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 바사이티

Marco Basaiti
제베디 아들들의 부름, 1510

마르코 바사이티 (1470년–1530년)는 주로 베네치아에서 작업한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였고 조반니 벨리니와 치마콘글리아노[1]동시대 화가였다.그는 Marco Baxaiti, Marcus Basitus, Marcus Baxitus를 포함한 여러 이름으로 언급되어 왔다.(바사리는 마르코 바사리니와 마르코 바사이티가 두 명의 예술가라고 믿었지만, 나중에 나온 정보에 따르면 이 두 사람은 사실 같은 화가였다.)[2][3]마르코 바사이티에 대한 기록은 그의 그림 서명과 1530년 길드의 장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4]

그의 작품은 주로 초상화이며 종종 종교적인 주제에 초점을 [4][5]맞추고 있다.마르코 바사이티가 신화적 [2]주제를 가지고 그린 것으로 알려진 그림은 없다.비록 콰트로센토 스타일로 훈련되었지만, 바사이티의 경력은 신케센토 스타일의 시작부터 시작되었고,[4] 그는 그의 스타일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려고 시도해야만 했다.

개인 생활, 훈련 및 영향력

마르코 바사이티는 [6]1470년경 베니스나 [6][9]프리울리에서 태어났다[7][8].바사리[6][7][9][13][16][17][18]보고한 바와 같이 그의 가족은 알바니아계이거나[10][11][12][13][14][15] 어쩌면 그리스계일 수도 있다.어느 경우든 그리스와 알바니아 공동체, 그리고 다른 외국 공동체들은 대부분 혼자만 있고 베네치아 [19]기록에 자주 나오지 않기 때문에 바사이티가 알려진 다양한 이름들을 설명해준다.1526년의 유언장은 그의 가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지만, 바사이티와 이 유언장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2][4]되고 있다.이러한 문서 부족 때문에, 학자들이 그의 [4]예술을 통해 바사이티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 외에는 바사이티의 삶에 대해 알려진 것이 많지 않다.

1503년 알비세 비바리니와 마르코 바사이티의 제단 작품

바사이티의 초기 작품들은 바르톨로메오의 스타일과 구성을 반영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바사이티가 바르톨로메오 비바리니와 함께 훈련했다는 증거가 있다.1490년대 후반에 바르톨로메오가 죽은 후, 바사이티는 바르톨로메오의 조카 알비세 비바리니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고 생각된다.이것은 1505년 알비세가 사망했을 때 바사이티가 바사이티라는 제단 작품을 완성하도록 의뢰받았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 앰브로스는 알비세가 완성하지 못한 채 성자들과 함께 왕좌에 올랐다.보통 스튜디오에서 일하는 주요 조수들만 이런 종류의 일을 하도록 요구받았을 것이고, 이는 바사이티가 이때까지 알비세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또한, 바사이티의 작품은 비바리니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바사이티와 이 두 [4]거장의 연관성을 더욱 암시한다.

바사이티는 이 시대에 살았던 다양한 위대한 예술가들의 영향을 받았다.예를 들어, 그는 조반니 [20][1]벨리니로부터 영감을 받아 그의 배경에 더 광범위한 풍경을 포함시키기 시작했다.사실, 벨리니의 오래된 작품들 중 일부는 오랫동안 [4]바사이티에게 잘못 귀속되었다.바사이티의 복잡한 배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은 네덜란드 화가들의 작품입니다.구체적으로, 알브레히트 뒤러가 베니스에 머문 후, 바사이티의 화풍은 그림 속 인물에 대한 강조가 적은 보다 복잡하고 극적인 풍경으로 다소 옮겨갔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스타일은 죽은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에 대한 애도에서도 볼 수 있다. 황야[2]제롬.후자는 마르코 바사이티의 삶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예술적 영향을 보여주는 치마 다 코넬리아노의 그림을 베낀 것으로 생각된다.대부분의 경우 바사이티는 종교적 주제에 초점을 맞췄고 신화나 역사적 주제를 [5][4]파고드는 일은 거의 없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스타일은 복잡한 구성과 정확한 [2]비율과 상당히 동시대적인 것처럼 보인다.

