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protected with pending changes

달 착륙선

Lunar lander
CSM-107 컬럼비아에서 본 아폴로모듈-5 이글

달 착륙선 또는 달 착륙선은 달 표면에 착륙하도록 설계된 우주선이다.2021년 현재 아폴로 착륙선미국 아폴로 계획 기간인 1969년부터 1972년까지 6번의 달 착륙을 완료하면서 인류 우주 비행에 사용된 유일한 달 착륙선이다.

이러한 착륙선에 대한 설계 요건은 페이로드, 비행 속도, 추진 요건 및 구성 제약조건에 의해 부과되는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다른 중요한 설계 요인으로는 전반적인 에너지 요건, 임무 기간, 달 표면에서의 임무 운영 유형, 승무원일 경우 생명 유지 시스템이 포함된다.상대적으로 높은 중력과 달 대기의 부족은 에어로브레이킹의 사용을 부정하기 때문에 착륙선은 감속 및 연착륙을 위해 추진력을 사용해야 한다.

몇몇 연구는 달 자원의 활용으로 절정에 이를 지속적인 달 표면 탐사를 통해 과학과 기술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거나, 또는 태양계의 다른 행성에 탑재물을 착륙시키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다.[2]

역사

루나 프로그램은 1958년부터 1976년까지 소련이 비행한 로봇 임팩터, 플라이비, 궤도, 착륙선 등의 시리즈였다.루나 9호는 11번의 시도 끝에 1966년 2월 3일 달에 연착륙한 최초의 우주선이다.3대의 루나 우주선은 1972년부터 1976년까지 달 토양 샘플을 지구로 돌려보냈다.다른 두 개의 루나 우주선은 1970년과 1973년에 루노크호드 로봇 달 탐사선을 연착륙시켰다.루나는 27번의 시도 중 총 7번의 연착륙에 성공했다.

미국의 평가관 프로그램은 1966년 6월 2일에 처음으로 연착륙한 평가관 1호 프로그램을 실시했으며, 1968년 1월 10일까지 총 7번의 시도 끝에 4건의 연착륙에 성공했다.

아폴로착륙선미국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선이었다.2021년 현재 인류 우주 비행에 사용된 유일한 달 착륙선으로 1969년부터 1972년까지 6번의 달 착륙을 완료했다.

LK 달 모듈은 소련이 몇몇 소련 승무원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한 달 착륙선이었다.낮은 지구 궤도에서 몇 개의 LK 달 모듈이 승무원 없이 비행되었지만, 달 비행에 필요한 N1 로켓 발사 차량의 개발이 차질을 빚었고(몇 번의 발사 실패를 포함), 미국에 의해 최초의 유인 달 착륙을 달성한 후 소련은 달까지 비행하지 않았다.N1 로켓과 LK 달 모듈 프로그램을 더 이상 개발하지 않고 모두 중단시켰다.

제안 착륙선

개발 중인 인간 착륙선

2021년 4월 16일, NASA우주선 HLS를 이용하여 우주로 가는 미개척 승무원 임무를 위해 스페이스X와 28억 9천만 달러의 확정 가격 계약을 발표했다.[4]

달 착륙 특유의 도전

태양계 몸체에 착륙하는 것은 그 몸 특유의 도전과 함께 온다.은 소행성이나 혜성과 다른 행성 위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력이 높으며, 대기 중은 크지 않다.현실적으로 현재의 기술로 충분한 추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하강과 착륙의 유일한 방법은 화학 로켓에 기초하고 있다는 뜻이다.[5]게다가, 달은 긴 태양절을 가지고 있다.착륙선들은 한번에 2주 이상 직사광선을 쬐고, 그리고 나서 2주 동안 완전히 어둠에 잠길 것이다.이는 열 제어에 상당한 문제를 일으킨다.[6]

대기 부족

2019년 현재, 우주 탐사선은 화성, 금성, 토성의 달 타이탄 등 에어로브레이킹이 가능할 정도로 두꺼운 표면과 대기를 가진 지구를 제외한 세 가지 물체에 모두 착륙했다.이러한 탐침은 그들이 착륙한 몸의 대기를 이용하여 낙하산을 이용해 하강 속도를 늦출 수 있었고, 그들이 운반해야 하는 연료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이것은 차례로 주어진 양의 연료에 대해 더 큰 적재물을 이 몸체에 착륙시킬 수 있게 했다.예를 들어 900kg짜리 큐리오시티 탐사선은 화성 대기권 진입 당시 질량이 2400kg인 우주선에 의해 화성에 착륙했는데,[7] 이 중 연료는 390kg에 불과했다.이에 비해 훨씬 가벼운 (292 kg) 조사관 3호는 1967년에 거의 700 kg의 연료를 사용하여 달에 착륙했다.[8]그러나 대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달 착륙선에 열 차폐막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달 착륙선을 설계할 때 공기역학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고중력

