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포트 침대

Phyllopod bed

USNM 지역번호 35k가 지정한 필로포드 침대버지스 셰일 화석 라거스테트 화석의 가장 유명한 화석 부재다.[1]이 화석은 1911~1917년 찰스 월콧에 의해 채석되었고, 이 시기에 그가 수집한 화석의 95%의 출처가 되었다;[2] 150개 이상의[4] 일반 화석을 대표하는 수 만개의 부드러운 몸체의 화석이[3] 필로포드 침대에서만 회수되었다.

층층 및 위치

화석 산등성이는 필로포드 침대의 화려한 배경을 이루고 있다.

The phyllopod bed is a 2.31 m thick layer of the 7 m thick Greater Phyllopod Bed,[4] found in the Walcott Quarry on Fossil Ridge, between Wapta Mountain and Mount Field, at an elevation of around 2,300 metres (7,500 ft), around 5 kilometres (3.1 mi) north of the railway town of Field, British Columbia, in the Canadian Rocky Mountains.[5]월콧이 버지스 셰일 형성을 처음 발견한 버지스 산과 인접해 있다.

월콧은 암석 종류와 화석 함량을 기준으로 침대를 12개 단위로[6] 나누었다.[1]어떤 화석층은 기준 수준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그레이트 마렐라 그레이트 엘도니아 과 같은 특정 유형의 화석의 과잉으로 인식할 수 있다.[7]

역사

월콧과 그의 팀은 1913년 필로포드 침대에서 수집했다.

1907년 느슨한 바위 조각에서 부드러운 몸체의 화석을 발견한 후, 필로포드 침대는 1910년 월코트족에 의해 그 파편들의 기원에 위치했다.[8]광범위한 채석 작업은 1913년까지 현장 시즌에 수행되었고, 월콧은 1917년 다음 방문에서 수집한 셰일 톤이 침대의 생산 잠재력을 실질적으로 소진시켰다고 여겼다.[8]

타포노미

필로포드 침상 내의 유기체들은 대부분 매장되기 전까지 최소의 거리를 이동했고, 매장될 때까지 제자리에 부패했다(이 때 부패와 탈분리가 중단되었다).[4]조직의 광물화는 그 직후에 일어났다.[4]보존된 유기체의 공동체는 (보존 가능한) 공동체를 잘 대변하고 있다; 시간 절약과 우선적인 부패의 편향 효과는 미미해 보인다.[4]화석이 퇴적된 후에 많은 압축이 일어났다.[7]

침전

이 부대는 때때로 작은 결절을 형성하는 쐐기 모양의 사암으로 중간 분류되는 흙돌로 이루어져 있다.[7](매우 드문) 탁한 층이 있지만, 그 전체는 흙더미가 밀도 전류에 의해 그 부지에 씻겨 올라가 그 경로에 있는 어떤 유기체도 쓸어버리고 얽히게 되면서 한번에 수십 센티미터의 침전물을 버리는 큰 사건들에 퇴적되었다.[7]

보존

화석의 보존은 아마도 모라니아 시아노박테리움 매트에 의해 촉진되었을 것이다. 모라니아는 침전물을 묶는 역할을 했고, 산화환자들의 상태가 빠르게 형성되도록 했다.[4]

공동체 구조

필로포트 침대의 낯익은 화석을 묘사한 월콧의 필드 노트 한 페이지

식물성 침대는 풍부한 벤트식 공동체(침전물과 침전물 위에 사는 유기체)와 네크톤을 대표하는 유기체들을 보존한다.[9]많은 먹이 모드가 존재하며 복잡한 먹이 그물을 유추할 수 있다.[9]일부 쉘리 화석이 존재하지만(그리고 전형적인 캄브리아 쉘리 화석의 조립체로 보인다), 대부분의 화석(매장 당시 생존한 화석의 98%)은 생물학적 구성요소에서 유래하지 않는다.[9]

이크노파우나

버지스 셰일의 다른 지역에는 미량 화석이나 아이치노파우나가 국지적으로 풍부하지만,[10] 모라니아의 존재로 인해 필로포드의 침상에는 거의 완전히 빠져 있다.

참조

  1. ^ a b Conway Morris, S. (1977). "A redescription of the Middle Cambrian worm Amiskwia sagittiformis Walcott from the Burgess Shale of British Columbia". Paläontologische Zeitschrift. 51 (3–4): 271–287. doi:10.1007/BF02986576. ISSN 0031-0220.
  2. ^ Collins, D.; Briggs, D.; Morris, S. (1983). "New Burgess Shale Fossil Sites Reveal Middle Cambrian Faunal Complex". Science. 222 (4620): 163–167. Bibcode:1983Sci...222..163C. doi:10.1126/science.222.4620.163. PMID 17741659.
  3. ^ Morris, S. C. (1989). "Burgess Shale Faunas and the Cambrian Explosion". Science. 246 (4928): 339–346. Bibcode:1989Sci...246..339C. doi:10.1126/science.246.4928.339. PMID 17747916.
  4. ^ a b c d e f Caron, Jean-Bernard; Jackson, Donald A. (October 2006). "Taphonomy of the Greater Phyllopod Bed community, Burgess Shale". PALAIOS. 21 (5): 451–65. Bibcode:2006Palai..21..451C. doi:10.2110/palo.2003.P05-070R. JSTOR 20173022.
  5. ^ Whittington, H. B. (16 November 1978). "The Lobopod animal Aysheaia pedunculata Walcott,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284 (1000): 165–197. Bibcode:1978RSPTB.284..165W. doi:10.1098/rstb.1978.0061. JSTOR 2418243.
  6. ^ Walcott, C. (1912). "Middle Cambrian Branchiopoda, Malacostraca, Trilobita, and Merostomata". Smithsonian Miscellaneous Collections. Washington, D. C. 57: 145–228.
  7. ^ a b c d Gabbott, S. E.; Zalasiewicz, J.; Collins, D. (2008). "Sedimentation of the Phyllopod Bed within the Cambrian Burgess Shale Formation of British Columbi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65 (1): 307. Bibcode:2008JGSoc.165..307G. doi:10.1144/0016-76492007-023.
  8. ^ a b Yochelson, E. L. (1 December 1996). "Discovery, Collection, and Description of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iota by Charles Doolittle Walcott".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40 (4): 469–545. ISSN 0003-049X. JSTOR 987289.
  9. ^ a b c Conway Morris, Simon (1986). "Community structure of the Middle Cambrian phyllopod bed (Burgess Shale)" (PDF). Palaeontology. 29 (3): 423–46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6 July 2011.
  10. ^ Conway Morris, Simon (1979). "The Burgess Shale (middle Cambrian) fauna".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0: 327–349. doi:10.1146/annurev.es.10.110179.001551.

좌표:51°26′24″N 116°28′12″w/51.440°N 116.470°W/ 51.440; -116.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