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심실 비대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우심실 비대 | |
---|---|
우심실 비대 | |
전문 | 심장학 |
우심실(RVH)은 우심실을 둘러싼 심근의 비정상적인 확대에 의해 정의되는 상태입니다.우심실은 심장의 4개의 방 중 하나이다.심장의 아래쪽 끝에 위치하고 우심방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아 폐로 혈액을 내보냅니다.
RVH는 근육의 확대이기 때문에 근육이 더 열심히 일해야 할 때 발생한다.따라서 RVH의 주요 원인은 폐동맥, 삼첨판 또는 기도와 같은 우심실과 관련된 시스템의 병리이다.
RVH는 양성일 수 있고 일상생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예후가 좋지 않은 심부전과 같은 상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징후 및 증상
증상
증세는 다양하지만 우심실 비대증이 있는 사람은 폐고혈압, 심부전 및/또는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1][2]
- 힘을 주면 호흡곤란
- 노력 시 흉통(혈관)
- 힘을 주면 실신(실신)
- 전신피로/나른함
- 어지러움
- 상복부 팽만감
- 오른쪽 상복부에 불쾌감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 식욕 저하
- 다리, 발목 또는 발의 붓기(부종)
- 두근두근(두근)
사람들은 기침, 혈액 투혈, [citation needed]쉰 소리를 포함한 오르트너 증후군의 증상을 거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징후
신체검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우측 심부전 발병이다.이러한 증상에는 경정맥압 상승, 복수, 왼쪽 흉부 팽만감, [3]촉진 시 부드럽고 커진 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검사 결과, 환자들은 만성질환, 청록색증, 악세사리, 그리고 때때로 황달에 [citation needed]걸릴 수 있다.
청진 시에는 강조된 제2의 폐음(S2), '우심실 질주'라고 불리는 제3의 심장음 및 흡기 강조된 삼첨판 영역에 대한 수축기 잡음이 존재할 수 있다.때때로, 수축기 잡음은 간에서 전염되고 청진될 수 있다.덜 전형적으로, 확장기 [3]잡음은 또한 폐 기능 부전의 결과로 들릴 수 있다.
원인들
RVH는 보통 만성 폐질환이나 심장의 구조적 결함 때문에 발생한다.RVH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는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혈압 상승으로 정의되는 폐고혈압이다.[3]PH는 폐동맥압을 증가시킨다.우심실은 그 모양과 크기를 바꿈으로써 이 증가된 압력을 보상하려고 한다.개별 근구의 비대화는 우심실 벽 [3]두께의 증가를 초래한다.PH의 전세계 발병률은 100만명당 [4]4명이다.RVH는 이러한 [citation needed]사례의 약 30%에서 발생합니다.
PH는 근본 원인에 따라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크게 5가지 범주로 나뉜다.RVH의 발생률은 그룹마다 다르다.PH의 일반적인 원인에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색전증 및 기타 제한적인 폐질환이 포함된다.RVH는 종종 이러한 장애의 결과로 발생한다.RVH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76%와 제한성폐질환 [3]환자의 50%에서 나타난다.
RVH는 또한 심장의 구조적 결함에 반응하여 발생합니다.한 가지 일반적인 원인은 삼첨판 기능부전이다.삼첨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이다.RVH를 초래하는 다른 구조적 결함으로는 Fallot의 4중격, 심실중격결손, 폐판협착증, 심방중격결손 [5]등이 있다.RVH는 또한 복부 비만, 높아진 공복 혈당, 높은 수축기 혈압, 좌심실 중간 [citation needed]벽의 부분적 단축과 관련이 있다.
RVH의 다른 위험 요소에는 흡연, 수면 무호흡, 격렬한 활동이 포함된다.이것들은 심장 및 폐질환의 위험과 그에 [6]따른 RVH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병태생리학
우심실 비대증은 생리학적 및 병태생리학적 과정일 수 있다.과도한 비대증이 있을 때 병태생리학적으로 (손상)된다.병태생리학적 과정은 주로 신경 내분비 호르몬인 안지오텐신 II, 엔도테린-1 및 카테콜아민(예: 노르아드레날린)[citation needed]의 비정상적인 신호를 통해 발생한다.
앤지오텐신II 및 엔도셀린-1
앤지오텐신 II 및 엔도테린-1은 앤지오텐신(AT) 및 엔도테린(ET) 수용체에 결합하는 호르몬이다.이것들은 내부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작용하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이다.이러한 경로는 여러 중간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활성산소종(ROS) 생산을 증가시켜 심근세포에 축적을 일으킨다.이것은 이후에 괴사 세포사, 섬유화,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를 [7]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동물 연구에서 증명되었다.단백질인산화효소C(PKC)는 신호 전달 경로의 중간 분자이며, PKC가 없는 생쥐는 심장 [8]기능 장애를 보이는 PKC를 과도하게 발현하는 생쥐에 비해 심부전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레닌-안지오텐신(RAAS)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것(안지오텐신 변환 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사용)은 [citation needed]혈압과 독립적으로 부적응성 심장 비대증을 반전시키기 위한 잘 알려진 임상 접근법이다.
카테콜아민류
카테콜아민 수치는 교감신경계 활동 증가로 인해 증가한다.카테콜아민은 G단백질 결합 수용체인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와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할 수 있다.이 결합은 앤지오텐신 및 엔도테린과 동일한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시작합니다.또한 cAMP의 활성화와 세포 내 Ca2+의 증가가 있어 수축성 기능 장애와 섬유화를 [7]유발한다.
다른이들
호르몬만이 RVH의 원인은 아니다.비대증은 또한 기계적 힘, mTOR 경로, 일산화질소, 면역세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면역세포는 [7]염증을 유발하여 비대를 일으킬 수 있다.
