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전도율

Photoconductivity

광전도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감마선전자기 방사선이 흡수돼 물질이 전기 전도성이 높아지는 광학적·전기적 현상이다.[1]

빛이 반도체 같은 물질에 흡수되면 자유전자와 구멍의 수가 늘어나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2] 흥분작용을 일으키려면 반도체를 타격하는 빛이 밴드 갭을 가로질러 전자를 올리거나 밴드 갭 내의 불순물을 흥분시킬 정도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반도체와 직렬로 바이어스 전압과 부하 저항을 사용할 때 재료의 전기 전도도의 변화가 회로를 통해 전류를 변화시킬 때 부하 저항기에 걸친 전압 강하를 측정할 수 있다.

광촉자재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적용들

광촉자 물질이 회로의 일부로 연결되면 광도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저항기 역할을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물질을 포토레지스터(에 의존하는 저항기 또는 광촉자라고도 한다)라고 부른다. 포토레지스터의 가장 일반적인 적용은 광도검출기, 즉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로서이다. 포토레지스터는 광검출기의 유일한 유형은 아니다. 다른 유형에는 충전 결합 장치(CCD), 광다이오드광전자 증배기가 포함된다. 포토레지스터가 자주 사용되는 일부 광검출기 애플리케이션에는 카메라 조명계, 가로등, 시계 라디오, 적외선 검출기, 나노포토닉 시스템 및 저차원 광센서 장치가 포함된다.[5]

감작화

감작성은 광학 유도 물질의 반응을 증폭시키기 위한 중요한 공학적 절차다.[3] 광촉자 이득은 광 방출 캐리어의 수명(전자 또는 구멍)에 비례한다. 감작성은 특성 수명이 짧은 자연 재조합 센터를 포화시키고 수명이 긴 새로운 재조합 센터로 대체하는 의도적인 불순물 도핑을 포함한다. 이 절차를 올바르게 수행하면 광촉자 이득이 몇 차례 증가하며 상업용 광촉자 장치 생산에 사용된다. 알버트 로즈가 쓴 본문은 감작성을 위한 참고서다.[6]

음성 광전율

일부 물질은 조명에 노출되면 광전도가 저하된다.[7] 대표적인 예가 광전율의 측정 가능한 감소를 관측할[8] 수 있는 수소화 아모르퍼스 실리콘(a-Si:H)이다(Staebler-Wronski 효과 참조). 그 밖에 음의 광전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 물질로는 이황화 몰리브덴,[9] 그래핀,[10] 인듐 비소 나노와이어,[11] 장식된 탄소 나노튜브, 금속 나노입자 등이 있다.[13]

자기 광전율

2016년에 어떤 광촉자 물질에는 자기 주문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4] 대표적인 예가 CHNH33(Mn:Pb)I이다3. 이 재료에서 광 유도 자기화 용해도 입증되었으므로[14] 자석 광학 장치 및 데이터 저장에도 사용할 수 있었다.

광전도 분광학

광촉도 분광법(광암호화폐 분광법이라고도 함)이라는 특성화 기법은 반도체의 광전자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널리 쓰인다.[15][16]

