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엠바 매복

Niemba ambush
니엠바 매복
콩고 사태의 일부
Niemba ambush is located in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Niemba
니엠바
니엠바 매복 (콩고 민주 공화국)
날짜.1960년 11월 8일
위치
결과루바 승리
교전국

United Nations ONUC

루바 민병대
지휘관 및 리더
Republic of Ireland 케빈 글리슨 »알 수 없는
열한 명최대 100명
사상자 및 손실
  • 9명 사망
  • 부상자 1명
  • 25명 사망
  • 알 수 없는 부상자

니엠바 매복 사건은 1960년 [1]11월 8일 콩고-레오폴드빌의 아일랜드 육군 순찰대가 매복 공격을 받았을 때 발생했는데, 1922-23년 아일랜드 내전 이후 처음으로 아일랜드 육군이 전투에 휘말렸다.아일랜드는 유엔 콩고 평화유지군으로 군대를 배치했다.

공격의 악명과 그 여파로 아일랜드 대중 언론에 퍼진 절단 및 식인 풍습에 대한 의혹은 "발루바"라는 단어를 [2]아일랜드의 특정 지역에서 "신뢰할 수 없고 야만적인" 개인과 동의어가 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번 매복사건의 원인은 신분을 오인했기 때문이다.루바 부족민들은 최근 카탕가 주(州)와 갈등을 빚은 바 있는 카탕가 주(州)를 섬기는 아일랜드 유엔군을 유럽의 용병으로 오인한 것으로 보인다.아일랜드인들은 카탕가인들의 [3]콩고 이탈을 막기 위해 파견된 유엔 파견대의 일부였다.

배경

1962년 발루바 민병대

벨기에 콩고가 1960년콩고 공화국으로 독립한 후, 콩고 남부의 광물 자원이 풍부한 지방인 카탕가에서 내전이 발발했다.분리주의 운동은 지역 및 부족의 불만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자원을 계속 통제하려는 광산 회사들에 의해 가속화되었다.지역 정치 지도자인 모세 촘베는 카탕가를 독립 [4]국가로 선언했다.

치안 회복과 카탕가 분리를 종식시키기 위해 유엔 평화유지군이 초청되었다.아일랜드는 스웨덴과 다른 유럽 국가들과 함께 유엔군의 일부로 군대를 공급했다.아일랜드는 1946년에 유엔 가입을 신청했지만, 제2차 세계대전아일랜드 중립 때문에 1955년 말까지 소련에 의해 거부권을 행사당했다.따라서 아일랜드 육군은 ONUC에 관여하여 아일랜드의 최근 회원 자격을 확인하기를 간절히 바랐지만, 경험, 훈련, 유니폼, 무기 및 차량 면에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통역사에게 의존했다.

루바족이나 발루바족은 카탕가이탈을 지지하지 않았다.그 결과, 그들은 친카탕주와 연합군의 공격을 받았다.니엠바의 기차역 주변 지역은 발루바와 지역 피그미 부족에 의해 여러 번 습격당했다.10월 4일, 몇몇 마을이 카탕가 헌병들과 유럽 용병들의 공격을 받았고 많은 발루바가 학살당했다.이로 인해 그들은 백인 [5]유럽군에 대한 의심과 적대감을 갖게 되었다.대부분의 주변 마을들은 주민들에 의해 버려져 있었다.아일랜드 군대가 그 지역을 지키고 지역 주민들이 돌아오도록 격려하기 위해 그 지역에 파견되었다.이 지역을 수색한 결과 파손된 다리가 발견됐고,[5] 이 다리는 순찰대가 파견돼 가능하면 수리를 해야 한다는 임무를 띠고 있었다.

매복 공격이었다.

1960년 11월 8일, 아일랜드 육군 제33대대의 11명 부대가 루웨예 강에 있는 다리에 도착했다.그들은 도로에서 봉쇄를 당했을 때 어쩔 수 없이 차량을 남겨두어야 했다.이곳을 비우는 동안 그들은 활, 독이 든 화살, 창, 곤봉, 그리고 총으로 무장한 약 100명의 루바 민병들과 마주쳤다.아일랜드 군대가 발루바를 지키기 위해 도착했을 때, 민병대는 의심의 여지 없이 그들을 카탕가 용병으로 데려갔다.케빈 글리슨 중위는 소대 하사 휴 게이너와 함께 비무장 상태로 진격해 평화적으로 맞이하려 했으나 독이 든 [1]화살을 맞았다.

부서장인 케빈 글리슨 경위와 게이너 경사는 추월당하고 구타당하고 해킹당해 사망했다.놀란 아일랜드 병사들은 차량에서 내린 후 방어 대형을 갖추지 못한 채 도로 양쪽에 있는 나무 뒤로 후퇴해 칼 구스타프 기관총, 리 엔필드 소총, 브렌 경기관총을 들고 부족민들에게 총격을 가했다.그러나 발루바인들은 그들을 향해 진격했고 아일랜드인들은 그들의 차량에서 고립되었다.많은 손실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루바는 아일랜드 군인들을 압도했고 격렬한 육탄전이 벌어졌고,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아일랜드 군인들은 [1]목숨을 잃었다.

세 명의 아일랜드 병사가 첫 전투를 가까스로 피했다.그들 중 한 명인 앤서니 브라운은 근처 마을에 도착해서 그가 가진 모든 돈을 마을 여자들에게 줬지만, 대신 마을 남자들에게 폭도에게 맞아 죽었다.그의 시신은 2년 후에 발견되었다.살아남은 두 명의 병사는 간신히 숨었고 다음날 다른 유엔군에 의해 발견되었다.

