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무아래

Mu Arae
무아래

무아래
관측 데이터
Epoch J2000.0 이쿼녹스 J2000.0
별자리 아라
우측 상승 17h 44m 08.70114s[1]
탈위임 −51° 50′ 02.5853″[1]
겉보기 크기(V) +5.12
특성.
스펙트럼형 G3IV-V[2]
U-B색지수 +0.24[3]
B-V색지수 +0.70[3]
R-I 색지수 0.2
아스트로메트리
방사 속도(Rv)-9.0km[4]/s
적정운동(μ) RA: −16.85[1]mas/yr
Dec.: -1965.60mas[1]/yr
시차(시차)64.47 ± 0.31 마스[1]
거리50.6 ± 0.2 ly
(15.51 ± 0.07 pc)
절대치수(MV)+4.17[5]
세부 사항
미사1.10 ± 0.01[6] M
반지름1.36 ± 0.01[6] R
루미도1.90 ± 0.10[6] L
표면 중력(log g)4.19[2] cgs
온도5820 ± 40[6] K
금속성200 ± 5%[6][주 1]
금속성 [Fe/H]0.30 ± 0.01[6] 덱스를 만들다
회전31일
회전 속도(v sin i)1.4km[7]/s
나이6.34 ± 0.40[6] Gyr
기타 지정
세르반테스, CD -51° 11094, FK5 662, GC 24024, GJ 691, HD 160691, HIP 86796, HR 6585, SAO 244981
데이터베이스 참조
심바드자료
Exoplanet 아카이브자료
아리친스자료
외행성
백과사전
자료

무아래(μ 아래, 약칭 무아라, μ 아라)는 흔히 HD 160691로 지정되며, 공식적으로 세르반테스 /sɜrvvnntizz/sur-VAN-tez라고 명명된 것으로 아라자리태양으로부터 약 50광년 떨어진 에 있는 주계열성 G형 항성이다.[8]이 별은 알려진 4개의 외부 행성(Mu Arae b, c, d, e; 후에 각각 Quijote, Dulcinea, Rocinante, Sancho)을 가진 행성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중 3개의 행성 중 목성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고 있다.가장 안쪽의 무아래 c는 뜨거운 해왕성이나 초지구가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

명명법

μ 아래(무아래라틴화됨)는 별의 바이엘 명칭이다.HD 160691은 Henry Draper Catalogue의 항목이다.

외계 행성에 대해 확립된 관습은 행성이 발견 순서대로 "b"부터 시작하는 소문자 로마자를 따라 별의 이름으로 구성된 지정을 받는 것이다.[9]이 시스템은 Krzysztof Goździewski가 이끄는 팀에 의해 사용되었다.[10]한편 프란체스코 페페(Francesco Pepe)가 이끄는 연구팀은 행성을 특성화 순서에 따라 지정하는 지정제도 변경을 제안했다.[11]시스템의 4행성 모델이 도입되기 전에 가장 바깥쪽 행성의 매개변수가 제대로 제약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무아래 시스템의 행성에 대한 다른 지정 순서를 초래한다.두 제도 모두 640일 행성을 "b"로 지정하는 것에 동의한다.구식 시스템은 9일 행성을 "d"로, 310일 행성을 "e"로, 바깥 행성을 "c"로 지정한다.이 시스템에 대해 planets,[12]의 문제 전당 대회'correct기 때문에 국제 천문 연맹은 '외계의 지정을 위한 공식적인 시스템 정의되지 않고 있다. 여전히 열려 그러나 이후 과학 간행물들은 페페(알. 시스템을 채택한 것으로, Extrasolar Planets Encyclopaed의 시스템의 항목이 있는 것 같다.ia.[13][14]

2014년 7월 국제천문연맹은 특정 외부 행성들과 그들의 호스트 스타들에게 적절한 이름을 붙이는 과정인 NameExoWorlds를 출범시켰다.[15]그 과정에는 공천과 새 이름들에 대한 투표가 포함되었다.[16]2015년 12월 IAU는 이 별의 세르반테스, 행성(각각 b, c, d, e)의 퀴조테, 둘시네아, 로시난테, 산초 등이 수상 명칭이라고 발표했다.[17][18]

우승한 이름은 스페인 팸플로나 플라네타리오가 제출한 것이다.미겔 세르반테스 사베드라(1547–1616)는 스페인의 유명한 작가 겸 엘 인제니오소 히달고 돈키호테 데 라 만차의 작가였다.이 행성들은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키조테는 주인공이었고, 둘시네아는 그의 연인이었으며, 로시난테는 그의 말, 산초의 누렁이였다.[19]