참고 항목

참조

  1. ^ DeWerd, L. A.; P. R. Moran (1978). "Solid-state electrophotography with Al2O3". Medical Physics. 5 (1): 23–26. Bibcode:1978MedPh...5...23D. doi:10.1118/1.594505. PMID 634229.
  2. ^ Saghaei, Jaber; Fallahzadeh, Ali; Saghaei, Tayebeh (June 2016). "Vapor treatment as a new method for photocurrent enhancement of UV photodetectors based on ZnO nanorods".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247: 150–155. doi:10.1016/j.sna.2016.05.050.
  3. ^ a b Pearsall, Thomas (2010). Photonics Essentials, 2nd edition. McGraw-Hill. ISBN 978-0-07-162935-5.
  4. ^ Law, Kock Yee (1993). "Organic photoconductive materials: recent trends and developments". Chemical Reviews. 93: 449–486. doi:10.1021/cr00017a020.
  5. ^ Hernández-Acosta, M A; Trejo-Valdez, M; Castro-Chacón, J H; Torres-San Miguel, C R; Martínez-Gutiérrez, H; Torres-Torres, C (23 February 2018). "Chaotic signatures of photoconductive Cu ZnSnS nanostructures explored by Lorenz attractors". New Journal of Physics. 20 (2): 023048. Bibcode:2018NJPh...20b3048H. doi:10.1088/1367-2630/aaad41.
  6. ^ Rose, Albert (1963). Photoconductivity and Allied Problems. Interscience tracts on physics and astronomy. Wiley Interscience. ISBN 0-88275-568-4.
  7. ^ N V Joshi (25 May 1990). Photoconductivity: Art: Science & Technology. CRC Press. ISBN 978-0-8247-8321-1.
  8. ^ Staebler, D. L.; Wronski, C. R. (1977). "Reversible conductivity changes in discharge-produced amorphous Si". Applied Physics Letters. 31 (4): 292. Bibcode:1977ApPhL..31..292S. doi:10.1063/1.89674. ISSN 0003-6951.
  9. ^ Serpi, A. (1992). "Negative Photoconductivity in MoS2". Physica Status Solidi A. 133 (2): K73–K77. Bibcode:1992PSSAR.133...73S. doi:10.1002/pssa.2211330248. ISSN 0031-8965.
  10. ^ Heyman, J. N.; Stein, J. D.; Kaminski, Z. S.; Banman, A. R.; Massari, A. M.; Robinson, J. T. (2015). "Carrier heating and negative photoconductivity in graphene". Journal of Applied Physics. 117 (1): 015101. arXiv:1410.7495. Bibcode:2015JAP...117a5101H. doi:10.1063/1.4905192. ISSN 0021-8979.
  11. ^ Alexander-Webber, Jack A.; Groschner, Catherine K.; Sagade, Abhay A.; Tainter, Gregory; Gonzalez-Zalba, M. Fernando; Di Pietro, Riccardo; Wong-Leung, Jennifer; Tan, H. Hoe; Jagadish, Chennupati (2017-12-11). "Engineering the Photoresponse of InAs Nanowire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9 (50): 43993–44000. doi:10.1021/acsami.7b14415. ISSN 1944-8244. PMID 29171260.
  12. ^ Jiménez-Marín, E.; Villalpando, I.; Trejo-Valdez, M.; Cervantes-Sodi, F.; Vargas-García, J. R.; Torres-Torres, C. (2017-06-01). "Coexist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photoconductivity in nickel oxide decorated multiwall carbon nanotub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B. 220: 22–29. doi:10.1016/j.mseb.2017.03.004. ISSN 0921-5107.
  13. ^ Nakanishi, Hideyuki; Bishop, Kyle J. M.; Kowalczyk, Bartlomiej; Nitzan, Abraham; Weiss, Emily A.; Tretiakov, Konstantin V.; Apodaca, Mario M.; Klajn, Rafal; Stoddart, J. Fraser; Grzybowski, Bartosz A. (2009). "Photoconductance and inverse photoconductance in films of functionalized metal nanoparticles". Nature. 460 (7253): 371–375. Bibcode:2009Natur.460..371N. doi:10.1038/nature08131. ISSN 0028-0836. PMID 19606145.
  14. ^ a b Náfrádi, Bálint (24 November 2016). "Optically switched magnetism in photovoltaic perovskite CH3NH3(Mn:Pb)I3". Nature Communications. 7 (13406): 13406. arXiv:1611.08205. Bibcode:2016NatCo...713406N. doi:10.1038/ncomms13406. PMC 5123013. PMID 27882917.
  15. ^ "RSC Definition - Photocurrent spectroscopy". RSC. Retrieved 2020-07-19.
  16. ^ Lamberti, Carlo; Agostini, Giovanni (2013). "15.3 - Photocurrent spectroscopy". Characterization of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s and Nanostructures (2 ed.). Italy: Elsevier. p. 652-655. doi:10.1016/B978-0-444-59551-5.00001-7. ISBN 978-0-444-595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