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니세라마키이
Lonicera maackii로니세라마키이 |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플랜태 |
클래드: | 기관지동물 |
클래드: | 안기오스페름스 |
클래드: | 에우디코츠 |
클래드: | 별자리 |
순서: | 딥사카목 |
패밀리: | 카프리폴리과 |
속: | 로니에라 |
종: | L. 마아키 |
이항식 이름 | |
로니세라마키이 | |
동의어[1] | |
|
아무르꿀술족인 로니세라 마아키이는 온대 서아시아가 원산지인 카피폴리폴리아과에 속하는 벌꿀술의 일종으로, 특히 중국 북부와 서부에서 한국 남동부 시베리아 윈난, 프리모르스키 크라이, 일본 중북부 혼슈까지 분포하고 있다.[2]
로니에라 마아키이는 일본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다.[3][4] 그것은 경작에서 벗어나 뉴질랜드와 미국 동부에 귀화했다. 미국의 삼림지에서는 상당히 침습적인 종이다.[5]
설명
이 식물은 최대 6m(20ft)의 높이에 직경 10cm(4in)의 줄기가 자라는 낙엽성 덩어리다. 잎은 반대로 배열되어 있고 5–9 센티미터(2–3+1⁄2 인치)의 길이와 2–4 센티미터(3/4–1+5 ½ 인치)의 넓이, 전체 마진과 최소한 약간의 대략적인 치사율.
꽃은 쌍으로 생산되며, 보통 여러 쌍이 군집 형태로 함께 생산된다; 그들은 2 센티미터(3⁄4 인치) 길이에, 두 개의 입술을 가지며, 흰색을 시작하고, 나중에 노란색을 띠거나 옅은 주황색을 띠며, 봄 중반부터 초여름까지 꽃을 피운다. 열매는 밝은 빨강에서 검은 반투명 베리, 지름 2~6밀리미터(5⁄64–1564 in)로 수많은 작은 씨앗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을에 익어 새들에게 먹혀 배설물에 있는 씨앗을 분산시킨다.
어원과 권위
종 이름 "마악키"는 19세기의 러시아 자연주의자 리처드 마악에서 유래되었다.[6] 그 흔한 이름인 "아무르 벌꿀술"은 시베리아와 만주의 경계를 경계로 하는 아무르 강을 둘러싼 원주민의 범위로부터 유래되었다.
재배
아무르 벌꿀술은 매력적인 꽃을 위한 장식용 식물과 생울타리로 재배된다. 분홍색 꽃이 피는 '에루베센스', 꼿꼿한 형태의 '렘 레드' 등 원예에 선발된 품종이 많다.[7] 그 식물은 적응력이 뛰어나고 다양한 조건에서 번성한다. 미국에서는 침식을 억제하고 울타리를 만들기 위해 심었다. 새들이 씨앗을 뿌리는 것을 통해 쉽게 자급자족하며, 공동체가 없는 서식지로 빠르게 확산된다. [5][8][9][10][6]
그것은 빠르게 성장하며 삼림 지대 지하층, 방치된 도시 지역, 울타리 줄 같은 그늘진 서식지를 선호한다. 그것은 매우 빽빽한 덤불을 형성할 수 있다.[7][8][11]
꽃들은 때로 아이들이 음미하는데, 아이들은 꽃을 제거하고 중앙의 달콤한 과즙을 빨아들이기 위해 바닥을 뽑는다. 하지만, 그 열매들은 인간에게 약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먹어서는 안 된다.
대안
이 종의 침입성 때문에, 국지적으로 금지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북아메리카와 같이 이 종이 침입한 기후와 유사한 기후에서 아무르 벌꿀술레를 배양하는 것은 경솔하다.[9]suckle)을 경작하는 것은 경솔하다.
미국 동부에서 침습하지 않고 빠르게 자라고 음영 내성이 있으며 낙엽성인 가능한 대체 관목에는 [6]다음이 포함된다.
