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테호르시
Petyhorcy피테호르시(가수: Petehorzec, 라틴어: 피엔토호르센시스,[1] 리투아니아어: 페티호라이[2])는 17~18세기 대두칼 리투아니아 군대에서 독점적으로 활약한 정규 중무장 경기병의 일종이다.[2] 피테호르시는 리투아니아어로 왕립 폴란드군의 기갑상어 동반자와 동일하거나,[3] 윙드 후사르와 기갑상어 동반자 사이에 있었던 기갑상어 유형으로 간주된다.[4] 그들은 배너로 조직되었다.[2] 원래 페티호르시는 크레카시아에서 온 창으로 무장한 기병이었다.[5]
페티호르시는 윙에드 후사르에 의해 뚫린 적진을 끝마치고 격파하기로 되어 있었다.[2] 윙에드 후사르가 더 명성 있는 반면, 페티호르시는 높은 명성을 누렸으며, 따라서 그들의 현수막의 로트미스트라들은 종종 고위 관리들이었다.[2] 사실, 피테호르시는 16세기 후반 후사르를 보호하던 기마 사격선수들로부터 발전했다.[6]
어원
페테호르시의 이름은 베슈타우 산(투르크어족에서 besh는 5를 의미하고 tau는 산을 의미한다)[7]에서 유래한다. 러시아 도시 파티고르스크의 이름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7] Tadeusz Czacki는 Petehorcy가 Carpathian 산맥에서 유래했다고 썼지만, 그것은 거짓이다.[8]
시작
초기에는 러시아 차르돔의 지배하에 리투아니아로 온 카자리아인으로부터 형성되었다(따라서 단순히 '카자리아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citation needed] 처음에 백인 산악인(카자라)에 의해 결성된 경기병 부대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리투아니아 타르타르와 지방 지주들이 합류했다.[citation needed] 다른 스텝 유닛들과 마찬가지로, 피토르시 유닛은 처음에는 가벼운 체인 메일 캡과 강철 암 보호기의 한 종류인 카르와시즈로만 장갑화되었다.[citation needed] 공격용 무장은 윙드 후사르스가 사용하는 긴 창과 같은 랜스를 포함했다.[citation needed] 그러한 최초의 부대는 스테판 바토리 왕의 통치 기간 동안 형성되었다.[citation needed] 그러한 부대 중 하나인 템루크 스짐코위치의 지휘관은 이미 시기문트 2세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로트미스트라고 기록되어 있었지만, 당시 카자리아 부대를 지휘했는지는 확실치 않다.[citation needed]
스테판 바토리 당시 가벼운 코삭 기병 은 페티호르시를 닮았다.[9]
17세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대 유형은 기갑부대 동료와 거의 같은 중급 기병대로 진화했다.[citation needed] 그 후기 부대들이 사용한 무기는 미소르카와 팔 보호대를 갖춘 완전한 체인 메일 무기고와 종종 둥근 터키식 방패인 칼칸을 포함했다.[citation needed] 17세기에 체인메일은 점차 퀴라스로 대체되었다.[citation needed] 페티호시가 사용한 공격용 무장은 3~4m 길이의 곰창(로하티나)을 비롯해 스자블라, 권총 2자루, 사총 카빈이나 동부형 활 등이 포함됐다.[citation needed]
Winged Hussars와 유사하게, 그들의 무기는 체인 메일이었고, 그들의 장비는 방패, 창, 활로 구성되었고, 후자는 오스만 군대와 싸울 때에만 사용되었다.[2] 17세기 중반에는 이런 기병을 보통 코삭형 기병이라고 불렀다.[2]
1614년 야콥 데 라 가르디가 이끄는 군대는 두 개의 피토르시 현수막을 가지고 있었는데, 지휘관은 자로미르 플레키와 스타니스와프 울스키였다.[10]
1673년, 그랜드 듀칼 리투아니아 군대는 18개의 피호르시 현수막을 가지고 있었고, 총 1,980마리의 말을 가지고 있었다.[11] 1676년 초에는 2,670마리로 22개의 피호르시 로타가 있었으나, 후반에는 2,430마리의 20 로타로 줄어들었다.[12] 1690년, 리투아니아 군대는 공식적으로 620개의 안전성을 가졌다.[3]
18세기
1717년 대두칼 리투아니아군에서는 총 26개의 현수막을 내걸고 가장 많은 기병이었다.[2] 1775–1776년의 군사 개혁 동안, 총 32기의 후사르기와 페티호르시 국기가 각각 16기의 두 개의 국립 기병 여단으로 통합되었다.[2] 두 번째는 약 380명의 병사를 거느린 제2(핀스크) 피토르시 여단이라고도 불리는 제2 리투아니아 국기병 여단이었다.[2] 1789년에는 1635년에 이르러 17-32개의 배너로 구성되었다.[2] 이 여단은 러시아 국경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동쪽 땅에 배치되었다.[2] 전시 중에 여단은 재배치되었다.[2] 1792년 전쟁 당시 여단의 현수막 일부가 러시아 점령지 내에 위치하여 해체되었다.[2] 피테호르시가 마지막으로 싸운 것은 코시우스코 봉기에 있었다.[2]
18세기에, 피테호르시는 창, 백워드, 권총 또는 카빈으로 무장되었다.[2]
참조
- ^ Korzon & Gembarzewski 1912, 페이지 6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라쿠티스 2021.
