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와탈리 2세
Muwatalli II- '무와탈리 I' 참조
무와탈리 2세 | |
---|---|
기타 이름 | 무와탈리스 2세 |
제목 | 히타이트인의 왕 |
전임자 | 무르실리 2세 |
후계자 | 무르실리 3세 |
배우자 | 타누슈테파 |
아이들. | 무르실리 3세 을미테첩 |
부모 | 무르실리 2세 가술라위야 여왕 |
친척들. | 하투실리 3세(형제) 투드할리야 4세 (네휴) |
무와탈리스 2세(또는 무와탈리스)[1]는 히타이트 제국의 신왕국 왕이었다.
전기
그는 무르실리 2세와 가술라위야 여왕의 장남으로 형제자매가 몇 명 있었다.
그는 히타이트의 수도를 타르훈타사로 [2]옮기고, 그의 형 하투실리를 하투사의 주지사로 임명했으며, 카데시 전투에서 람세스 2세와 싸운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와 아르자와 영토 중 하나인 윌루사(트로이)의 통치자 알락산두 사이의 조약 사본이 회수되었다.
이집트학자들은[citation needed] 람세스 2세가 이집트 왕위에 오르기 얼마 전, 무와탈리가 시리아 지배권을 둘러싼 두 강대국 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세티 1세와 비공식적인 평화 조약 또는 합의에 도달했다고 의심하고 있다.이 책에서 세티는 이집트의 국내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히타이트 왕에게 카데시를 사실상 양도했다.
무와탈리에게는 타누 히데파라는 아내와 적어도 두 명의 자녀가 있었다.한 명은 우르히 테슈프였는데, 그는 삼촌 하투실리 3세가 폐위할 때까지 무르실리 3세로서 왕이 되었다.또 다른 한 명은 하투실리 3세의 치세에 타훈타사의 가신이 된 쿠룬타였다.울미테첩이라는 또 다른 사람은 무와탈리 2세의 셋째[3] 아들로 추정되지만, 울미테첩과 쿠룬타는 [4]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투드할리야 4세와 이집트 여왕 마트르네페레는 무와탈리의 조카였다.
무와탈리의 동명인인 무와탈리 1세는 투드할리야 1세의 전신인 14세기 초 제국 이전의 왕이었다.
타훈타사로 이동
무와탈리 2세의 통치 초기에 하티의 수도는 아나톨리아 북부 지역에 위치한 하투사였다.권좌에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아 그는 수도를 새로운 장소로 옮기기로 결심했고, 그는 타훈타사라는 이름을 붙였다.수도를 옮긴 이유를 기술한 문서는 없지만, 그의 동생 하투실리 3세가 쓴 후기 문헌과 무와탈리 2세가 싸운 캠페인에 기초하여 학자들은 두 가지 가능한 이유를 생각해냈다.
첫 번째 이론은 무와틀리 2세가 히타이트족과 카스카족 사이의 국경 분쟁, 그리고 후에 피야마라두의 [5]반란 때문에 수도를 옮겼다는 것이다.이 분쟁은 북쪽 국경에서 일어났고 수도는 북쪽 국경 근처에 있다.북쪽 국경을 안정시킨 후, 그는 수도를 남쪽으로 더 멀리 옮겨 새로운 장소인 타르훈타사로 옮겼다.이 새로운 위치는 골치 아픈 북쪽 국경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시리아를 [6]둘러싼 이집트에 대한 다가오는 싸움에도 전략적으로 더 좋았다.
무와탈리 2세가 왜 수도를 남쪽으로 옮겼는지에 대한 두 번째 이론은 종교적인 이유에서이다.이타마르 싱어는 그의 에세이 "아케나텐과 무와탈리의 실패한 개혁"에서 비록 그가 [7]이 운동의 정치적 이점을 인정하기는 하지만, 이 운동의 이유는 종교 개혁에 더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이에 대한 주요 증거는 다누헤파가 추방된 후 폭풍의 신이 그의 왕실 인장에 어떻게 묘사되었는지이다.무와탈리 2세는 그의 뒤를 이은 모든 히타이트 왕들의 새로운 모티브를 소개한다: 우마르멍셴(독일)이 스타일은 왕이 하나 이상의 신들에 의해 포옹되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식별할 수 있다.무와탈리 2세의 국새에서 그는 전통적인 천국의 폭풍신 대신 번개의 폭풍신에게 안기고 있다.
