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투스의 류타르트

Leutard of Vertus

베르투스의 로이타르(Leutard of Vertus, 1000년경 사망)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이단자로 매도된 프랑스의 소작농이었습니다.그는 연대기 작가 로둘푸스 글라버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자신의 몸이 벌들에 의해 침범당했다는 꿈을 꾸고 나서 로이타드의 믿음이 시작되었다고 말합니다.Leutard는 계속하여 십자가를 훼손하고 교회의 십일조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습니다.그는 루터교의 성경 해석에 반대하는 발언을 한 샬롱 주교에 의해 소환되었고, 그의 추종자들을 교회의 가르침으로 돌아가도록 설득했습니다.이후 로이타드는 우물에 몸을 던져 자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설교

로이타르트는 프랑스 북동부의 베르투스에 살던 소작농이었습니다.그는 베네딕토회 연대기 작가 로둘푸스 글라버의 계정에 기록되어 있습니다.[1]로둘푸스에 의하면 "1000년 말경" 로이타르트는 들판에서 잠을 자면서 자신의 몸이 벌들에 의해 침략당하는 꿈을 꿨다고 합니다.[2][3]그 벌들은 로이타드의 생식기로 들어갔고,[4] 그의 입을 통해 빠져나와 그를 온몸으로 쏘았습니다.[5][6]로둘푸스는 그 벌들이 자신에게 말을 걸었다고 주장했고, 로둘푸스는 그 벌들이 "인류에게 불가능한 일들을 하라"고 명령했다고 기록했습니다.[6][7]

로이타르트는 이 사건을 복음을 전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으로 해석했습니다.[3][8]그는 곧 자신의 교구 교회에 들어가 십자가에 못 박힌 얼굴을 하고, 그 행위를 지역 주민들에게 하나님의 계시에 따른 것으로 정당화했습니다.[7][8]그는 처음에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특히 교회 십일조 부과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면서 추종자들을 얻기 시작했습니다.[7][8]그는 몇 년 동안 설교를 했지만 십일조에 반대하는 입장과 일부 예언자들이 "모든 것을 믿지 않는 좋은 말을 많이 했기 때문에" 성경의 특정 책만 따라야 한다는 입장 외에는 그의 교리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4][9]그는 성경의 한 구절이 교회의 승인 없이 이혼을 허용한다고 해석한 후 아내를 떠났습니다.[3]

포고와 죽음

베르투스 교구가 있던 샬롱의 주교 (Gebuin I, d. 998년 또는 Gebuin II, d. 1014년)는 로이타르트를 불러 그의 앞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1][3]주교는 그의 추종자들 앞에서 로이타드를 심문했습니다.[1]로이타르트는 게부인을 변호하면서 성경의 구절을 인용했지만 나중에 후회한다고 말했습니다.[7]주교는 라우타드의 성경 해석에 잘못이 있다고 주장하는 부분을 폭로했고, 라우타드의 추종자들은 그가 잘못했다고 설득했습니다.[1]

게부인은 로이타르를 이단자라고 선언했지만, 그에게 사형 선고를 내린 것 같지는 않습니다.[10][11]주교는 로이타드의 추종자들을 교회 안으로 다시 불러들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1]이어 이전 추종자들에게 버림받은 로이타르트가 우물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합니다.[8][11]이것은 중세 초기에 기록된 몇 안 되는 자살 사례 중 하나입니다.[7]중세 학자 마이클 프래세토는 라우타르트의 죽음은 12세기 후반부터 교회가 공식적으로 의무화한 이단에 대한 올바른 처벌로 죽음을 간주하는 것으로 중세 대중 사상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11]

로둘푸스(1047년경)는 그 사건 이후 몇 년간 쓴 글에서 로이타르트를 "사탄의 사신"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6]로이타르트는 샬롱 교구 출신의 최초의 이단자로 알려져 있지만, 이후 몇 세기 동안 다른 이단자들은 비난을 받았습니다.그러한 믿음은 1040년대에 충분히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주교는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리에주의 와조에게 편지를 썼습니다.[12]

현대평가

뉴캐슬 대학의 역사학 교수인 R. I. 무어는 Leutard가 교회 당국에 의해 십일조 개혁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단념시키기 위해 정신 질환자로 특징지어졌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4]그는 또한 자신이 이단자가 아니었을 수도 있음을 언급합니다; 로둘푸스가 로이타르트의 믿음에 대해 유일하게 주장한 것은 성서가 아닌 문제인 십일조에 대한 그의 반대였습니다.[3]

오스트리아의 중세학자 하인리히 피흐테나우는 벌들과의 사건이 로둘푸스에 의해 추가된 장식이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그는 또한 로이타르트가 배우고 싶어하는 것처럼 보이고자 하는 욕망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의 농민이 글을 읽고 쓸 줄 몰랐을 것이며, 아마도 로이타르트가 다른 사람들이 말한 구절을 반복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합니다.[13]피흐테나우는 레오타르가 십자가를 파괴한 것을 그리스도의 고문 이미지를 예배의 중심 요소로 거부하는 것에 대한 가능한 믿음의 증거로 생각합니다.이 믿음은 보고밀리즘과 관련이 있었고, 로이타르트 사건은 이러한 믿음이 발칸 반도에서 프랑스로 확산된 것을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14]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역사학 교수 제프리 코지올은 라우타드의 행동이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을 공식적으로 해석하고 결혼을 허가하고 무효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믿음을 나타낸다고 생각합니다.[15]

