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두라이 미낙시사

Meenakshi Temple, Madurai
아룰미구 메낙시 순다레슈와라 사원
அருள்மிகு மீனாட்சி சுந்தரேசுவரர் திருக்கோயில்
Meenakshi temple gopura and water pool
종교
소속힌두교
마두라이
축제치티라이 쓰루비자, 나바라트리, 요람 축제, 아바니물람, 메낙시 티루칼랴남, 알라가르의 강낙하
통치기구힌두교 종교 자선 기부부
특징들
  • 템플 탱크: 포트라마라이 쿨람
위치
타밀나두
나라인도
Location of Meenakshi Temple
Location of Meenakshi Temple
타밀나두 내 표시
Location of Meenakshi Temple
Location of Meenakshi Temple
미낙시사, 마두라이(인도)
지리 좌표9°55′10.23″n 78°07′09.63″E / 9.9195083°N 78.1193417°E / 9.9195083; 78.1193417좌표: 9°55′10.23″N 78°07′09.63″E / 9.9195083°N 78.1193417°E / 9.9195083; 78.1193417[1]
건축
유형드라비디아 건축[2] Vijayanagara
비문마흔이 넘은
표고144m(472ft)
웹사이트
.maduraimeenakshi.org

아룰미구 메낙시 순다레쉬와라르 사원[3] 인도 타밀나두의 신전[5] 도시 마두라이에 있는 바이개 강[4] 남쪽 둑에 위치한 역사적인 힌두 사원이다. 파르바티의 한 형태인 미낙시 여신과 시바의 한 형태인 순다레슈와르 여신에게 바친다.[6][7] 이 절은 다밀 상암 문헌에 언급된 고대 사찰 도시 마두라이의 중심에 있으며, 6세기 CE 문헌에 언급된 여신 사원이 있다.[8] 이 사원은 파달 페트라 스탈람의 하나이다. 파달 페트라 스탈람(Paadal Petra sthalam)은 시바 영주의 275개의 신전으로, CE 6~9세기 타밀 사이바 나야나르스의 시에서 존경받고 있다.

사원의 서쪽 탑(고푸람)은 타밀나두 주 엠블럼이 디자인된 모델이다.[9][10]

개요

마두라이 메낙시 순다레스와라 사원은 쿨라세카라 판디야 왕(1190–1216 CE)에 의해 지어졌다. 그는 순다레스와라 신사의 입구에 3층짜리 고푸라의 주요 부분을 세웠으며, 미낙시 여신상의 중심 부분은 이 신전의 가장 오래된 일부분이다. 전통적인 문헌들은 그를 시인성왕이라고 부르고, 암비카이 말라이라는 시와 함께 본전 근처의 나타라자르와 수리아, 동쪽의 아이야나르, 남쪽의 비냐야가르, 서쪽의 카리아말페루말, 북쪽의 칼리에게 각각 사당(코일)을 더하여 그를 신봉한다. 그는 또한 마하만다팜을 만들었다. 쿨라세카라 판디야도 시인이었고 그는 암비카이 말라이라는 이름의 미낙시에 대한 시를 지었다.[11] 마라바르만 순다라 판디얀 1세는 1231년 당시 아바니벤다라만이라 불리던 고푸라를 지었고, 이후 재건, 증축, 순다라 판디야 시루코푸람(Sundara Pandya Tirukkkopura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1] 무탈라크쿰 바일이라고도 알려진 치트라 고푸람(W)은 마라바르만 순다라 판디얀 2세(1238-1251)가 지은 건물이다. 이 고푸람은 힌두교 문화의 세속적이고 종교적인 주제를 묘사한 프레스코와 구호물에서 따온 이름이다. 마라바르만 순다라 판디얀 2세도 순다레스와라 사당과 순다라 판디얀 만다팜에 약탈 복도를 추가했다.[11] 14세기 피해 이후 재건되었으며, 1595년 이후 쿠마라 크리슈나파르에 의해 화강암 구조가 개조되었다.[12] 사원은 역사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대부분의 캠퍼스 구조는 14세기 CE 이후 재건되었고, 17세기에 티루말라 나야카에 의해 더 수리, 개조, 확장되었다.[13][14] 14세기 초 무슬림 사령관 말리크 카푸르가 이끄는 델리 술탄국의 군대가 사원을 약탈하여 귀중품을 약탈하고 남인도의 많은 다른 사원 도시들과 함께 마두라이 사원 마을을 파괴하였다.[15][16][17] 현대 사원은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통치자들이 그 핵심을 재건하고 사원을 재개관한 것에 의해 시작된 재건 노력의 결과물이다.[15][18] 16세기에는 나약 통치자 비슈와나타 나야카르 등이 신전 단지를 더욱 확장하고 강화하였다. 복원된 이 단지는 현재 높이 45~50m에 이르는 14개의 고푸람(게이트웨이 타워)을 수용하고 있으며, 남쪽 고푸라의 높이는 51.9m(170ft)이다. 이 단지는 아이라크칼(1000필러홀), 킬리쿤두만다팜, 골루만다팜, 푸두만다팜 등 수많은 조형물들이 들어서 있다. 그 사당은 힌두교의 신과 샤이즘 학자들에게 바쳐지고 있는데, 메낙시와 순다레스바라(산텀)의 가르바그리하스(산텀) 위에 금으로 을 입힌 비마나들이 있다.[18][19][20]