시켈리 릴리프
무와탈리 2세의 구제는 플레인 킬리시아에서 가장 큰 정착지 언덕 중 하나인 시르켈리 회위크 근처에 있습니다.이 정착지는 고대에는 푸루나 또는 피라모스로 [8]알려진 세이한 강의 왼쪽 둑에 위치해 있다.
왕의 비문에는 그의 아버지 무르실리 2세의 이름도 언급되어 있다: "무와탈리, 대왕, 영웅, 무르실리의 아들, 대왕, 영웅"그는 긴 가운을 입고 왼손에는 칼무스를 들고 있다.무와탈리왕의 생김새는 히타이트 도상학에서 태양의 신(Nepisas Istanu, 또는 Simige)이 묘사된 방식과 일치하므로 신격화를 나타낸다.[8]
두 번째, 매우 유사한 부조물이 몇 미터 떨어져 있지만, 그것은 고대에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파손의 성격상 고의로 파괴한 것으로 보아 이 인물의 이름을 읽을 수 없었다.
이 인물은 아마도 무르실리(III)라는 왕좌의 이름을 가진 우르시 테슈프일 것이다.그는 아버지 무와탈리 2세가 죽은 후 하티의 왕이 되었지만, 7년 후 삼촌 하투실리 [8]3세에 의해 전복되었다.
이 부조들은 아마도 고을에 들어가는 사람들에게 직접 보여서 경치를 지배했을 것이다.그러나 수세기 동안 강의 흐름이 계속 바뀌었기 때문에 현재 방문객들에게 구조물은 쉽게 보이지 않는다.
히타이트 시대 동안, 시르켈리 회위크는 [8]금마니의 컬트 마을이었을지도 모른다.
가데시 전투
개요
무와탈리 2세는 카데시 전투에서 람세스 2세와 싸웠던 히타이트 통치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그의 동맹자 중에는 알레포의 왕이었던 수필루미아스 1세의 손자인 탈미 샤루마가 있었다.
비록 양측이 이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했지만,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전투가 양측, 특히 람세스 2세에게 좋지 않게 끝났다고 믿는다.양측 모두 큰 손실을 입었고 [6]군사력도 떨어졌기 때문이다.이 전투를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어떻게 끝났느냐가 아니라 람세스 2세가 통치 기간 동안 싸웠던 모든 전투 중에서 그가 이 전투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는 점이다.이것은 그가 전투에 대한 두 가지 공식 버전을 제작했다는 사실로 명백하다: 때때로 시로 언급되는 문학 기록과 전투의 짧은 기록과 조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림 기록.이 전투의 두 가지 묘사는 라메세움을 [9]포함한 다섯 개의 다른 이집트 신전에서 발견됩니다.이 전투를 주목할 만한 두 번째 것은 무와탈리 2세가 이집트 군대에 대해 사용한 전술이다.
전투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무와틀리 2세는 그의 군대를 시리아 북부에 집결시키고 정찰병과 스파이를 파견하여 람세스 2세 군대의 위치를 확인하였다.그 스파이들은 람세스 2세와 아문이 카데쉬에 처음 접근했을 때 아문의 사단에 도달했다.그 스파이들은 탈영병을 가장하여 람세스 2세의 귀를 얻었다.그들은 히타이트 군대가 100마일 [9]이상 떨어진 알레포에 있다는 것을 그에게 확신시키기 위해 이것을 사용했다.잠시 후, 다른 히타이트 정찰병들이 잡혔고, 람세스 2세는 그 계략을 알아챘다.무와탈리 2세는 그의 군대와 함께 카데쉬 외곽에 있었다.