초기(1495~1510)

청년의 초상화, 1495

바사이티의 알려진 작품들 중 절반 이상이 그의 그림 경력 중 이 첫 시기에서 나온 것이다.이 시기는 그의 훈련 직후로 바사이티가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기 위해 그의 예술로 실험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스타일로 특징지어진다.[4]시대는 독립화가로서의 첫 완성을 나타내는 청년의 초상화(1495)로 특징지어진다.

문체적으로 그의 그림 구성에는 두 명의 제안 멘토로부터 강한 영향이 있으며, 특히 바르톨로메오는 그의 인물 디자인에 영향을 끼쳤다.앤토넬리언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강한 기하학적 형태와 조명의 뚜렷한 대비입니다.게다가, 그가 제안한 거장들의 스타일에 따라, 바사이티의 그림들은 종종 밝은 색상의 옷과 시원한 피부색을 특징으로 한다.사실, 바사이티의 초기 작품들은 자코포 다 발렌자와 같은 알비세의 확립된 제자들과 매우 유사하며, 이것은 바사이티와 [4]알비세 사이의 연관성을 더욱 확인시켜준다.

청년의 초상화, 1505년

1500년경, Antonellian 학파의 영향은 덜 뚜렷해진다.바사이티의 배경은 조반니 벨리니와 북부 [1][2]예술가들의 영향을 보여주면서 더욱 발전되었다.이러한 발전은 그의 첫 번째 젊은이의 초상화(1495)와 달리 뒷모습이 완전히 벗겨지고 풍경이 더욱 중요해진 그림에서 볼 수 있다.더 복잡한 풍경 구성을 개발하는 것 외에도,[4] 바사이티는 1500년 이후 공간 일관성에 더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좀 더 표현적인 풍경으로의 이러한 변화는 1505-1506년 동안 알브레히트 뒤러가 베니스에 머물렀던 것과 동시에 일어났다.바사이티가 채택한 산수풍은 [2]벨리니의 영향보다는 네덜란드 회화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바사이티가 알비세와 벨리니의 스타일을 계속 섞으면서 그의 그림은 치마 다 콘글리아노에 필적하게 되었다.하지만 바사이티는 시마 이후 이런 혼합된 스타일에 도달했고 그는 결코 [4]같은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중기(1510~1520)

정원의 고민, 1510년-1516년

이 시기는 바사이티 회화의 문체적으로 가장 결속력이 높은 시기다.바사이티에게는 번영한 10년이었고, 산트안드레아 델라 세르토사의 높은 제단, [2][4]제베디의 아들들의 부름과 같은 몇 개의 큰 위원회를 포함했습니다.특히 이 작품은 그의 성숙한 시기의 시작을 의미하며 바사리와 그 이후의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그의 최고의 작품 [4]중 하나로 여겨진다.지금까지 그의 주요 예술적 노력이었던 초상화와 달리, '제베디의 아들들의 소명'은 보다 복잡한 구도를 필요로 하는 서사화이며, 세밀하고 넓은 풍경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바사이티는 나중에 이야기 그림을 그리려고 노력했지만, 이 첫 작품만큼 성공한 작품은 없었다.

그리스도의 부활, 1520년

바사이티가 서술적인 작품들을 다룬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예는 그리스도의 고통이다.이것은 산 지오베에 있는 포스카리의 제단으로서 큰 커미션을 나타낸다.이 제단화는 조반니 벨리니의 작품과 비슷한 다음 작품으로, 바사이티의 그림에서 벨리니의 영향을 [4]받은 것이 분명하다.

이후 이 시기 동안 바사이티의 회화는 복잡한 서사화가 너무 어려워지면서 한 자릿수 그림으로 돌아갔다.부활한 그리스도와 축복받은 구세주에게서 보듯이, 바사이티의 이전 성공의 많은 측면들이 남아있지만, 이 그림에는 오직 한 명의 주요 인물만이 등장한다.

풍경화의 활용을 강조하면서 배경은 그림 전체에 더 잘 녹아들었지만 벨리니와 네덜란드 화가의 영향력은 여전하다.바사이티의 스타일이 발전함에 따라, 그의 그림 속의 빛은 더 부드러워졌고 그림의 구성 요소들은 더 유동적으로 [4]혼합되었다.점차 부드러운 선으로 바뀌고 자연광에 중점을 둔 것이 이 시대의 유행 스타일이었다.바사이티가 훈련을 받은 콰트로센토 스타일은 인기가 떨어지고 있었고, 특히 그의 후기 [1][4]작품에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는 그의 시도를 볼 수 있다.