이 절은 메이낙시 데비와 시바에게 바쳐진 샤이즘 전통 내 주요 순례지. 그러나 이 절에는 비슈누가 미낙시의 형으로 여겨져 많은 서사, 조각, 의식에 포함되어 있다.[21] 이로써 이 절과 마두라이는 바이슈나바 문자에 포함된 '남부의 마투라'로 되었다.[22][23] 메낙시 사원은 또한 라크슈미, 플루트 연주 크리슈나, 루크미니, 브라흐마, 사라스와티, 기타 베디치와 푸라닉 신들뿐만 아니라 힌두교 주요 문헌의 내러티브를 보여주는 예술작품도 포함하고 있다. 큰 사찰 단지는 마두라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로 하루 수만 명의 관람객이 찾는 곳이다.[24] 이 사원은 치티라이의 타밀월(북인도 차이트라 4~5월) 동안 매년 10일간 열리는 미낙시 티루칼랴남 축제 기간 동안 100만 명이 넘는 순례자와 방문객들을 끌어 모은다.[25] 사원은 스와흐 바랏 아비얀이 2017년 10월 1일자로 인도 최고의 '스와흐 상징적 장소'로 선정되었다.[26]

위치

절과 마두라이 시(주요 도로만 스케치했다.

미낙시 사원은 바이개 강에서 남쪽으로 약 1km 떨어진 역사적인 마두라이 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주 수도 첸나이에서 남서쪽으로 약 460km(290mi) 떨어져 있다.[27] 사찰단지는 주요 철도 분기점 인근 도로망(국도 38호선 4차로)과 공항(IATA: IXM)과 일상적 서비스가 잘 연결되어 있다. 사찰단지에서 방사되는 도시도로와 주요 순환도로는 도시의 동심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는 도시설계를 위한 실파사스트라 지침을 따르는 구조다.[13][28] 마두라이(Maduri)는 주(州)에 있는 여러 절의 마을 중 하나로, 특정한 종류의 나무나 관목과 주신을 보호하는 같은 종류의 나무나 관목이 지배하는 숲, 성단 또는 숲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지역은 카담바 숲으로 덮여 있어서 카담바남이라고 불린 것으로 여겨진다.[29]

마두라이 메낙시사 정문

어원

미낙시(산스크리트어: मीनाक,,,,, light. āāā,,,,,, tamil: னாா,,, lit, light. māācicicicici)는 미나("물고기")와 악시("eyes")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말이다.[30][31] 그녀는 일찍이 타밀이라는 이름인 타이다카이("생선의 눈")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 이름은 후에 미낙시로 불렸다.[32] 또 다른 이론에 따르면 여신이라는 이름은 타밀어 미엔(물고기)과 아치(물고기)에서 유래한 말 그대로 '물고기의 법칙'을 의미한다.[33][34] 그녀는 또한 타밀 이름 "앙가야르칸니" 또는 "안카야칸남마이"로 알려져 있다.[30][35]

Vishnu gives away his sister, the bride Parvati during her wedding to Shiva
비슈누(왼쪽)는 여동생과 신부의 미낙시의 손을 신랑 시바의 기다리는 손에 내민다. 그 절은 매년 축제 행렬로 이 전설을 기념한다.

레전설

미낙시 여신은 시바가 주신인 남인도 대부분의 시바 사원과 달리 신전의 주신이다.[5] 타밀 문자 티루빌라이야타르푸라남에서 발견된 전설에 따르면, 말라야드와자 판디야 왕과 그의 아내 칸차나마라이는 후계자로 아들을 찾는 야냐를 수행했다. 대신 불 속에서 딸이 태어나는데, 이미 세 살이고 젖가슴이 세 개다. 시바가 끼어들어 부모가 자신을 아들처럼 대해야 한다고 하고, 남편을 만나면 세 번째 젖가슴을 잃게 된다. 그들은 충고를 따른다. 소녀가 성장하여 왕이 그녀를 후계자로 왕관을 씌우고 시바를 만나면 그의 말이 실현되어 메낙시의 본 모습을 취하게 된다.[36][37] 하만에 따르면, 이것은 남인도의 모계 전통과 "열한[영혼적인] 권력은 여자와 함께 쉰다"는 지역적 믿음, 신들은 그들의 배우자의 말에 귀 기울이며, 왕국의 운명은 여자와 함께 쉰다는 지역적 믿음을 반영할지도 모른다.[36] 수잔 베일리에 따르면 미낙시에 대한 경외심은 힌두 여신 전통의 한 부분으로, 사회적 관계의 "여자는 제도의 린치핀"인 드라비디아 힌두 사회와 통합되어 있다.[38]

미낙시와 시바의 결혼은 모든 신과 여신, 생명체가 모인 가장 큰 사건이었다. 비슈누는 미낙시의 동생으로 추정된다. 비슈누는 결혼식에서 그녀를 시바에게 넘겨준다.

역사

창건 전설을 묘사한 사찰 벽화

마두라이 마을은 고대로 상암시대의 문헌에 언급되어 있다.[4] 이것들은 CE 1세기에서 4세기까지의 것으로 추정된다.[39] 초기 타밀 문자에서는 마두라이를 쿠달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문자들은 이를 수도와 절의 마을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 마을로 묘사하고 있다. 메낙시 여신은 시바와 함께 판디야 왕조와 같은 남방 타밀 왕국이 숭배했던 일차적인 신(神)이었던 신(神)[4]으로 묘사된다. 초기 문헌들은 6세기 중반까지 마두라이에 사원이 존재했다는 것을 암시한다.[28] 중세 문학이나 비문에서는 카담바남(빛. "카담바의 숲")이나 벨리암발람(빛. 시바가 춤을 추던 은빛 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학자들의 상암, 즉 학자들이 만나는 장소라고 묘사되었다. 타밀 문자 Tiruvilayadalpuraman과 산스크리트 문자 Halasya Mahatmya에 언급되어 있다.[40] 275 파아달 페트라 스탈람의 성당 중 하나이다.

