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휴링스 잭슨
John Hughlings Jackson존 휴링스 잭슨 | |
---|---|
태어난 | |
죽은 | 1911년 10월 7일 영국 런던 | (76세)
국적 | 영어 |
과학 경력 | |
필드 | 신경학 |
존 휴링스 잭슨(John Hughlings Jackson, FRS, 1835년 4월 4일 ~ 1911년 10월 7일)은 영국의 신경학자였다. 그는 간질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전기
그는 요크셔 해로게이트 인근 프로비던스 그린, 그린 해머튼에서 태어났으며, 양조장 겸 여만인 사무엘 잭슨의 막내아들로, 자신의 땅을 소유하고 농사를 짓는 데 성공한 사람과 웨일스 수입 수집가의 딸 사라 잭슨(네 휴글링스)의 딸이다. 그의 어머니는 그를 낳은 지 1년이 조금 넘도록 돌아가셨다. 그는 세 명의 형제와 한 명의 여동생이 있었다; 그의 형제들은 뉴질랜드로 이주했고 그의 여동생은 의사와 결혼했다.[1] 그는 요크 의과 외과 대학에 다니기 전에 요크셔 주 태드캐스터와 글로스터셔 주 네일스워스에서 교육을 받았다. 1856년 St Barts에서 자격을 얻은 후 그는 요크 디스펜서의 가정 의사가 되었다.
1859년에 그는 메트로폴리탄 무료 병원과 런던 병원에서 일하기 위해 런던으로 돌아왔다. 1862년 그는 보조의사로 임명되었고, 이후 (1869) 런던 퀸 스퀘어에 위치한 국립마비간질병원의 전신 내과 의사, 그리고 런던 병원의 의사(1874)로 임명되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신경과 의사로서의 명성을 확립했다. 그는 1878년에 왕립 협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잭슨은 1911년 10월 7일 런던에서 사망했고 하이게이트 묘지의 서쪽에 묻혔다. 그는 무신론자였다.[2][3] 요크 대학의 헐 요크 의과대학 건물은 그의 명예로 명명되었다.
과학과 연구
잭슨은 혁신적인 사상가였고 때로는 반복적이긴 하지만 다작스럽고 명쾌한 작가였다. 비록 그의 관심의 범위는 넓었지만, 그는 간질의 모든 형태와 복잡성을 진단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한 공로로 가장 잘 기억된다.[4][5] 그의 이름은 초점 운동 발작 증상의 특징인 "진행" (잭슨식 행진곡)과 측두엽 발작의 정신운동적 발작의 이른바 "몽상적 상태"에 비유하여 붙여진다.[7] 후자의 다양한 간질에 관한 그의 논문은 그들의 서술적인 임상적 세부사항이나 다양한 병리학적 자동주의와 기타 정신 및 행동 장애의 패턴에 대한 심령 간질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거의 틀려지지 않았다.
잭슨은 또 일부 실어증 어린이는 평범한 언어의 힘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래를 부를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며 실어증에 대한 연구도 했다.[8][9] 그는 또 '굿바이' '오, 얘야' 등 정해진 구절을 포함해 좌뇌 부상 환자에게서 어떤 유형의 언어 손실이 발견되는지도 연구했다.[10][11]
그의 젊었을 때 잭슨은 개념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졌고 1859년에 철학을 위해 의학을 포기해야 한다는 생각을 숙고했다고 믿어진다.[12] 그러므로, 그의 작업의 중요한 부분은 그가 제안한 신경계의 진화적인 조직인 하급, 중급,[13] 상급에 관한 것이었다. 가장 낮은 수준에서는 움직임이 가장 덜 복잡한 형태로 나타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한 중심은 중수와 척수에 있다. 중간 레벨은 피질의 이른바 운동 영역으로 구성되며, 가장 높은 운동 레벨은 전두엽 영역에서 발견된다.
