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카를 아우구스트 무사우스

Johann Karl August Musäus
요한 카를 아우구스트 무사우스

요한아우구스트 무사우스 (Johann Karl August Mushaus, 1735년 3월 29일 ~ 1787년 10월 28일)는 독일의 인기 작가였으며 독일 민화 최초의 수집가 중 한 사람으로, 폴크스메르첸 데르 도이첸 (1782년–1787년)으로 가장 유명하다.

전기

1735년 3월 29일 예나에서 판사 요셉 크리스토프 무사우스의 외아들로 태어났다.1743년 그의 아버지는 아이제나흐의 참의원 겸 치안판사가 되었고, 젊은 무사우스는 그의 대부이자 올스테트에서 삼촌인 요한 웨이젠본 박사와 함께 살기 위해 이주하였는데, 그는 교육을 위탁받아 무사우스를 아들 취급하였다.1744년 숙부가 아이제나흐 총감이 되었을 때도 그는 열아홉 살까지 숙부와 함께 살았는데, 이 조치로 그는 다시 부모와 같은 도시로 오게 되었다.[1][2]

무사우스는 1754년 신학(아마도 자신의 것이 아닌 대부의 선택)을 공부하기 위해 예나대학교에 입학했고, 이 무렵 독일학회에 입학하여 일반적인 공로 이상의 징조를 보였다.그는 평소의 3년 반의 연구 끝에 석사학위를 받아 1747년 7월 13일 10년 앞서 명예인사를 받았던 정도를 더하여 아이제나흐로 돌아와 현재 면허가 있는 교회에서 임명되기를 기다렸다.설교를 잘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특별히 종교에 헌신하지 않았고, 임명도 받지 못했다. 몇 년 후 그가 인근 시골에서 목사직을 제의받자, 지역 주민들은 "그가 춤을 추는 것을 본 적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다.이로써 그는 교회에서 경력을 쌓고자 하는 그의 희망은 끝이 났고, 스물다섯 에 풍자의 작가가 되었다.[1][2]

1760년부터 1762년까지 무사우스는 그의 첫 작품인 그란디슨 데르 즈위이트 (그란디슨 2세)를 3권으로 출판하였고, 그 후 (1781년–1782년) 다시 쓰고 새로운 제목인 더 도이체 그란디슨 (The Germany Grandison)을 붙여 발행하였다. 책의 목적은 신성로마제국에 감성적인 추종자들이 많았던 사무엘 리처드슨의 영웅 찰스 그랜디슨 경을 풍자하는 것이었다.[3]

1763년 무사우스는 바이마르에서 궁정 페이지를 석권하게 되었고, 1769년 바이마르에 있는 빌헬름-에른스트-기름 체육관에서 고대 언어와 역사학 교수가 되었다.[3][4]1776년 7월 바이마르에 있는 '아말리아' 숙소에서 프리메이슨(Freemason)이 되었고, 1783년 8월 바이에른 일루미나티(Bavarian Illinati)의 일원이 되어 프리실리아누스와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라는 이름을 따 그 해에 장로가 되었다.[5]

그의 두 번째 책인 관상동체 라이젠은 1778/79년이 되어서야 등장하였다.그것은 라바터를 상대로 한 것이었고, 많은 호평을 받았다.1782년부터 1787년까지 그는 그의 최고의 작품인 독일 동화 모음집인 Polksmérchen der Deutschen을 출판했다.무사우스가 백성들 사이에서 수집해 온 실체인 이 설화에도 풍자는 지양할 수 없었다.그러므로 그 이야기들은 진정한 민속의 소박함이 결여되어 있다.1785년 요한 루돌프 셸렌베르크에 의해 홀베인스 마니에에서 프룬트 헤인스 에르셰이농겐이 발행되었고, 무셰우스의 산문과 구절로 설명되었다.그는 1787년[3] 10월 28일 바이마르에서 사망함으로써 스트라우스페데른(1787년에 한 권이 출판되었지만)이라는 제목의 이야기 모음집을 완성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야콥스프리드호프에 묻혀 있다.

