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토레 왕조

Rathore dynasty
저명한 라토어 귀족인 아마르라토어.

라토레 왕조(Rathore 또는 Rathor)는 역사적으로 라자스탄, 구자라트마디아 프라데시의 일부 지역을 지배해온 일족에 속하는 인도 라즈푸트 왕조입니다.[1][2][3][a]

서브클랜

요다, 바델, 자이타왓, 쿰파왓, 참파왓, 메라티야, 우다왓, 카람솟 등은 라토레 라즈푸트의 분파 또는 하위 종파입니다.[5]

범위

이 글은 마르와르의 카나지야 라토레스와 그 계통에 대해 논하는데, 노먼 지글러는 라토레스의 다른 12개의 유사한 분파(샤하스)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수르, 쉬르, 카팔리야, 케라다, 아베푸라, 제밤트, 바굴라, 카라하, 파라크라, 아흐라오, 잘케다, 캄델.[6] 그 지점들에 대한 장학금은 거의 없습니다.[6]

오리진스

한 역사학자들은 라쉬트라쿠타의 기원을 주장합니다.[7][8] 라슈트라쿠타스의 분파들은 일찍이 10세기 후반에 서부 라자스탄으로 이주했습니다. 라슈트라쿠타스는 마르와르와 그 주변에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여러 개의 라슈트라쿠타 분파들 중 하나에서 출현했을 수도 있습니다.[7]

바르디족의 기원

마르와르의 라토레스에 의해 고용된 무흐노트 나이네시는 1660년 서부 라자스탄의 라즈푸트족의 음유시 족보 역사인 나이네시리 키야트를 연대순으로 기록했습니다. 키야타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 중 하나로 현존하는 구술 문헌, 족보 및 행정 자료의 정보를 연대순으로 수집했습니다.[4][page needed][7][9][b][c] 나이네시는 라토레스족이 마르와르로 이주하기 전에 칸나우지에서 기원했다고 언급했습니다.[4]

정확성.

이러한 혈통적인 주장들은 그 이후로 지글러에 의해 대체로 역사적인 것으로 여겨졌습니다.[7][d] 지글러는 이주의 주제가 라즈푸트 계보에 걸쳐 공통적이라고 언급합니다. 다른 지역의 문학적 대포에서 차용한 구성물입니다.[7] 라토레스의 후대의 족보는 힌두 판테온의 신 인드라, 나라야나 등으로부터 기원을 찾을 정도입니다.[4][e]

역사

초기역사

첫 라토레 족장은 마지막 가하다발라자야찬드라의 손자인 시호 세트라못이었습니다.[4][f] 세트라모트는 카나우지의 왕위를 물려주고 금욕자가 되었으나 왕실의 경쟁에 휘말려 결국 구자라트족 통치자의 딸과 결혼하여 세 아들을 낳았습니다.[4][7] 가장 나이가 많은 아스탄은 시호가 죽은 후 팔탄에서 자랐고, 그는 압제적인 왕 칸하 메르를 물리치고 지역 브라만들에게 승리한 후 팔리(그리고 인접한 마을은 거의 없음)에서 첫 라토레 정권을 수립했습니다.[4] 다른 현대의 자료들은 같은 혈통을 주장하며 카나우지로부터의 이주에 대해 약간의 다양한 이야기를 구성합니다. 세트라모트는 구리드 술탄국을 떠나 마르와르로 가서 최초의 라토레 정치를 세웠습니다.[8][7][11] 비투어 비문에는 1273년 시호가 사망한 날짜가 적혀 있고, 그를 세트 쿤와르의 아들이라고 부르지만, 가하르왈의 기원에 대해서는 주장하지 않습니다.[g]

아샨의 정권과 그의 후계 통치자의 정권 하에서 라토레 영토는 다른 목축 집단과의 예의 대립과 외교 협상을 크게 확대했고, 주요 기반은 여러 번 이동했습니다.[4][h] 타르 밖에서 활동하는 모든 전사 집단과의 결혼 동맹이 특히 선호되었고, 그들은 라토어 폴드에 헌액되는 것을 환영했습니다.[4][i] 여러 개의 새로운 Rathore 가지가 이 기간에 갈라진 것 같습니다.[10][j]

이러한 범위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사건의 정확한 정확성은 의심스러우며 일반적인 재구성을 제외하고는 의존할 수 없습니다.

