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h: 034724ms, +24°07' 00˚
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플레이아데스

Pleiades
플레이아데스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를 이용한 플레이아데스인들의 색채 합성 이미지
관측 데이터(J2000 epoch)
적경03h 47m 24s[1]
적위+24°07' 00°[1]
거리평균[2][3][4][5] 444개(165.2±1.2개)
겉보기 등급(V)1.6[6]
겉보기 치수(V)110'(arcmin)[6]
물리적 특성
기타 명칭세븐 [1]시스터즈, M45,[1] Cr 42,[1] 22[1]
협회
별자리황소자리
참고 항목:산개성단, 산개성단 목록

플레이아데스 (/ˈpliː).일곱 자매, 메시에 45 또는 다른 문화권에서 이름으로 알려진 다이에즈(ːdiɪz)[7][8]황소자리 북서쪽에 있는 중년의 뜨거운 B형 별들을 포함하는 성단이자 열린 성단입니다.444광년 거리에 있는 이 별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성단 중 하나입니다.이것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메시에 천체이며, 밤하늘에서 맨눈으로 볼 때 가장 분명한 성단입니다.또한 HII [9]영역인 반사 성운 NGC 1432를 수용하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이 성단은 지난 1억 년 이내에 형성된 뜨겁고 푸른 빛의 별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습니다.가장 밝은 별 주위의 반사 성운은 한때 그들의 형성에서 나온 물질들이 남아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이제는 별들이 현재 [10]통과하고 있는 성간 매질에서 관련이 없는 먼지 구름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집니다.이 먼지 구름은 [11]성단에 있는 별들과 비교하여 약 18km/s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플레이아데스가 아마도 오리온 [12]성운을 닮은 작은 구성에서 형성되었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천문학자들은 이 성단이 약 2억 5천만 년 동안 더 생존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후 은하계 [13]이웃과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흩어지게 될 것입니다.

히아데스 성단의 열린 성단과 함께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황도의 황금문을 형성합니다.

이름의 유래

플레이아데스인들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λριος에서 왔습니다.[14]"항해의 계절은 [15]태양의 상승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라는 성단의 중요성 때문에 "항해의 계절"에서 유래했을 것입니다.하지만, 신화에서 이 이름은 일곱 명의 신성한 자매인 플레이아데스인들에게 사용되었는데, 이 이름은 아마도 그들의 어머니 플레이오네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고 효과적으로 "플레이오네의 딸들"을 의미합니다.실제로, 성단의 이름은 거의 확실히 처음에 왔고, 그것을 [16]설명하기 위해 플레이오네가 발명되었습니다.

고대 M45의 천문학적 역할

M45 그룹은 고대에 두 개의 주목할 만한 요소의 결합 덕분에 달력의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첫 번째는, 여전히 유효하며, 황도 근처의 천구상에서 독특하고 완벽하게 식별 가능한 측면입니다.고대인들에게 필수적인 두 번째는 기원전 3천년 중반에 이 별자리가 춘분점을 [17]표시했다는 것입니다.이 별자리의 중요성은 기원전 1600년경의 네브라스키 원반에 있는 북유럽에서도 분명합니다.그리고 태양과 달 옆에 그것이 표현된 곳.

기원전 1600년경의 네브라스키 원반.원반의 오른쪽 상단 부분에 있는 점들의 무리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으로 추정됩니다.

고대 달력의 시작을 알려주는 것도 이 별자리입니다.몇 가지 예를 들 수 있습니다.

  • 고대 인도에서는 기원전 1200-1000년경에 편찬된 아타르바베다에서 최초의 나크차트라(달 관측소의 산스크리트 이름)를 구성하며, 이는 문자 그대로 "절단"[18]의미하기 때문에 노출되는 이름, 즉 "올해의 [19]시작을 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이것은 고전 목록이 이 나크차트라를 3위로 낮추고, 그 이후로 히파르코스에서 특히 그 당시에 춘분점을 나타내는 커플 βγ 아리에티스에게 첫 번째를 주기 전에 그렇습니다.
  • 메소포타미아의 MUL.아수르바니팔 도서관의 니네베에서 발견된 기원전 62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최초의 메소포타미아 천문학 논문인 APIN 요약본은 물로 시작하는 "달의 길" 위에 서 있는 [별의 주인] 신들의 목록을 제시합니다.물.[20]
  • 그리스에서, λιάδςεπεœ▁whose,▁areς▁a▁group는 신화적 의미를 갖기 전에 아마도 그 이름이 기능적인 그룹일 것이라고 지적하는데, 안드레 르뷔플은 다중성, 군중, [21]집회의 개념을 표현하는 인도유럽 어근 *pe/ol-/pl-에 의한 설명을 선호합니다.
  • 우리는 오래된 파라페그마 유형의 달력인 안와의 달력을 시작하는 고대 아랍인들 사이에서 유사한 것을 발견합니다. M45는 اثرّا al-Zurayya라는 [22]이름으로 되어 있습니다.그리고 이것은 그들의 고전적인 달력 이전에, 마나질 알카마르 또는 "달의 관측소"의 이름은 문자 그대로 "분점에 들어가는 두 개의 표시"[23]βγ 아리에티스 부부로 시작됩니다.