총 9명의 아일랜드 병사가 사망했다.칼로우의 케빈 글리슨 병장입니다블랜차드스타운[6]휴 게이너입니다템플로그의 피터 켈리 상병입니다카브라 시의 리암 두건입니다더블린, 더블린, 제임스타운의 매튜 패럴입니다Tpr, 도니카니의 토마스 페넬입니다리알토의 앤서니 브라운, 프테카를로의 마이클 맥귄과 프테.래스마인즈의 제라드 킬린입니다약 25명의 발루바도 사망했다.

여파

아일랜드 사망자들의 시신은 발도넬에 있는 케이스먼트 비행장으로 옮겨져 그곳에 안치되었다.케빈 글리슨 중위의 관은 총기 수송차에, 나머지는 군용 트럭에 실렸다.더블린에서 장례행렬을 마친 후, 그들은 글래스네빈 묘지에 묻혔다.매복 공격 동안의 그의 행동으로 19세의 트루퍼 브라운은 사후에 아일랜드에서 가장 높은 군사상인 갤런트리 군사훈장을 받았다.그는 그 상의 첫 번째 수상자였다.인용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그는 자신의 구스타프를 발사함으로써 부상당한 동료가 탈출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그로 인해 그가 그의 목숨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음이 틀림없는 자신의 입장에 관심을 끌었다.다치지 않고 부상당한 [7]동료와 함께 있는 것을 선택했기 때문에 탈출할 수 있는 적당한 기회가 있었다고 말했다.당시 브라운은 현장에서 살해된 것으로 추정됐다.그가 이틀 동안 생존했다가 별도의 공격으로 살해당했다는 것이 나중에야 밝혀졌다.

중위를 기리는 비석.글리슨은 그의 고향인 칼로에서[8] 병장을 기념하는 명패와 함께 발견될 수 있다.휴 게이너는 그의 고향인 블랜차드스타운에서 [6]찾을 수 있다.

생존자 중 한 명인 토마스 케니는 군대에 의해 앤서니 브라운의 죽음의 실제 상황이 잘못 전달되었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대중에게 제공할 영웅을 원했기 때문이다.인용문의 문구는 브라운이 부상당한 케니를 보호하려다 숨졌다는 것을 암시했다. 열린 곳으로 이동해 자신에게 불을 지르고 탈출할 기회를 놓쳤다.사실 그는 [9]숲으로 도망쳤다.

아일랜드의 효과

핀 로건은 콩고 원정에 대한 강력한 지원이 있었던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대학살이 부식 효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니엠바 매복 사건이 아일랜드 사회의 군대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은 막대했다.그 공격은 국가를 대담하게 하고 있던 자긍심을 꺾었다.우리 군인들의 전문성에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아일랜드에서는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습니다.그것은 아일랜드 군부의 발전과 국제 세력으로서의 아일랜드의 위치에 걸림돌이 되었다.하지만 아일랜드는 간신히 평정을 되찾았다.이듬해 [2]9월 자도빌에서 벌어진 공성전을 훌륭하게 처리한 덕분에 향후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서 아일랜드의 위치는 유지되었다.

발루바는 오랫동안 [10]식인행위와 연관되어 왔다.아일랜드 대중 언론에는 희생자들의 시신이 훼손되었고 그들의 심장이 발루바에 [11]먹히기 위해 제거되었다는 끔찍한 이야기가 떠돌았다.그 결과 아일랜드에서 "발루바"라는 단어는 "제멋대로 또는 야생인"의 동의어가 되었다.

레퍼런스

  1. ^ a b c Cusack, Adrian (10 November 2010). "Athlone resident recalls Niemba ambush horror". Westmeath Independent. Retrieved 27 December 2016.
  2. ^ a b 핀 로건, "Niemba – 군대의 탄생", University Times, 2014년 1월 10일
  3. ^ "Letters from Niemba: Irish troops in the Congo, 1960". historyireland.com. Retrieved 27 December 2016.
  4. ^ Boehme 2005, 페이지 2
  5. ^ a b "니엠바에서 온 편지:콩고 주둔 아일랜드군, 1960" 역사 아일랜드, 제6호(2010년 11월/12월), 제18권.
  6. ^ a b "Plaque for Dublin soldier who died in the Congo". RTE.ie. 3 February 2018. Retrieved 3 February 2018.
  7. ^ Clark, John, Gallantry 메달과 훈장, 과 검, 200, 54페이지.
  8. ^ "RTÉ Television - War Stories".
  9. ^ "콩고 대학살 생존자:군대는 실화를 말해야 한다." 아일랜드 인디펜던트, 5, 2000년 11월.
  10. ^ 마이클 B.렌타키스, 에티오피아: A View from Within, Janus, 2005, 페이지 306.
  11. ^ 프레데빌, 톰 "콩고 지옥 식인종들이 내 동지를 죽였다"정글 공포에서 살아남은 아일랜드 병사들...그리고 여전히 메달을 기다리고 있다" 2004년 5월 30일, 런던, 더 피플.

참고 문헌

  • Boehme, Olivier (2005). "The Involvement of the Belgian Central Bank in the Katanga Secession, 1960-1963". African Economic History. 33 (33): 1–29. JSTOR 4617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