주권

아스탄 출신의 9대손인 춘다는 프라티하라 공주와 결혼하여 만도레의 영토를 프라티하라 가문으로부터 지참금으로 받았습니다. 그 대가로 춘다는 투글라크 제국에 맞서 만도레를 방어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12] 따라서 만도레는 1400년경 라토레 가문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습니다.[4][page needed] 이는 사회정치적으로 큰 변화를 일으켰는데, 소떼 습격 등으로 인해 지금까지 유목생활이 점차 귀족들에게 자리를 내주게 됩니다.[4][k] 그의 아들 란말은 1438년에 암살당했고, 마르와르는 시소디아스에 합병되었고, 다른 부분들은 델리 술탄국에 함락되었습니다.[4][l]

1453년, 라오 조다는 마르와르를 되찾았고, 라즈푸트와 여러 동맹을 맺으면서 영토를 확장했습니다. 라오 조다는 델리 술탄국의 여러 영토를 합병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로 인해 마르와르의 라토레스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라즈푸타나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 되었습니다. [13] 그의 아들들 중 라오 비카는 1465년 비카네르에 새로운 국가를 세웠고, 그와 그의 후계자들은 비슷한 전술을 채택하면서 영토를 확장했습니다.[4] 이 비카왓 지부는 라토레 유산의 새로운 전달자가 되었고, 심지어 마르와르에서 가다발라 시대의 상징과 가보를 가져왔습니다.[4] 조다의 다른 아들 라오 바르싱은 1462년 메르티요 지부를 설립하면서 메르티요에 새로운 주를 설립했습니다.[4][14]

라오 말데오의 정권 (1532-1562)은 또 다른 중요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말데오는 새로운 영토를 정복한 먼 친척들에게 그에게 복종하거나 다른 이익을 빼앗기도록 강요했습니다.[4] 비카너도 습격당했습니다.[4] 큰 궁전들이 지어졌고, 요새들이 세워졌고, 이것은 목회 생활의 효과적인 종말을 알리는 신호였습니다.[4] 16세기 중반까지 라토르인들은 라자스탄 전체를 확고하게 지배했습니다.[4]

이 모든 기간 동안, 지역 이슬람 왕국들과의 다수의 결혼 및 군사적 동맹, 델리 술탄국,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관계는 대체로 우호적이었습니다.[6][m]

무굴기

악바르가 무굴 황제로 서품되고 라오 말데오가 죽자 상황은 악화되었습니다. 그의 아들 라오 찬드라센 라토레(rao Chandrasen Rathore)는 무굴 제국의 끈질긴 공격으로부터 거의 20년 동안 그의 왕국을 지켰습니다.[4] 조다와트 라토레스는 영토의 많은 부분을 빠르게 잃었고 사실상 함락되었습니다.[4] 비카와트 라토레스는 무굴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고, 그들의 군대를 이끌었으며, 조드푸르 요새를 통제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후원을 받았습니다.[4] 1583년, 우데이 싱은 마침내 무굴 종주국을 받아들였고, 그 대가로 조드푸르의 파르가나의 일부를 승인받았는데, 이것은 조드하왓 라토레스가 불화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무굴족의 전천후 동맹국이 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4]

이 동거 기간은 라토어 주름에 엄격한 내생애를 도입하고 무굴족과의 과대혼애로 이어졌습니다.[4] 또한 음유시인의 족보는 무굴의 가치 있는 인물로 자신을 내세우고 다른 "한때는 부계" 공동체와 구별하여 시간적 상황에 관계없이 권력을 주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무굴 아래서 만들어졌습니다.[4][7][9] 또한, 이 시기에 유목민들의 기억은 더 잘 억제되었고, 라토레스인들은 지역 소 사육자들의 엘리트 "보호자"로 브랜드화되었습니다. 2세기 안에 초기 라토레스 정치의 인물들은 신격화되었습니다.[4]

라토레 씨족의 많은 후손들은 무굴 왕조 기간 동안 자신들만의 왕국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바바라 라무삭(Barbara Ramusack)은 조드푸르(Jodhpur) 지배 가문의 젊은 분파 출신인 23세의 라탄 싱 라토레(Ratan Singh Rathore)가 어떻게 델리(Delhi)에서 미친 코끼리와 싸워서 계급이 상승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언급합니다. 샤 자한은 그의 용맹함에 깊은 인상을 받아 라탄 싱을 군대에 입대시켰습니다. 라탄 싱은 3,000명의 계급까지 오를 수 있었고, 말와에서 마히마라팁자기르를 받았고, 라틀람에서 자신의 왕국을 세웠습니다. 라탄 싱에 의해 시작된 왕조는 더 멀리 떨어져 나가 사일라나와 시타마우 왕국을 형성하게 됩니다.[15]