초기 타밀 문헌에는 사찰과 그 제1신(祭神)을 다양한 비문과 이름으로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이바 철학의 유명한 힌두교 성인인 티루그나나삼반다르는 7세기에 이 신전을 언급했고, 그 신을 알라바이 이라이반이라고 묘사했다.[41] 이 사원의 기원은 초기 타밀 문헌에 언급되어 있는데, 일부 문헌은 지역적인 청라남 문학 장르에 속한다. 이 모든 것은 고대에 신전을 배치하고 전사여신을 포함하나 세부적인 내용이 크게 달라 서로 모순된다. 어떤 신들은 알라바이 아이라반과 알라바이 안날, 또는 안가야르 칸니 암마이라고 부른다. 어떤 사람들은 힌두교의 전설을 여신의 영장성을 선포하는 인드라 같은 다른 신들과 연결시키고, 어떤 사람들은 힌두교의 신들이 고대 왕이나 성자들 앞에 나타나서 부유한 상인들에게 여신을 기리기 위해 이 신전을 지으라고 촉구하는 것을 묘사한다. 한 전설은 자식이 없는 왕과 왕비가 아들을 위해 야냐를 공연하고, 왕국을 계승하고, 지구를 정복하고, 시바를 만나 궁극적으로 결혼하고, 마두라이로부터 계속 통치하며, 신전은 그 시기를 기념한다. 학자들은 이와 같이 일관성이 없는 아히스토리 신화 대신 마두라이 내외에서 발견된 비문으로부터 신전의 역사를 가려내는 것은 물론 남인도 왕조와 관련된 기록들을 비교하려고 시도했다. 이것들은 대체로 12세기 이후의 것이다.[18][42]

침략과 파괴

북쪽에서는 인도 아대륙이 델리 술탄국에 의해 정복된 상태였다. 이슬람 군대는 13세기 후반까지 약탈을 위해 인도 중부를 습격하기 시작했다. After subduing and extracting huge wealth along with promised annual tribute from the Marathi Yadavas of Devagiri in 1308, the Telugu Kakatiyas of Warangal in 1310 and the Kannada Hoysalas of Dwarasamudra in 1311, Sultan Ala ud Din Khalji's infamous eunuch Muslim general Malik Kafur and his Delhi Sultanate forces in 1311 went deeper into the Decca반도는 약탈을 위한 것이고 힌두 왕들에 의해 지불될 연례 헌사를 설립하기 위한 것이다.[43][44][45] 말리크 카푸르가 마두라이, 치담바람, 시리랑암, 비루드하찰람, 라메스와람 등 신성한 성전 마을을 급습했다는 델리 술탄국 궁정 역사가들이 남긴 기록은 금과 보석의 원천이었던 사원을 파괴했다. 그는 드워파사무드라 왕국과 판디야 왕국에서 1311년에 델리로 거대한 약탈품을 가져왔다.[46][47][48]

인도 건축학 교수이자 미술사학자인 조지 미첼은 14세기 이슬람 침공으로 타밀 힌두교 사원 마을의 후원을 갑자기 중단시켰다.[49] 타밀 힌두교도들은 이 마을들을 부활시켰지만 마두라이와 같은 곳에서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44] 정복과 파괴 후에, 델리 술탄 무함마드투글루크잘랄루딘 아산 칸이라는 이름의 마두라이에 이슬람 총독을 임명했는데, 그는 1335년 안에 델리 술탄국으로부터 분리되어 마두라이 술탄국을 시작했다. 술탄국가는 성전을 지지하는 대신 성전 마을들에게 조공을 구했고, 어떤 경우에는 성전을 심하게 훼손하고 지역 민중들에게 폭정을 가했다. 무슬림 마두라이 술탄국가는 비교적 수명이 짧았고, 북카 라야 산하의 힌두교 비야야나가르 제국이 1378년 CE에서 제거하였다.[49] 쿠마라 캄파나 지휘관의 부인인 강가데비에게 전해진 마두라 비자얌이라는 시적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그에게 칼을 주고, 마두라이를 해방시켜 광대한 잘못을 바로잡고, 메낙시 사원을 폐허에서 다시 열라고 권했다고 한다. 비야야나가라 통치자들이 성공하여 폐허를 제거하고 신전을 다시 열어 적극적인 예배를 드렸다.[50] 그들은 다른 많은 지역 사찰들과 함께 16세기에 걸쳐 사찰을 복원, 수리, 확장했다.[51]

리빌딩

생텀의 메낙시(1801 스케치)
1000필러 만다파(choultry)의 조각품들은 1895년경이다.

이 사원은 힌두교 나야카 왕조의 통치자 비슈와나타 나약에 의해 16, 17세기에 재건되었다. 수전 레반도프스키에 따르면, 나야카 통치자들은 신전 도시 계획과 미낙시 사원을 재설계하는데 있어서 실파 샤스트라스라고 불리는 힌두교의 건축 문헌을 따랐다. 레반도프스키 주(州)[52]는 메낙시-순다레스바라 신전에서 방사 거리가 최고조에 달하며, 주변은 동심원의 광장과 순환도로 형태로 도시를 배치했다. 이 거리들은 아디, 치트라이, 아바니 무올라, 마시 등과 같은 전통적인 타밀 힌두교의 달 이름을 사용한다. 이 달마다 힌두교도들은 같은 이름의 거리를 통해 신전 동전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전통을 시작했다.[52] 절과 도시는 다시 한 번 동쪽으로 향하여 떠오르는 수리아(태양의 신)를 맞이하였다.[52][note 1] 르완도프스키에 따르면 신전을 중심으로 다시 성전이 성장했는데, 왕족인 크샤트야스와 바이샤 상인들이 성전의 남동쪽에 살고 있었고, 성전과 가까운 특별 구역에 브라만족이 살고 있었으며, 다른 지역과 도시의 근교에는 다른 지역들이 살고 있었다.[53] 왕은 자신의 권위를 신과 연결하고 사회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절과 연결된 행렬 전통을 시작했다.[53] 이와는 대조적으로, Bayly에 따르면, 이 행렬은 전통적인 모계 사회 가치인 형제자매-자매-그랑 친족 관계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 전사여신 숭배 전통은 타밀 힌두교 전통에서 유래된 것으로, 베일리 주(州)는 14세기 전쟁 이후 극적으로 확대되었다.[38]

