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포르나시스

Omega Fornacis
오메가포르나시스
관측 데이터
Epoch J2000.0 이쿼녹스 J2000.0
별자리 포르낙스
우측 상승 2h 33m 50.70081s[1]
탈위임 –28° 13′ 56.3890″[1]
겉보기 크기(V) 4.95 + 7.71[2]
특성.
A
진화 단계 주계열[3]
스펙트럼형 B9V[4]
U-B색지수 −0.13[5]
B-V색지수 −0.050±0.007[6]
R-I 색지수 −0.07[5]
B
스펙트럼형 A3V[7]
U-B색지수 +0.09[8]
B-V색지수 +0.17[8]
아스트로메트리
방사 속도(Rv)+9.7±2.8km[6]/s
적정운동(μ) RA:-13.1987±0.243mas[1]/yr
Dec.:−5.532±0.305[1]mas/yr
시차(시차)7.0025 ± 0.1527 마스[1]
거리470 ± 10 리
(102 ± 3 pc)
절대치수(MV)-0.87[6]
세부 사항
A
미사3.42±0.11[3] M
반지름2.81[7] R
루미도268+72
−57
[3] L
온도10,910±420[9] K
회전 속도(v sin i)85±13km[7]/s
B
반지름2.2[7] R
회전 속도(v sin i)180±29km[7]/s
기타 지정
Ω, CD–28°819, HD 16046, HIP 11918, HR 749, SAO 167882, CCDM J02338-2814AB, WDS J02338-28144[10]
데이터베이스 참조
심바드자료

포르나시스 Ω에서 라틴어로 표기된 오메가 포르나시스포르나시스 남쪽 별자리에 있는 넓은 이항성계통이다[11].청백색의 빛깔을 띠고 있으며, 제5의 별로서 육안으로는 희미하게 보인다.[6]이 시스템은 시차(parallax)를 기준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470광년 거리에 위치하며,[1] 방사상 속도 +10km/s로 더 멀리 떠내려가고 있다.[6]

이 체계의 이중성은 1836년허셜에 의해 발견되었다.2013년 기준으로 두 구성 요소의 각도 분리는 246°[2]위치 각도를 따라 11.0˚이다.이는 1,520 AU예상 분리에 해당한다.[7]

4.95 1차 성분인 지정[2] 성분 A는 화학적으로[3] 특이한 B형 주계열성으로[4] B9V의 별 분류를 가지고 있으며 태양 질량의 3.4배[3], 유효 온도 10,910K로 광구에서 태양268배[3] 정도의 광도를 발산하고 있다.[9]성분 B는 진도 7.71[2] 2차인 A형 주계열성으로 등급은 A3V이다.[7]그것은 1차보다 작지만 더 높은 예상 회전 속도를 가지고 있다.[7]

참조

  1. ^ a b c d e f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2. ^ a b c d Mason, B. D.; et al. (2014), "The Washington Visual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retrieved 2015-07-22
  3. ^ a b c d e f Zorec, J.; Royer, F. (January 2012),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V. Evolution of rotational velocities", Astronomy & Astrophysics, 537: A120, arXiv:1201.2052, Bibcode:2012A&A...537A.120Z, doi:10.1051/0004-6361/201117691, S2CID 55586789.
  4. ^ a b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 3.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2mcts.book.....H.
  5. ^ a b Hoffleit, D.; Warren, Jr., W. H. (1991). "VizieR Detailed Page".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CDS. Retrieved 2012-07-13.
  6. ^ a b c d e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S2CID 119257644.
  7. ^ a b c d e f g h Howe, K. S.; Clarke, C. J. (January 2009). "An analysis of v sin (i) correlations in early-type binari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92 (1): 448–454. Bibcode:2009MNRAS.392..448H. doi:10.1111/j.1365-2966.2008.14073.x.
  8. ^ a b Corbally, C. J. (1984). "Close visual binaries. I - MK classification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55: 657. Bibcode:1984ApJS...55..657C. doi:10.1086/190973.
  9. ^ a b Zorec, J.; et al. (2009). "Fundamental parameters of B supergiants from the BCD system. I. Calibration of the (λ_1, D) parameters into Tef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1 (1): 297–320. arXiv:0903.5134. Bibcode:2009A&A...501..297Z. doi:10.1051/0004-6361/200811147. S2CID 14969137.
  10. ^ "ome Fo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019-10-29.
  11. ^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S2CID 14878976.Vizier 카탈로그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