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

Prekmurje Slovenes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
총인구
c.110,000 이상
모집단이 유의한 지역
프레크무르제c. 80-90,000
벤드비데크c. 3000
소모지학알 수 없는
언어들
슬로베니아 프레무르제 슬로베니아
종교
루터교
천주교
어떤 칼뱅주의자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 (슬로베네: 프레크무르치, 프레크무르치, 프레크무르치, 프레크무르지)는 슬로베니아프레크무르제헝가리의 벤드비데크, 소모지 출신의 슬로베니아인이다.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인은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 사투리를 구사하며 공통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1][unreliable source?] 헝가리 슬로베니아(포라브스키 슬로베니)소모지 슬로베니아인들도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 사투리를 구사한다.[2]

오리진스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는 로어 판노니아의 슬로베니아인(슬로베네 스팟자 파노니자, 프레크무르제 방언 스푸드냐 파노니자, 헝가리인: 9세기 프랑크 제국의 신하였던 알소-파노니아)이다. 900년 마야르족은 로어 파노니아를 정복했고, 슬로베니아인 중 많은 수가 동화되었다. 그러나 무라 강변에 있는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인들은 정체성을 유지했다.

중세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인들이 말하는 사투리는 다른 슬로베니아인들과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표준 슬로베니아어(카르니올란어) 사투리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어 스타일리아, 마리보르, 류토머 등 다른 슬로베니아 지역과의 접촉은 유지되었다. 중세에는 Győr의 주교가 바스 카운티의 슬로베니아 파리에 '토타그'라는 이름을 적용하였고, 이후 이 명칭은 잘라 카운티의 슬로베니아 지역에도 적용되었다. 당시 슬로베니아 민족은 버겐랜드와 에르세그까지 영토가 확장되었다. 12세기에서 13세기에, 슬로베니아의 한 공동체가 스젠트고타르드 사원 근처에 살았다.[3]

개신교 개혁에서 19세기까지

16세기에는 헝가리 슬로베니아인들 사이에 개신교가 전파되었다. 개신교 슬로베니아인들이 모국어로 처음 출판했다. 18세기에 그들은 이미 누비 자콘프레도고보르(포어)에서 이스반 뮐츠믹스가 쓴 (보그르스키 슬로베니아) '헝가리 슬로베니아'라고 부르는 그들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가톨릭 번역가 겸 작가인 미클로스 쿠즈믹스도 카르니올라, 스티리아, 토차그, 소모고이의 슬라브 민족도 슬로베니아인이지만 헝가리 슬로베니아인은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4] 무라와 라바 사이에 사는 슬로베니아인들은 예언자와 사도들의 편지를 통해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시는 것을 이해하는 언어로 번역할 권리를 누가 허락할 것인가? 하나님은 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으로 구원에 대한 준비를 하기 위해 이 책들을 읽으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그들은 트루황, 달마틴, 프랑스어, 또는 다른 번역물(베르시오)에서 이것을 받을 수 없다. 우리 헝가리 슬로베니아의 언어는 다른 언어와 다르고 그 자체적인 특성이 독특하다. 앞서 말한 번역에는 이미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성경을 번역하고 하나님을 찬양하고 조국을 구원할 사람이 와야 했다. 하나님은 이 작품을 위해 이스탄 쿠즈믹스를 격려하셨는데, 수르드 출신의 한 제사장은 성령의 도움을 받아, 그리고 매우 부지런히 그리스어에서 온 신약성서 전체를 여러분이 읽고 듣는 언어로 번역했다. 많은 종교적인 영혼들의 도움(및 비용)으로 성경이 인쇄되어 쿠즈믹스가 1754년에 인쇄된 Vöre Krszzzzke Krartki Navuk을 준비한 것과 같은 이유로 당신에게 주어졌다.[5]

16세기, 17세기, 18세기에 무라 슬로베니아인 중 일부가 소모고 현으로 이주하였다.

19세기 및 마자르화

19세기 마자르화 정책의 일부분은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의 국가 정체성을 의식하는 것을 제기하는 것이었지만, 비슬로베네 이론(원디쉬 질문)에 의해서였다. 헝가리인들의 지지를 받은 이 이론은 완두어족(Prekmurje Slovenes)은 '슬래브-마그야르족'이며, 장기적으로 이러한 '슬래브-마그야르족'이 완전히 마그야라이화되기 때문에 프렘무르제 방언과 문화에 대한 지원은 불필요하다는 것이었다.

1918–1991

1920년 트리아논 조약에 의해 옛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슬로베니아 인구의 3분의 2가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요세프 클레클 등 프렘무르제 출신 가톨릭 슬로베니아 정치인들은 이 조약을 환영했다. 이후 클레클은 새로운 상태의 민주주의 부족, 슬로베니아 이용의 제약, 토지개혁 이행 실패에 실망하게 되었다. 그 결과 그는 슬로베니아어와 슬로베니아 국가 정체성의 옹호자가 되었다.[6] 또 다른 프렘무르제 정치인인 미스코 크란제크가 반대 입장을 취했는데, 그는 후에 슬로베니아 공산당의 당원이 되었다.

1945년 이후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요세프 클레클의 사상을 억압하려 했다. 헝가리에서도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의 정체성이 억압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슬로베니아의 국가 정체성이 억압되었다.