히타이트군이 카데쉬를 향해 진격하던 이집트군을 공격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람세스 2세는 카데쉬에 있는 자신의 캠프에서 다른 부대보다 앞서 있었고, 오직 한 개의 부대만을 거느리고 있었다.람세스 2세의 남쪽에 있는 사단이 히타이트 기병대의 한 부대에 의해 공격을 받는 동안, 무와탈리 2세는 람세스 2세 캠프를 공격하기 위해 두 번째 기병 부대를 보냈다.람세스 2세 군대는 히타이트의 공격을 간신히 막아냈고 다음날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집트계정
람세스 2세가 이 전투에서 만든 두 기록에는 람세스 2세가 뛰어난 군사 지도자로서의 위용을 과시하는 히타이트 군대에 대한 서사시적인 투쟁으로 묘사되어 있다.짧은 게시판에서 무와탈리 2세는 종종 "카티의 비열한 추장"으로 묘사된다.[10] 람세스 2세는 무와탈리 2세의 행방에 대한 거짓 보고를 들은 것을 인정하지만, 무와탈리 2세의 군대가 실제로 어디에 있는지 발견했을 때, 그는 "그의 폐하는 그들을 그들의 장소에서 학살했고, 그들은 그의 말들 앞에 널브러져 있었고, 그의 폐하는 혼자였고,[10] 다른 누구도 그와 함께 있지 않았다"고 주장한다.더 긴 시에서 람세스 2세는 다시 무와탈리 2세를 "카티의 적인"이라고 부르지만, 이 버전에서 그는 또한 무와탈리 2세가 그를 두려워하는 것으로 묘사하며, "비열한 카티 족장은 그와 함께 있던 군대의 한가운데 서 있었고 그의 위엄을 두려워하여 싸우지 않았고" "카티의 비참한 우두머리"라고 말했다.그리고 병거는... 돌아서서 움츠러들고 두려움에 [11]떨고 서 있었다."시와 회보는 모두 람세스 2세가 무와탈리 2세에 대해 놀라운 승리를 거두는 것으로 끝났고, 무와탈리는 두려움에서 람세스 2세와 평화 조약을 맺는 것으로 끝난다.
람세스 2세의 열정적인 전투 묘사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은 이 전투가 람세스 2세에게는 재앙이었다고 결론지었다.이는 전투 후 무와탈리 2세가 시리아로 계속 확대되면서 팔레스타인 [12]지역에서 이집트군의 확장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 ||||||||||||||||||||||||||||||||||||||||||||||||||||||||||||||||||||||||||||||||||||||||||||||||||||||||||||||||||||||||||||||||||||||||||||||||||||||||||||||||||||||||||||||||||||||||||||||||||||||||||||||||||||||||||||||||||||||||||||||||||||||||||||||||||||||||||||||||||||||||||||||||||||||||||||||||||||||||||||||||||||||||||||||||||||||||||||||||||||||||||||||||||||||||||||||||||||||||||||||||||||||||||||||||||||||||||||||||||||||||||||||||||||||||||||||||||||||||||||||||||||||||||||||||||||||||||||||||||||||||||||||||||||||||||||||||||||||||||||||||||||||||||||||||||||||||||||||||||||||||||||||||||||||||||||||||||||||||||||||||||||||||||||||||||||||||||||||||||||||||||||||||||||||||||||||||||||||||||||||||||||||||||||||||||||||||||||||||||||||||||||||||||||||||||||||||||||||||||||||||||||||||||||||||||||||||||||||||||||||||||||||||||||||||||||||||||||||||||||||||||||||||||||||||||||||||||||||||||||||||||||||||||||||||||||||||||||||||||||||||||||||
| ||||||||||||||||||||||||||||||||||||||||||||||||||||||||||||||||||||||||||||||||||||||||||||||||||||||||||||||||||||||||||||||||||||||||||||||||||||||||||||||||||||||||||||||||||||||||||||||||||||||||||||||||||||||||||||||||||||||||||||||||||||||||||||||||||||||||||||||||||||||||||||||||||||||||||||||||||||||||||||||||||||||||||||||||||||||||||||||||||||||||||||||||||||||||||||||||||||||||||||||||||||||||||||||||||||||||||||||||||||||||||||||||||||||||||||||||||||||||||||||||||||||||||||||||||||||||||||||||||||||||||||||||||||||||||||||||||||||||||||||||||||||||||||||||||||||||||||||||||||||||||||||||||||||||||||||||||||||||||||||||||||||||||||||||||||||||||||||||||||||||||||||||||||||||||||||||||||||||||||||||||||||||||||||||||||||||||||||||||||||||||||||||||||||||||||||||||||||||||||||||||||||||||||||||||||||||||||||||||||||||||||||||||||||||||||||||||||||||||||||||||||||||||||||||||||||||||||||||||||||||||||||||||||||||||||||||||||||||||||||||||||||