1560년 비슈와나타 나야카가 완성한 작품은 티루말라 나야카(1623–55년)의 치세에 현재의 구조로 실질적으로 확장되었다. 힌두교 왕인 티루말라 나야카는 사원 안에 많은 콤플렉스를 세우는 데 상당한 관심을 가졌다. 그의 주요 공헌은 바산타 만다팜(봄 축제)과 킬리쿤두 만다팜(앵무새의 도리)을 기념한 바산타 만다팜이다. 사원 탱크와 메나치 나야카르 만다팜의 복도는 라니 망가말(Rani Mangamal)이 지었다. 일부 구조 변경에 대한 시도는 나야카 왕조의 총리인 아리야나타 무달리아르의 감독 하에 있었다.[54]

식민지 시대에는 메낙시 사원 주변의 인구가 포르투갈을 비롯한 유럽 각지의 경쟁 선교사들을 필두로 기독교 선교 활동의 중심지를 끌어들였다.[55] 영국 통치자들은 먼저 신전에 헌납했고 영국군은 사회 정치적인 인정을 받기 위해 신전 축제에 참가했다. 예를 들어 클라이브 경은 스링가파탐으로부터 동인도회사가 약탈한 보석을 기증했으나 1820년에 그들은 사원 후원자로서의 역할과 사원 축제에 참여하는 것을 그만두었다.[53][56] 선교사들은 사원의 예술작품을 조롱하고 사원의 관행을 비판하면서 '로마 브라만족' '북방산냐시스[sic]'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세례를 받은 후 절의 후원을 계속하는 사람들로 선교 활동은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선교사들은 타밀족이 '누군가가 기독교인 아내를 원한다'고 하면 세례를 주거나, 질병이 있을 때 의료원조를, 가난하면 물질원조를 해주기 때문에 '약속은 하되 전환은 하지 않고 있다'고 반문했다.[57][58]

나야카스 종식, 마드라스 대통령직의 시작, 식민지 영국인들의 지원 철수가후 사원 상태는 악화되었다. 1959년 타밀 힌두교도들은 기술자, 힌두 수도원, 역사학자, 그리고 다른 학자들과 협의하여 기부금을 모으기 시작했고 복원 작업을 시작했다. 완성된 복구는 1995년에 쿰바비히셰캄과 함께 기념되었다.[59] 이 절은 17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미나크시(Minaksi)로,[40] 마두라(Madura)로 표기되기도 한다.

절은 시바릴라스(시바의 스포츠)라고 부르는 전통적 역사판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64편이 절벽을 둘러싼 벽화로 그려져 있다. 이것들은 마두라이와 신전의 많은 파괴를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그 파괴의 재와 폐허로부터 그 부활을 매번 보여준다.[60]

나다르의 사원 출입구

1895년 11월, 카무티나다르족은 람나드 M 휘하의 메낙시 순다라스와라 사원에 청원하였다. 바스카라 세쓰파티의 라즈 신탁통치, 의식의 잔치 허락. 그들의 청원은 받아들여졌지만, 그것은 나다르가 신전에 들어가지 않고 행해져야 한다. 람나드의 라자 휘하의 광대한 땅의 계승자이자 고 무투라마링가 테바의 할아버지였던 벨라사미 테바르에 의해 반 나다르 연합이 탄생했다. 그는 나다족이 그들의 자유를 주장하지 못하도록 금지했다. 그는 마라바르 협회의 충성을 명령하고 모든 계급의 구별을 주장했다.[61][62][63]

1897년 5월 에룰라파 나다르 가문 소속의 15명의 나다르 일행이 카무디 신전에 들어가 주신에게 직접 푸자를 행했다. 마라바르 족과 람나드 자민다르 M. 바스카라 세쓰파티 족은 이에 반대하여 에룰라파 나다르 족의 15명이 사원을 오염시켰다고 주장하며, 정화 의식을 위해 for 2500원의 지불을 요구했다. 법원은 1899년 7월 20일 피고인이나 그 지역 사회의 어떤 구성원도 사찰의 어느 부분에든 들어갈 권리가 없다고 판결했다. 절에서 필요한 제례 정화 의식을 위해 피고인들에게 500루피 정도의 금액을 지불하라는 명령을 내렸다.[62][63]

나다르족은 마두라이의 부하 판사의 판결에 불만을 품은 채 마두라이 고등법원에 항소했고, 공동체 구성원들로부터 모금된 4만2천원의 기금을 가지고 있었다. 그 판결은 나다르족에게 불리하게 되었고, 그들은 런던 추밀원에 호소했다. 추밀원은 1908년 고등법원의 판결을 들어 마두라이 부판사의 결정을 승인했다. 마두라이 군수는 추밀원의 카무디 사원 진입 사건에 대한 결정이 또 다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공권력의 체류를 연임할 것을 제안했다.[62][63]

1923년 이후

이 사원은 타밀나두 정부힌두교 자선 기부부에서 관리하고 있다.[64]

설명

aerial image of a temple campus
북쪽을 바라보고 있는 남쪽 고푸람 정상에서 바라본 영내의 모습.
1911년 스케치당 사찰 계획(변경사항을 반영하지 않음)