그래서 M45가 춘분점을 떠날 때, 별점은 기능적으로나 상징적으로 여전히 중요하게 남아 있습니다.인도와 아랍 사이의 달 관측소를 기반으로 한 달력에서 방금 본 변화 외에도, 천문학적 기준에 따라 달이 지정된 고대 예멘 달력의 경우를 생각해 보십시오: 문자 그대로 "다섯"인 ḫams의 달은 기간입니다.ng 태양알수라야, 즉 플레이아데스인들달이 하루와 하룻밤에 평균적으로 이동하는 경로의 5배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을 평균적으로 이동하는 경로의 5배입니다.[24]

명명법과 신화

호주 왕립 조폐국이 2020년 발행한 1달러 기념 은화.반대쪽에는 일곱 자매(플레이아데스)가 그려져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25]전통의 고대 이야기에 따르면 이들이 대표적입니다.

플레이아데스 산맥은 북반구에서 겨울에 눈에 띄는 광경이며, 남반구 중위도에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고대부터 켈트족(켈트족: Tŵr Tewdws, 아일랜드어: Streoillin), 식민지 이전의 필리핀인(마풀론, 물로풀로, 무로푸로 등), 하와이인(마칼리리라고 부르는 28명), 마토리족(29명) 등 전 세계 문화권에 알려져 왔다키), 인디게노우s 호주인들(여러 전통에서 따옴), 아케메네스 제국, 파르시(رین Parvīn 또는 یوپر Parvī), [30] 아랍인들(لǎا al-Thurayya), 중국인들(昴mيo), 퀘추아인들(Ququllqa 또는 가게 집이라고 부르는), 일본인들(昴バ), 마야인들(ルスپ), 마야인들(و), 마야인들(اثر,,(sthem昴whofバ),)로 부른다,카이오와족그리고[32][33] 체로키 족.힌두교에서 플레이아데스인들은 Kṛtikā로 알려져 있고, 문자적으로 전쟁의 신 카르티케야와 연관되어 있으며, 또한 사프타마트리카 (7명의 어머니)와 동일시되거나 연관되어 있습니다.힌두교도들은 풍요와 램프의 축제인 디왈리로서 카르티크 달의 첫 날을 기념합니다.플레이아데스인들은 또한 [34][35]성경에서 세 번 언급됩니다.

갈릴레오가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로부터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그린 그림

플레이아데스인들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묘사는 [36]기원전 1600년경의 네브라스키 디스크로 알려진 북독일 청동기 시대의 유물일 것입니다.바빌로니아의 항성 목록은 플레이아데스를 "별"을 의미하는 MUL (𒀯𒀯),▁mul)로 명명하고, 그들이 기원전 23세기 경 춘분점에 근접했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황도를 따라 항성 목록의 선두를 차지합니다.고대 이집트인들은 카이로 86637 [37]파피루스의 행운과 불운의 날 달력의 예후 문서에서 "팔로어"와 "엔니드"라는 이름을 사용했을 것입니다.일부 그리스 천문학자들은 그들을 별개의 별자리로 여겼고, 그들은 헤시오도스의 작품[38]날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39] 그리고 [40]지오포니카에 의해 언급되었습니다.플레이아데스인들은 이슬람 이전의 아랍인들 사이에서 가장 잘 알려진 별이었고 종종 "별" (al Najm)[41]이라고 불립니다.일부 이슬람 학자들은 플레이아데스 (아스투라야)가 쿠란[42]수라 안나짐 ("별")에 언급된 "별"이라고 제안했습니다.

기원전 제1천년기 초부터 수많은 원통형 인장에 M45는 7개의 점으로 표시되어 있는 반면, 신아시리아 왕궁의 낮은 부조에는 7개의 신들이 나타나는데, 긴 벌린 예복과 짧은 깃털로 덮인 원통형 머리장식을 착용하고 3개의 앞줄 뿔과 깃털 왕관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도끼와 칼, 그리고 활과 화살을[43] 모두 쏘기

스바루

일본에서 이 성단[44]8세기 코지키에서 무쓰라보시("6개의 별")라는 이름으로 언급됩니다.이 성단은 현재 일본에서 스바루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것은 일본 국립 천문대의 8.2미터 (320인치) 기함 망원경인 스바루 망원경의 이름으로 선택되었습니다.그것은 하와이 에 있는 마우나케아 천문대에 위치해 있습니다.1998년에 출시된 이후 [45]2005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모노리식 기본 미러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스바루 자동차의 브랜드명으로 선정된 것은 회사의 기원을 반영하여 5개 회사가 합류한 것으로 회사의 6성 로고에 [46]표시되어 있습니다.