- ^ a b Wojtasik, Janusz (2008). Podhajce 1698 (in Polish). Bellona.
- ^ Brainard, Alfred P. (1991). "Polish-Lithuanian Cavalry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Polish Review. 36 (1): 76. JSTOR 25778547 – via JSTOR.
In the Lithuanian Army there was also the petyhorcy, an intermediate type between hussars and pancerni, probably possessing few if any firearms.
- ^ 미스트리니 2016.
- ^ Markiewicz, Mariusz. Historia Polski 1492-1795 (PDF) (in Polish).
koniec XVIw. - ze strzelców osłaniających husarię wykształcili się jeźdźcy lekkozbrojni: petyhorcy (Litwa), towarzysze pancerni (Korona), Kozacy
- ^ a b Adamczewski, Przemysław (2019). Polski mit etnopolityczny i Kaukaz (in Polish). Instytut Studiów Politycznych Polskiej Akademii Nauk. p. 245. ISBN 978-83-66819-02-3.
Nazwa Petyhorcy, która rozpowszechniła się w Polsce, pochodzi od góry Besztau (w językach turkijskich besz oznacza pięć, a tau górę). Również od niej wywodzi się nazwa rosyjskiego miasta Piatigorsk. Petyhorcy to lekka jazda, (...)
- ^ Bandtkie, Jerzy Samuel (1831). Rozmaitości naukowe (in Polish). Kraków: Drukarni Szkoły Głownej. p. 72.
Wiadomo, że Litewskie woysko na Wiedeńską wyprawę nie przyszło, lecz ledwie Króla pod Koszycami i Preszowem na powrocie spotkało. Petyhorcy, jazda lekka w woysku Litewskiem nie była z pod gór Karpackich, jak Czacki chce 1,288 lecz jak Czeremissi z pośrzód Rossyi, tak ci Petyhorcy z pośrzód Georgii mieli swoie imie. Wszakże awanturników mnóstwo Persów, Georgian cisnęło się do Polskiey służby. Widać to po rozmaitych Georgianów i Persów z Azyi nobilitacyach.
- ^ 쿠피즈 2012, 페이지 73.
- ^ Bohun, Tomasz (2018). "Polish-Lithuanian Mercenaries in the Service of Jacob de la Gardie" (PDF). Vestnik of Saint Petersburg University. History. 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63 (3): 718–728. doi:10.21638/11701/spbu02.2018.303. hdl:11701/14910.
- ^ 보비아티슈스키 & 헌데트 2018, 페이지 158.
- ^ 보비아티슈스키 & 헌데트 2018, 페이지 162.
원천
- Korzon, Tadeusz; Gembarzewski, Bronisław (1912). Dzieje wojen i wojskowości w Polsce; Epoka przedrozbiorowa (in Polish).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 Kupisz, Dariusz (2012). "The Polish-Lithuanian Military in the reign of King Stefan Bathory (1576-1586)". In Davies, Brian (ed.). Warfare in Eastern Europe, 1500-1800. BRILL. ISBN 978-9004221963.
- Mistrini, Vincenzo (2016). Le guerre polacco-ottomane (1593-1699) (in Italian). Vol. 1: Le forze in campo. Soldiershop Publishing. ISBN 9788893271752.
- Bobiatyński, Konrad; Hundert, Zbigniew (2018). "The Composition of the Army of the Grand Duchy of Lithuania during the War with Turkey (1675–1676) in the Light of Financial and Military files" (PDF). Zapiski Historyczne. 83.
- Rakutis, Valdas (2021). "Petihorai". Vle.lt (in Lithuanian).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