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소 펀드

Lasso fund
'라소'의 후원을 받은 그리스 도시 학교의 학생과 교사(1897년)

라소 기금(그리스어: ταμμο λ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ν estab estab estab estab estab [1][2][3][4]las estab estab estab estab estab estab estab그 결과 정교회 공동체와 교회, 약국, 호스텔을 위한 그리스어 학교가 [5][6]코르처에 문을 열었다.

규정

Lasso 펀드의 주요 출자자 중 한 명인 Ioannis Pagkas는

1850년 코르소의 정교회 주교인 네오피투스는 도시의 정교회 디아스포라로부터 다양한 기부금과 유산을 보호하고 교육적, 문화적 [2][3][6]목적을 위해 적절히 처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별한 공동체 기금을 만들기로 결정했다.이 펀드는 라소 [7]펀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기금규정 제2조에 따르면 Lasso 펀드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스어 문자의 보급과 남녀노소 시민의 모든 계급에 대한 계몽을 위해 도시에 있는 보통학교의 유지, 자본은 손대지 않은 채, 오직 관심사에서만 유지.

조화로운 경영은 [8]지역사회의 기본 의무로 제시되었다.1875년, 「고려사 마을 공동 재단의 총칙」이 입안되어 이듬해부터 시행되었다.이 모든 유산과 기부는 라소 기금의 책임 하에 이루어졌다.라소의 총조직은 [8]당시의 영국 신탁법을 연상시켰다.이 기금의 자본은 그리스 국립은행에 '고려사 교육기관의 자산'이라는 계좌에 예치되어 있으며, 채권 형태로 유통되는 자본의 연간 감가상각률은 6%이다.라소의 특별 규정에 따르면, 지방 학교는 오로지 이자에 의해 유지되었고, 반면 자본의 일부만이 이자부 [9]대출의 형태로 지급되었다.

중요한 공헌자

이 이니셔티브는 교회, 약국 및 호스텔과 [6]같은 다른 공공 복지 기관의 설립뿐만 아니라 특히 정교회 학교의 설립에서 코르처 문화 활동의 증가를 초래했다.라소 기금에 기부한 후원자 중에는 게오르기오스 파카스가 있었는데, 그는 상당한 [4]액수로 라소 기금을 지원했다.다른 중요한 공헌자에는 특히 파그카스 체육관의 후원자인 후자의 아들인 요안니스 파그카스와 루마니아에 [3][10][11]있는 알바니아 문화 기관의 디투리아 대표인 아나스타스 아브라미디-락체와 코스타크 두로가 있었다.

레퍼런스

  1. ^ 코르처 시의 역사
  2. ^ a b Sonellari, Mihal (March 2005). "Një traditë, e cila jeton së bashku me qytetin" (PDF). Albanian Orthodox Church. Retrieved 18 October 2011.
  3. ^ a b c Gjermani, Alma (January 2009). "Dhuruesit Korçarë të shekullit të XIX" (PDF). Albanian Orthodox Church. Retrieved 18 October 2011.
  4. ^ a b Kondis, Basil; Manda, Eleftheria (1994). The Greek minority in Albania : a documentary record (1921–1993). Thessaloniki: Inst. for Balkan Studies. p. 92. ISBN 978-960-7387-02-8.
  5. ^ Clayer, Nathalie (2007), Aux origines du nationalisme albanais: la naissance d'une nation majoritairement musulmane on Europe, Karthala, p. 309, ISBN 9782845868168
  6. ^ a b c Ismyrliadou, 1996: 페이지 241
  7. ^ 에피루스의 넓은 지역에서 라소라는 용어는 다양한 기부와 유산을 의미하며 이탈리아어 라시토(lascito, 유증)에서 유래했다.α μ μ μ μ α μ α μ α μ α μ α μ α μ α μ α μ α μ α μ α α μ α μ α α α μ α α μ α α α α μ α α α μ α α α α α α α α
  8. ^ a b Sakellariou, M. V. (1997). Epirus, 4000 years of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Ekdotike Athenon. p. 255. ISBN 978-960-213-371-2.
  9. ^ Ismyrliadou, 1996, 242페이지
  10. ^ Ismyrliadou, 1996: 페이지 244
  11. ^ Revista Romanǎ de sociologie p.526 루마니아 과학 아카데미 사회학 연구소, 2006년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