2016년 IAU는 스타들의 적절한 이름을 분류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스타 네임 작업 그룹(WGSN)[20]을 조직했다.WGSN은 2016년 7월 첫 회보에서 2015 NameExoWorlds 캠페인에서 채택된 별의 이름을 포함해 행성 및 행성위성의 공개 명명 집행위원회(실무위원회)에서 승인한 외부 행성과 그 숙주별의 이름을 명시적으로 인정했다.[21]이 별은 현재 IAU의 별 이름 카탈로그에 그렇게 기재되어 있다.[8]

항성 특성

히파르코스 천문위성의 측정에 따르면 무아래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 때 64.47밀리리크초시차를 보인다.지구에서 태양까지의 알려진 거리와 결합했을 때, 이것은 항성이 50.6광년(15.51파섹)의 거리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note 2]지구에서 볼 때, 그것은 겉보기 크기가 +5.12이고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별의 별자리의 분석은 태양보다 약 10% 더 크고, 약 63억 4천만 년으로 훨씬 더 오래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반지름보다 36% 더 크고 광도는 90% 더 높다.이 별은 태양의 수소에 비해 철분이 두 배나 풍부하여 금속이 풍부한 것으로 묘사된다.무아래 역시 원소 헬륨에서 태양보다 풍부하다.[6]

Mu Arae에는 G3IV–V의 나열된 스펙트럼 유형이 있다.[2]G3 부분은 별이 태양(G2V 별)과 비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그 별은 중심부의 수소가 고갈되기 시작하면서 진화의 하위 단계에 접어들고 있을지도 모른다.이는 IV(소항성)와 V(태양과 같은 주계열성 왜성) 사이의 불확실한 발광도 등급에 반영된다.

행성계

수다르스키의 가스 거대 분류에 근거한 세르반테스 외행성의 셀레스티아에서의 에뮬레이션:둘시네아, 로시난테, 퀴조테 이 산초.
무아래 항성은 4개의 행성에 대한 거리 관계를 가지고 있다.
태양계에 있는 행성들과 비교했을 때, 무아래계에 있는 세 개의 외부 행성의 궤도는 태양계에 있는 행성들과 비교했을 때,중심별은 축척되지 않는다.이 그림의 축척에서 가장 안쪽 행성은 중심별을 나타내는 원반 가장자리에 위치할 것이다.

디스커버리

2001년, 엡실론 레티쿨리 궤도를 선회하는 행성과 함께, 앵글로-호주 행성 검색 팀에 의해 외계 행성이 발표되었다.무아래 b로 명명된 이 행성은 약 743일의 매우 편심된 궤도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22]이번 발견은 행성의 중력에 의해 이리저리 끌려다닌 결과 별의 방사상 속도(의 스펙트럼 라인도플러 이동을 관찰하여 측정한 값)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루어졌다.추가 관찰 결과, 2004년에 발표된 시스템(현재는 무아래 e로 지정됨)에 두 번째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당시 이 행성의 매개변수는 제약을 잘 받지 않았으며, 이심률이 높은 약 8.2년의 궤도에 있다고 생각되었다.[23]이후 2004년, 무아래 c로 명명된 작은 내행성이 9일 궤도에서 천왕성과 견줄 만한 질량으로 발표되었다.이것은 "뜨거운 넵튠즈"로 알려진 행성들 중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이번 발견은 HARPS(High Accuracy Radial Velocity Planet Searcer) 분광기로 고정밀 방사형 속도 측정으로 이뤄졌다.[24]

2006년, Krzysztof Goddziewsky가 이끄는 두 팀과 프란체스코 페페가 이끄는 두 팀은 별의 방사상 속도 측정용 4개의 평면 모델을 독립적으로 발표했는데, 거의 311일 동안 원형에 가까운 궤도에 새로운 행성(Mu Arae d)이 있다.[10][11]새로운 모델은 이전 모델보다 낮은 편심 궤도를 가지고 이전에 알려진 행성에 대해 수정된 매개변수를 제공하며, 무아래 e의 궤도에 대한 보다 강력한 특성화를 포함한다.네 번째 행성의 발견으로 무아래는 칸크리 55에 이어 두 번째로 알려진 4개의 행성 외 행성계가 되었다.