관측사

갈릴레오 갈릴레이망원경을 통해 플레이아데스를 본 최초의 천문학자였습니다.따라서 그는 이 성단에 육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어두운 별들이 많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그는 1610년 3월에 Sidereus Nuncius라는 논문에서 36개의 별을 보여주는 플레이아데스 산맥의 스케치를 포함한 그의 관찰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플레이아데스성단은 오랫동안 우연적 정렬이라기보다는 물리적으로 연관된 별들의 집단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미첼은 1767년에 그렇게 많은 밝은 별들의 우연한 정렬 확률이 500,000분의 1에 불과하다고 계산했고,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다른 많은 별들이 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47]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별들의 적절한 움직임에 대한 연구가 처음 이루어졌을 때, 그것들이 모두 같은 속도로 하늘을 가로질러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 그것들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더 증명했습니다.

찰스 메시에는 이 성단의 위치를 측정하여 1771년에 출판된 의 혜성 유사 물체 목록에 M45로 포함시켰습니다.오리온 성운프레이페 성단과 함께 메시에의 플레이아데스 성단 포함은 매우 흥미로운 것으로 주목받았는데, 메시에의 천체 대부분이 훨씬 더 희미하고 혜성과 더 쉽게 혼동되었기 때문입니다.한 가지 가능성은 메시에가 단순히 그의 과학적 라이벌인 라카유보다 더 큰 목록을 갖고 싶어했다는 것입니다. 라카유는 1755년 목록에 42개의 물체를 포함하고 있었고, 그래서 그는 그의 [48]목록을 높이기 위해 밝고 잘 알려진 몇 가지 물체를 추가했습니다.

1782년 에드메-세바스티앙 조라트는 1779년 그의 관측으로부터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64개 별들의 지도를 그렸고, 1786년 [49][50][51]그가 출판했습니다.

거리

Location of Pleiades (circled) in the night sky
밤하늘에서 플레이아데스(원형)의 위치

플레이아데스까지의 거리는 우주 거리 사다리를 보정하기 위한 중요한 첫 단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성단은 지구에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거리 측정이 비교적 쉬울 것이며 많은 방법으로 추정되어 왔습니다.천문학자들은 거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통해 은하단에 대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 도표는 거리를 알 수 없는 은하단에 대해 작성된 도표와 비교할 때 거리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다른 방법은 산개성단에서 은하 및 은하단으로 거리 척도를 확장할 수 있으며, 우주 거리 사다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궁극적으로 우주의 시대와 미래의 진화에 대한 천문학자들의 이해는 플레이아데스까지의 거리에 대한 그들의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하지만 일부 저자들은 우주 거리 사다리가 히파르코스 위성과 독립적인 수단(: 히아데스, 코마 베레니케스 c)에 의해 설정된 거리에 대한 합의가 존재하는 다른 근처 클러스터에 (현재)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에서 논의된 플레이아데스까지의 거리에 대한 논란은 적신호라고 주장합니다.광채 등)[3]

400,000년 만에 올바른 모션 애니메이션—크로스 아이 보기(보기 가이드를 보려면 클릭)

거리 측정은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습니다.히파르코스 위성이 발사되기 전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플레이아데스가 지구에서 약 135 파섹(pc)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히파르코스의 데이터는 성단에 있는 별들의 시차를 측정함으로써 118pc의 거리라는 놀라운 결과를 산출했는데, 이는 가장 직접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산출해야 하는 기술입니다.이후의 연구에서는 플레이아데스인들의 히파르코스 거리 측정이 잘못된 것이라고 [3][4][5][52][53][54]일관되게 주장했습니다.특히, 허블 우주 망원경적외선크기 다이어그램 피팅(이른바 "스펙트럼 시차")을 통해 은하단까지의 거리는 135 [3][52]~ 140 파섹 사이의 거리를 선호합니다; 플레이아드 이중 아틀라스의 광학 간섭계 관측으로부터의 동적 거리는 133 ~ 137 [54]파섹 사이의 거리를 선호합니다.하지만 2007-2009년 수정된 히파르코스 시차 카탈로그의 저자는 플레이아데스까지의 거리가 ~120pc라고 재차 주장하고 반대되는 [2]증거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2012년, 프랜시스와[55] 앤더슨은 성단의 별들에 대한 히파르코스 시차 오차에 대한 체계적인 효과가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계산을 편향하고 AB 도라두스, 투카나-호로지움, 베타 픽토리스 이동군의 별들을 기반으로 히파르코스 시차 거리 126pc와 광도 거리 132pc를 제공한다고 제안했습니다.플레이아데스인들과 나이와 구성 면에서 모두 유사합니다.이러한 저자들은 이러한 결과 간의 차이가 랜덤 오류에 기인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매우 긴 기준선 간섭계(VLBI)를 사용한 보다 최근의 결과(2014년 8월)와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1(2016년 9월) 및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2018년 8월)를 사용한 예비 솔루션은 각각 136.2 ± 1.2 pc,[56] 134 ± 6[57] pc 및 136.2 ± 5.0 [58]pc의 거리를 결정합니다.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1 팀은 결과에 대해 신중했으며 VLBI 저자들은 "플레이아데스 성단까지의 히파르코스 측정 거리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플레이아데스 산맥까지의 선택된 거리 추정치
연도 거리(pc) 메모들
1999 125 히파르코스[59]
2004 134.6 ± 3.1 허블 미세 안내[52] 센서
2009 120.2 ± 1.9 수정[2] 히파르코스
2014 136.2 ± 1.2 매우 긴 기준선 간섭계[56]
2016 134 ± 6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1[57]
2018 136.2 ± 5.0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58]