사원 단지는 마두라이 옛 도시의 중심이다. 그것은 높은 석조 벽으로 강화된 각 층의 동심원 외피 안에 있는 기념물로 구성되어 있다. 외벽에는 네 개의 솟은 출입구가 있어 사방팔방에서 신자와 순례자들이 단지로 들어갈 수 있다. 14세기 도시가 파괴된 후, 타밀 전통은 비슈완타 나야카 왕이 실파 샤스트라스(산스크리트: śilpa śstra)에 규정된 원칙에 따라 사원과 그 주변의 마두라이 시를 재건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 도시 계획은 사찰에서 뻗어 나온 거리들이 있는 동심원의 광장에 바탕을 두고 있다.[13] 초기의 타밀 문자에는 이 절이 도시의 중심이었고 거리는 연꽃과 꽃잎처럼 뻗어 나갔다고 적혀 있다. 사찰 프라카람과 거리에는 절의 단지를 둘러볼 수 있는 정교한 축제 달력이 마련되어 있다. 공정에 사용되는 차량은 중앙에서 더 멀리 이동할수록 점점 더 거대해진다.[65]

사찰 단지는 약 14에이커(5.7ha)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28][66] 안뜰은 각 면이 약 800피트인 정사각형에 가깝지만, 한 면이 약 50피트 더 긴 사각형이다. 단지에는 수많은 사당과 만다파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하고 가장 큰 사당은 가장 안뜰에 있는 두 개의 평행 사당으로, 하나는 메낙시(계획상의 B)이고 다른 하나는 순다레슈바라(A)이다. 또한 이 단지는 순례자들이 목욕할 수 있는 금빛 연꽃 신성한 풀장(L), 넓은 조형물(Q), 갈랴나 만다파 또는 예식장, 힌두신앙을 위한 작은 사당, 상암(학당) 역사학자, 종교학교, 행정사무실, 코끼리 등을 갖추고 있다. 창고,[66] 정기적인 절차에 사용되는 병거를 보관하기 위한 창고와 같은 장비 창고 및 일부 정원 그 절은 상업 중심지와 전통 시장 안에 자리잡고 있다.[28][66]

홀리 레이놀즈에 따르면, 구시가지뿐 아니라 사원 계획의 면밀한 검토는 그것이 대칭과 로키의 원리에 기초하여 배열된 우주 도표인 만다라임을 암시한다.[67]

사찰단지는 14세기 폐사 후 폐사하여 폐허가 된 약 60년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역사에서 살아 있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절은 근대에 들어서도 계속 진화해 왔다. 예를 들어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사찰단지가 옛 도시의 또 다른 강화된 성벽의 층 안에 있었다. 영국인들은 19세기 초에 이 요새를 파괴했다. 사찰 단지의 존속 계획은 절 주변의 동심원 광장으로 정의되는 구시가지 안에 그것을 배치한다.[68]

벽들

고대 사찰 단지가 열려 있었다. 안뜰 벽은 시간이 흐르면서 침입과 사찰 단지의 약탈에 대응하여 추가되었다. 텍스트 시루파니말라이에 따르면, 비야야나가라 지휘관 쿠마라 캄파나가 마두라이 정복을 마친 후 14세기에 기존의 구조물을 재건하고 사원 주변에 방어벽을 쌓았다. 라카나 나야카르는 최초의 프라카라(쿠르티아드) 주변의 방어벽을 추가했고, 15세기 중반쯤 마하만다파와 메낙시 사당을 확장·개축했다.[18][42]

16세기 말 카르나타카 북부의 이슬람 데칸 술탄 연합에 의해 힌두교 비야야나가라 제국이 멸망한 후, 마두라이 지역은 주권을 선언했다. 그 후 비스바나타 나약(Visvanatha Nayak)은 신전 단지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면서 신전 단지를 집중 요새화하기 위해 자원을 쏟아 부었다. 나야카 통치자는 또한 제1신당의 비마나에 금을 입혔다. 체티아파 나야카르는 산나디 고푸람 앞에 드바라팔라 만다팜을 재건하고, 메나크시 데비의 사당 주변에 있는 두 번째 방호벽인 황금연꽃 탱크의 북쪽 대장을 재건했다.[18][42]

미낙시사에는 14개의 형형색색의 고푸라가 있다. 이것들은 다양한 사당과 만다파로 통하는 관문이다.
서쪽 탑에서 바라본 절경
사원의 서쪽 탑

고푸람스

미낙시사의 사당은 벽으로 둘러싸인 세 개의 외벽 안에 내장되어 있으며, 각각 네 개의 관문이 있는데, 바깥쪽 탑은 점점 커지고, 그 내측 탑까지 올라간다. 이 절에는 14개의 고푸람이 있는데, 그 중 가장 높은 남쪽 탑은 170피트(52m) 이상 솟아 있으며, 16세기 후반에 재건되었다. 가장 오래된 고푸람마라바르만 순다라 판디얀이 1216-1238년에[69] 지은 동쪽 건물(I on plane)이다. 각 고푸람은 밝은 색조로 그려진 조각으로 덮인 다층 구조물이다. 외측 고푸람은 높은 피라미드형 탑으로, 내측 고푸람은 규모가 작아 각종 사당의 출입구 역할을 한다.[37][70]

사찰단지는 9층짜리 고뿌람(외, 라자), 7층짜리 고뿌람(치티라이), 5층짜리 고뿌람 5개, 3층짜리 2개, 1층짜리 금도금 산텀탑 2개 등이다.[71] 이 다섯 개 중 세 개는 미낙시 사당인 순다레쉬바라 사당으로 통하는 문이다. 탑들은 돌로 뒤덮여 있는데, 그들 중 일부는 신의 형상이고 다른 일부는 힌두교 신화, 성도 또는 학자들의 형상이다. 각 층의 각 그룹 또는 패널 세트는 지역 또는 범힌두 전설의 에피소드를 제시한다. 외벽에만 4개의 가장 높은 고푸람은 거의 4,000개의 신화적인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71][42]