오랑제브의 통치 기간 동안 주요 반란들이 일어나 무굴족과 라토레스족 사이에 30년 동안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반란은 바하두르1세가 통치할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 두르다스 라토레는 이 전쟁 동안 조드푸르의 라토레 왕조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16][17]

영국 시대

조드푸르 만의 라토레 통치자는 처음에는 영국과 조약을 맺기를 거부했습니다. 그러나 1805년-1806년에 그는 영국인들에게 군사적인 조언을 구했고 마라타족핀다리스족의 약탈적인 행동으로부터 그의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영국인들에게 돈을 지불했습니다. 1816년까지 영국은 이 조약을 변경하고 조드푸르에서의 모든 외국의 영향력을 추방했고, 그들은 또한 국가 문제에 대한 중재를 시작했습니다. 1818년까지 동맹은 공고해졌고 1832년에는 라지푸타나 기관이 설립되었습니다.[4] 만 싱은 이 시기 동안 항상 영국인들과 우호적이지는 않았습니다. 1829년 만 싱은 무드호지 2세 본슬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영국인들을 적대시했습니다. 무드호지는 만 싱에 의해 열렬한 보호를 받았고 1840년 사망할 때까지 조드푸르에서 남은 삶을 살았습니다.[18] 만 싱은 마침내 그의 스파이 덤다스가 영국에 의해 체포되었을 때, 증거로 잡혔습니다. 만 싱은 고행자들을 스파이와 메신저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 편지들은 만 싱이 펀자브의 마하라자 란짓 싱, 아프가니스탄의 왕 도스트 무함마드, 그리고 러시아인들을 포함한 "반영 카발"의 일부라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1839년 9월 영국은 군대를 보내 조드푸르를 점령했습니다. 만 싱은 자신의 왕위를 포기하기로 결정하고 전쟁을 피하기 위해 금욕자가 되었습니다. 추방당한 조드푸르의 마하라자는 1843년 9월 5일 건강 악화로 사망했습니다.[19] 1857년 반란은 조드푸르 주에 있는 라조레 씨족의 여러 라즈푸트 족장들 사이에서 봉기를 일으켰습니다. 그들 중 두드러진 사람은 오와의 쿠샬 싱이었습니다. 영국군의 몇 번의 실패 끝에, 반란은 홈즈 준장이 지휘하는 영국군에 의해 진압되었습니다.[20]

20세기 동안 인도의 하위 카스트들은 다른 카스트들의 성을 채택함으로써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고 노력했습니다. 라즈푸트 씨족의 이름인 "라토레"는 1931년 텔리 공동체에 의해 성으로 채택되었으며, 그들은 스스로를 카스트 업라이버를 위해 라토레 바이샤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21] 영국령 라즈의 같은 시기에 반자라인들은 차우한과 라토르 라즈푸트로 자신들을 스타일링하기 시작했습니다.[22]

왕자국

조드푸르 라토르 왕조가 사용한 문장

라토레 씨족의 다양한 생도 분파들은 점차 마르와르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후에 중앙 인도와 구자라트에 주들을 세웠습니다. 마워 왕가는 라토레스의 종가로 여겨집니다. 1947년 인도가 독립할 당시 라토레 씨족의 다양한 분파에 의해 통치된 왕자국은 다음과 같습니다.[23][1]

  • 오늘날 라자스탄의 조드푸르 (마르와르)는 1226년 라오 시하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 1465년 라오 비카지(라오 조다의 아들)가 세운 오늘날 라자스탄의 비카너.
  • 오늘날 라자스탄의 키샨가르는 1611년 마하라자 키샨 싱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 오늘날 구자라트에 있는 이다르는 1257년 라오 소낙에 의해 설립되었고, 1729년 라오 아난드 싱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습니다.
  • 오늘날 마디아 프라데시의 라틀람은 1651년 마하라자 라탄 싱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 1584년 라자 케샤브 다스에 의해 설립된 오늘날의 마디아 프라데시의 자부아.
  • 라자 케쇼 다스(Raja Kesho Das)가 1701년 설립한 오늘날의 마디아 프라데시(Madhya Pradese)의 시타마우(Sitamau)입니다.
  • 라자 자이 싱이 1730년에 설립한 오늘날의 마디아 프라데시의 사일라나입니다.
  • 1437년 라자 아난과 데오가 세운 오늘날 마디아 프라데시의 알리라즈푸르.