미국 중서부를 위한 더 많은 토종 관목들이 부시 허니섹클의 저주라는 팜플렛에 실려 있다.[12]
피토케미스트리
L. maaci는 곤충 초식물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2차 대사물을 생산한다. 시폴리니 외 2007년도는 클로로젠산, 아피게닌, 아피게닌-7-글루코사이드, 루테롤린, 루테롤린-7-글루코사이드의 계절적 변화를 찾아 억제 효과를 확인한다.[13]
침습성 및 치료법
잘 문서화된 침입성 때문에, 이 식물의 전파는 불법적이거나, 외계종인 미국 일부에서 통제된다.[5][8][9][10][6] 이 종은 코네티컷에서는 "침습성, 금지"로, 매사추세츠에서는 "금지"로, 테네시에서는 "침습성 종"으로, 오하이오에서는 "침습성 종"으로, 버몬트에서는 "B급 유해 잡초"로, 위스콘신에서는 침습성 종으로 명명된다.[14]
동 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제거하고 비침습적 대안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
결과들
미국 동부의 낙엽성 삼림 지대의 지하층에는 빽빽한 숲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나무의 그늘이 자생 관목, 소년 나무, 야생화의 성장을 방해하고 있다.[5][8][9][10][6] 이러한 성장들은 통제되지 않고 아무르 허니슈클의 거의 단일문화적 덤불을 낳는다.[5][8][9][10][6] 이 종은 토종 묘목의 성장과 다양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침공된 생태계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삼림지대의 재생까지도 심각하게 위태롭게 한다.[5][8][9][10][6][15] 추가 연구는 그것이 새와[16] 올챙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17]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종에 따라 조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혼합된 것으로 나타났다(McNeish and McEwan, 2016).[18] 무척추동물 다양성에 대한 영향도 분류군(Loomis and Cameron, 2014)[19]에 따라 음수 또는 양수일 수 있다.
L. maacii 관목을 제거하더라도, 영향을 받은 서식지는 상당한 복원 노력이 없으면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20]
흰꼬리사슴과 L.마아키와의 관계는 복잡하며, 사슴은 열매를 소비하고, 씨앗을 흩뿌리고, 잎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L.마아키아의 존재는 사슴이 지하층 식물을 탐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은 토착적인 언더스토리가 존재한다면 바람직할 수 있지만, 다른 침입자가 존재한다면 바람직하지 않다.Ive 종은 지하층을 지배한다.[18] 성 근처에서 행해진 연구. 미주리주 루이스는 2010년 이 식물이 사슴을 유인해 교외 자연지역에서 진드기 매개 질환인 얼리치오시스, 라임병 등의 위험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감염된 진드기의 존재를 증가시킨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실험적으로 식물을 제거함으로써 사슴의 혈액식사를 사슴에게서 옮겨줌으로써 사슴의 활동과 감염된 진드기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1]
통제 및 근절
그 종은 식물을 뿌리 수준까지 자르거나, 태우거나, 태우거나, 뿌리의 영양분이 고갈될 때까지 2주 단위로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통제된다. 박멸을 위해 갓 깎은 그루터기에 제초제를 바르면 된다. 소정의 불에 의한 통제는 늦여름과 초가을에 종자 분산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5]
또한 잎을 완전히 포화시키는 글리포세이트의 연간 도포나 얕은 뿌리 청소년 식물을 파내면서 조절할 수도 있지만, 이 두 가지 방법은 인건비가 증가하고 토양이 붕괴된다.
이 종은 북아메리카에서 잎을 캐는 나방 필로노리텍터 엠베리재페넬라균의 숙주인 것으로 밝혀졌다.[22]
참조
- ^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Retrieved 7 December 2014.
- ^ a b "Lonicera maackii".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Retrieved 2 January 2018.
- ^ "Red List of Threatened Plants of Jap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Excel spreadsheet). Government of Japan.
- ^ "Lonicera maackii (with map)". Red Data Book (Japan)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11; "Google translation".
- ^ a b c d e f g "Amur honeysuckle" (PDF). USDA Forest Service. Weed of the Week Fact Shee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 ^ a b c d e f g h "L. maackii". Pocket Gardener. Ohio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07.