미낙시 사찰 단지의 주요 고푸람은 다음과 같다.[18][42]

  • 순다레스와라 신궁 입구에 있는 3층짜리 고푸라의 일부와 미낙시 여신의 중심부는 이 신전의 가장 오래된 일부분이다. 이들은 쿨라세카라 판디야 왕(1190-1216CE)에 의해 건설되었다. 전통적인 문헌들은 그를 시인성왕이라고 부르고, 암비카이 말라이라는 시와 함께 본전 근처의 나타라자르와 수리아, 동쪽의 아이야나르, 남쪽의 비냐야가르, 서쪽의 카리아말페루말, 북쪽의 칼리에게 각각 사당(코일)을 더하여 그를 신봉한다. 그는 또한 마하만다팜을 만들었다. 쿨라세카라 판디야도 시인이었고 그는 암비카이 말라이라는 이름의 미낙시에 대한 시를 지었다.[11]
  • 마라바르만 순다라 판디얀 1세는 1231년 당시 아바니벤다라만이라 불리던 고푸라를 지었고, 이후 재건, 증축, 순다라 판디야 시루코푸람(Sundara Pandya Tirukkkopura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1]
  • 무탈라크쿰 바일이라고도 알려진 치트라 고푸람(W)은 마라바르만 순다라 판디얀 2세(1238-1251)가 지은 건물이다. 이 고푸람은 힌두교 문화의 세속적이고 종교적인 주제를 묘사한 프레스코와 구호물에서 따온 이름이다. 마라바르만 순다라 판디안 2세도 순다레스와라 사당, 순다라 판디얀 만다팜에 약탈 복도를 추가했다.[11] 14세기 피해 이후 재건되었으며, 1595년 이후 쿠마라 크리슈나파르에 의해 화강암 구조가 개조되었다.[12]
  • Vembaturara Ananda Nambi는 1227년에 3단 고뿌람의 초기 버전을 만들었다. 다른 고푸람과 마찬가지로 이 역시 14세기에 파괴되어 후에 재건되었다. 이 고푸람은 미낙시 사당과 킬리쿠투 만다팜 사이에 있다. 어떤 비문에서는 그것을 펨바투라 고푸람이라고 부른다.[11]
남쪽 고푸람은 가장 높고 곡선미가 있다(위: 내측 및 외측). 이 다채로운 조각들은 힌두교 문헌의 전설적인 장면들을 묘사하고 있다.
  • 순다레슈와라 사당 동쪽의 고푸람은 5층이다. 비야야나가라 통치자들이 약 50년 동안 폐허가 되어 휴면 상태에 있다가 사원 단지를 재개관한 후 바수바판에 의해 약 1372년에 완성되었다. 순다레슈와라 사당 서쪽의 고푸람도 5층이며, 1374년경 말라판에 의해 완공되었다.[72]
  • 성문 기초에 새겨진 비문을 보면 1530년경 비스바파 나야카르가 제2 프라카라에 나야카 고푸람을 세웠으며 팔라하이 고푸람은 말라판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지었다. 두 고푸람은 비슷한 스타일과 건축물을 가지고 있는데, 아마도 같은 예술가들의 공동작업 그룹에 의해 지어졌을 것이다.[72]
  • 메낙시의 사당에 있는 카다카 고푸람은 16세기 중반쯤 툼피치 나야카르가 지은 것이지만, 문헌마다 날짜가 다르다. 그것은 5층으로 되어 있고, 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불명확한 이유로 1963년까지 문을 닫았다. 이 고푸라는 1963년 보수 공사가 끝난 후 다시 문을 열었다.
  • 나두카투 고푸람 또는 이다이카투 고푸람이라고도 불리는 가네샤 신사(무크쿠루니 비냐야카르) 부근의 고푸람은 시라마라이 세반티무르티 쳇 가문이 지었다. 메낙시와 순다레스와라르 신궁 사이에 있어 나두카투라고 불린다. 또 아디 거리의 북쪽 구획에 있는 5층짜리 탑인 이다바쿠리 고푸람을 재건하고 보수하였다.[72]
  • 가장 높은 탑인 남부 고푸라 9층짜리 이 고푸라 역시 티루치라팔리 근처에 살았던 부유한 힌두교도인 시라마라이 세반티무르티 가문이 지었다. 그것은 16세기 후반에 완성되었다. 고푸람은 힌두교 문헌, 특히 푸라나에서 전해지는 전설들을 판넬에 1,500개 이상의 신화적 등장인물을 가진 광범위한 예술작품으로 유명하다.[72]
  • 모타이 고푸람(점등. "발트" 관문)은 북라야 고푸람이라고도 불리는 크리슈나파 나야카르에 의해 시작되었다(이것은 계획에 없는, 밑바닥 가장자리 아래에 있다). 그것은 아마라바티 푸루르 바이나가람 체티야르 가에 의해 1878년에 완성되었다. 거의 3세기 동안 모타이 고푸람은 지붕 구조가 없고, 단순하며, 다른 주요 출입구보다 석고상 이미지가 적어 비교적 대머리 모양과 지역 이름이 붙여졌다. 19세기에 완성되기 전에 돌과 벽돌로 만들어진 고푸람은 더 적은 수의 석고상을 가지고 있었다.[73]

사당

golden roof of a shrine
황금빛 비마나는 성당 위에 있다.
A sculpture in the pilgrim pillared hall
천 필의 홀에서 알라피니긴나리 비나를 연주하는 여인의 조각품