메모들

  1. ^ 대체 철자로는 Rathor가 있습니다.[4]
  2. ^ 나이네시는 편찬 당시 자스완트1세의 최고 세입 책임자였으며, 그의 것은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키앗입니다.[7] 다른 기록 자료로는 나이네시에 의해 편찬된 매우 공식적인 "마르바르 리 파르가남 리 비가트"가 있습니다.[9] 둘 다 그의 재임 마지막 해인 1666년 이후의 엔트리는 기록하지 않습니다.[9]
  3. ^ 나이네시 이전에는 타르의 문학세계가 불모지였다고 가정할 수 없습니다.[6] 뱀사발리스, 박쥐, 피다발리와 같은 방대한 문헌 말뭉치가 유지되었고, 원시 시대에 걸쳐 전달되었습니다. 구술 형태로, 하부 캐스트의 전문가에 의해.[6] 심지어 상대적으로 더 새로운 형태의 키야토르 비가트도 나이네시 이전 약 1세기 동안 그곳에 있었을 것입니다.
  4. ^ 비투어에는 1273년에 시호 한 명이 사망한 것을 기념하는 비투어의 비투어에 기록되어 있는데, 시호를 셋 칸와르의 아들이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7] 라오 자이치로 찬드, 약 1세기 전인 1535년에 작곡된 차란 시는 살카를 라토레스의 첫 번째 시로 시작했습니다.[4]
  5. ^ 세 개의 날짜가 없는 필사본(약 18세기) 중에서 편집된 "라토담 리 밤사발리"는 라토레스의 가장 초기 조상이 트레타 유가의 수리야반시 라즈푸트인 라자 라스테프스와르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10] 그는 아버지의 척추("ratho")에서 태어나 리 고탐(Rsi Gotam)의 축복을 받아 칸나우지(Kannauj)에서 주권 국가를 세웠습니다.[10] 댜파라 유가 출신의 라마조차도 라토레로 유명합니다![10]
  6. ^ 생산(및 순환)의 맥락은 역사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7. ^ 비투어에는 1273년에 시호 한 명이 사망한 것을 기념하는 비투어의 비투어에 기록되어 있는데, 시호를 셋 칸와르의 아들이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7] 라오 자이치로 찬드, 약 1세기 전인 1535년에 작곡된 차란 시는 살카를 라토레스의 첫 번째 시로 시작했습니다.[4]
  8. ^ 아스한 다음에는, 라이팔과 칸하데와 잘한시와 차다와 테도와 살카와 말로와 춘다와 린말이 차례로 왔습니다.[4] 말로가 왕위에 오른 이후에도 상당한 수의 내부 경쟁 관계가 존재했습니다.[4]
  9. ^ 지글러는 이 통치자들이 대중적인 기억으로부터 외삽되어 라토레 족보에 포함되었다고 의심합니다. 역사적인 증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7][10] David Henige는 또한 Nainsi가 74년의 기간 동안 10명의 왕을 수용한다고 지적하는데, 이것은 망원경에 시달리는 것이 아니라면 매우 불가능한 일입니다.[4]
  10. ^ 신달과 우하르와 쁘타르와 뮬루 등 이 모든 가지들. — 마르와르의 여러 지역에 군림했습니다.[10]
  11. ^ 라즈푸트 역사에서 초기는 비카우 시대로 언급됩니다. 카스트 오염과 불안정한 위계질서에 대한 현대의 불안은 이러한 기간에 다시 투영됩니다.
  12. ^ 지글러는 연대기가 15세기 중반부터 상당히 신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비문학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언급합니다.[7] Nainsi가 훨씬 오래된 출처에서 일부 부품을 귀인 없이 복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9] 그러나 나이네시는 그의 이야기에 시대착오적인 요소를 더했습니다.[9]
  13. ^ 동시에 사찰의 신성모독, 강제 개종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일부는 무슬림의 예속을 피하기 위해 마르와르를 탈출했습니다.