또 다른 거리 논쟁은 Polaris#Distance를 참조하십시오. 또한 이번에는 더 큰 거리를 제안했지만 히파르코스와는 다른 측정치를 사용합니다.

구성.

플레이아데스인들의 지도

성단 중심핵의 반지름은 약 8광년이고 조석 반지름은 약 43광년입니다.이 성단에는 통계적으로 확인된 구성원 1,000명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수치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쌍성계[60]를 제외한 수치입니다.그것의 빛은 젊고 뜨거운 푸른 별들에 의해 지배되며, 그 중 14개는 관측자의 국소적인 관측 조건과 시력에 따라 맨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가장 밝은 별들의 배열은 큰곰자리작은곰자리와 다소 유사합니다.성단에 포함된 총 질량은 약 800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며, 희미하고 붉은 [60]별들이 지배하고 있습니다.플레이아데스 성단의 쌍성 빈도는 약 57%[61]로 추정됩니다.

성단에는 갈색왜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태양 질량의 약 8% 미만으로 핵융합 반응이 중심핵에서 시작되어 적절한 별이 되기에 충분히 무겁지 않은 천체입니다.이들은 성단 전체 인구의 25%까지 구성할 수 있지만, 전체 [62]질량의 2% 미만에 기여합니다.천문학자들은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다른 젊은 성단에서 갈색 왜성을 찾고 분석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데, 그 이유는 그들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밝고 관찰할 수 있는 반면, 오래된 성단의 갈색 왜성은 빛이 바래서 연구하기가 훨씬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가장 밝은 별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9개의 별들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일곱 자매입니다.스테로페, 메로페, 엘렉트라, 마이아, 타이게타, 셀레노, 알키오네와 그들의 부모 아틀라스, 플레이오네.아틀라스의 딸로서, 히아데스는 플레이아데스의 자매였습니다.다음 표는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들의 세부 사항을 보여줍니다.

플레이아데스 밝은 별들
이름. 발음(IPA) 지정 겉보기 등급 항성 분류 거리(ly)[63]
알키오네 /ˈlɪsaə.ːni// 에타 (25) 황소자리 2.86 B7IIIe 409±50
아틀라스 /ˈətlss/ 황소자리 27 3.62 B8III 387±26
엘렉트라 /əlɛktrə/ 17 황소자리 3.70 B6IIIe 375±23
마이아 /http me.http/ 황소자리 20 3.86 B7III 344±25
메로페 /ˈmɛrəp/ 황소자리 23 4.17 B6IVEv 344±16
타이게타 /teɪdʒtə/ 황소자리 19 4.29 B6IV 364±16
플레이오네 /ˈpliəniː, ˈplaɪ-/ 28 (BU) 황소자리 5.09 (변수) B8IVpe 422±11
셀레노 /səliːnoʊ/ 황소자리 16 5.44 B7IV 434±10
아스테로페 1세 /əstɛrəpiː/ 황소자리 21 5.64 B8Ve 431.1±7.5
황소자리 18 5.66 B8V 444±7
스테로페 2세 /ˈstɛrəp/ 황소자리 22 6.41 B9V 431.1±7.5
HD 23753 5.44 B9Vn 420±10
HD 23923 6.16 B8V 374.04
HD 23853 6.59 B9.5V 398.73
HD 23410 6.88 A0V 395.82

나이와 미래의 진화

색상과 10,000년 후방 고유 운동을 가진 플레이아데스의 별들이 표시됩니다.

