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로피노솜

Macropinosome

마크로피노솜세포 구획의 일종으로, 마크로피노사이토증의 결과로 형성된다.

포메이션

마크로피노솜은 파동 같은 메커니즘이나[1] 텐트 폴 형성을[2]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는데, 이 두 과정 모두 마크로피노솜으로 다시 붕괴하기 전에 세포 표면에서 솟아오르는 액틴이 풍부한 구조물의 신속한 중합이 필요하다.

함수

마크로피노솜은 주로 세포외액에서 용액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3][4]일단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마크로피노솜은 내포성 경로를 통해 진행되면서 Rab7의 발현을 증가시켜, 마크로피노좀의 내용물이 저하되는 리소솜과 융합하는 것이 특징인 성숙 과정을 거친다.[5]

규정

PI3K인산화인산화인산화효소 C 활성화는 섬유블라스트 내 마크로피노좀 형성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6]SNX 계열의 멤버들도 마크로피노좀 형성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7]반대로, 순환형 AMP는 마크로피노좀으로부터의 재귀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병원생식에 있어서의 역할

마크로피노사이토증의 과정은 특이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병원균들이 마크로피노솜을 이용하여 대상 세포를 감염시킨다.이렇게 해서 마크로피노솜에 내재된 병원균은 세포질 속으로 더 깊이 이동할 때 혈장막, 세포질 혼잡, 피질 세포골격 등이 내포하는 장벽과 장애물을 피한다.[1]파괴적인 에볼라 바이러스의 원인인 에볼라 바이러스가 한 예인데, 에볼라 바이러스는 표적 세포 표면에 결합하면 마크로피노좀 형성을 자극한다.[9]pox바이러스 계열의 하나인 pacinia virus(VACV) 바이러스도 감염세포 진입에 마크로피노사이토시스(macropinocytosis)를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여기서 VACV, 성숙한 처녀자리(MV) 및 감싼 처녀자리(EV)의 두 감염 형태는 세포 표면에 결합하여 그들 자신의 마크로피노사이온을 유도하고, 결국 마크로피노좀 내부에 부착된 처녀자리들을 봉인하는 플라즈마 막 위로 다시 붕괴되어 그 다음, 마투라트를 거치게 된다.코어 활성화와 게놈 방출로 이어지는 이온 프로그램.[1][10]장내 출혈성 대장균생산하는 시가독소가 마크로피노사이토증을 통해 대상 세포에 유입돼 위장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이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진 다른 병원균은 카포시의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12]살모넬라균이다.[13]