레거시

무사우스의 나흐겔라세네 슈리프텐(1791)은 그의 친척 아우구스트 코체뷔에 의해 편집된 사후에 출판되었다.[3]슈트라우스페데른은 계속해서 서점가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니콜라이에 의해 출판되었고, 루드비히 타이크(1795–1798)의 기고가 있었다.[6]

무사우스의 폴크스메르첸낭만주의낭만주의 민족주의의 발흥으로 인해 동화(그들의 17세기 후반부터 쇠퇴해 온)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난 초기 부분이었다.이러한 경향은 19세기에 계속되었고 베네딕트 나우베르트그림 형제와 같은 다른 것들도 포함되었다.[7][8]

C에 의해 민화를 수집하는 뮤제우스.E. Döpler

폴크스메르헨은 자주 재인쇄되어 번역되었다(뒤셀도르프, 1903년 등).이 중 5편의 이야기는 토마스 베도스가 독일인들의 인기 이야기(1791년)로 영어로 번역했으며,[9][10] 3편은 토마스 칼라일이 번역한 독일로맨스(1827년)에 수록됐다.[11]이 책들은 또한 여러 번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는데, J. 르페브르에 의해 콘테스 포퓰리스트인 알레망즈(1803)로,[12] 이사벨몽톨리외(1803)의 이야기 중 2편을 번역한 것,[13] 그리고 찰스 폴 코크(1826)[14]의 소개와 함께 또 하나의 완전한 번역으로 번역되었다.[15]

폴크스메르헨에서 "레전덴이 뤼베잘을 토벌한다" ("뤼베잘의 전설")의 마지막은 헨리 A에 의해 언급되었다.포흐만 등은[16] 워싱턴 어빙의 '슬리피 할로우 전설'(1820년)의 머리 없는 마부에 영감을 주었다.[17]

Another of the Volksmärchen, "Der geraubte Schleier" ("The Stolen Veil"), a tale about a Swan maiden, was used by Pyotr Ilyich Tchaikovsky to provide the plot outline of Swan Lake (1876), though the extent of Tchaikovsky's use of Musäus' story is challenged by some such as Russian ballet patriarch Fyodor Lopukhov, who argue the ballet is essentially 러시아어.[18]

프랑스어로 번역된 폴크스메르헨("L'Amour Muet"으로 번역된 스툼므 리베") 중 하나는 장바티스트 베누트 에리에스판타스마고리아나(1812)에 일곱 개의 다른 독일 유령 이야기와 함께 들어 있었다.컬렉션은 1816년 여름바이런 경, 퍼시 바이셰 셸리, 메리 셸리, 클레어 클레어 클레어몬트, 존 윌리엄 폴리도리가 읽었으며, 그들 자신의 유령 이야기를 쓰려고 노력하도록 영감을 주었다.바이런 경은 최초의 현대 뱀파이어 이야기로 여겨지는 소설의 파편을 썼고, 폴리도리는 이를 바탕으로 <뱀파이어>를 썼고, 메리 셸리는 프랑켄슈타인을 계속 썼다.[19]판타마고리아나의 8개 이야기 중 5개는 사라 엘리자베스 유터슨이 <죽음이야기>(1813년)로 번역했는데, 그 중에는 <스툼므 리베>를 <스펙트레-바버>[20]로 요약한 형식을 포함했다.

그가 모은 민화들은 2009년 영화 '이교도 여왕'에서 리부사프레미슬의 이야기처럼 계속 각색되고 있다.

1989년 4월 6일에 발견된 소행성은 그의 이름을 따서 10749 무사우스라고 명명되었다.[21]