센터가 높을수록 하위 센터가 억제되었고 따라서 그 곳의 병변은 '부정적인' 증상을 유발했다(기능 부재로 인한). '긍정적' 증상은 하부 센터의 기능적 해소에 의해 일어났다. 잭슨은 이 과정을 허버트 스펜서에게서 빌린 용어인 '해결'이라고 불렀다.[14] 그가 존 레이놀즈 경으로부터 받은 '긍정적-부정적'의 구별.[15]
대륙 정신과 의사 및 심리학자(예: 테오듈 리보트, 피에르 자넷, 지그문트 프로이트, 앙리 아이)는 영국 상대보다 잭슨의 이론적 사상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16] 1980년대에는 정신분열증의 증상과 관련하여 '양성-음성' 구분이 도입되었다.[17]
그는 왕립의학대학에[18] 굴스토니아어(1869), 크로오니아어(1884), 뤼믈리안(1890) 강연을 한 몇 안 되는 의사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또한 1872년 헌터니아어 오리엔테이션을 헌터학회에 전달했다.
방법론
잭슨은 현대적인 정교한 신경 연구 기술을 사용할 수는 없었지만(그것은 발명되지 않았다) 임상 관찰력, 연역 논리력, 부검 자료 등에 의존해야 했다.[19] 영국 신경학 분야에서 그의 저명한 후계자들 중 일부는 그의 이론과 개념에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프랜시스 월쉬 경이 1943년에 그의 작품에 대해 언급했듯이, "... 쓸모없거나 무관한 모든 것이 버려질 때, 우리는 생리적 통찰의 풍부한 보물로 남을 수 없다."
오트프리드 포어스터의 운동 피질에 관한 연구에서 그는 신경 운동 신호 전달의 샘으로서 뇌의 최초 발견(증거가 없지만)을 위해 휴링스 잭슨만을 인용한다.[20]
기부금
그의 친구인 데이비드 페리어 경, 그리고 당대의 두 저명한 신경정신과 의사인 제임스 크라이튼-브라우네 경과 함께 잭슨은 실험과 임상 신경학의 상호작용을 위해 헌신한 중요한 학술지 브레인(Brain)의 창시자 중 한 명이었다(오늘도 여전히 출판되고 있다). 창간호는 1878년에 출판되었다.
1892년 잭슨은 윌리엄 고워스 경, 데이비드 페리어 경과 함께 간질병 고용을 위한 전국협회(현 간질병학회)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
올리버 색스는 잭슨이 신경학 연구에 영감을 준 것으로 거듭 언급했다.
참조
- ^ Koehler, Peter (2000). Neurological eponym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95. ISBN 9780198030591.
- ^ "J. Hughlings Jackson".
- ^ 지그만, 아론 울프, 스탠리 펠드슈타인. 비언어적 행동과 의사소통. 힐스데일, NJ: L. Erlbaum Associates, 1978. 인쇄하다
- ^ Janković, SM; Sokić, DV; Lević, Z; Susić, V (1997). "Dr. John Hughlings Jackson". Srp Arh Celok Lek. 125 (11–12): 381–6. PMID 9480576.
- ^ Balcells Riba, M (1999). "[Contribution of John Hughlings Jackson to the understanding of epilepsy]". Neurología. 14 (1): 23–28. PMID 10079688.
He systematized what we today know as complex partial crisis, establishing the link between the function of the temporal lobe and the sensorial auras, automatism's, déjà-vu and jamais vu phenomena.
- ^ York, George K; Steinberg, David A (2011). "Hughlings Jackson's neurological ideas". Brain : A Journal of Neurology. 134 (Pt 10): 3106–3113. doi:10.1093/brain/awr219. PMID 21903729. Lay summary.
By observing the march of epileptic seizures he developed the idea of somatotopic representation.
{{cite journal}}
: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lay-url=
(도움말) - ^ Lardreau, Esther (2011). "An approach to nineteenth-century medical lexicon: the term "dreamy state"". Journal of the History of the Neurosciences. 20 (1): 34–41. doi:10.1080/09647041003740937. PMID 21253938. S2CID 9659031. Lay summary.
Hughlings-Jackson coined the concept of dreamy state: According to him, one of the sensations of a "dreamy state" was an odd feeling of recognition and familiarity, often called "deja vu". A clear sense of strangeness could also be experienced in the "dreamy state" ("jamais vu").