참조

  1. ^ a b c Mercer, Jason; Helenius, Ari (2009). "Virus entry by macropinocytosis". Nature Cell Biology. 11 (5): 510–520. doi:10.1038/ncb0509-510. ISSN 1465-7392. PMID 19404330. S2CID 205286378.
  2. ^ Condon, Nicholas D.; Heddleston, John M.; Chew, Teng-Leong; Luo, Lin; McPherson, Peter S.; Ioannou, Maria S.; Hodgson, Louis; Stow, Jennifer L.; Wall, Adam A. (2018-08-27). "Macropinosome formation by tent pole ruffling in macrophages". J Cell Biol. 217 (11): 3873–3885. doi:10.1083/jcb.201804137. ISSN 0021-9525. PMC 6219714. PMID 30150290.
  3. ^ Racoosin, E. L.; Swanson, J. A. (1992). "M-CSF-induced macropinocytosis increases solute endocytosis but not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in mouse macrophages". Journal of Cell Science. 102 (4): 867–880. doi:10.1242/jcs.102.4.867. PMID 1429898.
  4. ^ Hacker, U.; Albrecht, R.; Maniak, M. (1997). "Fluid-phase uptake by macropinocytosis in Dictyostelium". Journal of Cell Science. 110 (2): 105–112. doi:10.1242/jcs.110.2.105. PMID 9044041.
  5. ^ Racoosin, E. L.; Swanson, J. A. (1993). "Macropinosome maturation and fusion with tubular lysosomes in macrophages".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21 (5): 1011–1020. doi:10.1083/jcb.121.5.1011. PMC 2119679. PMID 8099075.
  6. ^ Amyere, M.; Payrastre, B.; Krause, U.; Van Der Smissen, P.; Veithen, A.; Courtoy, P. J. (2000). "Constitutive Macropinocytosis in Oncogene-transformed Fibroblasts Depends on Sequential Permanent Activat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 and Phospholipase C".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11 (10): 3453–3467. doi:10.1091/mbc.11.10.3453. PMC 15006. PMID 11029048.
  7. ^ Wang, J. T. H.; Kerr, M. C.; Karunaratne, S.; Jeanes, A.; Yap, A. S.; Teasdale, R. D. (2010). Caplan, Steve H. (ed.). "The SNX-PX-BAR Family in Macropinocytosis: The Regulation of Macropinosome Formation by SNX-PX-BAR Proteins". PLOS ONE. 5 (10): e13763. Bibcode:2010PLoSO...513763W. doi:10.1371/journal.pone.0013763. PMC 2966440. PMID 21048941.
  8. ^ Veithen, A.; Amyere, M.; Van Der Smissen, P.; Cupers, P.; Courtoy, P. J. (1998). "Regulation of macropinocytosis in v-Src-transformed fibroblasts: Cyclic AMP selectively promotes regurgitation of macropinosomes". Journal of Cell Science. 111 (16): 2329–2335. doi:10.1242/jcs.111.16.2329. PMID 9683628.
  9. ^ Saeed, M. F.; Kolokoltsov, A. A.; Albrecht, T.; Davey, R. A. (2010). Basler, Christopher F. (ed.). "Cellular Entry of Ebola Virus Involves Uptake by a Macropinocytosis-Like Mechanism and Subsequent Trafficking through Early and Late Endosomes". PLOS Pathogens. 6 (9): e1001110. doi:10.1371/journal.ppat.1001110. PMC 2940741. PMID 20862315.
  10. ^ Rizopoulos Z, Balistreri G, Kilcher S, Martin CK, Syedbasha M, Helenius A, Mercer J. Pepperinia 바이러스 감염은 마크로피노솜의 성숙을 요구한다.교통. 2015년 8월 16일(8):814-31. 도이: 10.111/tra.12290.Epub 2015년 5월 6일. PMID: 25869659; PMCID: PMC4973667.
  11. ^ Lukyanenko, V.; Malyukova, I.; Hubbard, A.; Delannoy, M.; Boedeker, E.; Zhu, C.; Cebotaru, L.; Kovbasnjuk, O. (2011).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stimulates Shiga toxin 1 macropinocytosis and transcytosis across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JP: Cell Physiology. 301 (5): C1140–C1149. doi:10.1152/ajpcell.00036.2011. PMC 3213915. PMID 21832249.
  12. ^ Valiya Veettil, M.; Sadagopan, S.; Kerur, N.; Chakraborty, S.; Chandran, B. (2010). Früh, Klaus (ed.). "Interaction of c-Cbl with Myosin IIA Regulates Bleb Associated Macropinocytosis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PLOS Pathogens. 6 (12): e1001238. doi:10.1371/journal.ppat.1001238. PMC 3009604. PMID 21203488.
  13. ^ Kerr, M. C.; Wang, J. T. H.; Castro, N. A.; Hamilton, N. A.; Town, L.; Brown, D. L.; Meunier, F. A.; Brown, N. F.; Stow, J. L.; Teasdale, R. D. (2010). "Inhibition of the PtdIns(5) kinase PIKfyve disrupts intracellular replication of Salmonella". The EMBO Journal. 29 (8): 1331–1347. doi:10.1038/emboj.2010.28. PMC 2868569. PMID 20300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