비록 지구보다 훨씬 적은 중력을 가지고 있지만, 달은 충분히 높은 중력을 가지고 있어서 하강 속도가 상당히 느려져야 한다.이는 '착륙'을 '도킹'이라고 부르는 소행성과는 대조적인데, 이 소행성은 급강하 속도를 늦추는 것보다 랑데부하고 속도를 맞추는 문제가 더 많다.

로켓은 하강과 착륙에 사용되기 때문에 달의 중력은 소행성 착륙에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한다.실제로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을 위한 중심 설계 제약 중 하나는 달 착륙과 이륙에 필요한 질량(더 많은 질량이 착륙에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이었다.[9]

열환경

달 열환경은 달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기온은 약 -250~120°C(-418.0~248.0°F) 사이에서 변동할 수 있다(낮부터 낮까지).이러한 극한은 각각 14일 동안 발생하므로 열 제어 시스템은 장기간 극한 또는 열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10]대부분의 우주선 기기는 -40~50°C(-40~122°F)[11]의 훨씬 엄격한 범위 내에 보관해야 하며, 인간의 편안함은 20~24°C(68~75°F)의 범위를 필요로 한다.이는 착륙선이 계기 또는 승무원실을 냉각하고 가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밤의 길이가 길어 태양광 발전기를 이용해 계측기를 가열하기 어렵고, 원자력 난방기도 자주 사용된다.[6]

착륙 단계

연착륙을 달성하는 것은 달 착륙선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서 달 표면에 도달한 최초의 우주선 형태였던 임팩터와 착륙선을 구분하는 것이다.

모든 달 착륙선은 하강을 위해 로켓 엔진을 필요로 한다.달 주위의 궤도 속도는 고도에 따라 1500m/s를 초과할 수 있다.충격 궤도에 있는 우주선은 그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다.[12]진공 상태에서 그 속도에서 속도를 줄이는 유일한 방법은 로켓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다.

착륙 단계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13][14]

  1. 하강 궤도 삽입 – 우주선은 최종 하강에 유리한 궤도에 진입한다.달 궤도로 시작하지 않은 초기 착륙 노력에는 이 단계가 존재하지 않았다.대신에 그러한 임무는 달 충돌 궤도에서 시작되었다.[12]
  2. 하강과 제동 – 우주선은 더 이상 궤도에 오르지 않을 때까지 엔진을 발사한다.만약 엔진이 이 단계에서 완전히 발사되는 것을 멈춘다면, 우주선은 결국 표면에 충격을 줄 것이다.이 단계에서 우주선은 로켓 엔진을 사용하여 전체 속도를 줄인다.
  3. 최종 접근 – 우주선이 착륙 지점에 거의 도달했으며, 정확한 터치다운 위치를 최종 조정할 수 있다.
  4. 터치다운 – 우주선이 달에 연착륙할 수 있음

터치다운

달 착륙은 일반적으로 착륙선이 달 표면에서 수 피트 위에 있을 때 엔진이 셧다운되면서 끝난다.엔진 배기가스나 달의 리골리스가 표면에서 우주선으로 다시 차면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따라서 엔진이 터치다운 직전에 끊긴다는 생각이다.엔지니어는 추력 없는 추락이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차량이 충분히 보호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소련의 루나 9호 탐사선에 의해 수행된 최초의 부드러운 달 착륙은 우선 우주선을 적절한 속도와 고도로 둔화한 다음, 과학실험이 포함된 탑재물을 배출함으로써 달성되었다.달 표면에서 에어백을 이용해 유하중을 정지시켰고, 이것이 떨어지면서 완충을 제공했다.[15]루나 13도 비슷한 방법을 썼다.[16]

에어백 방법은 일반적이지 않다.예를 들어, 루나 9와 비슷한 시기에 발사된 NASA의 Survey 1 탐사선은 최종 터치다운을 위해 에어백을 사용하지 않았다.대신에, 그것은 3.4m의 고도에서 그것의 속도를 잡은 후에 달 표면으로 떨어졌다.추락에 대비하기 위해 우주선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유상하중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분쇄 가능한 부품이 장착되어 있었다.[12]더 최근에는 중국 창어 3호 착륙선이 비슷한 기술을 사용, 엔진이 꺼진 지 4m 만에 추락했다.[17]