후기(1520~1530)

탄식, 1527년

이것은 바사이티의 마지막 시기였고 1530년 이후의 그림은 없다.바사이티는 1530년 화가 길드의 원장에 등장하지만 이 원장 이후 그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그는 10년 초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현재 추정에 따르면 사망 당시 60세 정도 되었을 겁니다그의 그림 경력의 마지막 10년 동안, 그의 구성은 약간 더 발전되었고 현대 스타일에 더 잘 어울리게 되었지만, 여전히 콰트로센토 스타일에 큰 영향을 받았다.이 시기 동안 그는 주로 초상화에 초점을 맞췄는데,[4] 이것은 그가 자신의 화풍을 시대에 가장 잘 적응시킬 수 있는 분야였다.풍경화의 존재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그의 그림에서 풍경화의 중요성은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에 대한 한 가지 예외는 Basaiti의 이야기 장면 구성 능력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그림 The Abantation이다. 애통곡은 바사이티의 삶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쳤고 보다 유기적인 조명과 [4]형태를 향한 그의 발전을 보여준다.

어떤 사람들은 바사이티를 초기 르네상스 시대의 마지막 거장 중 하나라고 부르고 그의 작품은 세련된 콰트로센토 스타일을 보여준다.하지만,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은 여전히 [4]그 당시 베네치아 회화의 트렌드에 한 발짝 뒤쳐진 것으로 여겨진다.

작동하다

현재 바사이티의 [1][4]것으로 알려진 작품들은 약 30여 점이 있다.

귀속일 페인팅 위치 유형
1495–1500 청년의[21] 초상화 런던 국립미술관 오일 온 패널
1496–1505 처녀와[22] 아이 런던 국립미술관 오일 온 패널
1500 신사[23] 초상화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 RISD 박물관 오일 온 패널
1500 알렉산드리아의[24] 성녀 캐서린 부다페스트, 세프뮈페제티 무제움 오일 온 패널
1500–1501 성 제임스 대제와[25] 성녀 필라델피아 미술관 오일 온 패널
1500–1505 도게 아고스티노 바르바리고[26] 초상화 부다페스트, 세프뮈페제티 무제움 오일 온 패널
1500–1510 성 키아라와 성[27] 프란시스와 마돈나와 아이 카라라 학회 오일 온 패널
1500–1510 모자를[28] 쓴 남자의 초상화 코레르 박물관, 베니스 Tempera 온 패널
1501–1502 기증자가[29] 있는 마돈나와 아이 위치를 알 수 없음 Tempera 온 패널
1503 [30] 암브로스의 제단 조각 프라리 대성당 오일 온 패널
1505 청년의[31] 초상화 개인 컬렉션 오일 온 패널
1508 디포지션[32] 알테 피나코텍, 바이어리스케 슈타츠겔데삼문겐 오일 온 패널
1508 성녀와 아이[33] 케임브리지 대학교 피츠윌리엄 박물관 Tempera 온 패널
1510 제베디의[34] 아들들의 부름 베니스, 갤러리아 델 아카데미아 오일 온 패널
1510 데드[35] 크라이스트 부다페스트, 세프뮈페제티 무제움 오일 온 패널
1510 마돈나와 아이[36] 조지아 미술관, 아테네 조지아 오일 온 패널
1510–1516 정원에서 기도하는 그리스도 (정원에서 기도하는 아고니)[37] 베니스, 갤러리아 델아카데미아 오일 온 패널
1515–1516 모자를[38] 쓴 신사 초상화 카라라 학회 오일 온 패널
1517 축복받은[39] 구원자 카라라 학회 오일 온 패널
1518–1519 성 요한 세례자와 성 자유주의자와[40] 마돈나와 아이 무제움 팔라쿠 크롤라 야나 3세 w 윌라노위, 바르샤바 오일 온 패널
1520 아이를[41] 사랑하는 마돈나 워싱턴 국립미술관 오일 온 패널
1520 그리스도의 부활[42] 아카데미아 카라라 캔버스에 유화
1521 검은 옷을 입은[43] 신사 초상화 카라라 학회 오일 온 패널
1527 탄식[44] 국립 에르미타주 박물관, 상트페테르부르크 캔버스에 유화
웹 사이트에 날짜가 없습니다. 성모[45] 마리아 수장 옥스퍼드 대학교 애쉬몰리언 미술관 오일 온 패널
날짜 없음 죽은[46] 그리스도의 탄식 보스턴 미술관 오일 온 패널
날짜 없음 [47] 베드로와 사대부 산피에트로 디 카스텔로 캔버스에 유화
날짜 없음 세바스찬[48] 베네치아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트 캔버스에 유화
날짜 없음 산지롤라모[49] 코레르 박물관, 베니스 오일 온 패널
날짜 없음 두 천사 사이의 죽은 그리스도 베니스, 갤러리아 델아카데미아 오일 온 패널
날짜 없음 참회의 성 제롬 스트라스부르[50] 박물관 오일 온 패널

