p. 535. ISBN 978-1-85109-849-1.
- ^ 라이트, 로렌스, 다가오는 탑, 빈티지 북스 (2006), ISBN 978-1-4000-3084-2, 페이지 134
- ^ Isby, David C. (1990). The War in Afghanistan 1979-1989: The Soviet Empire at High Tide. Concord Publications. p. 13. ISBN 978-9623610094.
- ^ 네빌 2018, 페이지 26.
- ^ Small Arms Survey (2007). "Armed Violence in Burundi: Conflict and Post-Conflict Bujumbura" (PDF). The Small Arms Survey 2007: Guns and the 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04. ISBN 978-0-521-88039-8.
- ^ "Google Sites".
- ^ 스미스 1969, 페이지 300.
- ^ Small Arms Survey (2003). "Making the Difference?: Weapon Collection and Small Arms Availability in the Republic of Congo". Small Arms Survey 2003: Development Denied. Oxford University Press. p. 274. ISBN 019925175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November 12, 2010.
- ^ a b Small Arms Survey (2015). "Waning Cohesion: The Rise and Fall of the FDLR–FOCA" (PDF). Small Arms Survey 2015: weapons and the world (PDF).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 2015.
- ^ "Gorjunov SG 43". vhu.cz (in Czech). Vojenský historický ústav Praha .
- ^ Laffin, John (1982). Arab armies of the Middle East wars, 1948-73 (Illustrated ed.). Osprey Publishing. p. 15. ISBN 0-85045-451-4.
- ^ 스미스 1969 페이지 613.
- ^ Jowett, Philip (2006). Finland at War 1939-45 (Illustrated ed.). Osprey Publishing. p. 50. ISBN 1-84176-969-X.
- ^ "Საექსპორტო და საიმპორტო კონტროლს დაქვემდებარებული სამხედრო დანიშნულების პროდუქციის ნუსხის შესახებ".
- ^ 스미스 1969, 페이지 381.
- ^ Schmidl, Erwin; Ritter, László (10 Nov 2006). The Hungarian Revolution 1956. Elite 148. Osprey Publishing. p. 45. ISBN 9781846030796.
- ^ Lugosi, József (2008). "Gyalogsági fegyverek 1868–2008". In Lugosi, József; Markó, György (eds.). Hazánk dicsőségére: 160 éves a Magyar Honvédség. Budapest: Zrínyi Kiadó. p. 383. ISBN 978-963-327-461-3.
- ^ 스미스 1969, 페이지 461.
- ^ Rottman, Gordon L. (1993). Armies of the Gulf War. Elite 45. Osprey Publishing. p. 49. ISBN 9781855322776.
- ^ Small Arms Survey (2012). "Surveying the Battlefield: Illicit Arms In Afghanistan, Iraq, and Somalia". Small Arms Survey 2012: Moving Targ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21. ISBN 978-0-521-19714-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ugust 30, 2012.
- ^ "World Infantry Weapons: Liby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October 2016.
- ^ Touchard, Laurent (18 June 2013). "Armée malienne : le difficile inventaire". Jeune Afrique (in French).
- ^ Powelson, Simon J. (December 2013). "Enduring engagement yes, episodic engagement no: lessons for SOF from Mali" (PDF). Monterey, California: Naval postgraduate school. p. 24. hdl:10945/38996.
- ^ Rottman, Gordon L. (10 Feb 2009). North Vietnamese Army Soldier 1958–75. Warrior 135. Osprey Publishing. p. 31. ISBN 9781846033711.
- ^ "Gorjunov SG-43, SGM / NAM 64-75".
- ^ Neville, Leigh (19 Apr 2018). Technicals: Non-Standard Tactical Vehicles from the Great Toyota War to modern Special Forces. New Vanguard 257. Osprey Publishing. p. 4. ISBN 9781472822512.
- ^ 스미스 1969 페이지 526.
- ^ 스미스 1969 페이지 533.
- ^ 소형 무기 조사 2012, 페이지 338.
- ^ 스미스 1969 페이지 606.
- ^ Asher, Dani, ed. (2014). Inside Israel's Northern Command: The Yom Kippur War on the Syrian Border. Foreign Military Studies.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p. 130, 462. ISBN 9780813167664. JSTOR j.ctt19jcgzg.
- ^ "WWII weapons in Tanzania". 24 November 2017.
- ^ "WWII weapons in Yemen's civil war". wwiiafterwwii.wordpress.com. September 9, 2018.[자체 분석 소스]
- ^ Headquarters 1 Brigade (Brady Barracks) (Gate Exhibit), Bulawayo, Zimbabwe: Zimbabwe National Army, 2010
참고 문헌 목록
- Smith, Joseph E. (1969). Small Arms of the World (11 ed.). Harrisburg, Pennsylvania: The Stackpole Company. ISBN 9780811715669.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SG-43 고류노프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