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

Mycocentrospora acerina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
과학적 분류
킹덤:
망울:
클래스:
하위 클래스:
순서:
패밀리:
속:
종:
아케리나 M.
이항식 이름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
(R. 하티그) 디튼, (1972)
동의어

안사토스포라아세리나 (R. Hartig) H.N. Hansen & Tompkins, (1945)
센트로스포라아케리나 (R. 하티그) A.G. 뉴홀, (1946)
체르코스포라아세리나 R. 하티그, (1880)
케르코스포라카리 웨스터드, (1924년)
케르코스포렐라아세리나 (R. Hartig) G. Arnaud, (1952)
스포르타데스뮴 아세리눔 (R. Hartig) A.B. 프랭크, (1896)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Mycocentrospora acerina)는 식물 병원체중수소균균이다.

호스트 및 증상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는 야채, 장식물, 잡초 등에 영향을 미치는 넓은 숙주 범위를 가지고 있다.[1]탯줄리프(캐럿 패밀리) 작물은 특히 취약하며, 숙주들 중 가장 경제적으로 중요하다.[2]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Mycocentrospora acerina)는 가장 많이 연구된 당근에서 "액체 부패"라는 중요한 수확 후 질병을 일으킨다.당근이 자라는 단계에서 병원체는 갈색 괴사성 벼룩인 묘목의 감쇠와 사망, 묘기, 조기 노쇠, 잎 병변을 유발할 수 있다.일단 당근이 저장되고 나면, 색상이 검은 뿌리 병변이 나타나는 곳에서 술의 부패가 일어난다.[3]

질병주기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Mycocentrospora acerina)는 뿌리 거주자인 중수소균(성기 없음) 토양 매개 곰팡이균이다.[4]라이프 사이클은 클라미도스포머로 시작하고 끝난다.클라미도스포어는 두꺼운 벽으로 된 어두운 색소 침착된 휴식 포자로 흙이나 식물 잔해 속에서 과월하며 생존력을 잃지 않고 몇 년 동안 휴면할 수 있다.그것은 근처의 숙주 뿌리를 감지할 때나 그것이 표면에 있을 때 조건이 맞을 때에만 토양에서 발아한다.토양에서 그것은 상처를 통해 뿌리를 감염시키고 더 많은 클라미도스포럼을 생산하기 시작할 세균관과 균사체의 성장을 만들어낼 것이다.표면적으로는 클라미도스포레(chlamydospore)가 단자 코니디아(the terminal conidia)를 부착한 짧은 세균관을 만들어 물을 통해 분산시켜 잎을 감염시킬 것이다.잎 감염은 코니디오포레스가 코니디아를 생산하는 병변을 만들 것이다.[5]그리고 나서 코니디아는 빗방울을 통해 흩어지고 다른 잎들을 감염시킬 것이다.[6]흙에 종지부를 찍는 어떤 코니디아들은 생존을 위해 클라미도스포스로 변할 것이다.

환경

미코센트로스포라 아세리나는 온대 기후에서 발견되며 섭씨 18도(화씨 65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온대 기후는 저장고의 부패를 유도하는 당근의 긴 냉동 시간으로 이어진다.[7]코니디아의 산발과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강우량이 필요하다.[5]병원체는 모래 토양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이는 숙주 뿌리가 모래 토양에 더 많은 상처를 입으며 병원체를 완충할 수 있는 미세 플로라가 적다는 가정이다.[4]숙주식물을 교대로 재배하면 감염된 식물 쓰레기로부터 토양에 클라미도포자충이 축적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병 발생률이 높아진다.

기타

팔카린디올(Palcarindiol, cis-헵타데카-1,9-diene-4,6-diyne-3,8-diol)은 당근 뿌리에서 발견되는 폴리아세틸렌이다. 화합물은 M. 아세리나를 향한 항우울 활성을 보여준다.[8]

참조

  1. ^ Hermansen, Arne (December 1992). "Weeds as hosts of Mycocentrospora acerina". Annals of Applied Biology. 121 (3): 679–686. doi:10.1111/j.1744-7348.1992.tb03476.x.
  2. ^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anuary 1980). "Survival of chlamydospores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Mycocentrospora acerina in soil".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5 (2): 207–211. doi:10.1016/S0007-1536(80)80081-7.
  3. ^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une 1980). "Infection of carrot plants by Mycocentrospora acerina".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4 (3): 587–593. doi:10.1016/S0007-1536(80)80060-X.
  4. ^ a b Hermansen, Arne; Amundsen, Terje; Taksdal, Gudmund; Dragland, Steinar; Synnevåg, Gry; Flønes, Mons; Sundheim, Leif (12 December 1999). "Variations in Infection by Mycocentrospora acerina in Carrot Monoculture Plots at Four Sites during 1985-1995". Acta Agriculturae Scandinavica, Section B. 49 (4): 248–257. doi:10.1080/090647100750001622.
  5. ^ a b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anuary 1978). "Survival of Mycocentrospora acerina conidia".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0 (1): 157–160. doi:10.1016/S0007-1536(78)80191-0.
  6. ^ Wall, Catherine J.; Lewis, B. G. (1 January 1980). "Infection of carrot leaves by Mycocentrospora acerina".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5 (1): 163–165. doi:10.1016/S0007-1536(80)80212-9.
  7. ^ Davies, W. P.; Lewis, B. G. (1 October 1981). "Behaviour of Mycocentrospora acerina on periderm and wounded tissues of carrot roots".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77 (2): 369–374. doi:10.1016/S0007-1536(81)80039-3.
  8. ^ Garrod, B.; Lewis, B.G.; Coxon, D.T. (September 1978). "Cis-heptadeca-1,9-diene-4,6-diyne-3,8-diol, an antifungal polyacetylene from carrot root tissue". Physiological Plant Pathology. 13 (2): 241–246. doi:10.1016/0048-4059(78)90039-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