테이블은 날짜별로 정렬되며 날짜 범위가 있는 테이블은 가장 이른 예상 날짜를 기준으로 정렬됩니다.날짜가 정해지지 않은 사람들은 마지막에 이름을 올렸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마르코 바사이티'ArtFortune.com 를 참조해 주세요.2017년 3월 3일
  2. ^ a b c d e f g h 마우로 루코"바사이티, 마르코"그로브 아트 온라인옥스퍼드 아트 온라인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웹. 2017년 4월 4일.<http://www.oxfordartonline.com/subscriber/article/grove/art/T006679>.
  3. ^ "바사이티, 마르코"베네짓 예술가 사전옥스퍼드 아트 온라인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웹. 2017년 4월 25일.<http://www.oxfordartonline.com/subscriber/article/benezit/B00013063>.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보나리오, 버나드마르코 바사이티: 베네치아 화가의 연구 그의 작품 목록. 1974년.미시간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ProQuest 논문과 논문 글로벌.
  5. ^ a b "Marco Basaiti". Rijksbureau V. Kunsthistorische Documentatie. Retrieved 4 April 2017.
  6. ^ a b c Shaw, James Byam (1976). Drawings by old masters at Christ Church, Oxford. Clarendon Press. p. 193. OCLC 2633502. Marco Basaiti who was indeed born of Greek parents, in Friuli, c. 1470 and was a follower of Giovanni Bellini
  7. ^ a b Vasari, Giorgio (1963). The lives of the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Dent. p. 141. OCLC 175078002. Marco Basaiti, born in Venice of Greek parents
  8. ^ Ansell, Florence Jean (2008). The Art of the Munich Galleries. READ BOOKS. p. 229. ISBN 978-1-4437-5543-6. Of a somewhat later date and severer style was Marco Basaiti, who was born of Greek parents in Venice, and who was a pupil and assistant of Luigi Vivarini and later Giovanni Bellini, whose influence in the softness of his later works can be easily traced.
  9. ^ a b Rose, Hugh James (2008). A New General Biographical Dictionary, Volume III. BiblioBazaar. p. 293. ISBN 978-0-559-38853-8. BASAITI, (Marco del Friuli,) an Italian painter, a native of Friuli, whence his designation. He was born of Greek parents, and flourished about 1510
  10. ^ Babinger, Franz (1962). "L'origine albanese del pittore Marco Basaiti (ca. 1470 - ca. 1530)". Atti. Istituto Veneto di Scienze, Lettere ed Arti, Classe di Scienze Morali e Lettere. CXX: 497–500.
  11. ^ Fabio Maniago (conte di.); Caterina Furlan (1999). Storia delle belle arti friulane. Fondazione Cassa di Risparmio di Udine e Pordenone. p. 18. Veneziano di probabile origine albanese
  12. ^ Pacini (1976). Problemi di morfosintassi dialettale. Centro di studio per la dialettologia italiana. p. 6. L'opinione di F. Babinger (*) secondo cui il pittore veneziano Marco Basaiti, il quale operò intorno agli anni 1500-1530, fosse di origine albanese, a mio avviso trova conferma nel fatto che Bazaiti appare ancor oggi come nome di famiglia nella città di Delvina
  13. ^ a b Preyer, David Charles (2008). The Art of the Vienna Galleries. BiblioBazaar. p. 39. ISBN 978-0-559-69564-3. Trained in the same school was the Greek Marco Basaiti, from whom we find a smaller replica of the artist's large painting which is now in the Academy at Venice
  14. ^ "Bulletin of the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google.al. 1913.