참조

  1. ^ a b Franz Muncker (1886), "Musäus, Karl",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ADB) (in German), vol. 23, Leipzig: Duncker & Humblot, pp. 85–90
  2. ^ a b "Johann August Musæus". German Romance: Specimens of Its Chief Authors. Vol. 1. Edinburgh & London: W & Charles Tait. 1827. pp. 9–18.
  3. ^ a b c d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이 현재 공개 영역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4. ^ Selwyn, Pamela E (2008). Everyday Life in the German Book Trade: Friedrich Nicolai As Bookseller and Publisher in the Age of Enlightenment 1750–1810. Penn State Press. p. 312. ISBN 978-0-27104387-6.
  5. ^ Wilson, W Daniel (1991). Geheimräte gegen Geheimbünde: Ein unbekanntes Kapitel der klassisch-romantischen Geschichte Weimars (in German). Metzler.
  6. ^ Chisholm, Hugh, ed. (1911). "Tieck, Johann Ludwig"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6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62.
  7. ^ Haase, Donald (2008). "Literary Fairy Tales". In Donald Haase (ed.).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folktales and fairy tales. Vol. 2.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ISBN 978-0-313-33441-2.
  8. ^ Jean, Lydia (2007). "Charles Perrault's Paradox: How Aristocratic Fairy Tales became Synonymous with Folklore Conservation". Trames. 11 (61): 276–83.
  9. ^ "리칠다; 또는, 허영에서 악으로 발전," "세 자매의 연대기," "베일의 도둑질," 또는 "라 몽골피에의 이야기," "엘핀 프릭스; 또는 "넘버 닙의 일곱 전설," 그리고 "분수의 님프".
  10. ^ Zachs, William (1998). The First John Murray and the Late Eighteenth-Century London Book Trade. Oxford University Press. p. 378.
  11. ^ '덤 러브', '리부사', '멜렉살라' 등.
  12. ^ Contes populaires des Allemands. Translated by J. Lefèvre. Leipzig: Friedlein. 1803. "La Chronique des trouis Soeurs", "Le Voile enlevé", "L'Amour muet", "Rubezahl", "Libussa", "Melechsala", "La Nymphe" 등이 수록되어 있다.
  13. ^ Recueil de contes. Translated by Isabelle de Montolieu. Geneva: Paschoud. 1803. "Le voile enlevé ou ou les cygnes"와 "Melechsala"를 포함한다.
  14. ^ Contes 드 무사.데이비드 루트비히 Bourguet.파리:Moutardier.1826년."라 Chronique 데 trois Soeurs","Richilde","레 Écuyers 드 롤랑","Libussa","라 Nymphe 드 라 퐁텐","르 Trésor(하르츠","Légendes 드 Rubezahl","라 뵈브","L'Enlèvement(Anecdote)","라 Poule aux OEfs d'or","L'Amour muet","르 Démon-Amour","Mélechsala","르 Voile enlevé" 들어 있다.
  15. ^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Contes populaires de L'Allemagne. Translated by Comte de Corberon. Paris: Bureau de l'Époque. 1836. 다른 작가들의 2개의 추가작품과 함께 5개의 "뤼베잘의 전설"이 수록되어 있다.
    • Contes populaires de L'Allemagne. Translated by Alphonse Cerfberr de Médelsheim. Leipzig: Gebhard & Reisland. 1845. '루베자흘', '다몬-아모르', '라누벨 마트론 데페스', '르체르 드 트레소르', '온딘', '멜렉살라' 등이 수록되어 있다.
    • Contes populaires de Musaeus, traduits de l'allemand. Translated by A. Materne. Paris: Hachette. 1848.
    • Contes populaires tirés de Grimm, Musaeus, Andersen, Herder et Liebeskind (feuilles de palmier). Translated by D. E. Scherdlin. Paris: Hachette. 1874.
    • Richilde ou le miroir magique. Translated by Léon Daffry de La Monnoye. Paris: Firmin-Didot. 1882.
    • Contes choisis. Translated by Charles Sigwalt. Paris: Garnier frères. 1889. "Légendes de Rübezahl", "L'Hospitalité du chevalier Bronkhorst" 및 "Lynchiges des trois soeurs" 포함
  16. ^ 예를 들어
  17. ^ Hoffman, Daniel (1961). Form and Fable in American Fiction.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p. 85 (footnote). ISBN 9780813915258.
  18. ^ Leimanis, Aivars (2002). "Synopsis" (Press release). Latvian National Ope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04. Retrieved 5 November 2013.
  19. ^ Macdonald, D. L.; Scherf, Kathleen (2008). "Introduction". The Vampyre and Ernestus Berchtold; or, The Modern Œdipus. Peterborough: Broadview Editions. p. 10.
  20. ^ Blamires, David (2009). "Musäus and the Beginnings of the Fairytale". Telling Tales: The Impact of Germany on English Children's Books 1780–1918.
  21. ^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NASA. Retrieved 4 May 2008.

외부 링크