참고문헌

  1. ^ a b Dhananajaya Singh (1994). The House of Marwar. Lotus Collection, Roli Books. p. 13. He was the head of the Rathore clan of Rajputs, a clan which besides Jodhpur had ruled over Bikaner, Kishengarh, Idar, Jhabhua, Sitamau, Sailana, Alirajpur and Ratlam, all States important enough to merit gun salutes in the British system of protocol. These nine Rathore States collectively brought to India territory not less than 60,000 square miles in area.
  2. ^ A. M. Shah (1998). The Family in India: Critical Essays. Orient Blackswan. pp. 112–. ISBN 978-81-250-1306-8.
  3. ^ 해당 지역의 지도는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Kothiyal, Tanuja (2016). "Mobility, Polity, Territory". Nomadic Narratives: A History of Mobility and Identity in the Great Indian Dese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946186.
  5. ^ Kothiyal, Tanuja (2016). Nomadic Narratives: A History of Mobility and Identity in the Great Indian Dese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05. ISBN 978-1-10708-031-7.
  6. ^ a b c d e Ziegler, Norman (1973). Action power and service in Rajasthani culture: a social history of the Rajputs of middle period Rajasthan (Thesis). University of Chicago.
  7. ^ a b c d e f g h i j k l m Ziegler, Norman P. (1976). "The Seventeenth Century Chronicles of Mārvāṛa: A Study in the Evolution and Use of Oral Traditions in Western India". History in Africa. 3: 127–153. doi:10.2307/3171564. ISSN 0361-5413. JSTOR 3171564. S2CID 156943079.
  8. ^ a b Bose, Melia Belli (1 January 2015). 3 A Deceptive Message of Resistance: Nostalgia and the Early Jodha Rathores' Renaissant Devals. Brill. ISBN 978-90-04-30056-9.
  9. ^ a b c d e f Saran, Richard D.; Ziegler, Norman P. (2001). "Introduction to Translations". The Mertiyo Rathors of Merto, Rajasthan: Select Translations Bearing on the History of a Rajput Family, 1462–1660. Vol. 1.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doi:10.3998/mpub.19305. ISBN 978-0-89148-085-3. JSTOR 10.3998/mpub.19305.9.
  10. ^ a b c d e f Saran, Richard D.; Ziegler, Norman P. (2001). "Rajpūt Social Organization: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Mertiyo Rathors of Merto, Rajasthan: Select Translations Bearing on the History of a Rajput Family, 1462–1660. Vol. 1.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doi:10.3998/mpub.19305. ISBN 978-0-89148-085-3. JSTOR 10.3998/mpub.19305.12.
  11. ^ Saran, Richard Davis (1978). Conquest and Colonization: Rajputs and Vasis in Middle Period Marvar (Thesis). University of Michigan.
  12. ^ Belli, Melia (2005). Royal Umbrellas of Stone: Memory, Politics, and Public Identity in Rajput funerary arts. Brill. p. 142. ISBN 9789004300569.
  13. ^ Kothiyal, Tanuja (2016). Nomadic Narratives: A History of Mobility and Identity in the Great Indian. Cambridgr University Press. p. 76. ISBN 9781107080317.
  14. ^ Saran, Richard D.; Ziegler, Norman P. (2001). "Succession Lists of the Major Rajpūt Ruling Families of Middle Period Rājasthān". The Mertiyo Rathors of Merto, Rajasthan: Select Translations Bearing on the History of a Rajput Family, 1462–1660. Vol. 1.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doi:10.3998/mpub.19305. ISBN 978-0-89148-085-3. JSTOR 10.3998/mpub.19305.13.
  15. ^ Ramusack, Barbara N. (18 April 2023). The Indian Princes and their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6. ISBN 9781139449083. Retrieved 14 September 2020.
  16. ^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upa. pp. 595–610. ISBN 9788129115010.
  17. ^ Sarkar, Jadunath (1994). A History of Jaipur. Orient Longman. pp. 148–149. ISBN 9788125003335.
  18. ^ Hooja, Rima. A History of Rajasthan. Rupa Publication. p. 833.
  19. ^ Dhananajaya Singh (1994). The House of Marwar. Lotus Collection, Roli Books. p. 117-119. Ascetics from all over India who flocked to Maan Singh drawn by tales of his generosity. It is save to assume, and the worried British certainly did, that many of these fakirs were spies and messengers. Most interesting of this traffic in subterfuge are letters to and from Maharaja Ranjit Singh, the lion of Punjab. The Sikh had a healthy respect for the Rathore as his letters reveal....Part of a bigger larger anti-British cabal....King of Afghanistan and the Russians....Jodhpur's master-spy Dhumdas, however was arrested in 1838...Ranjit Singh died in 1839.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the company's force marched on and occupied Jodhpur....Maan Singh left Mehrangarh, donned the garb of a mendicant and renounced material life. Weak and ill, he died on 5 September 1843
  20. ^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upa & Company. pp. 836–837. ISBN 978-81-291-0890-6.
  21. ^ Patil, Shankaragouda Hanamantagouda (2002). Community Dominance and Political Modernisation: The Lingayats. Mittal Publications. p. 88. ISBN 8170998670. Retrieved 28 August 2020.
  22. ^ Rath, Saroj Kumar (2018). "Satyagraha and Social Justice in India". In Masaeli, Mahmoud; Prabhakar, Monica (eds.). India as a Model for Global Development.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p. 91. ISBN 9781527518568.
  23. ^ 인도 왕자의 메달: 토니 맥클레나건의 훈장, 장식, 메달 기록, 179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