미낙시 사원은 대부분의 사이바 사원과 마찬가지로 미낙시 여신(파르바티, 데비, 암만)과 순다레스바라 신(시바, 데바, 쿠바미)을 위한 두 개의 별당이 있다.[74] 둘 다 동쪽을 향해 열려 있다. 풀러씨는 데비 신사는 남쪽(B)에 있는 반면 데바 신사는 북쪽(A)에 더 중앙에 위치하여 여신상을 프라다나 머티 또는 단지 내 "더 중요한" 우측에 배치한다고 말한다.[74]

여신 사당은 굽은 자세로 서 있는 메낙시의 초록색 석상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치켜든 손은 연꽃을 들고 있는데, 그 위에 초록색 앵무새가 앉아 있다. 그녀의 왼손은 옆에 매달려 있다. 이 이미지는 정사각형 모양의 가르바 그리야(중앙 생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이미지의 사본은 금속으로 만들어 사찰 단지에 보관되어 있다. 금속판은 축제 행렬에 사용된다.[74] 아이콘그래피 측면에서 미낙시의 뚜렷한 특징은 오른손에 앵무새가 있다는 점이다. 앵무새는 일반적으로 바이슈나바 아즈화르 성인 안달과 관련이 있다.[75] 순다레스와라 사당은 네모난 평면 생텀에 돌로 된 링가가 있고, 이 아니콘은 돌 코브라 후드 아래에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 북동쪽 구석에는 그의 동료의 또 다른 석상이 있다. 이 중 어느 것도 축제 행렬 동안 여행하지 않는다. 오히려 순다레스와라는 의인화된 소마스칸다 이미지의 형태로 표현된다.[74] 콕카르라고 불리는 시바의 또 다른 금속 상징 이미지가 있는데, 이것은 금속 걸상에 양각된 발에 불과하다. 이 상징물은 하루 종일 순다레스와라 생텀 근처에 보관되어 있다가 매일 저녁 미낙시의 방으로 팔라키로 운반되어 두 사람이 상징적으로 하룻밤을 함께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아침에 사원 자원봉사자들이 신성한 부부를 깨우고 상징적인 코카르 이미지는 다시 순다레스와라 생텀으로 옮겨진다.[74]

순다레스와라르[note 2] 사당은 단지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입구는 동쪽 고푸람과 일직선이다. 미낙시를 위한 사당은 비록 신학적으로 더 중요하지만 더 작다. 미낙시와 순다레스와라 사당에는 모두 금도금된 비마남(생텀 위의 탑)이 있다. 금빛 꼭대기는 서쪽의 아주 먼 거리에서 두 개의 연속된 탑의 구멍을 통해 볼 수 있다. 메나시 신사에서 나오는 길목에 있는 순다레스와라르 사당 밖에 있는 단석을 조각한 가네쉬의 높은 조각품을 무쿠루니 비냐야카르라고 부른다. 3쿠리니(한 척) 크기의 큰 쌀이 큰 희생의[77] 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가네쉬를 무크루니 비냐이가르(무크루니 비냐이가르)라고 부른다.[69]

쿠마라 캄파나는 "서루파니말라이"에 의하면 보석을 기증하고 14세기 두 신사의 일일 운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했다고 한다.[42] 난질나두에서 신전의 우상을 숨겨왔던 타밀 힌두교도들은 그들을 다시 데려와 마두라이 술탄국 통치하에서 신전이 폐쇄되었던 거의 50년 시대를 마감하는 것을 재검증했다. 사찰 비문에는 비자야나가라 통치자들이 16세기에 걸쳐 사찰에서 예배를 드리고 금을 기증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라카나 나야카르는 15세기 중반에 여신과 신이 상징적으로 함께 밤을 보낼 수 있도록 팔리아라이(침실)를 지었다. 나타라자 사당도 15세기에 아룰랄란 세바하데반 바나티라이얀이 추가되었는데, 그는 또한 티루발라바우다이야르 사당을 보수하였다.[18][42]

이 절에는 제2마당 북서쪽 구석에 무루간과 같은 다른 사당이 있다. 크리슈나파 나야카르 2세에 의해 건설되었다.[12] 미낙시 사당과 순다레스와라르 사당 사이의 길에는 코끼리 머리를 갖게 된 전설을 반영하여, 현지에서 무쿠루니 비냐야카르라고 불리는 큰 주먹밥을 가진 키가 크고 획일적인 가네샤 조각상이 조각되어 있다.[71][42]

사원 탱크 및 주변 포트티코

비야야나가라 통치자들의 지방 총독이었던 나야카족은 사원 단지를 확장했다. 1516년 살루바나라사나 나야카는 순례자들이 담그기 위해 신성한 수영장을 추가하여 에스후카달(7해상, 삽타사하람)이라고 명명하였다.[18][42] 체티아파 나야카르는 산나디 고푸람 앞에 드바라팔라 만다팜과 황금연꽃 탱크의 북쪽 대장을 재건했다.[78]

사원 풀장에 있는 황금빛 연꽃.

성전 탱크의 이름은 Portamarai Kulam이다. 아디 테르담, 시바강가, 우타하마 테르담이라고도 한다. 수영장의 크기는 가로 165피트(50m), 세로 120피트(37m)이다.[79] 수영장 벽에는 프레스코화가 칠해져 있었다. 나약 시대의 17, 18세기 그림 중 극히 일부만이 남아 있고, 탱크 서쪽에 있는 작은 포르티코에서 그러한 부분이 발견된다. 비자야랑아 초카나타와 라니 망가말이 참석한 순다레스와라르와 므엔카시의 결혼을 그린다. 이 그림은 선명한 붉은 바탕에 섬세한 검은색 선 작업과 흰색, 녹색, 오크레 등의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천상 부부는 꽃나무를 배경으로 한 건축틀 안에 앉아 있다.[80]

6필로 된 작은 그네 만다팜(운잘)은 이 시기 체벤티 무르티 쳇티가 지은 것으로, 현재 금요제를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1985년에 조성된 전체 사찰 단지의 모형도 소장하고 있다.[78]