미국 역사학자 브라이언 스톡은 로이타드의 설교가 반봉건적 사례이거나 카타르시스의 초기 형태였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후자의 해석은 19세기에 헨리 찰스 레아가 제시하기도 했습니다.[16][17]스탁은 이 이야기에 나오는 벌들이 정결함을 상징하고, 몸에 들어오는 사악한 생각을 상징하거나, 로이타드가 대중들에게 호소하는 것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18]

그 당시에는 그렇게 여겨지지 않았지만, 미국의 역사학자 Richard Landes는 Leutard가 천년고수주의와 관련된 메시아적인 인물의 어떤 것이라고 썼습니다.랜즈는 로둘푸스가 파리에 이끌려 다니는 노동자 투르의 그레고리가 묘사한 "거짓 그리스도"에 대한 이야기를 본떠서 묘사했다고 생각합니다.란데스는 벌들이 메시아 인물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충격적인 경험을 상징한다고 생각합니다.[19]

참고문헌

  1. ^ a b c d e Pudlo, Donald S. (27 March 2019). A Companion to Heresy Inquisitions. BRILL. p. 44. ISBN 978-90-04-39387-5.
  2. ^ Fulton, Rachel; Brown, Rachel Fulton (2002). From Judgment to Passion: Devotion to Christ and the Virgin Mary, 800-1200. Columbia University Press. p. 493. ISBN 978-0-231-12551-2.
  3. ^ a b c d e Moore, R. I. (15 May 2012). The War on Heresy. Harvard University Press. p. 52. ISBN 978-0-674-06537-6.
  4. ^ a b c Moore, R. I. (February 2000). "The Birth of Popular Heresy: A Millennial Phenomenon?". Journal of Religious History. 24 (1): 20–21.
  5. ^ Hamilton, Sarah (12 August 2015). Church and People in the Medieval West, 900-1200. Routledge. p. 334. ISBN 978-1-317-32533-8.
  6. ^ a b c Landes, Richard (February 2000). "The Birth of Heresy: A Millennial Phenomenon". Journal of Religious History. 24 (1): 34. doi:10.1111/1467-9809.00099.
  7. ^ a b c d e Fichtenau, Heinrich (1 November 2010). Heretics and Scholars in the High Middle Ages, 1000-1200. Penn State Press. p. 16. ISBN 978-0-271-04374-6.
  8. ^ a b c d Armstrong, Lawrin (1 August 1999). "Schools of Asceticism: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Medieval Religious Communities". Canadian Journal of History. 34 (2). ISSN 0008-4107.
  9. ^ Taylor, Claire (2005). Heresy in Medieval France: Dualism in Aquitaine and the Agenais, 1000-1249. Boydell & Brewer. p. 59. ISBN 978-0-86193-276-4.
  10. ^ Fudge, Thomas A. (30 May 2013). The Trial of Jan Hus: Medieval Heresy and Criminal Procedure. OUP USA. p. 59. ISBN 978-0-19-998808-2.
  11. ^ a b c Pudlo, Donald S. (27 March 2019). A Companion to Heresy Inquisitions. BRILL. p. 45. ISBN 978-90-04-39387-5.
  12. ^ Landes, Richard (February 2000). "The Birth of Heresy: A Millennial Phenomenon". Journal of Religious History. 24 (1): 36. doi:10.1111/1467-9809.00099.
  13. ^ Fichtenau, Heinrich (1 November 2010). Heretics and Scholars in the High Middle Ages, 1000-1200. Penn State Press. p. 17. ISBN 978-0-271-04374-6.
  14. ^ Fichtenau, Heinrich (1 November 2010). Heretics and Scholars in the High Middle Ages, 1000-1200. Penn State Press. p. 18. ISBN 978-0-271-04374-6.
  15. ^ Koziol, Geoffrey (1992). Begging Pardon and Favor: Ritual and Political Order in Early Medieval Fr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p. 200. ISBN 978-0-8014-2369-7.
  16. ^ Stock, Brian (11 May 2021). The Implications of Literacy: Written Language and Models of Interpretation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02. ISBN 978-1-4008-2038-2.
  17. ^ A History of the Inquisition of the Middle Ages. New York: Henry Charles Lea. 1887. p. 108.
  18. ^ Stock, Brian (11 May 2021). The Implications of Literacy: Written Language and Models of Interpretation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03. ISBN 978-1-4008-2038-2.
  19. ^ Landes, Richard (February 2000). "The Birth of Heresy: A Millennial Phenomenon". Journal of Religious History. 24 (1): 35. doi:10.1111/1467-9809.00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