시스템 아키텍처 및 거주 가능성

무아래 시스템은 촘촘한 9일 궤도에 있는 천왕성 내부 행성과 넓고 원근에 가까운 궤도에 있는 가스 거대 행성, 아마도 거대한 세 개의 거대한 행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장기 외극성 행성에서 일반적으로 관측되는 고극성 궤도와 대조를 이룬다.천왕성 질량 행성은 별의 방사선에 의해 바깥 층이 벗겨진 가스 거인의 중심체토니아 행성일 수 있다.[25]또는 무아래 제도의 내부 지역에서 바위투성이의 "초지구"로 형성되었을 수도 있다.[24]내측 기체 거인 "d"와 "b"는 2:1 궤도 공진에 가깝게 위치해 있어 강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은 실제로 불안정하다.[26] 시뮬레이션 결과, 항성계의 추정 연령보다 현저히 짧은 7800만년 후에 시스템이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두 행성이 실제로 공명(글리제 876 계통의 상황과 유사)에 있는 것을 포함하여 보다 안정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에 약간 더 나쁜 적합성만을 준다.[11]상황별 디스크를 검색한 결과 무아래 주변의 카이퍼 벨트와 유사한 파편 디스크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만약 무아래가 카이퍼 벨트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현재 기기로 감지되기에는 너무 희미하다.[27]

가스 거대 행성 'b'는 무아래의 액체 물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해 있다.이것은 지구와 같은 행성이 거주 가능한 지역에서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가스 거대기업의 달은 잠재적으로 액체 상태의 물을 지지할 수 있다.반면에, 행성의 질량과 위성 시스템 사이의 이론화된 스케일링 법칙 때문에 대기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의 달과 액체 상태의 물이 실제로 가스 거대 행성 주위에 형성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28]또한, 별의 자외선을 측정한 결과, 잠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행성이나 달은 생체 분자 형성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자외선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9]행성 "d"는 지구와 비슷한 양의 자외선을 받을 것이고 따라서 자외선이 거주할 수 있는 영역에 놓여 있다.하지만, 어떤 달도 표면의 액체 물을 지지하기에는 너무 더울 것이다.

무아래 행성계[11]
동반자
(별에서 순서대로)
미사 세미마조르 축
(AU)
궤도 주기
()
편심성 기울기 반지름
c (Dulcinea) >10.551M🜨 0.09094 9.6386 ± 0.0015 0.172 ± 0.04
d (로시난테) >0.5219MJ 0.921 310.55 ± 0.83 0.0666 ± 0.0122
b (Quijote) >1.676 MJ 1.497 643.25 ± 0.90 0.128 ± 0.017
e (산초) >1.814 MJ 5.235 4205.8 ± 758.9 0.0985 ± 0.0627

참고 항목

메모들

  1. ^ [Fe/H] 출처 = 0.30 ± 0.01
  2. ^ 시차를 거리로 변환하는 공식은 i e c = a l a l l c ds {\ style { = {\\{1 {이다.

