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
Mycocentrospora acerina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 |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
망울: | |
클래스: | |
하위 클래스: | |
순서: | |
패밀리: | |
속: | |
종: | 아케리나 M. |
이항식 이름 | |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 (R. 하티그) 디튼, (1972) | |
동의어 | |
안사토스포라아세리나 (R. Hartig) H.N. Hansen & Tompkins, (1945) |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Mycocentrospora acerina)는 식물 병원체인 중수소균균이다.
호스트 및 증상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는 야채, 장식물, 잡초 등에 영향을 미치는 넓은 숙주 범위를 가지고 있다.[1]탯줄리프(캐럿 패밀리) 작물은 특히 취약하며, 숙주들 중 가장 경제적으로 중요하다.[2]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Mycocentrospora acerina)는 가장 많이 연구된 당근에서 "액체 부패"라는 중요한 수확 후 질병을 일으킨다.당근이 자라는 단계에서 병원체는 갈색 괴사성 벼룩인 묘목의 감쇠와 사망, 묘기, 조기 노쇠, 잎 병변을 유발할 수 있다.일단 당근이 저장되고 나면, 색상이 검은 뿌리 병변이 나타나는 곳에서 술의 부패가 일어난다.[3]
질병주기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Mycocentrospora acerina)는 뿌리 거주자인 중수소균(성기 없음) 토양 매개 곰팡이균이다.[4]라이프 사이클은 클라미도스포머로 시작하고 끝난다.클라미도스포어는 두꺼운 벽으로 된 어두운 색소 침착된 휴식 포자로 흙이나 식물 잔해 속에서 과월하며 생존력을 잃지 않고 몇 년 동안 휴면할 수 있다.그것은 근처의 숙주 뿌리를 감지할 때나 그것이 표면에 있을 때 조건이 맞을 때에만 토양에서 발아한다.토양에서 그것은 상처를 통해 뿌리를 감염시키고 더 많은 클라미도스포럼을 생산하기 시작할 세균관과 균사체의 성장을 만들어낼 것이다.표면적으로는 클라미도스포레(chlamydospore)가 단자 코니디아(the terminal conidia)를 부착한 짧은 세균관을 만들어 물을 통해 분산시켜 잎을 감염시킬 것이다.잎 감염은 코니디오포레스가 코니디아를 생산하는 병변을 만들 것이다.[5]그리고 나서 코니디아는 빗방울을 통해 흩어지고 다른 잎들을 감염시킬 것이다.[6]흙에 종지부를 찍는 어떤 코니디아들은 생존을 위해 클라미도스포스로 변할 것이다.
환경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는 온대 기후에서 발견되며 섭씨 18도(화씨 65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온대 기후는 저장고의 부패를 유도하는 당근의 긴 냉동 시간으로 이어진다.[7]코니디아의 산발과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강우량이 필요하다.[5]병원체는 모래 토양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이는 숙주 뿌리가 모래 토양에 더 많은 상처를 입으며 병원체를 완충할 수 있는 미세 플로라가 적다는 가정이다.[4]숙주식물을 교대로 재배하면 감염된 식물 쓰레기로부터 토양에 클라미도포자충이 축적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병 발생률이 높아진다.
기타
팔카린디올(Palcarindiol, cis-헵타데카-1,9-diene-4,6-diyne-3,8-diol)은 당근 뿌리에서 발견되는 폴리아세틸렌이다.이 화합물은 M. 아세리나를 향한 항우울 활성을 보여준다.[8]
참조
- ^ Hermansen, Arne (December 1992). "Weeds as hosts of Mycocentrospora acerina". Annals of Applied Biology. 121 (3): 679–686. doi:10.1111/j.1744-7348.1992.tb03476.x.
- ^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anuary 1980). "Survival of chlamydospores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Mycocentrospora acerina in soil".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5 (2): 207–211. doi:10.1016/S0007-1536(80)80081-7.
- ^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une 1980). "Infection of carrot plants by Mycocentrospora acerina".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4 (3): 587–593. doi:10.1016/S0007-1536(80)80060-X.
- ^ a b Hermansen, Arne; Amundsen, Terje; Taksdal, Gudmund; Dragland, Steinar; Synnevåg, Gry; Flønes, Mons; Sundheim, Leif (12 December 1999). "Variations in Infection by Mycocentrospora acerina in Carrot Monoculture Plots at Four Sites during 1985-1995". Acta Agriculturae Scandinavica, Section B. 49 (4): 248–257. doi:10.1080/090647100750001622.
- ^ a b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anuary 1978). "Survival of Mycocentrospora acerina conidia".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0 (1): 157–160. doi:10.1016/S0007-1536(78)80191-0.
- ^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anuary 1980). "Infection of carrot leaves by Mycocentrospora acerina".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5 (1): 163–165. doi:10.1016/S0007-1536(80)80212-9.
- ^ Davies, W. P.; Lewis, B. G. (1 October 1981). "Behaviour of Mycocentrospora acerina on periderm and wounded tissues of carrot roots".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7 (2): 369–374. doi:10.1016/S0007-1536(81)80039-3.
- ^ Garrod, B.; Lewis, B.G.; Coxon, D.T. (September 1978). "Cis-heptadeca-1,9-diene-4,6-diyne-3,8-diol, an antifungal polyacetylene from carrot root tissue". Physiological Plant Pathology. 13 (2): 241–246. doi:10.1016/0048-4059(78)900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