산도르 미콜라의 이론

제1차 세계 대전 후 "완디쉬-셀틱"과 "완디쉬-마기야" 이론은 미콜라 사도르에 의해 정교하게 설명되었다. 이것들은 프레크무르제의 역사를 위조한 것에 근거한 것이었다. 슬로베니아 소식통들은 미콜라가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인(완두인)이 별개의 국가라고 주장했지만, 사실 미콜라는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인 신분과 같은 것이 있다고 부인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인들은 헝가리인이고 그들은 "헝가리인이 될 것"이라고 한다.

무라 공화국과 슬로벤스카 크라지나

1918년 클레클은 헝가리 내에 "슬로벤스카 크라지나"(혹은 슬로베니아 행진)라는 자치 영토를 설립하려고 했다.[7] 그러나, 류블랴나에서는 이 생각에 대한 지지가 거의 없었고, 후에 그는 슬로베니아 행진곡은 유고슬라비아와 연합하여 독립국가가 될 것을 제안했다. 나중에 클레클은 슬로베니아 크라지나에 대한 생각이 추구되지 않았다고 후회했다. 1919년 5월 29일 빌모스 TKAlecz무르스카 소보타에서 무라 공화국(무르스카 리푸블리카, 레스푸블리카 뮐레스카)을 선포했지만, 이 역시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991년 이후

1991년 이후 작가 페리 레인시체크[8][9] 등은[10]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의 정체성[11](파논스코슬로벤스카 동일시테타) 개념을 옹호했다.[12]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 정체성의 또 다른 옹호자인 Evald Flisar는 다음과 같이 썼다. 이 나라는 프레크무르제를 슬로베니아의 일원이 아니라 국경 내에서 독특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프리크무르제 출신의 두 사람이 프리크무르제 방언 외에는 어떤 말로도 서로 말을 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나는 공공 행사에서 밀라노 쿠찬 전 대통령을 자주 만나곤 했다. 우리는 항상 현지 사투리를 사용했는데, 슬로베니아인 역시 프레크무르제 출신이라 표준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왜 우리가 그렇게 비밀스럽냐고 물으며 우리에 대해 농담을 했다. 내가 호주, 아프리카, 미국에서 동포를 만났을 때, 우리는 즉시 우리의 언어로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우리의 언어다.[13]

프레크무르제 슬로베니아의 저명한 사람들

문학

  • 조제 알로즈와 제인즈 스라카: 1984년 시카고 프레크무르제의 프레크무르치.
  • Franci Just: 페스미조의 메드 베르즈슈코, 포에지자 프레크무르자 vs 프르비 폴로비치 20. 스토레자, 프랑크프랑크, 무르스카 소보타 2000. ISBN961-219-025-9
  • 피터 슈툼프: 조제프 클레클 St. Ljubljana 2002. ISBN 961-211-373-4
  • Franci Just: 베세 이즈 포라브자, 베세 자 포라브제, 프랑크프랑크 무르스카 소보타 2003. ISBN 961-219-070-4
  • Franci Just: 페스미조의 메드 베르즈슈코, 포에지자 프레크무르자 vs 프르비 폴로비치 20. 스토레자, 프랑크프랑크, 무르스카 소보타 2000. ISBN 961-219-025-9
  • 클레클 요세프 플레바노스 에믈레키라타이 (좀바틸리 레브타르)/요세프 클레클의 기억 (좀바텔리 아치)
  • 프레도보르. 누비 자콘 스테반 쿠즈믹스, 포크라진스키 무제즈카 소보타 2008. ISBN 978-961-6579-04-9(영어 번역: 피터 라모벡)

참조

  1. ^ 마티자 슬라비치: 프레크무르제, 1921.
  2. ^ 마리자 코자르: Etnoloshki slovensv na Madžarskem, Monoshter-Szombathely 1996. ISBN 963-7206-62-0
  3. ^ 무믹스네 코자르 마리아/마리자 코자르 무키치: Etnološka topografija slovenskega etničnega ozemlja – 20. stoletje; Slovensko Porabje/A szlovén etnikai terület néprajzi topográfiája – 20. század; Szlovénvidék, Ljubljana-Szombathely 1984. 85. pg.
  4. ^ 프레도보르, 누비 자콘 2008. 72. 페이지
  5. ^ 프레도보르. 누비 자콘 스테반 쿠즈믹스, 《슈투디즈스카 크니시카 무르스카 소보타 2008》의 《포크라진스카》. 편집: Franc Kuzmich; 번역: 영어 Peter Lamovec; 헝가리어: Gabriella Bence; 슬로베니아어: 미하엘 쿠즈미치 ISBN 978-961-6579-04-9
  6. ^ "Göncz László: Muravidék 19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11. Retrieved 13 February 2011.
  7. ^ 텐젤리 아드리아린: 아즈 에기하작 에 넴제티제기 케르데스 1918년 반
  8. ^ Feri Lainshchek: V resnici zelo malo pisem (siol.net) 2011년 2월 14일 웨이백 머신보관
  9. ^ 페리 레인슈체크, 페스니크 피사텔지(mladina.si)
  10. ^ 자메 프레크무르치나 니 나레치제 템베치제지크(vecer.com)
  11. ^ 아브라함 바르나: 마그야르네메테크, 토크, 슬로브야코크, 마그나르 오로소크, 벤데크 – 네프네프 es 동일본 a 19. 사흐반
  12. ^ 델루 페리자 레인슈치카 우레디 브 스미셀노베틸로의 데인 포다트케 오 ž이블젠주
  13. ^ Nagy Vilag, 2007년. 옥토버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