참조

  1. ^ a b c d e f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2. ^ a b c Gray, R. O.; et al. (July 2006). "Contributions to the Nearby Stars (NStars) Project: Spectroscopy of Stars Earlier than M0 within 40 parsecs: The Northern Sample I". The Astronomical Journal. 132 (1): 161–170. arXiv:astro-ph/0603770. Bibcode:2006AJ....132..161G. doi:10.1086/504637. S2CID 119476992.
  3. ^ a b Feinstein, A. (1966). "Photoelectric observations of Southern late-type stars". The Information Bulletin for the Southern Hemisphere. 8: 30. Bibcode:1966IBSH....8...30F.
  4. ^ Wielen, R.; et al.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öff. Astron. Rechen-Inst. Heidelb.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5. ^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S2CID 119257644.
  6. ^ a b c d e f g h Soriano, M.; Vauclair, S. (2009). "New seismic analysis of the exoplanet-host star Mu Ar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3: A49. arXiv:0903.5475. Bibcode:2010A&A...513A..49S. doi:10.1051/0004-6361/200911862. S2CID 5688996.
  7. ^ Bruntt, H.; et al. (July 2010).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23 bright solar-type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5 (3): 1907–1923. arXiv:1002.4268. Bibcode:2010MNRAS.405.1907B. doi:10.1111/j.1365-2966.2010.16575.x. S2CID 118495267.
  8. ^ a b "IAU Catalog of Star Names". Retrieved 28 July 2016.
  9. ^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
  10. ^ a b Gozdziewski, K.; Maciejewski, Andrzej J.; Migaszewski, Cezary (2007). "On the extrasolar multi-planet system around HD160691". The Astrophysical Journal. 657 (1): 546–558. arXiv:astro-ph/0608279. Bibcode:2007ApJ...657..546G. doi:10.1086/510554. S2CID 16620036.
  11. ^ a b c d Pepe, F.; Correia, A. C. M.; Mayor, M.; Tamuz, O.; Benz, W.; Bertaux, J. -L.; Bouchy, F.; Couetdic, J.; Laskar, J.; Lovis, C.; Naef, D.; Queloz, D.; Santos, N. C.; Sivan, J. -P.; Sosnowska, D.; Udry, S. (2006).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IX. μ Ara, a system with four plane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2 (2): 769–776. arXiv:astro-ph/0608396. Bibcode:2007A&A...462..769P. doi:10.1051/0004-6361:20066194. S2CID 119071803.
  12. ^ "Planets Around Other Stars". I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6. Retrieved 16 September 2006.
  13. ^ Short, D.; Windmiller, G.; Orosz, J. A. (2008). "New solutions for the planetary dynamics in HD160691 using a Newtonian model and latest data". MNRAS. 386 (1): L43–L46. arXiv:0802.1781. Bibcode:2008MNRAS.386L..43S. doi:10.1111/j.1745-3933.2008.00457.x. S2CID 15410895.
  14. ^ "Notes for star HD 160691". Title Extrasolar Planets Encyclopa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08. Retrieved 11 April 2009.
  15. ^ NameExoWorlds: 엑소플라넷과 그들의 호스트 스타들의 이름을 짓기 위한 IAU 월드와이드 콘테스트.IAU.org. 2014년 7월 9일
  16. ^ NameExoWorlds the Process
  17. ^ 국제천문연맹, 2015년 12월 15일 발표된 네임엑소월드 공개투표의 최종 결과.
  18. ^ 2016년 1월 3일 국제천문연맹 무아라에 대한 제안 페이지.
  19. ^ NameExoWorlds 승인된 이름
  20.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Retrieved 22 May 2016.
  21.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Retrieved 28 July 2016.
  22. ^ Butler; Tinney, C. G.; Marcy, Geoffrey W.; Jones, Hugh R. A.; Penny, Alan J.; Apps, Kevin (2001). "Two New Planets from the Anglo-Australian Planet Search". The Astrophysical Journal. 555 (1): 410–417. Bibcode:2001ApJ...555..410B. doi:10.1086/321467. hdl:2299/137.
  23. ^ McCarthy, Chris; et al. (2004). "Multiple Companions to HD 154857 and HD 160691". The Astrophysical Journal. 617 (1): 575–579. arXiv:astro-ph/0409335. Bibcode:2004ApJ...617..575M. doi:10.1086/425214. S2CID 119446133.
  24. ^ a b Santos, N. C.; Bouchy, F.; Mayor, M.; Pepe, F.; Queloz, D.; Udry, S.; Lovis, C.; Bazot, M.; et al. (2004). "The HARPS survey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II. A 14 Earth-masses exoplanet around μ Ar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6 (1): L19–L23. arXiv:astro-ph/0408471. Bibcode:2004A&A...426L..19S. doi:10.1051/0004-6361:200400076. S2CID 14938593.
  25. ^ Baraffe, I.; Alibert, Y.; Chabrier, G.; Benz, W. (2006). "Birth and fate of hot-Neptune plane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0 (3): 1221–1229. arXiv:astro-ph/0512091. Bibcode:2006A&A...450.1221B. doi:10.1051/0004-6361:20054040. S2CID 15574680.
  26. ^ Agnew, Matthew T; Maddison, Sarah T; Horner, Jonathan; Kane, Stephen R (June 2019). "Predicting multiple planet stability and habitable zone companions in the TESS era".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85 (4): 4703–4725. arXiv:1901.11297. doi:10.1093/mnras/stz345. Retrieved 28 April 2020.
  27. ^ Schütz, O.; Bönhardt, H.; Pantin, E.; Sterzik, M.; Els, S.; Hahn, J.; Henning, Th. (2004). "A search for circumstellar dust disks with ADON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4 (2): 613–618. arXiv:astro-ph/0408530. Bibcode:2004A&A...424..613S. doi:10.1051/0004-6361:20034215. S2CID 25921357.
  28. ^ Canup, R.; Ward, W. (2006). "A common mass scaling for satellite systems of gaseous planets". Nature. 441 (7095): 834–839. Bibcode:2006Natur.441..834C. doi:10.1038/nature04860. PMID 16778883. S2CID 4327454.
  29. ^ Buccino, A.; Lemarchand, Guillermo A.; Mauas, Pablo J.D. (2006). "Ultraviolet Radiation Constraints around the Circumstellar Habitable Zones". Icarus. 183 (2): 491–503. arXiv:astro-ph/0512291. Bibcode:2006Icar..183..491B. doi:10.1016/j.icarus.2006.03.007. S2CID 2241081.

외부 링크

좌표:Sky map 17h 44m 08.7s, −51° 50′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