성단의 나이는 성단에 대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를 항성 진화의 이론적 모델과 비교하여 추정할 수 있습니다.이 기술을 사용하여, 플레이아데스인들의 나이는 7천 5백만 년에서 1억 5천만 년 사이로 추정되었습니다.추정 연령의 광범위한 확산은 항성 진화 모델의 불확실성의 결과이며, 여기에는 항성 내의 대류 영역이 그렇지 않으면 비대류 영역을 관통하여 더 높은 겉보기 연령을 초래하는 대류 오버슈트와 같은 요인이 포함됩니다.

성단의 나이를 추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가장 질량이 작은 천체를 보는 것입니다.일반적인 주계열성에서 리튬핵융합 반응으로 빠르게 파괴됩니다.그러나 갈색왜성은 리튬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리튬의 점화 온도가 2.5 × 106 K로 매우 낮기 때문에, 가장 질량이 큰 갈색왜성은 결국 그것을 태울 것이고, 따라서 성단에 여전히 리튬을 포함하고 있는 갈색왜성의 가장 큰 질량을 결정하는 것은 그 나이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이 기술을 플레이아데스에 적용하면 약 1억 1천 5백만 [64][65]년의 나이를 갖게 됩니다.

이 성단은 현재 오리온자리의 발 방향으로 천천히 움직이고 있습니다.대부분의 산개 성단처럼 플레이아데스 성단도 영원히 중력적으로 묶여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일부 구성 별들은 다른 별들과 가까이 접촉한 후에 방출될 것이고, 다른 별들은 조석 중력장에 의해 벗겨질 것입니다.계산에 따르면 이 성단은 거대한 분자 구름과 중력적 상호작용을 하고 우리 은하의 나선팔도 그것의 [66]소멸을 가속화하면서 흩어지기까지 약 2억 5천만 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반사 성운

메로페(IC 349) 근처 반사 성운의 허블 우주 망원경 이미지

더 큰 아마추어 망원경을 사용하면 특히 장시간 노출된 사진을 찍을 때 일부 별 주위의 성운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이상적인 관측 조건 하에서, 성단 주변의 성운의 일부 암시는 심지어 작은 망원경이나 평균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그것은 뜨겁고 젊은 별들의 푸른 빛을 반사하는 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 성운입니다.

이전에는 성단이 형성되면서 먼지가 남아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성단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약 1억 년의 나이에, 원래 존재했던 거의 모든 먼지가 복사압에 의해 분산되었을 것입니다.대신, 성단은 성간매질의 특별히 먼지가 많은 지역을 단순히 통과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성운의 원인이 되는 먼지는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고 주로 성단까지의 시선을 따라 두 개의 층에 집중되어 있습니다.이 층들은 먼지가 [67]별을 향해 이동하면서 복사압에 의한 감속에 의해 형성되었을 수 있습니다.

가능한 행성

스피처 우주 망원경과 제미니 북쪽 망원경으로 얻은 진적외선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천문학자들은 이 성단의 별들 중 하나인, 태양보다 약간 큰 질량과 광도를 가진 HD 23514가 엄청나게 많은 뜨거운 먼지 입자들로 둘러싸여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이것은 HD 23514 [68]주변에서 행성이 형성되었다는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비디오