  15. ^ Ferid Hudhri (2003). Albania Through Art. Onufri. p. 15. ISBN 978-99927-53-67-5. [The Albanian exiled community] set up there their own school, which they called “Scuola degli Albanesi” (School of the Albanians). Their textbooks were the works of the Albanian Humanists: Marin Beçikemi (1468-1528) and Marin Barleti (1460-1512). The most renowned painters were Marco Basaiti (1496-1530) and Viktor Karpaçi (1465-1525). Some international academics have referred to them and their Albanian descent.
  16. ^ Waters, Clara Erskine Clement (1881). Painters, Sculptors, Architects, Engravers, and Their Works. Houghton, Mifflin and Co. p. 75. OCLC 227712073. Basaiti, Marco. It is not known whether this artist was born at Friuli or Venice. He was of Greek parentage. Flourished from 1496 to 1520.
  17. ^ Fernau, Joachim (1959). The Praeger encyclopedia of old masters. F.A. Praeger. p. 27. OCLC 444975. BARTOLOMMEO VENETO (See VENETO) BASAITI Though of Greek parentage Marco
  18. ^ Sturgis, Russell (2008). Manual of the Jarves Collection of Early Italian Pictures. BiblioBazaar. p. 71. ISBN 978-0-554-70267-4. Marco Basaiti, or Baxaiti, born at Venice of a Greek family ... His works are delicate in finish and exquisite in color.
  19. ^ Krén, Emily; Marx, Daniel. "Biography- BASAITI, Marco". Web Gallery of Art.
  20. ^ "Giovanni Bellini Style and Technique". Artble. Retrieved 2017-10-03.
  21. ^ "Portrait of a Young Man". The National Gallery.
  22. ^ "The Virgin and the Child". The National Gallery.
  23. ^ "Portrait of a Gentleman". RISD Museum.
  24. ^ "Saint Catherine of Alexandria". The Museum of Fine Art, Budapest.
  25. ^ "Virgin and Child, with Saint James the Great". Philadelphia Museum of Art.
  26. ^ "Portrait of Doge Agostino Barbarigo". Museum of Fine Arts, Budapest.
  27. ^ "Madonna col Bambino e i santi Chiara e Francesco d'Assisi". Academia Carrara.
  28. ^ "File 2338". Fondazione Musei Civici Venezia.
  29. ^ "Madonna and Child with a Donor by Marco Basaiti". Find the Data, Graphic IQ.[영구 데드링크]
  30. ^ "Altarpiece of St Ambrose". Web Gallery of Art.
  31. ^ "Past Auction, Portrait of a Young Man, Marco Basaiti". Artnet.
  32. ^ "The Deposition". The Athenaeum.
  33. ^ "Virgin and Child with Saints". The Fitzwilliams Museum.
  34. ^ "Calling of the Sons of Zebedee". Web Gallery of Art.
  35. ^ "Dead Christ". Museum of Fine Arts, Budapest.
  36. ^ "From the collection". Georgia Museum of Art.
  37. ^ "Christ Praying in the Garden". Web Gallery of Art.
  38. ^ "Ritratto di gentiluomo con pelliccia". Academia Carrara.
  39. ^ "Redentore benedicente". Academia Carrara.
  40. ^ "Madonna and Child with St. John the Baptist and St. Liberalis". WikiCommons.
  41. ^ "Marco Basaiti- Madonna Adoring the Child". Artsy.
  42. ^ "Resurrezione di Cristo". Academia Carrara.
  43. ^ "Ritratto di gentiluomo in nero". Academia Carrara.
  44. ^ "Lamentation-Marco Basaiti". State Hermitage Museum. 7 June 2021.
  45. ^ "Paintings Collection: Marco Basaiti, Head of the Virgin". Ashmolean Museum of Art and Archaeology -University of Oxford.
  46. ^ "The Lamentation of the Dead Christ". Museum of Fine Arts Boston.
  47. ^ "St. Peter Enthroned and Four Saints". Web Gallery of Art.
  48. ^ "St. Sebastian". Web Gallery of Art.
  49. ^ "File 2355". Fondazione Musei Civici Venezia.
  50. ^ "Saint Jérôme pénitent". Base Joconde. Retrieved 12 January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