{{cite journal}}
: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lay-url=
(도움말) - ^ Johnson, Julene K; Graziano, Amy B (2015). "Some early cases of aphasia and the capacity to sing" (PDF). Progress in Brain Research. 216: 73–89. doi:10.1016/bs.pbr.2014.11.004. ISBN 9780444633996. PMID 25684286. Lay summary.
The observation that some patients with aphasia and limited speech output were able to sing the texts of songs inspired schola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language. Early ideas about the capacity to sing were provided by well-known neurologists, such as John Hughlings Jackson and Adolf Kussmaul.
{{cite journal}}
: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lay-url=
(도움말) - ^ Lorch, Marjorie Perlman; Greenblatt, Samuel H (2015). Singing by speechless (aphasic) children: Victorian medical observations. Progress in Brain Research. Vol. 216. pp. 53–72. doi:10.1016/bs.pbr.2014.11.003. ISBN 9780444633996. PMID 25684285. Lay summary.
One notable publication was of two cases of children briefly observed by John Hughlings Jackson (1835-1911) in 1871. These children were speechless but could produce some musical expression.
{{cite book}}
: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lay-url=
(도움말) - ^ 휴글링 잭슨, J. (1874a/1932) 뇌의 이중성의 본질에 대해서. J. Taylor (Ed.)에서는 존 휴링스 잭슨 (본 2, 페이지 129–145)의 글을 선정하였다. 영국 런던: 호더 & 스토우턴.
- ^ 휴글링 잭슨, J. (1874b/1932) 뇌의 질병으로 인한 언어의 애착에 대해서. J. Taylor (Ed.)에서는 존 휴링스 잭슨의 글 선택 (본 2, 페이지 155–204)이다. 영국 런던: 호더 & 스토우턴.
- ^ 제임스 테일러, '잭슨, 존 휴링스 (1835–1911)',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옥스퍼드 국립 전기 사전, 데친트의 월턴 목사, 2004
- ^ Phillips, C G (1973). "Proceedings: Hughlings Jackson Lecture. Cortical localization and "sensori motor processes" at the "middle level" in primat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66 (10): 987–1002. doi:10.1177/003591577306601015. PMC 1645607. PMID 4202444.
- ^ Berrios, G. E. (2001). "The factors of insanities: J. Hughlings Jackson. Classic Text No. 47". History of Psychiatry. 12 (47 Pt 3): 353–73. doi:10.1177/0957154x0101204705. PMID 11954572. S2CID 220337992.
- ^ Berrios, G. E. (1985).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nd Jackson. A conceptual histor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2 (1): 95–7. doi:10.1001/archpsyc.1985.01790240097011. PMID 3881095.
- ^ 베리오스 G E (1977) 앙리 에이, 잭슨 외 레제 오베단테스. L'Evolution Sychiatreque 42: 685–699
- ^ Berrios, G. E. (1991). "Positive and Negative Signals: A Conceptual History". Negative Versus Positive Schizophrenia. pp. 8–27. doi:10.1007/978-3-642-76841-5_2. ISBN 978-3-642-76843-9.
- ^ 휴즈넷 인터넷 위성 인터넷 거래 1-855-267-3692[permanent dead link] Novoseek.com. 2014년 5월 29일에 검색됨.
- ^ Eadie, MJ (1990). "The evolution of J. Hughlings Jackson's thought on epilepsy".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logy. 27: 29–41. PMID 2129959. Lay summary.
By 1870, and within 5 or 6 years of his beginning to analyse the clinical phenomena of epilepsy and to correlate them with autopsy data, the 35-year-old John Hughlings Jackson had come to a view of the nature of epilepsy that was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his contemporaries
{{cite journal}}
: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lay-url=
(도움말) - ^ Foerster, O. (1936). "The Motor Cortex in Man in the Light of Hughlings Jackson's Doctrines". Brain. 59 (2): 135–159. doi:10.1093/brain/59.2.135.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존 휴링스 잭슨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Wikisource는 다음과 같은 원작을 가지고 있다. 존 휴링스 잭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