갤럭시 맵 앱(iOS/Android)에서 플레이아데스 오픈 클러스터의 3D 모델

갤러리

참고 항목

레퍼런스

  1. ^ a b c d e f "Cl Melotte 22".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007-04-20.
  2. ^ a b c Van Leeuwen, F. (2009). "Parallaxes and proper motions for 20 open clusters as based on the new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497 (1): 209–242. arXiv:0902.1039. Bibcode:2009A&A...497..209V. doi:10.1051/0004-6361/200811382. S2CID 16420237.
  3. ^ a b c d Majaess, Daniel J.; Turner, David G.; Lane, David J.; Krajci, Tom (2011). "Deep Infrared ZAMS Fits to Benchmark Open Clusters Hosting delta Scuti Stars".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Jaavso). 39 (2): 219. arXiv:1102.1705. Bibcode:2011JAVSO..39..219M.
  4. ^ a b Percival, S. M.; Salaris, M.; Groenewegen, M. A. T. (2005). "The distance to the Pleiades. Main sequence fitting in the near infrared".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9 (3): 887–894. arXiv:astro-ph/0409362. Bibcode:2005A&A...429..887P. doi:10.1051/0004-6361:20041694. S2CID 14842664.
  5. ^ a b Zwahlen, N.; North, P.; Debernardi, Y.; Eyer, L.; et al. (2004). "A purely geometric distance to the binary star Atlas, a member of the Pleiad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Letters. 425 (3): L45. arXiv:astro-ph/0408430. Bibcode:2004A&A...425L..45Z. doi:10.1051/0004-6361:200400062. S2CID 37047575.
  6. ^ a b 메시에 45
  7. ^ "Pleiades". Merriam-Webster Dictionary.
  8. ^ "Pleiades".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 자격 필요)
  9. ^ "NGC 1432 (Maia Nebula) - HII Ionized region in Taurus TheSkyLive.com". theskylive.com. Retrieved 2022-12-10.
  10. ^ Gibson, S.J.; Nordsieck, K.H. (2003). "The Pleiades Reflection Nebula. II. Simple Model Constraints on Dust Properties and Scattering Geometry". The Astrophysical Journal. 589 (1): 362–377. Bibcode:2003ApJ...589..362G. doi:10.1086/374590.
  11. ^ White, Richard E.; Bally, John (May 1993). "Interstellar matter near the Pleiades. IV - The wake of the Pleiades through the interstellar medium in Taurus". The Astrophysical Journal. 409: 234. Bibcode:1993ApJ...409..234W. doi:10.1086/172658. eISSN 1538-4357. ISSN 0004-637X.
  12. ^ Kroupa, Pavel; Aarseth, Sverre; Hurley, Jarrod (2001). "The formation of a bound star cluster: From the Orion nebula cluster to the Pleiad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21 (4): 699–712. arXiv:astro-ph/0009470. Bibcode:2001MNRAS.321..699K. doi:10.1046/j.1365-8711.2001.04050.x. S2CID 11660522.
  13. ^ Gendler, Robert (2006). A Year in the Life of the Universe: A Seasonal Guide to Viewing the Cosmos. Voyageur Press. p. 54. ISBN 978-1610603409.
  14. ^ "Pleiades - Wiktionary". 5 August 2021.
  15. ^ "Pleiad".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2022-02-15.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 자격 필요)
  16. ^ Robin Hard (2020). The Routledge Handbook of Greek Mythology: Partially Based on H.J. Rose's A Handbook of Greek Mythology. Routledge. ISBN 978-1-138-65260-6.
  17. ^ Wilfred G. Lambert, (en) « The section An », in: 루이지 카니 (아쿠라디), 일빌링구이스모아 에블라, 아티델 컨벡뇨 간 나시오날레 (나폴리, 19-22 april 1982), 나폴리, 이스티투토 유니버시아리오 오리엔탈레, 디파르토 디아티멘토(1984), 396397.
  18. ^ Gérard Huet. "« Dictionnaire Héritage du Sanskrit », version 3.48[2023-07-01, s.v. « Kṛttikā »" (in French and Saraiki).
  19. ^ David Pingree & Morrissey, "인도 낙사트라의 요가타라스 식별에 관하여", 천문학 역사 저널, Vol. 20, N° 2/61 (1989년 6월), 100페이지
  20. ^ Roland Laffitte. "Série MUL.APIN (BM 86378)", Tab. I, iv, 31-39., on URANOS, the astronomical website of the Selefa" (PDF) (in French).
  21. ^ (en) André Le Bœfuffle, Les Noms lats d'astre déstellations, etd.파리: 레 벨레스 레터스, 1977, 120-124 페이지.
  22. ^ 아라비카의 찰스 펠라트, 딕톤스리메스, 에 젖은 맨션, 루나이어스 체즐레스 아라베스. 아랍이슬람 연구 저널, Vol. 2 (1955) 19페이지
  23. ^ Roland Laffitte, Esai de reconstruction du computantic, etéle comput des manazil al-qamarou 역, 레시엘 아라베스. 아포트 드 루라노그래피에 아라베, 파리: 가우스너, 2012, 페이지 42-43, 푸이스 51-60.
  24. ^ (de) Eduard Glaser, Die Sternkunder südarabischen Kabylen, Wien : auser Hof-und Staatsdruckeerei, (s.d.) [Ausdem XCL]밴더 시츠브, 데르케이스Akad. der Wissensch., II. Janner-Heft Jahrg.1885], 3-4페이지
