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55

Messier 55
메시에 55
Messier 55 VISTA.jpg
궁수자리 구상 성단 메시에 55
관측 데이터(J2000 epoch)
클래스XI[1]
별자리궁수자리
우측 상승19h 39m 59.71s[2]
탈위임−30° 57′ 53.1″[2]
거리17.6kly(5.4kpc)[3]
겉보기 크기 (V)+7.42[4]
외관 치수(V)19′.0
물리적 특성
미사2.69×105[3] M
반지름리로48[5]
금속성/ = –1.94[3] 덱스
추정연령12.3 Gyr[6]
기타 지정M55, NGC 6809, GCl 113, C 1936-310[4]
참고 항목: 구상 성단, 구상 성단 목록

메시에 55(M55 또는 NGC 6809)는 궁수자리 남쪽에 있는 구상 성단이다. 1752년[a] 니콜라스 루이 라카유에 의해 오늘날 남아프리카가 무엇인지 관찰하던 중 발견되었다.[7] 1754년에 시작된 찰스 메시에는 파리에서 이 물체를 찾기 위해 여러 번 시도를 했지만, 그곳에서 나온 낮은 열화는 매일 지평선 위로 솟아올라 관찰을 방해한다.[b] 그는 1778년에 그것을 관찰하고 목록화했다. 이 성단은 50mm 쌍안경으로 볼 수 있다; 개별 별을 분해하는 데는 중간 크기의 망원경이 필요하다.[7]

지구에서 약 17,600광년 떨어져 있다. 약 26만 9천 개의 태양 질량을 포함하고 있다.M)[3] 다른 은하수 구상 성단과 마찬가지로 태양에 비해 수소와 헬륨 외에 원소가 거의 없는 '저금속성'이다. 이 양은 일반적으로 태양 비율의 기준 10 로그로 나열된다. NGC 6809의 경우 야금성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e/H] = -1.94 덱스, 여기서 -2는 태양보다 100배 적은 철이다.[3] 이것은 성단이 수소와 헬륨에 비해 태양 철의 비율이 1.1%라는 것을 의미한다.

M55의 중심부에서 약 55개의 변광성만이 발견되었다.[8]

갤러리

참조 및 각주

  1. ^ Shapley, Harlow; Sawyer, Helen B. (August 1927), "A Classification of Globular Clusters", Harvard College Observatory Bulletin, 849 (849): 11–14, Bibcode:1927BHarO.849...11S.
  2. ^ a b Goldsbury, Ryan; et al. (December 2010), "The ACS Survey of Galactic Globular Clusters. X. New Determinations of Centers for 65 Clusters", The Astronomical Journal, 140 (6): 1830–1837, arXiv:1008.2755, Bibcode:2010AJ....140.1830G, doi:10.1088/0004-6256/140/6/1830, S2CID 119183070
  3. ^ a b c d e Boyles, J.; et al. (November 2011), "Young Radio Pulsars in Galactic Globular Clusters", The Astrophysical Journal, 742 (1): 51, arXiv:1108.4402, Bibcode:2011ApJ...742...51B, doi:10.1088/0004-637X/742/1/51, S2CID 118649860
  4. ^ a b "M 55".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November 16, 2006.
  5. ^ 삼각측량으로부터: 반지름 = 거리 × 죄(직경_각도 / 2 ) = 17,600 × 죄(19 sin/2) = 48.6 ly.
  6. ^ Sollima, A.; et al. (April 2008), "The correlation between blue straggler and binary fractions in the core of Galactic globular clus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1 (3): 701–704, arXiv:0801.4511, Bibcode:2008A&A...481..701S, doi:10.1051/0004-6361:20079082, S2CID 3088769
  7. ^ a b Thompson, Robert Bruce; Thompson, Barbara Fritchman (2007), Illustrated guide to astronomical wonders, DIY science, O'Reilly Media, Inc., p. 413, ISBN 978-0-596-52685-6
  8. ^ Kaluzny, J.; et al. (September 2010), "The Cluster AgeS Experiment (CASE). Variable Stars in the Globular Cluster M55", Acta Astronomica, 60 (3): 245–260, arXiv:1011.0831, Bibcode:2010AcA....60..245K
  1. ^ 6월 16일
  2. ^ 특히 이 별자리의 남쪽에는 50도선 북쪽 아래 모든 곳에서 그것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태양은 12월 내내 사지타리우스(또는 태양이 그렇게 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지구의 궤도를 돈다)를 통과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가까운 달의 밤이 아닌 낮에 클러스터가 대부분 상승하게 만든다.

외부 링크

좌표: Sky map 19h 39m 59.40s, −30° 57′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