홀스

사찰 단지에는 수세기 동안 왕과 부유한 후원자들이 지은 만다파(기둥홀)가 많이 있다. 그들은 순례자들이 쉴 수 있는 장소인 초롱초롱이다. 이러한 만다파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18][81]

메인 만다팜

  • 친나파 나야카르는 1526년 제2마당 북동쪽에 100필의 만다파 나야카 만다팜을 건설했다. 이 만다파는 나타라자 동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왼쪽 다리 대신 오른쪽 다리를 댄스 무드라에 올려놓고 유명한 나타라자 동상을 소장하고 있다.[69][82]
이곳은 바이슈나비즘과 샤크티즘의 신과 서사적 교리를 포함하는 샤이즘 전통 사원이다. 위: 미낙시 사원의 크리슈나 조각품(1801년 소장)
  • 이 시기에는 체벤티 무르티 쳇티가 6필로 만든 작은 그네 만다팜(운잘, 우온잘)이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금요일 제사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미낙시와 순다레스와라의 이미지는 매주 금요일 저녁 그네에 올려져 휘둘러진다. 사당에는 3층짜리 고푸람과 두 개의 드바라팔라(가디언)가 나란히 있고, 연꽃무늬가 새겨진 금색 직사각형의 기둥들이 받쳐져 있다. 방 둘레를 따라 신성한 부부의 화강암 판넬이 놓여 있다. 그 홀은 사찰 탱크의 서쪽 둑에 있다. 이 만다팜에는 1985년 조성된 사찰 단지 전체의 모형도 담겨 있다.
  • 캄바타디 만다팜(H)은 크리슈나 비라파 나야카르(1572~1595)에 의해 건설되었다. This choultry hall is known for intricately carved sculptures and eight Shiva forms: Ardanarishwara (half Parvati, half Shiva), Rudra (angry Shiva), Bhikshadanamurti (Shiva as a monk), Dakshinamurti (Shiva as yoga teacher, guru), Lingobhava (Shiva emerging out of a linga), Ekapathamurti, Rishaba, Somaskanda (Shiva, Parvati and Skanda), Chandraseka라, 나타라자(춤추는 시바), 소마순다라.[73]
  • 아슈타 샤크티 만다팜("8명의 여신들의 전당", O on Plan)은 두 여왕에 의해 지어졌다.[83] 이 홀은 방문객들을 위한 정문과 미낙시 신사탑으로 이어지는 작은 고푸람 사이의 동고푸람 근처의 홀이다.[84] 이 구절은 기둥에 새겨진 8가지 형태의 샤크티 여신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쿠마리, 루드리, 바이슈나비, 마하락슈미, 야그나루피니, 샤말라, 마에스와리, 마논마니.[83] 이것들은 힌두교의 모든 주요 전통의 여성적이고 힘있는 측면을 반영한다. 다른 조각과 그림들은 티루빌라야달(시바의 성스러운 게임)을 묘사한다. 마하바라타의 영웅인 판차판다바 조각상판차판다바 만다팜(판다바 홀)에서 볼 수 있다. 이 홀에는 4개의 시바 학자들의 조각상과 인디언들이 영국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독립 투쟁을 하던 1923년에 추가된 마하트마 간디의 조각상이 있다.[83]
미낙시 사원의 약탈 홀 중 하나.
  • 산길리만다팜(E)이라고도 불리는 킬리쿤두만다팜은 미낙시 사당 근처에 있다. 킬리콘두라는 단어는 '파롯 케이지'를 의미하며, 과거에 이곳에 보관되어 있던 앵무새들은 '메낙시'라고 말하도록 훈련되었다. 이 약탈된 홀은 1623년 무투 베라파 나야카르에 의해 완공되었다. 우리들은 나중에 제거되었다.[85] 현대에는 여학생들이 곡예와 긴 밧줄이 천장에 매달린 채 쇠사슬을 형성하는 일종의 막춤인 '콜라탐춤'을 추는 것이 상길리(상길리)라고 불리는 이유다. 이 춤들은 힌두교 축제일을 기념한다.[85] 킬리쿤두 만다팜은 힌두교의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인물 조각으로 유명하다. 기둥에 얄리 조형물도 있는데, 그 안에는 입안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돌덩이가 새겨져 있다.[85]
  • 난디(성스러운 황소)가 앉아 있는 캄바타디 만다팜("사원 나무의 전당")에는 시바의 다양한 형상이 새겨져 있으며 유명한 "메낙시 결혼" 조각도 들어 있다.[69] 이곳의 다른 조각품들로는 댄스 경연대회의 시바와 칼리, 황금 깃발 지팡이, 시다르로서의 두르가 등이 있다.[69]
  • 비라 바산타 라야 만다팜(R)은 1000필라 만다팜 남쪽에 있으며, 1611년 무투 베라파 나야카르 1세에 의해 완성되었다.[12] 주 순다레스바라 생텀을 마주보고 있는 난디가 들어 있다. 이 홀의 남쪽에는 칼랴나 만다팜, 즉 예식장이 있다. 매년 4월경 치티라이 축제 기간 중 시바와 파르바티의 결혼을 축하하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 바산타 만다팜(계획의 밑바닥)이라고도 불리는 푸두만다팜은 17세기에 티루말라이 나약에 의해 완성되었다. 현재 성벽이 있는 단지 밖, 동쪽 탑 앞에 있다. 미완성된 동부 고푸람으로 이어진다. 124개의 기둥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 시바, 칼리, 나타라자, 수리아, 찬드라와의 미낙시의 결혼식 조각이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이 만다팜에서는 사탕수수 줄기를 먹는 코끼리 같은 흔한 생활 장면이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