  25. ^ "The Royal Australian Mint looks to the stars to honour Australian Indigenous stories". www.ramint.gov.au. 3 September 2020. Retrieved 31 December 2020.
  26. ^ 줄리앙 D'휴이, 유리 베레즈킨.최초의 인간은 별이 빛나는 밤을 어떻게 인식했을까요?플레이아데스 산맥에서.회고적 방법 네트워크 뉴스레터 2017, 페이지 100-122.https://halshs.archives-ouvertes.fr/halshs-01673386/document
  27. ^ Mintz, Malcolm W. (2021). "Monograph 1: The Philippines at the Turn of the Sixteenth Century". Intersections: Gender and Sexuality in Asia and the Pacific.
  28. ^ MacKinlay, William Egbert Wheeler (1905). A Handbook and Grammar of the Tagalog Languag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46.
  29. ^ Makemson, Maud. "Hawaiian Astronomical Concepts" (PDF). Hokulea.com. Retrieved 31 October 2018.
  30. ^ Dehkhoda, Ali Akbar. "Dehkhoda Dictionary". Parsi Wiki.
  31. ^ Allen, Richard Hinckley (1963) [1899].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 ed.). New York, NY: Dover Publications Inc. ISBN 978-0-486-21079-7.
  32. ^ Andrews, Munya (2004). The Seven Sisters of the Pleiades: 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Spinifex Press. pp. 149–152. ISBN 978-1876756451.
  33. ^ Kracht, Benjamin (2017). Kiowa Belief and Ritual.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pp. 63, 75, 139, 189. ISBN 978-1496201461.
  34. ^ 9:9, 잡 38:31, 아모스 5:8
  35. ^ James Hastings; John Alexander Selbie; Andrew Bruce Davidson; Samuel Rolles Driver; Henry Barclay Swete (1911). Dictionary of the Bible: Kir-Pleiades. Scribner. pp. 895–896.
  36. ^ "BBC - Science & Nature - Horizon - Secrets of the Star Disc". BBC. 2004. Retrieved 2008-03-25.
  37. ^ Jetsu, L.; Porceddu, S. (2015). "Shifting Milestones of Natural Sciences: The Ancient Egyptian Discovery of Algol's Period Confirmed". PLOS ONE. 10 (12): e.0144140 (23pp). arXiv:1601.06990. Bibcode:2015PLoSO..1044140J. doi:10.1371/journal.pone.0144140. PMC 4683080. PMID 26679699.
  38. ^ 헤시오도스, 일과 날, (618-23)
  39. ^ Theodossiou, E.; Manimanis, V. N.; Mantarakis, P.; Dimitrijevic, M. S. (2011). "Astronomy and Constellations in the Iliad and Odyssey". Journal of Astronomical History and Heritage. 14 (1): 22. Bibcode:2011JAHH...14...22T. doi:10.3724/SP.J.1440-2807.2011.01.02. ISSN 1440-2807. S2CID 129824469.
  40. ^ "The Geoponica (Agricultural Pursuits), page 6 (V.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12. Retrieved 2011-04-22.[데드링크]
  41. ^ Danielle Kira Adams (2018). Rain Stars Set, Lunar Stations Rise: Multivalent Textures of Pre-Islamic Arabian Astronomy and the Hegemonic Discourse of Order (PhD). University of Arizona. pp. 105–107.
  42. ^ Saqib Hussain, "수라트 알-나짐에서의 예언자의 비전", 국제 쿠란 연구 협회 저널, 5(2020): 97-132.
  43. ^ 제레미 블랙 & 앤서니 그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신들, 악마들과 상징들, 삽화 사전, 런던: 대영 박물관 출판부, 1992년, 페이지 162.
  44. ^ Andrews, Munya (2004). The Seven Sisters of the Pleiades: 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North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Spinifex Press. p. 293. ISBN 978-1-876756-45-1.
  45. ^ "The Subaru Telescope". web-japan.org. Retrieved 2010-09-22.
  46. ^ "Fuji Heavy Industries Changes Name to Subaru". automotive-fleet.com. Automotive Fleet Magazine. May 12, 2016. Retrieved 24 June 2016.
  47. ^ Michell J. (1767). "An Inquiry into the probable Parallax, and Magnitude, of the Fixed Stars, from the Quantity of Light which they afford us, and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ir Situa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57: 234–264. Bibcode:1767RSPT...57..234M. doi:10.1098/rstl.1767.0028.
  48. ^ Frommert, Hartmut (1998). "Messier Questions & Answers". Retrieved 2005-03-01.
  49. ^ 새로운 리뷰: 문학적 호기심과 문학적 지성으로 326페이지, 폴 헨리 마티, 저자를 위해 인쇄, 1783.
  50. ^ Mémoir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de l'Institut de France, 289페이지, 디도프레르, fils etcie, 1786.
  51. ^ Edme-Sébastien Jaurat, Carte des 64 Principales Etoiles des Playades par M. Jaurat, 1.er Janvier 1786을 소개합니다.