참고 자료:
| ||||||||||||||||||||||||||||||||||||||||||||||||||||||||||||||||||||||||||||||||||||||||||||||||||||||||||||||||||||||||||||||||||||||||||||||||||||||||||||||||||||||||||||||||||||||||||||||||||||||||||||||||||||||||||||||||||||||||||||||||||||||||||||||||||||||||||||||||||||||||||||||||||||||||||||||||||||||||||||||||||||||||||||||||||||||||||||||||||||||||||||||||||||||||||||||||||||||||||||||||||||||||||||||||||||||||||||||||||||||||||||||||||||||||||||||||||||||||||||||||||||||||||||||||||||||||||||||||||||||||||||||||||||||||||||||||||||||||||||||||||||||||||||||||||||||||||||||||||||||||||||||||||||||||||||||||||||||||||||||||||||||||||||||||||||||||||||||||||||||||||||||||||||||||||||||||||||||||||||||||||||||||||||||||||||||||||||||||||||||||||||||||||||||||||||||||||||||||||||||||||||||||||||||||||||||||||||||||||||||||||||||||||||||||||||||||||||||||||||||||||||||||||||||||||||||||||||||||||||||||||||||||||||||||||||||||||||||||||||||||||||||
주의:
|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Kuhrt, Amélie (2020). The Ancient Near East: c.3000–330 BC, Volume One. Routledge. p. 230. ISBN 978-1-136-75548-4.
- ^ trevor bryce, The Kingdom of the Hittites(신판),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5년 페이지 230.
- ^ Houwink ten Kate, Ph. H. J. (1994) "우르히-테섭 재방문", Bibliotherca Orientalis 51, 페이지 233-59
- ^ O.R. Gurney. "Ulmi-Teshup 조약", 아나톨리아 연구 43, 13–28; 브라이스, T. (2005) 히타이트 왕국 페이지 270–71
- ^ 브라이스, 트레버히타이트 왕국.뉴에드뉴욕: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5년 페이지 224-227.
- ^ a b 브라이스, 트레버히타이트 왕국.뉴에드뉴욕: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5년 페이지 230-233.
- ^ 가수 이타마르."아케나텐과 무와탈리의 실패한 개혁"BMSAES 6(2006년 10월): 37-58
- ^ a b c d Kozal, Ekin; Novák, Mirko (2017), Facing Muwattalli: Some Thoughts on the Visibility and Function of the Rock Reliefs at Sirkeli Höyük, Cilicia, Ugarit-Verlag, doi:10.7892/BORIS.106777, retrieved 2022-06-17
- ^ a b 미리암 리치테이임, 고대 이집트 문학: 신왕국 (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2006), 43
- ^ a b 카데시 이집트 전투 번역문:미리암 리치테이임, 고대 이집트 문학: 신왕국 (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2006), 44.
- ^ 카데시 이집트 전투 번역문:미리암 리치테이임, 고대 이집트 문학: 신왕국 (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2006), 48, 50.
- ^ Marc Van De Mieroop, A History of the Antiative Near East. ca. 3000-323, 제3판(West Susex: Wiley Blackwell, 2016), 169.
외부 링크
- 무와탈리 2세
- 고대 이집트와 수단의 대영박물관 연구 (BMSAES) 6 (2006)의 이타마르 싱어에 의한 아케나텐과 무와탈리의 실패한 개혁, 페이지 3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