아마도 가장 유명한 달 착륙선인 아폴로 계획의 착륙선들은 그들의 접촉 탐사선이 착륙이 임박했음을 감지한 후에 낙하물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력했을 것이다.착륙 기어는 67인치(170cm) 프로브 중 하나가 표면에 닿았을 때 엔진 정지를 시작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엔진 정지를 위한 것이었지만, 높이 3.0m까지 엔진 컷아웃으로 착륙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그러나 아폴로 11호 동안 닐 암스트롱은 착륙할 때까지 엔진을 발사함으로써 매우 부드럽게 착륙했다; 일부 후기 승무원들은 착륙할 때 착륙 스트럿을 더 많이 압박하면서 착륙 시 눈에 띄는 요철을 느꼈다.[18][19]

참고 항목

참조

  1. ^ Wayback Machine(PDF)에 보관민간 요구 데이터 베이스 기반 달 착륙기 단계 요건 2021-10-01존 A.멀퀸.NASA 마셜 우주 비행 센터.1993.
  2. ^ 접근성, 이동성 및 Centaur의 극저온 추진 경험을 통합한 달 착륙선 구성 웨이백 머신(PDF)에 2018-09-20 보관.보니 M.버켄슈타트, 조쉬 홉킨스, 버나드 F.커터, 프랭크 제글러, 토드 모셔록히드 마틴 우주 시스템 회사.20006.
  3. ^ 2010년 NASA 웨이백머신보관로봇 착륙선 2011-12-27은 2011-01-10에 접속했다.
  4. ^ Brown, Katherine (2021-04-16). "NASA Picks SpaceX to Land Next Americans on Moon". NAS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4-22. Retrieved 2021-06-23.
  5. ^ Wertz, James; Larson, Wiley (2003). Space Mission Analysis and Design (3rd ed.). California: Microcosm Press. ISBN 1-881883-10-8.
  6. ^ a b Okishio, Shogo; Nagano, Hosei; Ogawa, Hiroyuki (December 2015). "A proposal and verification of the lunar overnight method by promoting the heat exchange with regolith". Applied Thermal Engineering. 91 (5): 1176–1186. doi:10.1016/j.applthermaleng.2015.08.071. hdl:2346/64545.
  7. ^ "MSL Landing Special – MSL – Mars Science Labora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26. Retrieved 2021-10-01.
  8. ^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9-04. Retrieved 2019-03-09.
  9. ^ Cole, E.G. (November 1965).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Apollo Three‐Man Spacecraft With Two‐Man Lunar Excursion Module (LEM)".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34 (1): 39–57. Bibcode:1965NYASA.134...39C. doi:10.1111/j.1749-6632.1965.tb56141.x. S2CID 86244382.
  10. ^ Hager, P; Klaus, D; Walter, U (March 2014). "Characterizing transient thermal interactions between lunar regolith and surface spacecraft". Planetary and Space Science. 92: 101–116. Bibcode:2014P&SS...92..101H. doi:10.1016/j.pss.2014.01.011.
  11. ^ Gilmore, D. G. (2003). Spacecraft Thermal Control Handbook (2nd ed.). Segundo, California: Aerospace Press. ISBN 1-884989-11-X.
  12. ^ a b c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9-27. Retrieved 2019-03-08.
  13. ^ "Apollo 11 Mission Overview". 2015-04-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2-09. Retrieved 2019-03-09.
  14. ^ "Chang'e 3 – Chan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25. Retrieved 2021-10-01.
  15. ^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nssdc.gsfc.nasa.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1-20. Retrieved 2019-03-08.
  16. ^ "The Mission of Luna 13: Christmas 1966 on the Moon". 2016-12-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3-03. Retrieved 2019-03-08.
  17. ^ Rincon, Paul (2013-12-14). "China puts Jade Rabbit rover on Moon". B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3-27. Retrieved 2019-03-08.
  18. ^ Jones, Eric M., ed. (1995). "The First Lunar Landing". Apollo 11 Lunar Surface Journal. NAS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7, 2016. Retrieved June 13, 2013.
  19. ^ "Lunar Surface Sensing Probes". heroicrelic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3-16. Retrieved 2019-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