  52. ^ a b c Soderblom D. R.; Nelan E.; Benedict G. F.; McArthur B.; et al. (2005). "Confirmation of Errors in Hipparcos Parallaxes from Hubble Space Telescope Fine Guidance Sensor Astrometry of the Pleiades". Astronomical Journal. 129 (3): 1616–1624. arXiv:astro-ph/0412093. Bibcode:2005AJ....129.1616S. doi:10.1086/427860. S2CID 15354711.
  53. ^ Turner, D. G. (1979). "A reddening-free main sequence for the Pleiades cluster".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91: 642–647. Bibcode:1979PASP...91..642T. doi:10.1086/130556.
  54. ^ a b Pan, X. (2004). "A distance of 133-137 parsecs to the Pleiades star cluster". Nature. 427 (6972): 326–328. Bibcode:2004Natur.427..326P. doi:10.1038/nature02296. PMID 14737161. S2CID 4383850.
  55. ^ Francis C.; Anderson E. (2012). "XHIP II: clusters and associations". Astronomy Letters. 1203 (11): 4945. arXiv:1203.4945. Bibcode:2012AstL...38..681F. doi:10.1134/S1063773712110023. S2CID 119285733.
  56. ^ a b Melis, Carl, Reid, Mark J., Mioduszewski, Amy J., Stauffer, John R., et al. (2014년 8월 29일)."플레이아데스 거리 논란의 VLBI 해결"과학.345(6200): 1029–1032, arXiv: 1408.6544.비브코드:2014 Sci...345.1029 M. doi:10.1126/science.1256101.PMID 25170147.S2CID 34750246.지라르디, 레오 (2014년 8월 29일), "하나의 좋은 우주 척도", 사이언스, 345 (6200): 1001–1002, 비브코드: 2014 Sci... 345.1001G, doi: 10.1126/science.1258425, PMID 25170136, S2CID 5359091도 참조
  57. ^ a b Anthony G. A. Brown; GAIA Collaboration (2016), "Gaia Data Release 1. Summary of the astrometric, photometric, and survey properties" (PDF), Astronomy and Astrophysics (forthcoming article), 595: A2, arXiv:1609.04172, Bibcode:2016A&A...595A...2G, doi:10.1051/0004-6361/201629512, S2CID 1828208, retrieved 14 September 2016
  58. ^ a b Abramson, Guillermo (20 August 2018). "The Distance to the Pleiades According to Gaia DR2". Research Notes of the AAS. 2 (3): 150. Bibcode:2018RNAAS...2..150A. doi:10.3847/2515-5172/aada8b.
  59. ^ Van Leeuwen, Floor (1999). "HIPPARCOS distance calibrations for 9 open clus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41: L71. Bibcode:1999A&A...341L..71V.
  60. ^ a b Adams, Joseph D.; Stauffer, John R.; Monet, David G.; Skrutskie, Michael F.; et al. (2001). "The Mass and Structure of the Pleiades Star Cluster from 2MASS". Astronomical Journal. 121 (4): 2053–2064. arXiv:astro-ph/0101139. Bibcode:2001AJ....121.2053A. doi:10.1086/319965. S2CID 17994583.
  61. ^ Torres, Guillermo; Latham, David W.; Quinn, Samuel N. (2021). "Long-term Spectroscopic Survey of the Pleiades Cluster: The Binary Popul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921 (2): 117. arXiv:2107.10259. Bibcode:2021ApJ...921..117T. doi:10.3847/1538-4357/ac1585. S2CID 236171384.
  62. ^ Moraux, E.; Bouvier, J.; Stauffer, J. R.; Cuillandre, J.-C. (2003). "Brown in the Pleiades cluster: Clues to the substellar mass fun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00 (3): 891–902. arXiv:astro-ph/0212571. Bibcode:2003A&A...400..891M. doi:10.1051/0004-6361:20021903. S2CID 17613925.
  63.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64. ^ Basri, Gibor; Marcy, Geoffrey W.; Graham, James R. (1996). "Lithium in Brown Dwarf Candidates: The Mass and Age of the Faintest Pleiades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458: 600–609. Bibcode:1996ApJ...458..600B. doi:10.1086/176842.
  65. ^ Ushomirsky, G.; Matzner, C.; Brown, E.; Bildsten, L.; et al. (1998). "Light-Element Depletion in Contracting Brown Dwarfs and Pre-Main-Sequence Stars". Astrophysical Journal. 497 (1): 253–266. arXiv:astro-ph/9711099. Bibcode:1998ApJ...497..253U. doi:10.1086/305457. S2CID 14674869.
  66. ^ Converse, Joseph M. & Stahler, Steven W. (2010). "The dynamical evolution of the Pleiad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5 (1): 666–680. arXiv:1002.2229. Bibcode:2010MNRAS.405..666C. doi:10.1111/j.1365-2966.2010.16505.x. S2CID 54611261.
  67. ^ Gibson, Steven J.; Nordsieck, Kenneth H. (2003). "The Pleiades Reflection Nebula. II. Simple Model Constraints on Dust Properties and Scattering Geometry". Astrophysical Journal. 589 (1): 362–377. Bibcode:2003ApJ...589..362G. doi:10.1086/374590.
  68. ^ ScienceDaily (2007). "Planets Forming In Pleiades Star Cluster, Astronomers Report". Retrieved 2012-11-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