- ^ a b Huxley, A., ed. (1992).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ISBN 0-333-47494-5.
- ^ a b c d e f "Lonicera maackii in Missouri". Missouriplants.
- ^ a b c d e f "Annotated bibliography of primary research on invasive qualities of L. maackii in the U.S.A." National Biolog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Knoxville, TN: University of Tennesse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07.
- ^ a b c d e "L. maackii". Department of Horticulture. Plant Database. University of Connectic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07.
- ^ "Lonicera species" (PDF). Invasive.org. Invasive weeds from As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8 September 2006.
- ^ "Curse of the Bush Honeysuckles!" (PDF). mdc.mo.gov. Missouri Department of Conservation.
- ^ Peñuelas, Josep; Sardans, Jordi; Estiarte, Marc; Ogaya, Romà; Carnicer, Jofre; Coll, Marta; Barbeta, Adria; Rivas-Ubach, Albert; Llusià, Joan; Garbulsky, Martin; Filella, Iolanda; Jump, Alistair S. (25 March 2013). "Evidence of current impact of climate change on life: a walk from genes to the biosphere". Global Change Biology. Wiley. 19 (8): 2303–2338. CiteSeerX 10.1.1.480.9111. doi:10.1111/gcb.12143. ISSN 1354-1013.
- ^ "L. maackii". USDA Plants Databas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 ^ Gorchov, David L.; Trisel, Donald E. (1 May 2003). "Competitive effects of the invasive shrub, Lonicera maackii (Rupr.) Herder (Caprifoliaceae),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native tree seedlings". Plant Ecology. 166 (1): 13–24. doi:10.1023/A:1023208215796. S2CID 41965189.
- ^ Schmidt, Kenneth A.; Whelan, Christopher J. (1 December 1999). "Effects of Exotic Lonicera and Rhamnus on Songbird Nest Predation". Conservation Biology. 13 (6): 1502–1506. doi:10.1046/j.1523-1739.1999.99050.x.
- ^ Watling, J.I.; Hickman, C.R.; Lee, E.; Wang, K.; Orrock, J.L. (1 January 2011). "Extracts of the invasive shrub Lonicera maackii increase mortality and alter behavior of amphibian larvae". Oecologia. 165 (1): 153–159. doi:10.1007/s00442-010-1777-z. PMID 20938785. S2CID 7347009.
- ^ a b McNeish, Rachel E.; McEwan, Ryan W. (2016). "A review on the invasion ecology of Amur honeysuckle (Lonicera maackii, Caprifoliaceae) a case study of ecological impacts at multiple scales". The Journal of the Torrey Botanical Society. 143 (4): 367–385. doi:10.3159/TORREY-D-15-00049.1. S2CID 89223917.
- ^ Loomis, Jessica D.; Cameron, Guy N. (2014). "Impact of the invasive shrub Amur honeysuckle (Lonicera maackii) on shrub-layer insects in a deciduous forest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Biological Invasions. 16: 89–100. doi:10.1007/s10530-013-0505-0. S2CID 18834906.
- ^ Rodewald, A.D.; et al. (2015). "Does removal of invasives restore ecological networks? An experimental approach". Biological Invasions. 17 (7): 2139–2146. doi:10.1007/s10530-015-0866-7. S2CID 14654835.
- ^ Allan, Brian F.; Dutra, Humberto P.; Goessling, Lisa S.; Barnett, Kirk; Chase, Jonathan M.; Marquis, Robert J.; et al. (26 October 2010). "Invasive honeysuckle eradication reduces tick-borne disease risk by altering host dynam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7 (43): 18523–18527. doi:10.1073/pnas.1008362107. PMC 2973004. PMID 20937859.
- ^ Craves, J.A. (2017). "Native birds exploit leaf-mining moth larvae using a new North American host, non-native Lonicera maackii". Ecoscience. 24: 81–90. doi:10.1080/11956860.2017.1367908. S2CID 90390095.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로니메라 마아키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