진단.
우심실 비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진단 검사는 심전도 검사와 심장 초음파 [citation needed]검사입니다.
심전도 검사
심장실 비대 측정을 위한 심전도(ECG)의 사용은 잘 확립되어 있지만, 심전도에서는 좌심실 활동이 우세하기 때문에 감지 가능한 모든 변화를 위해 많은 양의 RVH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전도는 RVH 진단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성인 남성 환자 51명에 대한 사후 연구는 해부학적 RVH가 다음 심전도 [9]기준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진단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러나,[10] 미국 심장 협회는 단일 기준이나 일련의 기준이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기 때문에 RVH를 진단하기 위해 추가 진단 테스트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심장 초음파
심장 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여 우심실 벽 두께를 직접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선호되는 기법은 4개의 챔버를 볼 수 있는 식도경로 접근법이다.우심실 자유벽의 정상 두께는 2-5mm이며, 5mm를 초과하는 값은 [11]비후성으로 간주됩니다.
치료
우심실 비대 자체가 주된 문제가 아니라 우심실 비대증이 나타내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우심실 비대증은 우심실 압력 증가(초기)와 우심실 기능 상실(후기)[12] 사이의 중간 단계입니다.따라서 우심실 비대증의 관리는 우선 우심실 비대증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우심실 부전으로의 진행을 막는 것이다.우심실 비대증은 그 자체로 (약리학적)[6] 치료가 없다.
원인 치료
우심실 비대증의 주요 원인은 삼첨판 역류 또는 폐고혈압(위에서 논의)이기 때문에 관리는 이러한 [3]상태의 치료를 수반한다.삼첨판 역류는 일반적으로 근본적인 원인 치료를 목표로 하고 환자를 정기적으로 [13]추적함으로써 보수적으로 치료된다.수술은 환자가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더 심각한 상황에서 고려됩니다.수술 옵션에는 밸브 교체 또는 밸브 수리(테마형성술)[3]가 포함됩니다.교체의 경우 환자의 특성에 따라 생체 동토판 또는 기계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기계식 밸브는 내구성이 높지만 혈전 [3]위험을 줄이기 위해 항응고제가 필요합니다.폐고혈압의 치료는 폐고혈압의 구체적인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이 외에도 이뇨제, 산소 및 항응고제 [3]요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합병증 관리
오랜 시간이 지나면 우심실이 우심실 압력 증가에 대해 펌프질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적응하지 못합니다. 이를 우심실 기능 상실이라고 합니다.이 우심실 부전은 우심실 비대증의 주요 합병증이다.비대증에서 기능 상실로의 진행의 기초가 되는 메커니즘은 [12]잘 이해되지 않으며, 최선의 관리 접근법은 진행의 위험 요소를 감소/최소화하는 것을 포함한다.생활습관의 변화는 종종 이러한 [5]진행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생활습관 변화: 염분 섭취가 체내의 체액 유지를 촉진하기 때문에 염분이 적은 음식을 먹는 것; 금연; 알코올이 심장 수축의 힘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과도한 알코올 섭취를 피한다.우심실 비대증이 우심실 부전으로 진행되면 그 치료가 심부전 치료가 된다.간단히 말하면,[citation needed] 다음의 사용이 포함됩니다.
레퍼런스
- ^ "Pulmonary Hypertension". nhs.uk. NHS. 14 March 2017. Retrieved 23 March 2019.
- ^ Ibrahim, Bassem (12 December 2016). "Right Ventricular Failure". e-Journal of Cardiology Practice. 14 (32). Retrieved 23 March 2019.
- ^ a b c d e f g h i Bhattacharya, Priyanka; Sharma, Sandeep (15 February 2019).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StatPearls. NCBI. Retrieved 23 March 2019.
- ^ Oudiz, Ronald (21 June 2018).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Medscape. Retrieved 23 March 2019.
- ^ a b "Understanding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Healthline. 2018-02-09. Retrieved 23 March 2019.
- ^ a b Johnson, Jon (16 August 2017). "What is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Medical News Today. Retrieved 23 March 2019.
- ^ a b c Nakamura, Michinari; Sadoshima, Junichi (19 April 2018). "Mechanisms of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ardiac hypertrophy". Nature Reviews Cardiology. 15 (7): 387–407. doi:10.1038/s41569-018-0007-y. PMID 29674714. S2CID 4975072.
- ^ Braz, Julian; Gregory, Kimberley (15 February 2004). "PKC-α regulates cardiac contractility and propensity toward heart failure". Nature Medicine. 10 (3): 248–254. doi:10.1038/nm1000. PMID 14966518. S2CID 8812202.
- ^ Lehtonen, Jari (1988). "Electrocardiographic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Verified at Autopsy". Chest. 93 (4): 839–42. doi:10.1378/chest.93.4.839. PMID 2964996.
- ^ Hancock, William (2009). "AHA/ACCF/HRS Recommendations for the Standard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Electrocardiogram".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3 (11): 992–1002. doi:10.1016/j.jacc.2008.12.015. PMID 19281932.
- ^ Ho, Siew Yen (2006). "Anatomy, echocardiography, and normal right ventricular dimensions". Heart. 92 (Supp 1): i2–i13. doi:10.1136/hrt.2005.077875. PMC 1860731. PMID 16543598.
- ^ a b van der Bruggen, C (2017). "RV pressure overload: from hypertrophy to failure". Cardiovascular Research. 113 (12): 1423–1432. doi:10.1093/cvr/cvx145. PMID 28957530.
- ^ "Tricuspid Regurgitation". BMJ Best Practice. BMJ. March 2019. Retrieved 23 March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